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45B1 - 접합 소재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접합 소재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45B1
KR101723445B1 KR1020150173307A KR20150173307A KR101723445B1 KR 101723445 B1 KR101723445 B1 KR 101723445B1 KR 1020150173307 A KR1020150173307 A KR 1020150173307A KR 20150173307 A KR20150173307 A KR 20150173307A KR 101723445 B1 KR101723445 B1 KR 10172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guide
support plate
jig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7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 소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소재와 제2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제로 접합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시험하는 장치로서, 상기 접합 소재의 일측을 파지하는 하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의 상부에 상기 접합 소재의 타측을 파지하는 상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접합 소재의 상기 접착제 두께를 보상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접합 소재의 변형을 억제하여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 소재 시험 장치{An apparatus for testing of laminated material}
본 발명은 접합 소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와 접착제 간 발생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소재의 조립을 위한 방법으로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용접을 대체하는 기술의 하나로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접합된 소재의 내구성은 소재의 접합 부위의 물리적 특성, 즉 접합 강도인 인장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접합된 소재를 이용하여 접착성 평가를 진행하여 소재와 접착제의 품질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접착성 평가는 접합 소재의 접합 강도 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제1소재의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2소재의 일부분을 접착제가 도포된 제1소재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1소재의 접착제 도포 영역에는 접착제의 폭과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이후 제1소재와 제2소재에서 접착제가 위치하는 부분을 클립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제1소재와 제2소재를 접합시킨 접합 소재를 마련한다.
접합 소재가 마련되면 시험 장치을 이용하여 인장 하중 및 접합부의 파단면 형상 등을 측정하여 평가를 진행한다. 시험 장치의 파지부를 통해 접합 소재의 양 단부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접합 소재가 파단될 때까지 접합 소재를 상하방향으로 잡아당겨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그런데 시험 장치는 접합 소재는 물론,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른 소재들도 시험하기 때문에 접합 소재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시험 장치에 접합 소재를 파지, 즉 고정시키는 경우 접착제 두께에 의해 접합 소재의 접합 부위가 휘어져 변형된다. 이렇게 접합 소재가 변형되면 소재와 접착제 간의 응력이 발생하여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기 어렵다. 이에 접합 소재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접합 소재에서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양 단부위를 절단하여 접합 소재의 길이를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시험을 위해 접합 소재를 다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험 시간이 지연되고, 접합 소재의 길이가 짧아져 시험 장치에 고정할 때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0534984B KR 2010-0133584A
본 발명은 접합 소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합 소재와 접착제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하여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는, 제1소재와 제2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제로 접합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시험하는 장치로서, 상기 접합 소재의 일측을 파지하는 하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의 상부에 상기 접합 소재의 타측을 파지하는 상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접합 소재의 상기 접착제 두께를 보상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소재는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고, 상기 하부 지그 및 상부 지그는 상기 소재 파지를 위한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합 소재에서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면을 상기 파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제의 두께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적어도 일부가 파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그 및 상부 지그는 자성체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직부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는, 소재와 접착제 간에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에서 접착제의 두께에 의해 접합 소재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험을 위해 접합 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배제되어 소요 비용 및 시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접합 소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는,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제(20)로 접합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시험하는 장치로서,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을 구비하고, 접합 소재의 일측을 파지하는 하부 지그(200)와, 하부 지그(20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을 구비하고 접합 소재의 타측을 파지하는 상부 지그(100)와, 하부 지그(200)와 상기 상부 지그(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합 소재에서 접착제(20)가 구비되는 면을 파지면으로부터 접착제(20)의 두께만큼 이격시키는 가이드부(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그(2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접합 소재의 일측, 예컨대 제1소재(10b)를 파지할 수 있다.
하부 지그(200)는 하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10) 상부에 구비되고 제1소재(10b)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파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파지부(212)는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서로 반대 방향,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제1파지부(2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면, 예컨대 파지면을 통해 제1소재(10b)를 파지할 수 있다.
상부 지그(100)는 하부 지그(200)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지그(100)는 상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10) 하부에 구비되고 제2소재(10a)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2파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파지부(112)는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서로 반대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제2파지부(1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면, 예컨대 파지면을 통해 제2소재(10a)를 파지할 수 있다.
제1파지부(212)와 제2파지부(112)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소재가 파지되는 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시험 장치가 접합 소재만을 시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합 소재에 형성되는 접착제(20)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접착제(20)를 매개로 접합하여 형성된 접합 소재를 파지하는 경우, 접착제(20)의 두께에 의해 접합 소재의 중심은 접착제(20)가 배치된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접합 소재를 시험 장치에 고정한 경우, 접착제(20)의 두께에 의해 접합 소재는 접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소재와 접착제(20) 간에 응력이 발생하여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부 지그(200) 및 상부 지그(100)에 가이드부(120, 220)를 설치함으로써 시험 장치에 접합 소재를 고정시켰을 때 접합 소재의 접합 부위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120, 220)는 하부 지그(200)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220)와, 상부 지그(100)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220)와 제2가이드부(120)는 설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뿐 그 구조는 동일한다. 이에 제1가이드부(220)와 제2가이드부(120)를 각각 설명하지 않고, 이하에서는 제1가이드부(220)와 제2가이드부(120)를 가이드부(220)로 지칭한다. 그리고 가이드부(220)가 하부 지그(200)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부 지그(100)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가이드부(220)는 하부 지그(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222)와, 지지 플레이트(222)에 지지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파지부(212)의 파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하부 지그(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 쌍의 제1파지부(212) 중 하나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224)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지지 플레이트(222)가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한 쌍의 제1파지부(212)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파지부(212)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저면, 저면과 대향하는 면은 상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전면은 한 쌍의 제1파지부(212) 중 가이드부(120, 220)가 구비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제1파지부(212)와 대향하는 쪽에 구비되는 면이고, 전면과 대향하는 면은 후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면은 측면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되고, 파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 플레이트(222)는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일부가 일측면을 통해 삽탈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226)가 지지 플레이트(2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일부는 지지 플레이트(222)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전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22)의 타측면은 폐쇄된 상태로 두어 지지 플레이트(222) 내에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삽입할 때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제1파지부(212)의 상부에 고정부재(228)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228)는 제1파지부(212)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22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지지 플레이트(222)에는 고정부재(228)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8)는 자석이나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삽입홈(223)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파지부(212), 제2파지부(112) 및 지지 플레이트(222)가 자성체인 경우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고정부재(228)를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222)를 제1파지부(212)에 고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예컨대 접합 소재를 시험할 때 제1파지부(212)에 지지 플레이트(222)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28)는 나사 결합을 통해 제1파지부(212)에 지지 플레이트(222)를 고정하는 볼트일 수도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222)는 제1파지부(212)에 다양한 고정부재(228)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 플레이트(126, 226)는 제1파지부(212)와 제2파지부(112)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6)는 지지 플레이트(222)에 삽입되는 수평부(226a)와, 수평부(226a)의 일측에 연장되어 지지 플레이트(222)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1파지부(212)의 파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부(226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플레이트(226)는 수평부(226a)와 수직부(226b)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ㄱ'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226a)와 수직부(226b)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6)는 접합 소재를 시험 장치에 고정했을 때 접합 소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기능은 수직부(226b)가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수직부(226b)의 두께는 접합 소재에 도포되는 접착제(2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226b)의 두께를 접착제(2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면, 수직부(226b)가 접합 소재의 일면, 즉 접착제(20)가 도포된 제1소재(10b)의 내면과 제1파지부(212)의 파지면 사이, 접합 소재의 타면, 제2소재(10a)의 내면과 제2파지부(112)의 파지면 사이를 접착제(20)의 두께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합 소재를 시험 장치에 고정시키는 경우 접착제(20) 부위에 중심이 형성되더라도 수직부(226b)가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 사이의 접착제(20)의 두께를 보완해주므로 접합 소재의 접합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험 장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226)는 수직부(226b)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 시험 시 접합 소재에 형성되는 접착제(20)의 두께에 대응하는 수직부(226b)의 두께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6)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228)의 자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226)가 제1파지부(212)의 파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수직부(226b)와 파지면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 지그(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0), 즉 제2가이드부(120)는 하부 지그(2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20)인 제1가이드부(2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0)는 슬릿(124)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122), 수평부(126a)와 수직부(126b)를 포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26), 지지 플레이트(122)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지지 플레이트(122)를 제2파지부(11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시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접합 소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를 마련한다.
다음, 제1소재(10b)의 일면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20)를 도포하고, 제1소재(10b)의 접착면에 제2소재(10a)의 일면을 밀착시킨다. 이때, 제1소재(10b)에 접착제(20)를 도포하기 전 테이프(22)를 이용하여 접착제(20) 도포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의 접착부위를 클립 등으로 고정 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접합 소재를 마련한다.
접합 소재가 마련되면, 접합 소재에 형성된 접착제(20)의 두께(T0)를 측정하고 접착제(20)의 두께(T0)에 대응하는 수직부(226b)의 두께(T1, T2)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선택한다. (T0=T1=T2)
가이드 플레이트(226)가 선택되면, 시험 장치의 제1파지부(212)와 제2파지부(112)에 지지 플레이트(222)를 각각 고정시킨 후 지지 플레이트(222)에 선택된 가이드 플레이트(226)를 삽입한다. 지지 플레이트(222)에 가이드 플레이트(226)가 삽입되면, 고정부재(228)의 자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226)가 제1파지부(212)의 파지면과 제2파지부(112)의 파지면에 각각 밀착된다.
이후, 제1파지부(212)와 제2파지부(112)에 접합 소재를 고정시킨다. 접합 소재는 제1소재(10b)의 일측, 예컨대 접합 소재의 하부는 하부 지그(200)의 제1파지부(212)에 의해 파지되고, 제2소재(10a)의 일측, 예컨대 접합 소재의 상부는 상부 지그(100)의 제2파지부(112)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합 소재는 제1소재(10b)와 제2소재(10a)가 접착제(20)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226)의 수직부(226b)가 접합 소재에서 접착제(20)가 구비되는 면과 파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접착제(20)의 두께만큼 접합 소재에서 접착제(20)가 구비되는 면과 파지면을 이격시킴으로써 접합 부위의 변형 없이 시험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 소재가 변형 없이 고정되면 하부 지그(200) 및 상부 지그(1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상부 지그 120: 제2가이드부
122, 222: 지지 플레이트 126, 226: 가이드 플레이트
128, 228: 고정부재 200: 하부 지그
220: 제2가이드부

Claims (9)

  1. 제1소재와 제2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제로 접합한 접합 소재의 인장 강도를 시험하는 장치로서,
    상기 접합 소재의 일측을 파지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을 구비하는 하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의 상부에 상기 접합 소재의 타측을 파지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을 구비하는 상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접합 소재의 상기 접착제 두께를 보상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적어도 일부가 파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자성체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소재는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합 소재에서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면을 상기 파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제의 두께만큼 이격시키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접합 소재 시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자성체인 접합 소재 시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직부의 두께가 서로 다른 접합 소재 시험 장치.
KR1020150173307A 2015-12-07 2015-12-07 접합 소재 시험 장치 KR10172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07A KR101723445B1 (ko) 2015-12-07 2015-12-07 접합 소재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07A KR101723445B1 (ko) 2015-12-07 2015-12-07 접합 소재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445B1 true KR101723445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307A KR101723445B1 (ko) 2015-12-07 2015-12-07 접합 소재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4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40A (ko) *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KR20200060826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KR20220045574A (ko) * 2020-10-05 2022-04-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접합부의 비파괴 강도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13U (ja) * 1992-09-21 1994-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着力測定用応力印加具
KR20050005098A (ko) * 2003-07-01 2005-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장치
KR20090071133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소재 시험용 그립장치
KR20100133584A (ko) 2009-06-12 2010-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 장치
KR20130016885A (ko)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단 강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13U (ja) * 1992-09-21 1994-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着力測定用応力印加具
KR20050005098A (ko) * 2003-07-01 2005-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장치
KR100534984B1 (ko) 2003-07-01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장치
KR20090071133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소재 시험용 그립장치
KR20100133584A (ko) 2009-06-12 2010-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 장치
KR20130016885A (ko)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단 강도 측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40A (ko) *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KR102086218B1 (ko) * 2018-02-26 2020-03-06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KR20200060826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KR102143869B1 (ko) * 2018-11-23 2020-08-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KR20220045574A (ko) * 2020-10-05 2022-04-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접합부의 비파괴 강도측정장치
KR102392963B1 (ko) 2020-10-05 2022-05-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접합부의 비파괴 강도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408B1 (ko) 금속 소재 시험체의 전단시험장치
KR101723445B1 (ko) 접합 소재 시험 장치
US8678332B2 (en) Adhesive holder for holding objects and kit
US20160076984A1 (en) Shearing device for strength testing a joint
CN107708920B (zh) 组装体制造装置以及组装体制造方法
JPH09304202A (ja) 接着強度試験治具
US20170363523A1 (en) Nano materia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material using the same
US10814488B2 (en) Assembly body manufacturing device and assembly body manufacturing method
US9021889B2 (en) Sample holder for receiving a sample
JP2019056688A (ja) 接着性試験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42242A (ja) 引張試験治具
CN106932615B (zh) 检查夹具及具备该检查夹具的检查装置
EP2982961B1 (en) Method for testing the fracture toughness of an adhesive joint to be formed
US9518820B2 (en) Integrated jig for assembling inspection of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049378B2 (ja) 疲労試験装置
CN210571725U (zh) 一种原位拉伸装置
KR101568027B1 (ko) 시편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20190064061A (ko)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물성계측을 위한 지그유닛
KR102143869B1 (ko)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KR101661474B1 (ko)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KR101690931B1 (ko) 접착력 테스트용 지그
KR101883241B1 (ko) 물성분석장치용 시료 로더
KR101899647B1 (ko) 피로시험용 시편 보조 장치
JP2016070911A (ja) 試験片の保持装置および試験方法
KR101684352B1 (ko) 초음파검사 탐촉자 고정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