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997B1 -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997B1
KR102586997B1 KR1020210174594A KR20210174594A KR102586997B1 KR 102586997 B1 KR102586997 B1 KR 102586997B1 KR 1020210174594 A KR1020210174594 A KR 1020210174594A KR 20210174594 A KR20210174594 A KR 20210174594A KR 102586997 B1 KR102586997 B1 KR 10258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angle sensor
unit
f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186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997B1/ko
Priority to US18/076,397 priority patent/US20230174145A1/en
Publication of KR2023008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조향 휠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폴딩 장치;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 상기 제1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앵글 센서; 상기 제1 전원부와 구분되어 제2 앵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및 상기 제1 앵글 센서 또는 상기 제2 앵글 센서를 통해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조향 휠을 수동으로 폴딩 해제가 가능하도록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ELECTRONIC CONTROL STEER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율 주행 차량에서는 조향 휠과 차축 사이의 물리적 연결을 배제하는 전기적 연결을 통한 조향 시스템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조향 휠에 대해서는 자율 주행 상황에 맞게 폴딩이 가능하도록 폴더블 시스템(foldable system)이 적용되는 추세이다.
최근 조향 시스템의 전동화에 따라 전동식 조향 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을 하는데,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 ECE) 법규에 의거 에너지 소스의 한가지 고장에도 조향이 가능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자율 주행 차량에서는 조향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를 이중화 하고 있다.
그러나, 폴더블 시스템의 경우 기능의 중요도, 비용 및 사이즈를 고려했을 때, 이상 발생에 대비해 이중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에 이상 발생시에도 조향이 가능한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조향 휠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폴딩 장치;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 상기 제1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앵글 센서; 상기 제1 전원부와 구분되어 제2 앵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및 상기 제1 앵글 센서 또는 상기 제2 앵글 센서를 통해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조향 휠을 수동으로 폴딩 해제가 가능하도록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조향 휠이 폴딩 된 상태에서 상기 폴딩 장치를 잠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폴딩 장치의 상기 잠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 상기 제2 앵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앵글 센서 및 상기 제2 앵글 센서로부터 각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앵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 또는 상기 제2 전원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 방법은, 오토 폴딩 모드에서 조향 휠이 폴딩 된 경우, 상기 조향 휠의 폴딩 장치를 잠김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조향 휠의 폴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폴딩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폴딩 장치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토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앵글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되고,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와 별도로 구비되는 제2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2 앵글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원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앵글 센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하나의 배터리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정상적인 조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앵글 센서를 이중화함으로써 사이즈 및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전기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 휠과 차량의 휠을 조향하는 조향 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향 휠의 회전 각도에 따라 조향 모터가 구동되어 차량의 조향이 수행되는 전자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조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제어 방식의 조향 시스템은 공지된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은 조향 휠의 폴더블 시스템을 구비하는 조향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이상시에도 조향이 가능한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전원부(110), 제2 전원부(140), 폴딩 장치(130), 제1 앵글 센서(120), 제2 앵글 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110) 또는 제2 전원부(140)의 이상 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는 조향 시스템을 위해 구동 모터용 배터리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조향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 일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 차량에서는 주행을 위해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구동용 배터리와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 장비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장용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동용 배터리는 360V~720V 정도의 높은 전압을 이용하나 이러한 고전압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장용 배터리의 경우 60V 이하의 전압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12V 또는 24V의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는 조향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구동용 배터리와 별도로 구비되는 12V 또는 24V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는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는 본 발명에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조향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향 시스템에 관한 유럽 경제위원회(ECE)에서 정하는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조향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배터리의 이상에 대비하여 배터리를 이중화하는 것이다.
제1 전원부(110)는 조향 휠을 폴딩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폴딩 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1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조향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제1 앵글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폴딩 장치(130)의 경우 기능의 중요도, 비용 및 사이즈를 고려했을 때, 배터리의 이상 발생에 대비해 이중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제2 전원부(140)는 조향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1 전원부(1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원부(14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조향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제2 앵글 센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앵글 센서(150)에 대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딩 장치(130)는 제1 전원부(11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나만 구비하게 되고, 대신 조향 휠의 회전 각을 감지하는 앵글 센서를 이중화하여 구비할 수 있다.
폴딩 장치(130)는 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향 휠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향 휠을 폴딩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폴딩 장치(130)는 제1 전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조향 휠을 폴딩 시키거나 폴딩을 해제할 수 있다.
폴딩 장치(130)는 오토 폴딩 모드 또는 매뉴얼 폴딩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오토 폴딩 모드에서 폴딩 장치(130)는, 제1 배터리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이거나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인 경우 조향 휠이 폴딩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오토 폴딩 모드에서 폴딩 장치(13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스위치가 오프(OFF)된 경우 조향 휠의 폴딩이 해제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딩 장치(130)는 상술한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이거나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됨에 따라 조향 휠이 폴딩되면, 폴딩 된 상태로 유지되는, 잠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폴딩 장치(130)가 잠김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조향 휠이 폴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운전자의 수동 조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폴딩 장치(13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고, 운전자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 앵글 센서(120) 및 제2 앵글 센서(150)는 각각 조향 휠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향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앵글 센서(120)는 폴딩 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1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2 앵글 센서(150)는 제1 전원부(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제2 전원부(14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앵글 센서(120) 또는 제2 앵글 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앵글 센서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 휠의 조향을 제어하는 방법 공지된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원부(110)가 정상인 경우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폴딩 장치(130)가 오토 폴딩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 휠이 폴딩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오토 폴딩 모드로 구동되면, 조향 휠이 폴딩 된 상태에서 오조작 방지를 위해 폴딩 장치(130)를 잠김 상태로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의 폴딩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계속 공급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조향 휠의 폴딩 해제가 불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제1 앵글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결과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원부(110)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조향 휠의 수동 조작을 통해 폴딩 해제가 가능하도록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폴딩 장치(130)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매뉴얼 폴딩 모드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 제2 앵글 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인호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향 시스템을 위한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과 연결되는 제1 앵글 센서(120) 및 제2 앵글 센서(150)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제1 앵글 센서(120) 또는 제2 앵글 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원부(110) 또는 제2 전원부(14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정상적인 전원부와 연결되어 신호가 입력되는 앵글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 모두가 정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앵글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전원부(110) 또는 제2 전원부(140)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160)는 알람 발생부(190)를 통해 제1 전원부(110)의 이상 발생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제1 전원부(110)는 정상 상태이나, 제2 전원부(140)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폴딩 장치(130)를 오토 폴딩 모드로 구동하고, 제1 앵글 센서(120)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알람 발생부(190)를 통해 제2 전원부(140)의 이상 발생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조향 휠의 폴딩 장치(130)를 잠김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S210)을 포함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원부(110)가 정상인 상태에서 제1 전원부(110)에 의해 폴딩 장치(130)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오토 폴딩 모드로 구동되기 때문에,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조향 휠이 폴딩 된 경우 제어부(160)는 폴딩 장치(130)를 잠김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160)가 조향 휠의 폴딩 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10)에 이상이 발생되어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폴딩 장치(130)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S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S240).
상술한 바와 같이, 오토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1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앵글 센서(120)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되고,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제2 전원부(14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2 앵글 센서(150)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폴딩 장치(130)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2 전원부(14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전원부(140)에 이상이 발생되어 제2 앵글 센서(15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제2 전원부(140)의 이상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S2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전원부(1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조향 휠의 폴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조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110) 및 제2 전원부(140)에 연결되는 앵글 센서가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제1 전원부(110)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제2 전원부(14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2 앵글 센서(150)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조향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전원부
120: 제1 앵글 센서
130: 폴딩 장치
140: 제2 전원부
150: 제2 앵글 센서
160: 제어부
190: 알람 발생부

Claims (9)

  1. 오토 폴딩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조향 휠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폴딩 장치;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
    상기 제1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앵글 센서;
    상기 제1 전원부와 구분되어 제2 앵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및
    상기 제1 앵글 센서 또는 상기 제2 앵글 센서를 통해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조향 휠을 수동으로 폴딩 해제가 가능하도록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조향 휠이 폴딩 된 상태에서 상기 폴딩 장치를 잠김 상태로 유지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폴딩 장치의 상기 잠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 상기 제2 앵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앵글 센서 및 상기 제2 앵글 센서로부터 각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앵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 또는 상기 제2 전원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7. 오토 폴딩 모드에서 조향 휠이 폴딩 된 경우, 상기 조향 휠의 폴딩 장치를 잠김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조향 휠의 폴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폴딩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폴딩 장치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매뉴얼 폴딩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앵글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되고, 상기 매뉴얼 폴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와 별도로 구비되는 제2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2 앵글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이 제어되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폴딩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원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앵글 센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구동 방법.

KR1020210174594A 2021-12-08 2021-12-08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94A KR102586997B1 (ko) 2021-12-08 2021-12-08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8/076,397 US20230174145A1 (en) 2021-12-08 2022-12-07 Electronic control steer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94A KR102586997B1 (ko) 2021-12-08 2021-12-08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186A KR20230086186A (ko) 2023-06-15
KR102586997B1 true KR102586997B1 (ko) 2023-10-10

Family

ID=8660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94A KR102586997B1 (ko) 2021-12-08 2021-12-08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74145A1 (ko)
KR (1) KR1025869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US20210124349A1 (en) 2019-10-29 2021-04-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wable 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05B1 (ko) * 2013-09-04 2020-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의 센서전원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502392B1 (ko) * 2018-02-01 2023-02-2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의 조향 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6434B1 (ko) * 2018-08-23 2020-03-09 주식회사 만도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전원 장치, 센서 장치, 조향 장치 및 조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US20210124349A1 (en) 2019-10-29 2021-04-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wable 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186A (ko) 2023-06-15
US20230174145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2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il-safe motor operation
US11541758B2 (en) Redundant vehicl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5342822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02574543A (zh) 自主驾驶的故障操作转向系统
CN101312869A (zh) 电源控制器
KR20160035092A (ko) 전동 차량의 제어 장치
KR20210073705A (ko) 자율주행차량의 고장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511052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3540893B1 (e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JP2006320065A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2010202023A (ja) 車両電源システム
CN110654361A (zh) 电子驻车系统及其控制方法
EP3369644A1 (en) Sensor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1444803B2 (en) In-vehicle network system
EP3640074B1 (en) An electric power system
KR102586997B1 (ko) 전자 제어 조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14572126A (zh) 电源系统
CN112550432A (zh) 转向系统及运输工具
CN115973261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JP200902919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30026250A1 (en) Steering system
JP200611714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317674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7310728B2 (ja) 電動車両用のバッテリパック
US20230029564A1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