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218B1 -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18B1
KR102086218B1 KR1020180023033A KR20180023033A KR102086218B1 KR 102086218 B1 KR102086218 B1 KR 102086218B1 KR 1020180023033 A KR1020180023033 A KR 1020180023033A KR 20180023033 A KR20180023033 A KR 20180023033A KR 102086218 B1 KR102086218 B1 KR 10208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unit
pillar
support member
ga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540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2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은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상기 소재접착유닛,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을 수용하는 오븐유닛 및 상기 오븐유닛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 및 상기 제2소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본 발명은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소재 접합은 대부분 용접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소재 용접대체 방식으로 접착제 이용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특히 자동차 조립부의 방음과 방수, 진동으로 인한 충격흡수 목적으로 접착제 이용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자동차소재의 접착성평가 목적으로 실험시편 제작을 통해 소재와 접착제의 품질평가를 진행한다. 실험시편 제작과정은 소재 끝부분에 스페이스소재를 조립하고, 조립된 스페이스부재에서부터 길이를 측정하여 소재의 접착제 도포면적을 선으로 표기하고, 표기된 위치에 테이프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실험 목적 두께의 또 다른 스페이스소재를 고정한다. 즉 소재 표면에는 실험목적의 접착제 두께와 면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스페이스부재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조립된다.
상기 공정은 준비된 소재의 스페이스소재의 고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이며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준비된 소재의 실험목적의 도포될 접착제의 두께와 면적 제어를 위한 스페이스부재의 고정이 완료되면, 두께와 면적이 제어된 소재의 표면 부분에 접착제를 일정두께 도포한다. 일정 간격으로 안착된 복수 개의 소재 표면에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또 다른 소재를 접착제가 도포된 소재의 길이 방향의 반대로 상부에 밀착하여 안착시킨다. 이때 제어된 두께와 면적에서 잉여된 접착제는 좌우로 돌출되며 돌출된 접착제는 나이프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하에 접착제로 부착된 한 쌍의 소재를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후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길이 반대 방향으로 상하 밀착 소재는 클립으로 고정된 상태로 오븐에 장입되어 실험목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베이킹이 진행된다.
베이킹으로 고정된 소재는 상온에서 일정시간 냉각을 진행하며 냉각이 완료된 소재는 접착제 도포와 제어목적으로 조립된 테이브와 스페이스부재, 클립을 제거한 후 인장실험을 통해 인장강도와 접착제 파단면 형상으로 품질을 평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자동차소재를 이용한 접착성 평가는 접착제와 적용되는 소재 종류, 실험방법 및 조건에 따라 매우 많은 양의 평가소재가 필요하며 반복적인 작업과 공정으로 시간지연의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실험목적의 접착제 두께와 도포면적 제어를 위해 길이 측정과 테이프를 이용한 반복적 스페이스의 밀착고정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후의 인장 실험을 위해서, 길이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적층된 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므로 클립을 이용한 상하 소재의 고정은 필연적이고, 이러한 클립을 이용한 소재의 상하 밀착 고정은 오븐을 이용한 베이킹 과정에서 소재에 대한 간섭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한 평가 소재의 반복적 제작 작업으로 시간지연은 물론 실험비용과 경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더하여, 클립에 의한 상하 소재의 고정 상태로 오븐에 장입되어 베이킹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돌출된 접착제가 클립에 부착되어 클립의 제거가 곤란해지는 문제도 있고, 또한 오븐에서의 가열 과정에서 클립에 의한 소재 사이의 불균일 열전달로 인하여 접착제의 불균일 응고 등으로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03-0029474호
본 발명은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상하의 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소재의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은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한 쌍의 상기 레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레그부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가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 및 상기 주기둥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상기 소재접착유닛,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을 수용하는 오븐유닛 및 상기 오븐유닛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 및 상기 제2소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접착 실험을 위한 소재의 시편 제작 과정에서 소재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으로 실험의 신속하며 효율적 진행이 가능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소재의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서 지지부재가 가이드판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서 지지부재의 레그부가 위치 가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 의해서 소재를 접착한 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소재접착 시험장치에서 오븐유닛, 인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재접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다.
즉, 접착 실험을 위한 소재의 시편 제작 과정에서 소재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으로 실험의 신속하며 효율적 진행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재의 고정을 위한 종래의 클립, 클램프 등의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프레임 소재 등의 접합을 위하여 접착제(a)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접착 결합 실험을 위한 시편을 신속하고 신뢰도 높게 생산하여 신뢰도 높은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선 소재의 접합 실험시편을 제작하기 위한 선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정 크기로 가공된 소재에 대하여 그 표면을 탈지한 후 접착제(a) 도포를 위한 면적에 오일침적으로 약 24시간 상온에서 대기시킨 후에 접합 실험시편의 제작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 의해서 소재를 접착한 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은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지지부재(10)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m2)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접착제(a)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소재(m1), 제2소재(m2) 사이에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상기 간극형성부재(20)를 배치하는 구성을 안정적 적층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소재(m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를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제1소재(m1), 접착제(a), 제2소재(m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시편의 제작을 안정적이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의 접착제(a) 도포 영역을 상기 간극형성부재(20)에 의해서 균일하게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시편 제작도 오차를 줄이면서 신뢰도 높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접착제(a)가 도포되는 제1소재(m1)를 안착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0)에는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재(10)에 안착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착제(a)가 도포된 후에 그 상부에 제2소재(m2)가 적층되어 시편이 제작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0)는 베이스부(11), 기둥부(12), 플레이트부(13)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에 안착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어, 이후에 상기 제1소재(m1) 상면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a)의 영역을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결합부(21), 레그부(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12)에 결합되는 결합부(21) 및 상기 결합부(21)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제1소재(m1) 상면에 안착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돌출 형성된 기둥부(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레그부(22)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 상에 접착제(a) 도포 영역을 한정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기둥부(12)에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기둥부(12)의 연결기둥(12b)이 삽입되는 결합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레그부(22)가 가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레그부(22)의 슬라이딩탭(22a)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22)는 상기 결합부(2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도포되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게 된다.
즉, 상기 레그부(22)는 상기 결합부(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가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더하여,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는 그 사이의 폭을 조정하여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레그부(22)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22)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레그부(22)가 상기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클립, 클램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클립, 클램프와는 달리 자력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자력이 작용되므로, 접착제(a)의 경화 또는 응고 전에 제1소재(m1), 제2소재(m2)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자력부(23)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22)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상기 자력부(23)가 자력을 상기 레그부(22)에 부여하기 위해서 영구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력부(23)가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고정하는 자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의 경도에 따른 자력을 조정하여 제1소재(m1), 제2소재(m2)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은 지지부재(10), 간극형성부재(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접착시키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여 빠른 시편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신뢰도 높은 시편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제작 과정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 상에 제1소재(m1)가 안착되며, 특히 상기 지지부재(10)의 플레이트부(13)에 형성된 안착홈(13a)에 안착되게 구성되며, 이때 상기 안착홈(13a)이 상기 플레이트부(13)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한 번에 제작하여 시편 제작 소요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간극형성부재(20)가 안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0)의 기둥부(12)에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결합부(21)가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접하게 배치된다. 그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a)가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사이에 영역이 한정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도포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그부(22)의 상부에 제2소재(m2)가 안착되며, 이 때 상기 제2소재(m2)는 상기 제1소재(m1)와는 반대의 돌출되게 안착된다. 즉, 레그부(22) 하면에 접하는 제1소재(m1)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레그부(22) 상면에 접하는 제2소재(m2)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소재(m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배치된 후 접착제(a)가 도포되고, 다음으로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소재(m2) 안착되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4개의 측면 중에 한 쌍의 레그부(22)에 의해서 차단된 2개 면을 제외한 나머지 2개면으로 잉여 접착제(a)가 유출되는데, 이와 같은 잉여 접착제(a)는 나이프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한 쌍의 레그부(22)가 차단하는 2개의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측면 이외의 나머지 2개 측면은 지지부재(10)에 추가로 구비되는 가이드판부(14)에 의해서 차단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잉여 접착제(a)까지 제거된 후에는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자력부(23)에 의한 자력의 부여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상기 레그부(22)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21)가 상기 기둥부(12)에서 분리된다. 이는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착제(a)의 경화 내지 응고에 의해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부착되어 형성된 시편을 상기 레그부(22)의 일측으로 밀어 내어 분리하여 시편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지지부재(10)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20)가 결합되는 기둥부(12) 및 상기 기둥부(12)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m1)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1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지면 등의 지지부재(10)가 안착되는 면상에 안착되는 구성이고,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베이스부(11)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간극형성부재(20) 등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간극형성부재(20)가 결합되기 위해서 주기둥(12a), 연결기둥(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베이스부(1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12a) 및 상기 주기둥(12a)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12a)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12b)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12b)은,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결합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기둥(12b)이 상기 주기둥(12a)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단차진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단차 형상에 상기 결합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이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부(13)는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기둥부(12)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13)는 상기 기둥부(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간극형성부재(2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3)에는 상기 제1소재(m1)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안착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홈(13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소재(m1)는 안착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안착홈(13a)은 상기 플레이트 부에 복수 개가 형성됨에 따라 복수 개의 제1소재(m1)가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시편을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할 수 있어, 시편 제작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서 지지부재(10)가 가이드판부(14)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플레이트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한 쌍의 레그부(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13)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부(14)는 상기 플레이트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한 쌍의 레그부(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홈(13a)의 내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부(14)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차단하는 접착제(a) 도포 영역의 2개의 측면 이외의 나머지 2개 측면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의 측면을 완전히 차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a) 도포시에 접착제(a)의 이탈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부(14)에 의해서 상기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의 측면 일부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도포될 접착제(a)가 남지 않도록 도포 접착제(a)의 양을 미리 정해진 양으로 제어하여 도포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서 지지부재(10)의 레그부(22)가 위치 가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21)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게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는 그 사이의 폭에 따른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레그부(22) 모두 위치 이동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레그부(22)만이 위치 이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그부(22)가 위치 이동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 상기 레그부(22)에는 슬라이딩탭(22a)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라이딩탭(22a)은 상기 결합부(21)에 형성된 슬라이딩홀(21b)에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레그부(22)의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탭(22a)의 단부에는 플랜지와 같은 단차진 형상이 형성되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워진 "T"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탭(22a)이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홀(21b)도 상기 슬라이딩탭(22a)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가이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탭(22a)에 대응되는 "T"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소재접착 시험장치에서 오븐유닛(2), 인장유닛(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오븐유닛(2)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인장유닛(3)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상기 소재접착유닛(1),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1)을 수용하는 오븐유닛(2) 및 상기 오븐유닛(2)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a)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m1) 및 상기 제2소재(m2)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재접착유닛(1)에 의해서 제1소재(m1), 접착제(a), 제2소재(m2)가 순차로 적층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된 간극형성부재(20)를 상기 오븐유닛(2)에 수용시킨 후에 고온 환경에서 상기 접착제(a)를 경화 내지 응고시켜 접착제(a)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븐유닛(2)에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접착제(a)의 접착력에 의해서 결합되어 형성된 시편은 상기 간극형성부재(20)에서 빼내어지고, 인장유닛(3)에서 상기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인장 실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장 시험에 의해서 접착력을 측정하고, 파단시의 파단면을 측정하는 등에 의해서 접착제(a)에 의한 소재의 접착력을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소재접착유닛 2: 오븐유닛
3: 인장유닛 10: 지지부재
11: 베이스부 12: 기둥부
13: 플레이트부 14: 가이드판부
20: 간극형성부재 21: 결합부
22: 레그부 23: 자력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되,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
    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레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4.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되,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가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7.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되,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가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 및
    상기 주기둥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9.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재접착유닛;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을 수용하는 오븐유닛; 및
    상기 오븐유닛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 및 상기 제2소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
    을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KR1020180023033A 2018-02-26 2018-02-26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KR10208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ko) 2018-02-26 2018-02-26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ko) 2018-02-26 2018-02-26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40A KR20190102540A (ko) 2019-09-04
KR102086218B1 true KR102086218B1 (ko) 2020-03-06

Family

ID=6795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ko) 2018-02-26 2018-02-26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45B1 (ko) * 2015-12-07 2017-04-05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13U (ja) * 1992-09-21 1994-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着力測定用応力印加具
JP2003114769A (ja) 2001-10-03 2003-04-18 Canon Inc 複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KR20090084457A (ko) * 2008-02-01 2009-08-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돌인장부착강도 시험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벽돌인장부착강도 실험용 벽돌 제작 방법
KR101258948B1 (ko) * 2011-08-09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단 강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45B1 (ko) * 2015-12-07 2017-04-05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40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69536A (ja) 細長い被加工品を支持装置に取り付ける方法
US10483833B2 (en) Vibration motor
KR102086218B1 (ko)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JP2008143376A (ja) 防振ブッシュ付スタビライザバーの製造方法
EP3205437B1 (en) Electrical bonding method and electrical bonding device
CN104048779B (zh) 一种测温样本制作治具和制作设备
JP2007240327A (ja) 接着強度測定方法
KR101723445B1 (ko) 접합 소재 시험 장치
US20150367561A1 (en) Air bonding process
JP5117880B2 (ja) ウエハの作製方法
KR101086759B1 (ko)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 장치
KR20190064061A (ko)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물성계측을 위한 지그유닛
EP4198488A1 (en) Fixtures for preparing cross-bonded specimens
KR102409664B1 (ko) 접착력 시험용 지그 장치
KR20200134277A (ko) 유지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유지 장치
JP2014021298A (ja) 光ファイバ用接続具および光ファイバ用接続具の製造方法
CN114798314B (zh) 涂胶治具和涂胶方法
KR20190085352A (ko) 히트블럭과 금형의 평면간 밀착 장치
CN219684398U (zh) 螺柱焊接定位工装
KR101999766B1 (ko)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무호스 및 차량의 차량의 고무호스용 클램프 부재 부착장치
KR100757601B1 (ko) 시험편 제작용 지그
KR200234098Y1 (ko) 리니어 모터용 영구자석 결합 구조
JP4546271B2 (ja) 金属メッキ光学部材の切断加工方法
JP2001281499A (ja) 光ファイバ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アレイ
JP2005072315A (ja) ドラム型コアと外装コアの組立接着方法及び組立接着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