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13B1 - 농기계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농기계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13B1
KR102086413B1 KR1020190101172A KR20190101172A KR102086413B1 KR 102086413 B1 KR102086413 B1 KR 102086413B1 KR 1020190101172 A KR1020190101172 A KR 1020190101172A KR 20190101172 A KR20190101172 A KR 20190101172A KR 102086413 B1 KR102086413 B1 KR 10208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module
blocking
fram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준
Original Assignee
최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준 filed Critical 최은준
Priority to KR102019010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를 비세차부위와 세차부위로 분리시킨 다음 세차부위에서만 농기계에 세차수를 공급할 수 있고, 비세차부위로 세차수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은 농기계의 세차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모듈과,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차영역에서 농기계를 운전석이 포함된 비세차부위와 비세차부위를 제외한 세차부위로 분리시키는 차단모듈 및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차영역에서 세차부위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농기계 세척시스템{AGRICULTURAL MACHINERY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농기계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기계를 비세차부위와 세차부위로 분리시킨 다음 세차부위에서만 농기계에 세차수를 공급할 수 있고, 비세차부위로 세차수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농기계(예를들면, 트랙터, 이앙기, 모종기 등)가 먼지나 흙 등에 의하여 오염이 된 경우에 이를 세척하여야 하는데, 세차 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에서는 세차시에 발생하는 오일 등에 의해 토양의 오염이 발생하게 되므로, 반드시 세차 시설을 갖춘 곳에서 이를 세척하여야 한다.
일예로, 공개특허 제10-2009-0092356호(이앙기용 세척장치)에서는 이앙기 자체에 탑재된 펌프에 의하여 차륜을 비롯한 차량의 각종 부위에 묻은 진흙이나 흙탕물을 씻어낼 수 있도록 한 세척장치를 제안하였으나, 이는 세차시에 발생하는 오일 등이 물과 함께 토양으로 그대로 스며들게 되어 환경오염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0757971호(차량 세륜장치)에서는 단순히 차량의 바퀴에 묻은 흙을 브러시에 의해 털어내는 구조로서 많은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구조이고, 공개특허 제1998-066839호(차량의 하체 세차 장치)는 차량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차량의 하체를 세차하는 구조이므로 단순히 차량의 하체만을 세차하는 구조이므로 차량이나 농기계 등의 몸체에 묻은 흙을 씻어낼 수 없는 구조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6008호 (발명의 명칭 : 세차 장치, 2016. 10. 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기계를 비세차부위와 세차부위로 분리시킨 다음 세차부위에서만 농기계에 세차수를 공급할 수 있고, 비세차부위로 세차수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은 농기계의 세차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운전석이 포함된 비세차부위와 상기 비세차부위를 제외한 세차부위로 분리시키는 차단모듈; 및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프레임; 말린 상태로 상기 차단프레임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확장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농기계를 향해 펼쳐지는 복수의 차단커튼; 및 상기 차단커튼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커튼에 인가되는 확장력에 따라 상기 차단커튼과 함께 펼쳐지고, 상기 차단커튼에 인가되는 확장력의 해제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단커튼을 말아올리는 차단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차단커튼에 확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차단커튼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커튼구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커튼에는,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 쪽으로 상기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프레임;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프레임에 결합되는 찬넬 형상의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세차수를 공급하는 세차수공급유닛; 상기 농기계의 세차부위의 측부에 세차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헤더에 구비되는 측부분사노즐; 및 상기 농기계의 세차부위의 상부에 세차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헤더에 구비되는 상부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는, 상기 비세차부위의 하단부가 상기 세차부위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농기계가 경사지게 지지되는 바닥경사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드레인모듈; 및 상기 농기계가 지지되도록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 매립되고,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슬러지처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레인프레임;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유닛; 및 상기 흡입구동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세차부위에서 세차수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처리모듈은, 상기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투수부; 상기 바닥투수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이 저장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조; 및 상기 침전조에 저장된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상기 분리조에 전달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처리모듈은, 상기 농기계의 하부를 향해 세차수를 분사하는 하부청소모듈; 상기 분리조에 저장되는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펌프; 및 상기 분리조에서 분리되는 세차수를 상기 분사모듈에 공급하는 재생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에 따르면, 농기계를 비세차부위와 세차부위로 분리시킨 다음 세차부위에서만 농기계에 세차수를 공급할 수 있고, 비세차부위로 세차수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의 외형에 대응하여 차단커튼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차단커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커튼의 말린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왕복유닛을 통해 프레임모듈에서 차단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구동유닛을 통해 차단커튼에 안정된 확장력을 인가하고, 차단커튼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공을 통해 세차부위에서 비산되는 세차수 또는 분사모듈에서 분사되는 세차수가 비세차부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커튼이 펼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의 세차부위에서 측부와 상부에 동시에 세차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헤더밸브를 통해 분사헤더에 잔류하는 세차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겨울철 분사헤더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왕복유닛을 통해 프레임모듈에서 분사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분사노즐의 선회 구조 또는 측부분사노즐의 승강 구조를 통해 농기계의 세차부위에서 측부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분사노즐의 피벗 운동 구조를 통해 농기계의 세차부위에서 상부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경사부를 통해 농기계의 세차부위에 고이는 세차수와 이물질을을 농기계의 후단부로 유도할 수 있고, 농기계의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이물질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모듈 및 드레인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흡입력을 이용하여 농기계의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농기계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왕복유닛을 통해 프레임모듈에서 드레인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구동유닛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흡입구동유닛 및 흡입노즐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처리모듈 및 슬러지처리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의 세척에 따라 발생되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조의 세부 구성 및 침전조와 분리조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세차수와 이물질의 혼합물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혼합물로부터 세차수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분리된 세차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청소모듈을 통해 세차영역에서 농기계의 하부를 안정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펌프를 통해 분리조에 쌓이는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펌프를 통해 분리조에서 분리된 세차수를 분사모듈에서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프레임모듈과 차단모듈과 분사모듈과 드레인모듈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슬러지처리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차단모듈의 차단커튼이 말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차단모듈의 차단커튼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농기계가 세차영역에 진입할 때, 차단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농기계가 세차영역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에서 농기계가 세차영역에 진입할 때, 차단모듈과 분사모듈과 드레인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세척시스템은 프레임모듈(10)과, 차단모듈(20)과, 분사모듈(30)을 포함하고, 드레인모듈(40)과 슬러지처리모듈(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모듈(10)은 농기계(100)의 세차영역(11)을 형성한다. 세차영역(11)의 바닥에는 농기계(100)가 경사지게 지지되는 바닥경사부(12)가 구비된다. 바닥경사부(12)는 후술하는 슬러지처리모듈(50)의 바닥투수부(51)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바닥경사부(12)는 농기계(100)에서 비세차부위(110)(운전석(101)이 포함됨)의 하단부가 세차부위(120)(농기계(100)에서 비세차부위(110)를 제외함)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다른 표현으로, 농기계(100)의 앞바퀴가 농기계(100)의 뒷바퀴보다 높아지도록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차단모듈(2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단모듈(20)은 세차영역(11)에서 농기계(100)를 비세차부위(110)(운전석(101)이 포함됨)와 세차부위(120)(비세차부위(110)를 제외함)로 분리시킨다.
차단모듈(2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프레임(21)과, 말린 상태로 차단프레임(21)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확장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농기계(100)를 향해 펼쳐지는 복수의 차단커튼(23)과, 차단커튼(23)에 구비되고 차단커튼(23)에 인가되는 확장력에 따라 차단커튼(23)과 함께 펼쳐지고 차단커튼(23)에 인가되는 확장력의 해제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차단커튼(23)을 말아올리는 차단탄성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모듈(20)은 프레임모듈(10)을 기준으로 차단프레임(21)을 왕복 이동시키는 차단왕복유닛(22)과, 차단커튼(23)에 확장력이 인가되도록 차단커튼(23)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커튼구동유닛(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프레임(21)은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차단왕복유닛(22)은 프레임모듈(10)에서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차단레일(221)과, 차단레일(221)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차단프레임(2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롤러(222)를 포함하고, 차단롤러(222)를 회전시키는 차단구동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왕복유닛(22)은 차단구동부(22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차단롤러(222)에 전달하는 차단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동력전달부는 복수의 기어결합, 체인과 스프로킷의 결합, 벨트와 드럼의 결합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차단커튼(23)은 상호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차단커튼(23)에는 차단프레임(2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튜브(231)와, 차단튜브(23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세차영역(11)에서 세차부위(120) 쪽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차단튜브(231)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탄성부재(24)는 차단커튼(23)의 차단튜브(231)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단커튼(23)의 차단튜브(2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튼구동유닛(25)은 복수의 차단커튼(23)이 배열 연통되도록 차단프레임(21)에 결합되는 커튼지지헤더(251)와, 확장력의 인가를 위해 커튼지지헤더(25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커튼구동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세차영역(11)에 농기계(100)가 진입하여 바닥경사부(12)에 지지되면, 차단왕복유닛(22)의 동작에 의해 차단커튼(23)은 비세차부위(110)와 세차부위(120)의 경계에 배치되고, 커튼구동부(252)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말린 상태의 차단커튼(23)은 확장되어 비세차부위(110)와 세차부위(120)의 경계에서 농기계(100)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모듈(30)은 세차수를 분사하여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차단커튼(2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차단되고, 차단커튼(23)은 차단탄성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말아올려져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분사모듈(3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사모듈(30)은 세차영역(11)에서 세차부위(120)에 세차수를 분사한다.
분사모듈(3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프레임(31)과, 세차영역(11)에서 농기계(100)를 감싸도록 분사프레임(31)에 결합되는 분사헤더(33)와, 분사헤더(33)에 세차수를 공급하는 세차수공급유닛(34)과,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의 측부에 세차수를 분사하도록 분사헤더(33)에 구비되는 측부분사노즐(35)과,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의 상부에 세차수가 분사되도록 분사헤더(33)에 구비되는 상부분사노즐(3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모듈(30)은 프레임모듈(10)을 기준으로 분사프레임(31)을 왕복 이동시키는 분사왕복유닛(32)과, 세차영역(11)의 폭에 대응하여 분사헤더(33)에 구비된 상부분사구(332)를 기준으로 상부분사노즐(352)을 피벗 운동시키는 피벗구동유닛(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프레임(31)은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분사프레임(31)은 차단프레임(21)과 단차를 형성하므로, 차단프레임(21)의 왕복 이동이 분사프레임(31)의 왕복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분사왕복유닛(32)은 프레임모듈(10)에서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분사레일(321)과, 분사레일(321)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분사프레임(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롤러(322)를 포함하고, 분사롤러(322)를 회전시키는 분사구동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왕복유닛(32)은 분사구동부(32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분사롤러(322)에 전달하는 분사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동력전달부는 복수의 기어결합, 체인과 스프로킷의 결합, 벨트와 드럼의 결합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분사헤더(33)는 찬넬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분사헤더(33)의 수평부는 분사프레임(31)에 결합되고, 분사헤더(33)의 수직부는 분사헤더(33)의 수평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세차영역(11)의 바닥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분사헤더(33)의 수평부에는 상부분사노즐(352)이 결합되는 상부분사구(332)가 구비되고, 분사헤더(33)의 수직부에는 측부분사노즐(35)이 결합되는 측부분사구(331)가 구비되며, 분사헤더(33)의 수직부의 자유단부에는 분사헤더(33)에 잔류하는 세차수를 배출하기 위한 헤더밸브(333)가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측부분사노즐(35)은 분사헤더(33)의 측부분사구(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지지부(351)에서 하나가 측부분사구(331)에서 편심되도록 배치되거나 둘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측부분사노즐(35)에서 분사되는 세차수의 분사력에 의해 분사헤더(33)에 구비된 측부분사구(331)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측부분사노즐(35)은 분사헤더(33)를 기준으로 측부분사구(33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분사헤더(33)에서 승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분사노즐(352)은 피벗구동유닛(37)의 동작에 따라 세차영역(11)의 폭에 대응하여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세차영역(11)에 농기계(100)가 진입하고 차단모듈(20)이 동작되면, 세차수공급유닛(34)의 동작에 의해 측부분사노즐(35)과 상부분사노즐(352)에서는 세차수가 분사되어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분사프레임(31)은 분사레일(3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측부분사노즐(35)과 상부분사노즐(352)은 세차부위(120)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측부분사노즐(35)의 선회 운동 또는 측부분사노즐(35)의 승강 운동 또는 상부분사노즐(352)의 피벗 운동을 통해 세차부위(120)에 세차수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드레인모듈(4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레인모듈(40)은 세차부위(120)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세차수에 의해 농기계(100)에서 분리되어 세차부위(120)에 고여 있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드레인모듈(40)은 프레임모듈(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레인프레임(41)과, 세차수와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유닛(43)과, 흡입구동유닛(43)에 연결되고 흡입력에 의해 세차부위(120)에서 세차수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듈(40)은 프레임모듈(10)을 기준으로 드레인프레임(41)을 왕복 이동시키는 드레인왕복유닛(42)과, 드레인프레임(41)을 기준으로 드레인프레임(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흡입구동유닛(43)을 왕복 이동시키는 흡입왕복유닛(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드레인프레임(41)은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드레인프레임(41)은 차단프레임(21)과 단차를 형성하므로, 차단프레임(21)의 왕복 이동이 드레인프레임(41)의 왕복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드레인프레임(41)은 분사프레임(31)과도 단차를 형성하므로, 분사프레임(31)의 왕복 이동이 드레인프레임(41)의 왕복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드레인왕복유닛(42)은 프레임모듈(10)에서 농기계(100)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드레인레일(421)과, 드레인레일(421)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드레인프레임(4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레인롤러(422)를 포함하고, 드레인롤러(422)를 회전시키는 드레인구동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왕복유닛(42)은 드레인구동부(42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드레인롤러(422)에 전달하는 드레인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동력전달부는 복수의 기어결합, 체인과 스프로킷의 결합, 벨트와 드럼의 결합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흡입왕복유닛(44)은 드레인프레임(41)에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흡입레일(441)과, 흡입레일(441)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흡입구동유닛(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롤러(442)를 포함하고, 흡입롤러(442)를 회전시키는 흡입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노즐(45)에는 자바라, 탄성권취드럼 등과 같은 길이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미도시)를 통해 흡입구동유닛(43)과 흡입노즐(45)의 흡입위치 사이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은 물론, 흡입노즐(45)의 흡입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분사모듈(30)에 의해 세차수의 분사가 완료되며, 흡입노즐(45)은 세차부위(120)에서 세차수와 이물질이 고여 있는 부분으로 이동되고, 흡입구동유닛(43)의 동작에 따라 세차수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분사모듈(30)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드레인프레임(41)이 이동할 때, 분사프레임(3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슬러지처리모듈(50)은 농기계(100)가 지지되도록 세차영역(11)의 바닥에 매립된다. 슬러지처리모듈(50)은 세차영역(11)의 바닥으로 낙하된 세차수와 세차수에 의해 농기계(100)에서 분리되어 세차영역(11)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슬러지처리모듈(50)은 세차수와 세차수에 의해 농기계(100)에서 분리되어 세차영역(11)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세차영역(11)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투수부(51)와, 바닥투수부(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차수와 이물질이 저장되는 침전조(52)와, 침전조(52)의 일측에 구비되고 세차수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조(53)와, 침전조(52)에 저장된 세차수와 이물질을 분리조(53)에 전달하는 배출유닛(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처리모듈(50)은 농기계(100)의 바닥을 향해 세차수를 분사하는 하부청소모듈과, 분리조(53)에 저장되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펌프(57)와, 분리조(53)에서 분리되는 세차수를 분사모듈(30)에 공급하는 재생펌프(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투수부(51)는 세차영역(11)에 진입하는 농기계(100)를 지지할 수 있고, 바닥경사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투수부(51)에는 침전조(52)의 유지보수를 위해 침전조(52)를 개폐하는 점검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침전조(52)에는 바닥투수부(51)를 통과한 세차수와 이물질을 저장부로 유도하는 경사유도부(521)가 침전조(52)의 입구 가장자리로부터 저장부(522)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분리조(53)는 배출유닛(54)을 통해 전달되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저장하는 투입조(531)와, 투입조(531)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차수가 저장되는 버퍼조(533)와, 버퍼조(533)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차수가 저장되는 재활용조(53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조(531)와 버퍼조(533)의 경계에는 제1격벽(532)이 구비되어 투입조(531)에 저장된 이물질이 버퍼조(533)로 넘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세차수의 오버플로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버퍼조(533)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둘 이상의 버퍼조(533)의 경계에는 제2격벽(534)이 구비되어 투입조(531)에 인접한 버퍼조(533)의 이물질이 재활용조(535)에 인접한 버퍼조(533)로 넘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접한 버퍼조(533) 사이에서 세차수의 오버플로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버퍼조(533)와 재활용조(535)의 경계에는 제3격벽(536)이 구비되어 버퍼조(533)에 저장된 이물질이 재활용조로 넘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세차수의 오버플로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격벽(532)은 제2격벽(534)과 같거나 높고, 제2격벽(534)은 제3격벽(536)보다 높게 형성되어 투입조(531)에 저장된 이물질이 재활용조(535)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세차수의 오버플로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세차수가 재활용조(535) 쪽에서 투입조(531)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청소모듈은 바닥투수부(51)에 구비되어 농기계(100)의 하부를 향해 세차수를 분사하는 하부분사노즐(55)과, 하부분사노즐(55)에 세차수를 공급하는 하부분사펌프(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분사노즐(55)은 바닥투수부(51)에 내장된 상태에서 세차영역(11)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하부분사펌프(56)는 분리조(53)의 재활용조(535)에 구비되어 재활용조(535)에 저장된 세차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배출펌프(57)는 분리조(53)의 투입조(531)에 구비되어 분리조(53)를 청소할 때, 투입조(531)에 저장된 세차수와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펌프(58)는 분리조(53)의 재활용조(535)에 구비되어 재활용조(535)에 저장된 세차수를 분사모듈(30)에 공급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60은 상술한 차단모듈(20)과, 분사모듈(30)과, 드레인모듈(40)과, 슬러지처리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다.
상술한 농기계의 세척시스템에 따르면, 농기계(100)를 비세차부위(110)와 세차부위(120)로 분리시킨 다음 세차부위(120)에서만 농기계(100)에 세차수를 공급할 수 있고, 비세차부위(110)로 세차수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모듈(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100)의 외형에 대응하여 차단커튼(23)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차단커튼(23)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커튼(23)의 말린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왕복유닛(22)을 통해 프레임모듈(10)에서 차단프레임(2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튼구동유닛(25)을 통해 차단커튼(23)에 안정된 확장력을 인가하고, 차단커튼(23)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공(232)을 통해 세차부위(120)에서 비산되는 세차수 또는 분사모듈(30)에서 분사되는 세차수가 비세차부위(110)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커튼(23)이 펼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모듈(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서 측부와 상부에 동시에 세차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헤더밸브(333)를 통해 분사헤더(33)에 잔류하는 세차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겨울철 분사헤더(33)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왕복유닛(32)을 통해 프레임모듈(10)에서 분사프레임(3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측부분사노즐(35)의 선회 구조 또는 측부분사노즐(35)의 승강 구조를 통해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서 측부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분사노즐(352)의 피벗 운동 구조를 통해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서 상부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경사부(12)를 통해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 고이는 세차수와 이물질을을 농기계(100)의 후단부로 유도할 수 있고, 농기계의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이물질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듈(40) 및 드레인모듈(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흡입력을 이용하여 농기계(100)의 세차부위(120)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농기계(100)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왕복유닛(42)을 통해 프레임모듈(10)에서 드레인프레임(4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동유닛(43)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흡입구동유닛(43) 및 흡입노즐(45)의 흡입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처리모듈(50) 및 슬러지처리모듈(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농기계(100)의 세척에 따라 발생되는 세차수와 이물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조(53)의 세부 구성 및 침전조(52)와 분리조(53)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세차수와 이물질의 혼합물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혼합물로부터 세차수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분리된 세차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청소모듈을 통해 세차영역(11)에서 농기계(100)의 하부를 안정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배출펌프(57)를 통해 분리조(53)에 쌓이는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펌프(58)를 통해 분리조(53)에서 분리된 세차수를 분사모듈(30)에서 재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농기계 101: 운전석 110: 비세차부위
120: 세차부위 10: 프레임모듈 11: 세차영역
12: 바닥경사부 20: 차단모듈 21: 차단프레임
22: 차단왕복유닛 221: 차단레일 222: 차단롤러
223: 차단구동부 23: 차단커튼 231: 차단튜브
232: 분사공 24: 차단탄성부재 25: 커튼구동유닛
251: 커튼지지헤더 252: 커튼구동부 30: 분사모듈
31: 분사프레임 32: 분사왕복유닛 321: 분사레일
322: 분사롤러 323: 분사구동부 33: 분사헤더
331: 측부분사구 332: 상부분사구 333: 헤더밸브
34: 세차수공급유닛 35: 측부분사노즐 351: 선회지지부
36: 상부분사노즐 37: 피벗구동유닛 40: 드레인모듈
41: 드레인프레임 42: 드레인왕복유닛 421: 드레인레일
422: 드레인롤러 423: 드레인구동부 43: 흡입구동유닛
44: 흡입왕복유닛 441: 흡입레일 442: 흡입롤러
45: 흡입노즐 50: 슬러지처리모듈 51: 바닥투수부
511: 점검구 52: 침전조 521: 경사유도부
522: 저장부 53: 분리조 531: 투입조
532: 제1격벽 533: 버퍼조 534: 제2격벽
535: 재활용조 536: 제3격벽 54: 배출유닛
55: 하부분사노즐 56: 하부분사펌프 57: 배출펌프
58: 재생펌프 60: 제어모듈

Claims (10)

  1. 농기계의 세차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운전석이 포함된 비세차부위와 상기 비세차부위를 제외한 세차부위로 분리시키는 차단모듈; 및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는,
    상기 비세차부위의 하단부가 상기 세차부위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농기계가 경사지게 지지되는 바닥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2. 농기계의 세차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운전석이 포함된 비세차부위와 상기 비세차부위를 제외한 세차부위로 분리시키는 차단모듈; 및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프레임;
    말린 상태로 상기 차단프레임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확장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농기계를 향해 펼쳐지는 복수의 차단커튼; 및
    상기 차단커튼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커튼에 인가되는 확장력에 따라 상기 차단커튼과 함께 펼쳐지고, 상기 차단커튼에 인가되는 확장력의 해제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단커튼을 말아올리는 차단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을 기준으로 차단프레임을 왕복 이동시키는 차단왕복유닛; 및
    상기 차단커튼에 확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차단커튼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커튼구동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커튼에는,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 쪽으로 상기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5. 농기계의 세차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운전석이 포함된 비세차부위와 상기 비세차부위를 제외한 세차부위로 분리시키는 차단모듈; 및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세차부위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부위에 고여 있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드레인모듈; 및
    상기 농기계가 지지되도록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 매립되고,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슬러지처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레인프레임;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유닛; 및
    상기 흡입구동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세차부위에서 세차수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처리모듈은,
    상기 세차수와 상기 세차수에 의해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되어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상기 세차영역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투수부;
    상기 바닥투수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이 저장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조; 및
    상기 침전조에 저장된 상기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상기 분리조에 전달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처리모듈은,
    상기 농기계의 하부를 향해 세차수를 분사하는 하부청소모듈;
    상기 분리조에 저장되는 세차수와 상기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펌프; 및
    상기 분리조에서 분리되는 세차수를 상기 분사모듈에 공급하는 재생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프레임;
    상기 세차영역에서 상기 농기계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프레임에 결합되는 찬넬 형상의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세차수를 공급하는 세차수공급유닛;
    상기 농기계의 세차부위의 측부에 세차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헤더에 구비되는 측부분사노즐; 및
    상기 농기계의 세차부위의 상부에 세차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헤더에 구비되는 상부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프레임을 왕복 이동시키는 분사왕복유닛; 및
    상기 세차영역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헤더에 구비된 상부분사구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분사노즐을 피벗 운동시키는 피벗구동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세척시스템.
KR1020190101172A 2019-08-19 2019-08-19 농기계 세척시스템 KR10208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72A KR102086413B1 (ko) 2019-08-19 2019-08-19 농기계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72A KR102086413B1 (ko) 2019-08-19 2019-08-19 농기계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13B1 true KR102086413B1 (ko) 2020-03-09

Family

ID=6980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72A KR102086413B1 (ko) 2019-08-19 2019-08-19 농기계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101B2 (ja) * 2003-07-11 2007-03-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洗車排水処理装置
KR20140038752A (ko) * 2012-09-21 2014-03-31 이동효 자동차 예비세척장치
KR101421159B1 (ko) * 2013-04-17 2014-07-23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KR101666008B1 (ko) 2016-02-17 2016-10-13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세차 장치
KR101672116B1 (ko) * 2015-02-02 2016-11-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차시스템 장치 및 그 세차 방법
JP6064939B2 (ja) * 2014-04-01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および洗車方法
KR20180092504A (ko) * 2017-02-09 2018-08-20 박경수 세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101B2 (ja) * 2003-07-11 2007-03-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洗車排水処理装置
KR20140038752A (ko) * 2012-09-21 2014-03-31 이동효 자동차 예비세척장치
KR101421159B1 (ko) * 2013-04-17 2014-07-23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JP6064939B2 (ja) * 2014-04-01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および洗車方法
KR101672116B1 (ko) * 2015-02-02 2016-11-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차시스템 장치 및 그 세차 방법
KR101666008B1 (ko) 2016-02-17 2016-10-13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세차 장치
KR20180092504A (ko) * 2017-02-09 2018-08-20 박경수 세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5049C (en) Mobile vacuum apparatus for collection of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KR10096993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0959401B1 (ko)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KR100627027B1 (ko) 진공흡입식 살수차
KR20160084405A (ko) 차량용 부착물 제거장치
US5341828A (en) Truck tire washing
JP5636125B1 (ja) 道路清掃作業車
CN104959339A (zh) 一种汽车脚垫自动清洗装置
US7290307B1 (en) Implement for removing pavement cleaner
KR102086413B1 (ko) 농기계 세척시스템
KR101073886B1 (ko) 살수차
KR100757361B1 (ko) 살수장치와 브러시가 구비된 살수차
KR20130003075U (ko)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KR20010050110A (ko) 건물 외벽 및 창유리 청소로봇
KR20100133631A (ko) 살수차량용 이물질 흡입 장치
KR102050324B1 (ko) 포장 도로 공극 회복용 차량
CN109496889A (zh) 一种宠物清洗装置
JP7047551B2 (ja) 洗車機
KR102402299B1 (ko) 청소차
CN212220166U (zh) 一种环卫车辆的消毒清洗装置
KR101073885B1 (ko) 살수차
JP2008063733A (ja) 排水性舗装の機能回復車
KR200251093Y1 (ko) 노면 청소용 고압 분사 노즐을 구비한 노면 청소차
JP2005180119A (ja) 排水性舗装の機能回復車
CN111733752A (zh) 一种道路灰土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