KR102086434B1 -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34B1
KR102086434B1 KR1020180098474A KR20180098474A KR102086434B1 KR 102086434 B1 KR102086434 B1 KR 102086434B1 KR 1020180098474 A KR1020180098474 A KR 1020180098474A KR 20180098474 A KR20180098474 A KR 20180098474A KR 102086434 B1 KR102086434 B1 KR 10208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ower
inpu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634A (ko
Inventor
조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9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5Sensor drifts or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되, 경로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POWER SUPPLY INTERFACE APPARATUS, POWER SUPPLY APPARATUS, SENSOR APPARATUS, STEERING APPARATUS AND STEERING METHOD}
본 실시예들은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가 조향 휠(steering wheel)에 가한 조향력(또는 회전력)을 바탕으로 바퀴의 조향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조향 휠의 조향력을 경감하여 조향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EPS(Electric Power Steer) 즉, 전동식 파워 조향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파워 조향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상태 및 토크상태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벼우면서 편안한 조향감, 고속 운행시, 차량의 운전자에게 무거우면서 안전한 조향감, 비상 시, 차량의 운전자에게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적의 조향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서, 센서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뿐만 아니라,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모듈 및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제 1 조향각 정보와 상기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하고,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 및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조향각 정보와 상기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와 두 개 이상의 조향각 센서로 구성되는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가 ECU로부터 두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각각의 입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와 한 개의 조향각 센서가 공유하고 있는 경우, 두 개의 입력 전원 중 한 개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입력 전원을 통해 두 개의 조향각 센서를 동작시켜 조향각 정보를 획득함(즉, 이를 이용하여 절대 조향각 측정 가능)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를 동작시켜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입력 전원을 통해 입력 전원을 센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력 전원의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자율 주행차에 대한 조향 토크 리던던시 및 신뢰성 향상뿐만 아니라 조향각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다이오드와 저항을 바탕으로 전원 경로를 형성하여 하나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입력 전원을 통해 입력 전원을 센서로 공급할 수 있어, 센서 및 ECU의 핀 수 증가나 커넥터 사이즈 증가없이 즉, 센서 및 ECU의 장치의 변경 없이 회로 변경만을 통해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저항들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통해 조향각 센서 IC 내부 GND 쇼트 시, 입력 전원 두 개 모두 해당 IC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조향 토크 센서의 사용을 가능케함으로써,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조절부를 통해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센서로 공급되는 출력 전원을 형성함으로써, ECU 내부의 레귤레이터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센서로 출력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2 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및 조향 장치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 기재된 전원이라는 용어는 전압, 전류, 전력 및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전압, 전류, 전력 및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들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입력부(110), 경로부(120) 및 출력부(1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10)는 복수 개의 입력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 개의 입력 전원으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부(120)는 입력부(110)와 후술하는 출력부(1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출력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경로부(120)는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30)는 경로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경로부(120)로부터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출력부(130)는 경로부(1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복수 개의 입력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입력부가 두 개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입력부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입력부가 두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제 1 입력부(111) 및 제 2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입력부(111)는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입력부(111)는 제 1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입력부(112)는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입력부(112)는 제 2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입력부(110)와 출력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부(120)는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120)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120)는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120)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120)는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120)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경로부(120)는 복수 개의 경로부(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경로부(120)가 네 개의 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는 경로부가 세 개 및 다 섯개 이상인 경우, 경로부가 네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경로부는 제 1 경로부(121), 제 2 경로부(122), 제 3 경로부(123) 및 제 4 경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부(120)는 제 1 입력 전원과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경로부(122)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120)는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상기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3 경로부(123)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120)는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경로부(122)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상기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4 경로부(124)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출력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출력부(130)가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출력부(130)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출력부(130)가 두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경로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131)는 제 1 경로부(121)와 제 4 경로부(1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제 1 경로부(121)와 제 4 경로부(124)를 통해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제 1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경로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경로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출력부(132)는 제 2 경로부(122)와 제 3 경로부(1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2 경로부(122)와 제 3 경로부(123)를 통해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부(120)는 복수 개의 경로부(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경로부(120)는 실시예들일 뿐, 본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부(120)는 도 3 내지 도 5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 이외의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경로부(120)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경로부(121)는 제 1 경로(121-1) 및 제 1 경로 제어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121-1) 및; 제 1 경로(121-1)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121-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로 제어기(121-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경로(122-1) 및 제 2 경로 제어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122-1) 및; 제 2 경로(122-1)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122-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경로 제어기(122-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3 경로(123-1) 및 제 3 경로 제어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123-1) 및; 제 3 경로(123-1)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123-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경로 제어기(123-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4 경로(124-1) 및 제 4 경로 제어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124-1) 및; 제 4 경로(124-1)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124-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경로 제어기(124-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경로(121-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2 경로(122-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1 다이오드(D1)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1 경로(121-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D2)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2 경로(122-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출력부(131)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경로(121-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2 경로(122-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1 다이오드(D1)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1 경로(121-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고, 제3 다이오드(D3)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3 경로(123-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출력부(131)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경로(121-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2 경로(122-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2 다이오드(D2)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2 경로(122-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고, 제4 다이오드(D4)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4 경로(124-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출력부(131)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경로부(121) 내지 제 4 경로부(124)는 도 3에서 상술한 제 1 경로부(121)와 제 4 경로부(124)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제 1 경로부(121) 내지 제 4 경로부(124)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5 경로부(125)는 제 5 경로(125-1) 및 제 5 경로 제어기(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5 경로부(125-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3 출력부(133) 사이를 연결하는 제 5 경로(125-1) 및; 제 5 경로(125-1) 상에 위치하여 제 5 경로(125-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5 경로 제어기(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경로 제어기(125-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133)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5 다이오드(D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경로부(126)는 제 6 경로(126-1) 및 제 6 경로 제어기(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6 경로부(126)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4 출력부(134)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경로(126-1) 및; 제 6 경로(126-1) 상에 위치하여 제 6 경로(126-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6 경로 제어기(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경로 제어기(126-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134)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6 다이오드(D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경로부(127)는 제 7 경로(127-1) 및 제 7 경로 제어기(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7 경로부(127)는 제 1 입력부(111)와 상기 제 4 출력부(134) 사이를 연결하는 제 7 경로(127-1) 및; 제 7 경로(127-1) 상에 위치하여 제 7 경로(127-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7 경로 제어기(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7 경로 제어기(127-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134)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7 다이오드(D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경로부(128)는 제 8 경로(128-1) 및 제 8 경로 제어기(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8 경로부(128)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3 출력부(133) 사이를 연결하는 제 8 경로(128-1) 및; 제 8 경로(128-1) 상에 위치하여 제 8 경로(128-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8 경로 제어기(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경로 제어기(128-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133)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8 다이오드(D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5 경로(125-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126-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5 다이오드(D5)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125-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3 출력부(133)가 연결되고, 제6 다이오드(D6)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126-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125-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126-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5 다이오드(D5)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125-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3 출력부(133)가 연결되고, 제7 다이오드(D7)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7 경로(127-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125-1)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6 경로(126-1)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6 다이오드(D6)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126-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되고, 제8 다이오드(D8)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8 경로(128-1)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3 출력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경로부(121) 내지 제 4 경로부(124)는 도 3에서 상술한 제 1 경로부(121)와 제 4 경로부(124)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제 1 경로부(121) 내지 제 4 경로부(124)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5 경로부(125)는 제 5 경로(125-1) 및 제 5 경로 제어기(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5 경로부(125)는 제 3 입력부(113)와 제 3 출력부(133) 사이를 연결하는 제 5 경로(125-1) 및; 제 5 경로(125-1) 상에 위치하여 제 5 경로(125-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5 경로 제어기(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경로 제어기(125-2)는 제 3 입력부(113)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133)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5 다이오드(D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경로부(126)는 제 6 경로(126-1) 및 제 6 경로 제어기(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6 경로부(126)는 제 4 입력부(114)와 제 4 출력부(134)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경로(126-1) 및; 제 6 경로(126-1) 상에 위치하여 제 6 경로(126-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6 경로 제어기(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경로 제어기(126-2)는 제 4 입력부(114)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134)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6 다이오드(D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경로부(127)는 제 7 경로(127-1) 및 제 7 경로 제어기(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7 경로부(127)는 제 3 입력부(113)와 상기 제 4 출력부(134) 사이를 연결하는 제 7 경로(127-1) 및; 제 7 경로(127-1) 상에 위치하여 제 7 경로(127-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7 경로 제어기(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7 경로 제어기(127-2)는 제 3 입력부(113)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134)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7 다이오드(D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경로부(128)는 제 8 경로(128-1) 및 제 8 경로 제어기(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8 경로부(128)는 제 4 입력부(114)와 제 3 출력부(133) 사이를 연결하는 제 8 경로(128-1) 및; 제 8 경로(128-1) 상에 위치하여 제 8 경로(128-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8 경로 제어기(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경로 제어기(128-2)는 제 4 입력부(114)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133)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8 다이오드(D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5 경로(125-1)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126-1)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5 다이오드(D5)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125-1)를 통해 제 3 입력부(113)와 제 3 출력부(133)가 연결되고, 제6 다이오드(D6)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126-1)를 통해 제 4 입력부(114)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125-1)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126-1)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5 다이오드(D5)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125-1)를 통해 제 3 입력부(113)와 제 3 출력부(133)가 연결되고, 제7 다이오드(D7)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7 경로(127-1)를 통해 제 3 입력부(113)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125-1)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6 경로(126-1)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6 다이오드(D6)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126-1)를 통해 제 4 입력부(114)와 제 4 출력부(134)가 연결되고, 제8 다이오드(D8)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8 경로(128-1)를 통해 제 4 입력부(114)와 제 3 출력부(13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출력부(133)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출력부(134)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경로 제어기(121-2) 내지 제 8 경로 제어기(128-2)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경로 제어기는 다이오드 소자, 스위치 소자 및 스위칭 소자(일 예로, 트랜지스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부(130)는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131)는 경로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경로부(120)로부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출력부(131)는 경로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출력부(132)는 경로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경로부(120)로부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경로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132-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의 저항의 개수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의 저항의 개수는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의 저항의 개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많아질 수 있다.
여기서, 온도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온도일 수 있다.
이에,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온도가 -40도씨 내지 85도씨일 경우,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의 저항의 개수는 한 개일 수 있으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내부 온도가 -40도씨 내지 125도씨일 경우,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부(132)의 저항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특히, C-EPS의 온도는 -40도씨 내지 85도씨일 수 있으며, R-EPS의 온도는 40도씨 내지 125도씨일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로부(120)에서 제공하는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 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조절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부(140)는 입력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40)는 입력부(110)와 경로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조절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조절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40)는 조절된 입력 전원을 경로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조절부(140)는 입력 전원의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전원이 50 mA인 경우, 조절부(140)는 제공받은 입력 전원의 50 mA를 조절하여 70mA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부(140)는 입력 전원의 전류랑을 제한할 수 있다.
조절부는 입력부(110)와 경로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40)는 제 1 조절부(141) 및 제 2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조절부(141)는 제 1 입력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조절부(141)는 제 1 입력부(11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조절부(141)는 제 1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조절부(141)는 조절된 제 1 입력 전원을 경로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조절부(142)는 제 2 입력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조절부(142)는 제 2 입력부(11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조절부(142)는 제 2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조절부(142)는 조절된 제 2 입력 전원을 경로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조절부(140)는 스위칭 소자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 전원을 조절(일 예로, 입력 전원의 전류량 증가 또는 입력 전원의 전류량 제한 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장치(200)는 전원 공급 모듈(210) 및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모듈(21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통해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 모듈(21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전원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원 변환기를 통해 전원 변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변환기는 컨버터, 인버터 및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컨버터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전원 공급 모듈(210)이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장치(200)는 전원 공급 모듈(210)이 세 개 이상의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 전원 공급 모듈(210)이 두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 모듈(21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210)은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후술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되,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전원 공급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과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개략적인 부분만 기재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도 2 내지 도 8에 기재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111)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112)를 포함하는 입력부(110);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하는 출력부(130); 및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121),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122),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123) 및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124)를 포함하는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3 경로부(123)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경로부(122)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121-1) 및 제 1 경로(121-1)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121-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122-1) 및 제 2 경로(122-1)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122-1) 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123-1) 및 제 3 경로(123-1)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123-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124-1) 및 제 4 경로(124-1)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124-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경로 제어기(121-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 제어기(122-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 제어기(123-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 제어기(124-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220)은 입력부(110)와 경로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하는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장치(300)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 및 센서 모듈(3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되,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과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개략적인 부분만 기재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도 2 내지 도 9에 기재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111)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112)를 포함하는 입력부(110); 제 1 센서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센서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하는 출력부(130) 및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121),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122),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123) 및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124)를 포함하는 경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3 경로부(123)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경로부(122)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121-1) 및 제 1 경로(121-1)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121-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122-1) 및 제 2 경로(122-1)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122-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123-1) 및 제 3 경로(123-1)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123-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124-1) 및 제 4 경로(124-1)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124-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경로 제어기(121-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 제어기(122-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 제어기(123-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 제어기(124-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입력부(110)와 경로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하는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모듈(320)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과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 & 조향각 센서 등), 토크 센서, 각 센서(일 예로, 조향각 센서), 모터 위치 센서(motor position sensor), 위치센서(일 예로, 모터 위치 센서 등), 속도 센서(일 예로, 차속 센서 등), 조도 센서, 강우 센서, 강설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다(radar)센서, 라이더(lidar)센서, 압력센서, 홀 센서 및 유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두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제 2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 2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서는 제 1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센서는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조향각 센서와 제 2 조향각 센서는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 등)에 포함된 센서일 수 있다.
이에,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 & 조향각 센서 등)에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각각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 & 조향각 센서 등)에 네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400)는 센서 모듈(410),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 및 조향 모터(4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모듈(410)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300)의 센서 모듈(320)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센서 모듈(410)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300)의 센서 모듈(3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센서 모듈(410)의 개략적인 부분만 기재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400)의 센서 모듈(410)은 도 9에 기재된 센서 장치(300)의 센서 모듈(3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센서 모듈(410)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조향각 센서는 제 1 조향각 정보를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조향각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조향각 센서는 제 2 조향각 정보를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모듈(410)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 및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를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센서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1 조향각 센서와 제 2 조향각 센서는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포함된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각각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네 개의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의 개략적인 부분만 기재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400)의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7에 기재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되,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출력 전원을 센서 모듈(41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각 센서 및 제 1 조향 토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각 센서 및 제 1 조향 토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내지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111)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112)를 포함하는 입력부(110); 제 1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부(131) 및 제 2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부(132)를 포함하는 출력부(130); 및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121),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122),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123) 및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124)를 포함하는 경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출력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각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3 경로부(123)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 1 경로부(121)를 통해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경로부(122)를 통해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경로부(121)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121-1) 및 제 1 경로(121-1)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121-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122)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122-1) 및 제 2 경로(122-1)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122-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123)는 제 1 입력부(111)와 제 2 출력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123-1) 및 제 3 경로(123-1)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123-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124)는 제 2 입력부(112)와 제 1 출력부(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124-1) 및 제 4 경로(124-1)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124-1)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경로 제어기(121-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경로 제어기(122-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경로 제어기(123-2)는 제 1 입력부(111)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132)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경로 제어기(124-2)는 제 2 입력부(112)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131)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입력부(110)와 경로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하는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장치(200)의 전원 공급 모듈(21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원 장치(200)의 전원 공급 모듈(21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개략적인 부분만 기재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400)의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도 8에 기재된 전원 장치(200)의 전원 공급 모듈(21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여 조향 모터(440)를 제어하고,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과 연결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로부터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 제어 모듈은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절대 조향각 정보를 산출하며, 절대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값을 산출하고,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어시스트 전류값에 대응되는 게이트 신호로 변환하고, 인버터를 통해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력 변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며, 어시스트 전류를 조향 모터로 제공하여 조향 모터(4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조향각 센서는 메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서브 기어에 대한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조향각 센서는 메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서브 기어에 대한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 1 서브 기어와 제 2 서브 기어는 기어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제 1 서브 기어에 대한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서브 기어에 대한 제 2 조향각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절대 조향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과 연결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센서 모듈(4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 제어 모듈은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4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토크 정보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 나머지 조향 토크 정보는 리던던시를 위한 서브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1 조향 토크 센서의 고장으로 제 1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때, 제 2 조향 토크 센서를 통해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통해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전원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원 변환기를 통해 전원 변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변환기는 컨버터, 인버터 및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컨버터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이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장치(400)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이 세 개 이상의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이 두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은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420)로 제공할 수 있다.
조향 모터(440)는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 모터(440)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과 연결될 수 있다. 조향 모터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어시스트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조향 모터(440)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공받은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동작이 제어되어,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조향 모터(440)는 싱글 와인딩(single winding) 타입의 모터 및 듀얼 와인딩(dual winding) 타입의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는 모터라면, 어떠한 모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모터(440)는 3상 모터 및 5상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는 모터라면, 어떠한 모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이하에서 생략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방법은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또는, 시스템)라면 어떠한 제어 장치(또는, 시스템)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방법은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S100),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S200),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0) 및 조향 모터를 제어(S400)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S100).
예컨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200).
예컨대, 먼저 단계 S10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예컨대, 먼저 단계 S20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조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400).
예컨대, 단계 S30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센서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고,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통해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원 변환기를 통해 전원 변환하여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내부 전원 및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변환기는 컨버터, 인버터 및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컨버터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S120).
예컨대, 단계 S110에서 생성된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S210). 즉, 단계 S100으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100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은 직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220).
예컨대, 단계 S2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230). 즉,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20에서 형성된 전원 경로를 통해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220에서 형성된 전원 경로를 통해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S240). 즉,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30에서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단계 S230에서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단계 S220에서는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0에서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단계 S220에서는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0에서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단계 S220에서는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경로부를 통해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경로부를 통해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출력부를 통해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구성 요소를 주어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10에서의 제 1 입력부는 단계 S100의 제 1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10에서의 제 2 입력부는 단계 S100의 제 2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경로부는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부는 단계 S100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1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2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는 단계 S100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경로부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1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는 단계 S100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경로부는 전원 경로의 제공을 통해 제 2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경로부는 복수 개의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경로부가 네 개의 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는 경로부가 세 개 및 다 섯개 이상인 경우, 경로부가 네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경로부는 제 1 경로부, 제 2 경로부, 제 3 경로부 및 제 4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부는 단계 S100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과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 1 경로부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경로부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는 단계 S100으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1 경로부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3 경로부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경로부는 제 1 입력부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3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는 단계 S100으로부터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 2 경로부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4 경로부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2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경로부는 제 2 입력부로부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4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여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제 1 출력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출력부는 복수 개의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출력부가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는 출력부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출력부가 두 개인 경우에 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출력부는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경로부를 통해 제공되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는 제 1 경로부와 제 4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제 1 경로부와 제 4 경로부를 통해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제 1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경로부를 통해 제공되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출력부는 제 2 경로부와 제 3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제 2 경로부와 제 3 경로부를 통해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1 경로부는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로 제어기는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2 경로부는 제 2 경로 및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 및; 제 2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경로 제어기는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3 경로부는 제 3 경로 및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3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 및; 제 3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경로 제어기는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4 경로부는 제 4 경로 및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4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 및; 제 4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경로 제어기는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2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1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1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2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1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2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2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1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1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3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3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1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2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2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2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2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2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4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4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1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1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2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경로부 내지 제 4 경로부는 상술한 제 1 경로부와 제 4 경로부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제 1 경로부 내지 제 4 경로부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5 경로부는 제 5 경로 및 제 5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5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제 3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5 경로 및; 제 5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5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5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경로 제어기는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5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6 경로부는 제 6 경로 및 제 6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6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4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경로 및; 제 6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6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6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경로 제어기는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6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7 경로부는 제 7 경로 및 제 7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7 경로부는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4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7 경로 및; 제 7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7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7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7 경로 제어기는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7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8 경로부는 제 8 경로 및 제 8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8 경로부는 제 2 입력부와 제 3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8 경로 및; 제 8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8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8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경로 제어기는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8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5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5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6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5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7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7 경로를 통해 제 1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1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가 제 1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6 경로가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6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8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8 경로를 통해 제 2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2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경로부 내지 제 4 경로부는 상술한 제 1 경로부와 제 4 경로부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제 1 경로부 내지 제 4 경로부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5 경로부는 제 5 경로 및 제 5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5 경로부는 제 3 입력부와 제 3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5 경로 및; 제 5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5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5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경로 제어기는 제 3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5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6 경로부는 제 6 경로 및 제 6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6 경로부는 제 4 입력부와 제 4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경로 및; 제 6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6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6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경로 제어기는 제 4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6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7 경로부는 제 7 경로 및 제 7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7 경로부는 제 3 입력부와 상기 제 4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7 경로 및; 제 7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7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7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7 경로 제어기는 제 3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4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7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에서의 제 8 경로부는 제 8 경로 및 제 8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8 경로부는 제 4 입력부와 제 3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8 경로 및; 제 8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8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8 경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경로 제어기는 제 4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제 3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8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5 경로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은 경우, 제5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를 통해 제 3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6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를 통해 제 4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고, 제 6 경로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제5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5 경로를 통해 제 3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7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7 경로를 통해 제 3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3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5 경로가 제 3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제 6 경로가 제 4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6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6 경로를 통해 제 4 입력부와 제 4 출력부가 연결되고, 제8 다이오드가 도통(turn on) 즉, 온(on)되어 제 8 경로를 통해 제 4 입력부와 제 3 출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240에서의 제 3 출력부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3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제 4 출력부는 제 4 입력 전원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 4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경로 제어기 내지 제 8 경로 제어기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경로 제어기는 다이오드 소자, 스위치 소자 및 스위칭 소자(일 예로, 트랜지스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의 출력부는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는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경로부로부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출력부는 경로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출력부는 경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경로부로부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경로부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R1-1, R1-2, ? , R1-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R2-1, R2-2, ? , R2-n)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의 저항의 개수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의 저항의 개수는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의 저항의 개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많아질 수 있다.
여기서, 온도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및 조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온도일 수 있다.
이에,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및 조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온도가 -40도씨 내지 85도씨일 경우,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의 저항의 개수는 한 개일 수 있으나,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내부 온도가 -40도씨 내지 125도씨일 경우,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의 저항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출력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로부에서 제공하는 출력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S310). 즉,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00으로부터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200으로부터 전원 경로를 통해 형성된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 예컨대, 단계 S310의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 & 조향각 센서 등), 토크 센서, 각 센서(일 예로, 조향각 센서), 모터 위치 센서(motor position sensor), 위치센서(일 예로, 모터 위치 센서 등), 속도 센서(일 예로, 차속 센서 등), 조도 센서, 강우 센서, 강설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다(radar)센서, 라이더(lidar)센서, 압력센서, 홀 센서 및 유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10에서, 제 1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 1 센서는 단계 S210의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되어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10에서, 제 2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 2 센서는 단계 S210의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되어 제 2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서는 제 1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센서는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조향각 센서와 제 2 조향각 센서는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 등)에 포함된 센서일 수 있다.
이에,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 등)에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각각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토크 & 각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 & 조향각 센서 등)에 네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토크 센서(일 예로, 조향 토크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20에서는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20에서는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 1 조향각 센서와 제 2 조향각 센서는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포함된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각각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에 네 개의 조향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조향 토크 센서는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먼저, 센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410). 즉, 단계 S300으로부터 복수 개의 센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10에서는 조향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410에서는 단계 S300으로부터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단계 S410에서는 단계 S400으로부터 제 1 조향각 정보 및 제 2 조향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410에서는 조향 토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410에서는 단계 S30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단계 S410에서는 단계 S400으로부터 제 1 조향 토크 정보 및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즉,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20에서는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조향각 정보 및 제 2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절대 조향각 정보를 산출하며, 절대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값을 산출하고,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어시스트 전류값에 대응되는 게이트 신호로 변환하고, 인버터를 통해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력 변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조향각 센서는 메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서브 기어에 대한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조향각 센서는 메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서브 기어에 대한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 1 서브 기어와 제 2 서브 기어는 기어비가 서로 다를수 있다. 이에, 조향 모터 제어 모듈은 제 1 서브 기어에 대한 제 1 조향각 정보와 제 2 서브 기어에 대한 제 2 조향각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절대 조향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20에서는 조향각 정보 및 조향 토크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20에서는 조향각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향 토크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향 토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조향각 정보에 기반하여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토크 정보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 나머지 조향 토크 정보는 리던던시를 위한 서브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1 조향 토크 센서의 고장으로 제 1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때, 제 2 조향 토크 센서를 통해 제 2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430)
조향 모터는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 모터는 단계 S420으로부터 어시스트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조향 모터는 단계 S420으로부터 제공받은 어시스트 전류에 기반하여 동작이 제어되어,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조향 모터는 싱글 와인딩(single winding) 타입의 모터 및 듀얼 와인딩(dual winding) 타입의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는 모터라면, 어떠한 모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모터는 3상 모터 및 5상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조향을 어시스트할 수 있는 모터라면, 어떠한 모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및 조향 장치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상 상술한 본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전원 장치(200), 센서 장치(300) 및 조향 장치(400) 등의 컴퓨터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저장부(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10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10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버스(106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 및/또는 저장소(103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1020) 및 저장부(103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021) 및 RAM(10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와 두 개 이상의 조향각 센서로 구성되는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가 ECU로부터 두 개의 입력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각각의 입력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와 한 개의 조향각 센서가 공유하고 있는 경우, 두 개의 입력 전원 중 한 개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입력 전원을 통해 두 개의 조향각 센서를 동작시켜 조향각 정보를 획득함(즉, 이를 이용하여 절대 조향각 측정 가능)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조향 토크 센서를 동작시켜 조향 토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입력 전원을 통해 입력 전원을 센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력 전원의 전원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자율 주행차에 대한 조향 토크 리던던시 및 신뢰성 향상뿐만 아니라 조향각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다이오드와 저항을 바탕으로 전원 경로를 형성하여 하나의 입력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입력 전원을 통해 입력 전원을 센서로 공급할 수 있어, 센서 및 ECU의 핀 수 증가나 커넥터 사이즈 증가없이 즉, 센서 및 ECU의 장치의 변경 없이 회로 변경만을 통해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저항들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통해 조향각 센서 IC 내부 GND 쇼트 시, 입력 전원 두 개 모두 해당 IC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조향 토크 센서의 사용을 가능케함으로써, 조향 토크 & 조향각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따르면, 조절부를 통해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센서로 공급되는 출력 전원을 형성함으로써, ECU 내부의 레귤레이터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센서로 출력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차량의 조향에 대한 리던던시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실시예들에 속한다.
100: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110: 입력부 120: 경로부
130: 출력부 140: 조절부
200: 전원 장치
210: 전원 공급 모듈 220: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300: 센서 장치
310: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320: 센서 모듈
400: 조향 장치
410: 센서 모듈 420: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430: 조향 모터 제어 모듈 440: 조향 모터

Claims (20)

  1.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1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 및 상기 제 3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 및 상기 제 4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모듈; 및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를 포함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1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 및 상기 제 3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 및 상기 제 4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10.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 1 출력 전원을 제공받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받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센서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센서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를 포함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1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 및 상기 제 3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 및 상기 제 4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14.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조향각 센서 및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조향각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제 1 조향각 정보와 상기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하고,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조향 모터 제어 모듈; 및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를 포함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받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조향 장치.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1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1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2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부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경로 및 상기 제 3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3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3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경로 및 상기 제 4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 4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4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2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입력부와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제 1 출력부와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 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입력부와 상기 경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조향 장치.
  20. 제 1 입력 전원과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전원 및 제 2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 및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1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출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2 조향각 센서를 통해 제 2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조향각 정보와 상기 제 2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어시스트 전류를 생성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입력 전원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전원에 기반하여 제 1 출력 전원과 제 2 출력 전원이 형성되도록 전원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 1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2 입력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조향각 센서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경로부,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2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경로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와 상기 제 1 출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경로부를 포함하는 경로부를 포함하는 조향 방법.

KR1020180098474A 2018-08-23 2018-08-23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KR10208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74A KR102086434B1 (ko) 2018-08-23 2018-08-23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74A KR102086434B1 (ko) 2018-08-23 2018-08-23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34A KR20200022634A (ko) 2020-03-04
KR102086434B1 true KR102086434B1 (ko) 2020-03-09

Family

ID=6978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74A KR102086434B1 (ko) 2018-08-23 2018-08-23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997A (ko)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빅데이터 기반 전지 검사 방법
KR102384184B1 (ko) * 2021-05-24 2022-04-08 주식회사 만도 조향 어시스트 장치
KR102586997B1 (ko) * 2021-12-08 2023-10-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3882A (ja) 2013-01-25 2014-08-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補助電源装置
JP2016073068A (ja) *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JP2017140920A (ja) 2016-02-10 2017-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電源用のスイッチ装置及び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05B1 (ko) * 2013-09-04 2020-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의 센서전원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3882A (ja) 2013-01-25 2014-08-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補助電源装置
JP2016073068A (ja) *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JP2017140920A (ja) 2016-02-10 2017-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電源用のスイッチ装置及び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34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34B1 (ko)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KR102066221B1 (ko) 차량의 조향 장치 및 방법
US10177694B2 (en) Current sensor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US20180238935A1 (en) Abnormality diagnosis apparatus
US866075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10913488B2 (en) Steer-by-wire electrical power ste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897967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0003294B2 (en) Control apparatus of rotary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9314483B (zh) 电动机控制装置以及搭载了该电动机控制装置的电动助力转向装置和车辆
US20060066270A1 (en) Controller for motor to be mounted on vehicl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electric brake device using thereof
US20200062299A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6406155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90135336A1 (en) Vehicle steering electronic control sensor apparatus, power supply apparatus,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6443253B2 (ja) 電力変換器制御装置
US20160297471A1 (en)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7163842B2 (ja) 検出ユニット
US20190312536A1 (en)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190131684A (ko)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장치
JP7322635B2 (ja) 電子制御装置
CN114148406A (zh) 转向控制设备和方法
JP2017118641A (ja) 制御装置
WO2023063253A1 (ja) 負荷駆動装置
JP7379930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7011995B2 (ja) 電子制御装置
JP200500157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