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159B1 -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159B1
KR101421159B1 KR1020130042210A KR20130042210A KR101421159B1 KR 101421159 B1 KR101421159 B1 KR 101421159B1 KR 1020130042210 A KR1020130042210 A KR 1020130042210A KR 20130042210 A KR20130042210 A KR 20130042210A KR 101421159 B1 KR101421159 B1 KR 10142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vehicle body
stea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학우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4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장치나 배관 등을 손상시키기 않으면서 철도차 하부를 세척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차체 하부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식별부와, 차체의 하부를 스팀 세척하는 스팀 세척부와, 스팀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세척부와,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세척부와,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포집하여 배출하는 집진부와, 실시간 영상정보를 통해 이동하는 차체 하부 특정 부위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분사 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System for washing underbody rail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장치나 배관 등을 손상시키기 않으면서 철도차량 하부를 세척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8671호, '철도차량 하부 세척장치'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펠리타이저에서 만들어진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분사구를 통해 분사 공급되게 하는 주세척장치; 및 고압의 공기가 분사구를 통해 분사 공급되게 하는 보조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철도차량이 일정한 주행속도를 유지하면서 세척고를 통과하거나 또는 세척고의 세척위치에 정차하면, 철도차량 하부의 오염물질이 상기 주세척장치에서 분사 공급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승화에 따른 팽창 변화로 1차 제거되게 하고, 보조세척장치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로 2차 세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철도차량이 다니는 레일 양측에 세척브러쉬와 세척수 공급파이프를 설치하여 세제액이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철도차량의 세척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차량 하부의 전장품들이 세척과정에서 습기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후 정비 전 전동차량의 하부를 물세척하는 경우 차량하부에 탑재된 전기장치 및 배관 등에 전기적으로 안전성을 위협하고, 전기안전 측면에서 기존에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고, 기름과 먼지 등으로 오염된 표면은 공기만으로 세척하는 경우, 원하는 만큼 세척품질을 확보할 수 없으며,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하부의 분진 및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동안 오염물이 비산하여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마스크 방진복을 착용하고 에어 세척할 경우, 작업능률 저하 및 작업자의 건강문제가 대두되고, 불필요한 또는 위험한 부위의 세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하부에 취부된 제품의 종류 및 기능을 이해하고 세척을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도차량 하부에 설치된 전장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선별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기기를 자동인식하여 선별적으로 운전하고, 에어차폐를 이용하여 차체하부 전기 배관 등의 특정부위에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스팀/세척수/공기의 3단계 선택적 운전과 일괄/개별, 시간 강도 유연제어를 통해 세척품질을 향상시키며, 에어차폐 가동으로 비산분진을 방지하고, 오염 수준에 따라 선별적으로 세척하며, 세척수 리사이클링을 통해 친환경적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차체 하부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식별부; 상기 차체의 하부를 스팀 세척하는 스팀 세척부; 상기 스팀 세척부를 통해 스팀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세척부; 상기 세척수 세척부를 통해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세척부; 상기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포집하여 배출하는 집진부; 및 상기 식별부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통해 이동하는 차체 하부 특정 부위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분사 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 세척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구간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차체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구간에서 차체 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차폐모듈; 상기 차체의 세척시작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차폐모듈; 및 상기 차체의 세척종료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 차폐모듈;을 포함하여 차체 하부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물을 차폐시키는 에어차폐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부는, 상기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흡입모듈; 및 상기 포집한 오염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외부로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여과필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부는, 비젼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영상 식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레이져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레이져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체 하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적외선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레일 위의 차량바퀴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 및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기 설정된 차체 하부 영상정보 및 상기 설정된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DB; 상기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특정부위인 살수제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판독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판독모듈을 통해 추출된 특정부위에 해당되는 살수제한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스팀 세척부 또는 세척수 세척부 또는 에어 세척부의 분사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차체 하부 영상정보 및 상기 설정된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DB; 상기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의 위치에 따른 오염도 정보를 추출하는 오염도 판독모듈; 및 상기 오염도 판독모듈의 오염도 정보에 따라 상기 분사 노즐의 강도를 제어가능한 분사강도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세척수 세척부는, 스팀세척된 차체 측면 및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차체 진입로 양측 벽면과 차체 하부 저면에 회전식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식 노즐을 특정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기기를 자동인식하여 선별적으로 운전하고, 에어차폐를 이용하여 차체하부 배관부 등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도록 전기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고, 스팀/세척수/공기의 3단계 선택적 운전과 일괄/개별, 시간강도 유연제어를 통해 세척품질을 향상시키며, 에어차폐 가동으로 비산분진을 방지하고, 오염 수준에 따라 선별적으로 세척하며, 세척수 리사이클링을 통해 친환경적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중앙제어식 운영 통제로 차량 및 환경조건에 따라 세척모드가 변경 가능하도록 운전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전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전체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전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정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은 식별부(100), 스팀 세척부(200), 세척수 세척부(300), 에어 세척부(400), 집진부(500), 제어부(600), 세척수 탱크(700), 에어차폐부(800)를 포함한다.
식별부(100)는 이동하는 차체의 하부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식별부(100)는 영상식별 모듈(110), 레이저 센서모듈(120), 적외선 센서모듈(130), 근접 센서모듈(140)를 포함한다.
영상식별 모듈(110)은 비젼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확보하고, 확보된 영상을 제어부로 전달하여 차체 하부의 특정부위를 식별하고, 영상을 분석하여 오염도를 식별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영상식별 모듈(110)은 차체 하부의 영상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에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특정부위를 식별한 특정부위 식별정보와, 영상분석을 통한 오염도 정보에 따라 식별한 특정부위를 회피하도록 각 세척부인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의 노즐을 선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오염도 정보에 따라 각 세척부의 스팀/세척수/에어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센서모듈(120)은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레이져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적외선 센서수단(130)은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체 하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근접 센서수단(140)은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레일 위의 차량바퀴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 및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가 식별부(100)의 출력을 입력받아 차체 하부를 자동인식하여 각 세척부를 구동제어하고, 차체 하부의 전기기기, 전기배관 등이 배치되는 부위를 식별하여 회피하여 지정된 특정부위만을 세척하도록 각 세척부의 노즐을 선별적으로 운전제어하며, 영상분석을 통한 오염도 정보에 따라 각 세척부의 스팀/세척수/에어 분사량을 제어가능하도록 하여 차체 하부의 전기기기, 전기배관 등을 피해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전기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스팀 세척부(200)는 차체의 하부를 스팀 세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팀 세척부(200)는 이동하는 차체 측면 및 하부에 스팀을 분사하기 위해 차체 진입로에서 차체 진행방향으로 세척시스템의 양측 벽면과 차체 하부 저면에 회전식 노즐이 배치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식 노즐을 특정부위에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팀 세척부(200)는 차체 하부의 끈적한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특정부위만 선별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배관, 전장품 등으로 인한 차체 하부 살수제한 구간의 특정부위 위치정보에 배치되는 스팀 분사노즐밸브를 스팀 공급원으로부터 오프(off)제어 구동하도록 하여 특정부위를 회피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세척수 세척부(300)는 스팀 세척부를 통해 스팀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세척수 세척부(300)는 스팀세척된 차체 측면 및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스팀 세척부(200)로부터 차체 진행방향으로 세척시스템의 양측 벽면과 차체 하부 저면에 회전식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식 노즐을 특정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세척수는 60 ~ 80℃ 온도로 전동차 하부의 분진 및 기름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세척부(300)는 총 노즐수량이 4ea * 6set의 총 24개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세척수 분사노즐 중, 전기배관, 전장품 등으로 인한 차체 하부 살수제한 구간의 특정부위 위치정보에 배치되는 세척수 분사노즐밸브인 제4 세척수 분사노즐(340)만을 세척수 공급원으로부터 오프(off)제어 구동하도록 하여 특정부위를 회피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에어 세척부(400)는 세척수 세척부를 통해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에어 세척부(400)는 세척수 세척된 차체 측면 및 하부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세척수 세척부로부터 차체 진행방향으로 세척시스템의 양측 벽면과 차체 하부 저면에 회전식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식 노즐을 특정부위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에어 세척부(400)는 차체 하부에 붙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체 하부 세척순서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기름때를 제거하는 스팀세척, 고압의 온수를 이용하여 기름때 및 기타 이물질을 세척하는 온수세척,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세척 후 붙어있는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척부 구성은 각각 회전식 노즐 유니트를 이용하여 3단계 선택적 운전(스팀/세척수/공기)이 가능하고, 제어부를 통해 일괄/개별, 시간/강도 유연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세척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에어 세척부는 앞서 스팀 세척부와 세척수 세척부와 동일한 형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배관, 전장품 등으로 인한 차체 하부 살수제한 구간의 특정부위 위치정보에 배치되는 에어 분사노즐밸브를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오프(off)제어 구동하여 특정부위를 회피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집진부(500)는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집진부(500)는 흡입모듈(510)과 여과필터모듈(520)을 포함한다.
흡입모듈(510)은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과필터모듈(520)은 포집한 오염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외부로 여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집진부(500)는 세척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고 백필터를 이용한 여과기를 통해 맑은 공기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제어부(600)는 차체 하부 영상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DB(610)와,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특정부위인 전기배관, 전장품 등이 배치되는 살수제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판독모듈(620)과, 상기 위치정보 판독모듈을 통해 추출된 특정부위에 해당되는 살수제한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각 세척부인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의 분사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630)과, 상기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의 위치에 따른 오염도 정보를 추출하는 오염도 판독모듈(640)과, 상기 오염도 판독모듈의 오염도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세척부(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의 세척(스팀/세척수/에어 분사)강도를 제어가능한 분사강도 제어모듈(6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차체 하부의 특정부위의 위치정보와 차체 하부의 오염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회피하도록 각 세척부를 선별적으로 구동하고, 오염도 정보에 따라 각 세척부의 스팀/세척수/에어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팀/세척수/에어 세척부 분사노즐 중, 이동하는 차체 하부에 전기배관, 전장품 등이 배치되어 살수제한 구간에 해당되는 특정위치에 분사되는 스팀/세척수/에어 세척부의 해당 분사노즐만 선별적으로 오프하여 구동을 제어한다.
세척수 탱크(700)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을 포함하여 세척수 세척부(20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세척수 탱크(700)는 발열수단으로 60 ~ 80℃를 유지하고, 세척 펌프는 분해조립이 가능한 필터를 설치하여 노즐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된 불순물 및 오일제거를 위한 벨트식 오일 스키머(Skimmers)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에어차폐부(800)는 제1 차폐모듈(810), 제2 차폐모듈(820), 제3 차폐모듈(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차폐모듈(810)은 세척시작지점의 차체 진입로부터 세척시스템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차체의 수평방향으로 세척종료지점 구간까지 차체 측면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2 차폐모듈(820)은 차체의 세척시작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3 차폐모듈(830)은 차체의 세척종료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에어차폐부(800)는 제1 내지 제3 차폐모듈로 차체 하부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물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에어차폐부는 차체 측면 및 하부를 통한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제한하고, 차체 하부 배관 및 배선 부위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차폐부는 단순히 공간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방을 에어차폐로 차단하고, 차단되지 않은 구석이나 에어차폐의 틈새 부분을 위하여, 차단막 내부의 압력을 낮춤으로 외부와 내부의 기압차로 인한 에어차폐가 형성되어, 차단막 내부의 비산 등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설명하면, 에어차폐 내부를 집진설비로 기압을 낮추면(공기를 끌어내면) 에어차폐의 틈사이가 차체 하부로 휘어지며, 내부의 오염물질은 집진설비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차폐 가동으로 비산분진을 방지하고, 오염 수준에 따른 선별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수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친환경적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실 내 중앙제어식 운영 통제가 가능하고, 운전모드를 프로그램화(HMI시스템)할 수 있으며, 차체 및 환경조건에 따라 세척모드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기기를 자동인식하여 선별적 운전하고, 에어차폐를 이용하여 차체하부 배관부 등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도록 전기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고, 스팀/세척수/공기의 3단계 선택적 운전과 일괄/개별, 시간강도 유연제어를 통해 세척품질을 향상시키며, 에어차폐 가동으로 비산분진을 방지하고, 오염 수준에 따라 선별적으로 세척하며, 세척수 리사이클링을 통해 친환경적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중앙제어식 운영 통제로 차량 및 환경조건에 따라 세척모드가 변경 가능하도록 운전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식별부 110 : 영상식별 모듈
120 : 레이져 센서모듈 130 : 적외선 센서모듈
140 : 근접 센서모듈 150 : 감지모듈
200 : 스팀 세척부 300 : 세척수 세척부
310 : 제1 세척수 분사노즐 320 : 제2 세척수 분사노즐
330 : 제3 세척수 분사노즐 340 : 제4 세척수 분사노즐
400 : 에어 세척부 500 : 집진부
510 : 흡입모듈 520 : 여과필터모듈
600 : 제어부 610 : 제어DB
620 : 위치정보 판독모듈 630 : 구동제어모듈
640 : 오염도 판독모듈 650 : 분사강도 제어모듈
700 : 세척수 탱크 800 : 에어차폐부
810 : 제1 차폐모듈 820 : 제2 차폐모듈
830 : 제3 차폐모듈

Claims (11)

  1.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차체 하부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식별부;
    상기 차체의 하부를 스팀 세척하는 스팀 세척부;
    상기 스팀 세척부를 통해 스팀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세척부;
    상기 세척수 세척부를 통해 세척된 차체의 진행방향에 마련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세척부;
    상기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포집하여 배출하는 집진부; 및
    상기 식별부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통해 이동하는 차체 하부 특정 부위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분사 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 세척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구간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차체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에어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구간에서 차체 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차폐모듈;
    상기 차체의 세척시작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차폐모듈; 및
    상기 차체의 세척종료지점 하부 저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차체 하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 차폐모듈;을 포함하여 차체 하부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물을 차폐시키는 에어차폐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차체의 하부 세척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흡입모듈; 및
    상기 포집한 오염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외부로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여과필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비젼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영상 식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레이져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거리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레이져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체 하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적외선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세척시스템의 진입로에 배치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레일 위의 차량바퀴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 및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팀 세척부, 세척수 세척부 및 에어 세척부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차체 하부 영상정보 및 상기 설정된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DB;
    상기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특정부위인 살수제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판독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판독모듈을 통해 추출된 특정부위에 해당되는 살수제한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스팀 세척부 또는 세척수 세척부 또는 에어 세척부의 분사노즐을 선별적으로 오프(off)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차체 하부 영상정보 및 상기 설정된 영상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DB;
    상기 식별부로부터 전달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DB에 기설정된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의 위치에 따른 오염도 정보를 추출하는 오염도 판독모듈; 및
    상기 오염도 판독모듈의 오염도 정보에 따라 상기 분사 노즐의 강도를 제어가능한 분사강도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세척부는,
    스팀세척된 차체 측면 및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차체 진입로 양측 벽면과 차체 하부 저면에 회전식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식 노즐을 특정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KR1020130042210A 2013-04-17 2013-04-17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KR10142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10A KR101421159B1 (ko) 2013-04-17 2013-04-17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10A KR101421159B1 (ko) 2013-04-17 2013-04-17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159B1 true KR101421159B1 (ko) 2014-07-23

Family

ID=5174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10A KR101421159B1 (ko) 2013-04-17 2013-04-17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1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205A (zh) * 2019-02-26 2019-09-10 郑永康 基于图像识别的车辆清洗方法和系统
CN110450758A (zh) * 2019-08-14 2019-11-1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常导磁浮车辆的车体吹扫系统
KR102086413B1 (ko) * 2019-08-19 2020-03-09 최은준 농기계 세척시스템
KR102148824B1 (ko) * 2019-03-28 2020-09-08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스팀을 이용한 자동세차장치
KR102173566B1 (ko) * 2019-11-28 2020-11-03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철도차량의 영상감지를 이용한 자동화 제빙 시스템
CN112590715A (zh) * 2021-01-07 2021-04-02 唐山百川智能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地铁车底智能吹扫系统及工艺
CN112977348A (zh) * 2019-12-02 2021-06-1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洗车控制方法及装置
CN114166128A (zh) * 2021-12-15 2022-03-11 北京微链道爱科技有限公司 用于轨道交通设备的3d相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621U (ja) * 1992-03-13 1993-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床下洗滌装置
KR100240438B1 (ko) 1997-10-06 2000-01-15 최종복 룸형 차량공기세척 및 공기정화시스템(기취장치)
JP2008068686A (ja) 2006-09-13 2008-03-2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鉄道車両用融雪装置、及び鉄道車両の融雪方法
JP2008086948A (ja) 2006-10-04 2008-04-17 Yahiro Teruo 高圧水噴射装置及び高圧水噴流による処理回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621U (ja) * 1992-03-13 1993-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床下洗滌装置
KR100240438B1 (ko) 1997-10-06 2000-01-15 최종복 룸형 차량공기세척 및 공기정화시스템(기취장치)
JP2008068686A (ja) 2006-09-13 2008-03-2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鉄道車両用融雪装置、及び鉄道車両の融雪方法
JP2008086948A (ja) 2006-10-04 2008-04-17 Yahiro Teruo 高圧水噴射装置及び高圧水噴流による処理回収システム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205A (zh) * 2019-02-26 2019-09-10 郑永康 基于图像识别的车辆清洗方法和系统
KR102148824B1 (ko) * 2019-03-28 2020-09-08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스팀을 이용한 자동세차장치
CN110450758A (zh) * 2019-08-14 2019-11-1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常导磁浮车辆的车体吹扫系统
KR102086413B1 (ko) * 2019-08-19 2020-03-09 최은준 농기계 세척시스템
KR102173566B1 (ko) * 2019-11-28 2020-11-03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철도차량의 영상감지를 이용한 자동화 제빙 시스템
CN112977348A (zh) * 2019-12-02 2021-06-1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洗车控制方法及装置
CN112977348B (zh) * 2019-12-02 2022-10-14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洗车控制方法及装置
CN112590715A (zh) * 2021-01-07 2021-04-02 唐山百川智能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地铁车底智能吹扫系统及工艺
CN112590715B (zh) * 2021-01-07 2023-01-24 唐山百川智能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地铁车底智能吹扫系统及工艺
CN114166128A (zh) * 2021-12-15 2022-03-11 北京微链道爱科技有限公司 用于轨道交通设备的3d相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4166128B (zh) * 2021-12-15 2023-08-11 北京微链道爱科技有限公司 用于轨道交通设备的3d相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159B1 (ko) 철도차량용 차체 하부 세척시스템
KR100768343B1 (ko) 살수겸용의 노면 청소 시스템
CN109967409B (zh) 一种隧道灯具自动清洗装置及方法
CN1878915B (zh) 清洗路面灯或反射镜的玻璃表面的方法及系统
US8118043B2 (en)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with artificial turf covered wash bay
CN102085907A (zh) 船舱清洗机器人
KR101425639B1 (ko) 도로면 자동 세척장치
CN106184140B (zh) 大客车清洗设备
JP2014031040A (ja) 洗浄装置
CN109760639A (zh) 一种适用于地铁车辆的车底在线清洗系统
KR101386802B1 (ko) 자동세차기의 세척수 고압분사장치
CN201231739Y (zh) 一种金刚手全自动无接触洗车机
CN105618316B (zh) 一种公路护栏板喷漆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182947B (zh) 一种道路修建工程扬尘控制系统
KR20130003075U (ko)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CN220501695U (zh) 一种分拣机传送装置自动清理装置
CN206721778U (zh) 一种道路清扫车浮动式吸嘴装置
KR101062155B1 (ko) 도로 및 터널 벽면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0428189Y1 (ko) 오일 세척장치
CN112319426A (zh) 一种喷吹除尘设备
JP2008221135A (ja) 乾式電気集じん機の洗浄方法
JP5456566B2 (ja) 車両のタイヤ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200421046Y1 (ko) 자동차용 하부 세차 장치
CN207078133U (zh) 适用于建渣车的清洗管理系统
KR200251093Y1 (ko) 노면 청소용 고압 분사 노즐을 구비한 노면 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