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66B1 -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66B1
KR102085766B1 KR1020130061782A KR20130061782A KR102085766B1 KR 102085766 B1 KR102085766 B1 KR 102085766B1 KR 1020130061782 A KR1020130061782 A KR 1020130061782A KR 20130061782 A KR20130061782 A KR 20130061782A KR 102085766 B1 KR102085766 B1 KR 10208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subject
focu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855A (ko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66B1/ko
Priority to US14/289,012 priority patent/US9900500B2/en
Publication of KR2014014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안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구동 시 다 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촬영 환경, 센서 특징 및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an 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전자 장치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고화질 고화소의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탑재되면서 보다 편리하게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 또는 단말기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 장치에서 지원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적외선 자동 초점 조절 방식, 콘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조절 방식 또는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적외선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유리면과 같이 반사가 심한 경우, 또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초점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콘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피사체 일부분의 대비를 기준으로 초점을 조절하므로 피사체에 콘트라스트가 없는 경우 초점 조절이 어렵다. 위상 차 검출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검출 센서 내의 렌즈를 이용해 2개의 상을 만들어 상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초점을 조절하기 방식이다. 위상 차 검출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태양광 또는 반사광 등 렌즈를 통해 빛이 들어오는 경우, 또는 피사체가 너무 작은 경우, 초점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시, 보다 효율적으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촬영 장치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함으로써, 촬영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센서들로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센서가 아닌 전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안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구동 시 다 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촬영 환경, 센서 특징 및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는 피사체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 구동 시 촬영 환경 정보 및 상기 촬영 환경 정보들을 프로세싱 처리하여 다수의 센서 정보들을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 다 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촬영 환경 및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촬영 모드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센서들 중 최적화된 센서들의 집합을 선택하고, 해당 센서들의 집합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물리적 하드웨어 변경 없이, 단말기에서 구비된 센서들을 활용함으로써,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점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센서들의 후보군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들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센서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110)는 촬영 장치(100) 운용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10)는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10)는 카메라부(150) 구동 시, 카메라부(150)를 통해 획득하는 촬영 영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촬영 영상 화면과 함께 카메라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는 셔터 스피드, 조리개 개방 상태, 화이트 밸런스, ISO, 필터 적용 등을 포함하는 촬영 모드 설정, 셔터 메뉴, 사진/ 동영상 모드 전환 메뉴, 줌인/ 줌아웃 메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촬영 영상 화면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촬영 영상 내에서 초점 조절을 위한 초점 영역을 정의하는 포커스 마크(focus mark)를 촬영 영상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휠, 하드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전자기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터치 패널이 풀 터치스크린형태로 지원된 경우, 가상 터치 패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에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표시부(110)는 입력부(120)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는 터치 패널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0)는 카메라부(150)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초점 조절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촬영 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가 위치한 이동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 모듈(131) 및 GPS 수신 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위성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31)은 기지국,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132)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주변 소리를 수집하고, 측정하는 센서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는 카메라부(150) 구동 시 마이크를 통해 주변의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 경우,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 중 음성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음성 신호로 판단되면, 삼각 측량 기법을 이용해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구동되며,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통하여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5)는 입력부(120)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카메라 센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처리 장치(Image Signal Processor)및 상기 영상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를 영상 처리(크기조정(scaling), 잡음 제거, RGB 신호 변환 등)하는 신호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셀프 모드로 사진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카메라(또는, 전면 카메라) 및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찍기 위한 제2 카메라(또는, 후면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촬영 수행 요청 발생에 따라, 촬영 수행 요청이 발생한 시점에서 카메라부(15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미지는 저장부(170)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변화 및 주변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160)는 자기장 변화, 중력, 압력, 온도, 습도, 광량, 소리 등에 관한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촬영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
센서부(160)는 다양한 센서들 예컨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외부 물체 또는 사용자 입력 도구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거리 측정 센서, 영상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3차원 공간의 동작 및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 인식 센서,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방향 센서, 및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환경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센서부(160)의 구성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 통신 모듈 역시, 센서부(160)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센싱 프로세싱 모듈(171)을 통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눈 패턴 인식 알고리즘, 소리 위치 추적(Sound localization) 알고리즘, 심볼 인식(symbol recognition) 알고리즘, 얼굴 인식 알고리즘, 에지 검출 알고리즘 등 수집된 센서 정보를 통해 특징적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싱 프로그램 모듈 역시 센서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160)는 카메라부(150) 구동 시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활성화되어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센서 정보 및 촬영 모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촬영 장치(100)의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비롯하여, 촬영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는 촬영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 실행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다른 휴대 단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촬영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 단말기 기능 처리에 대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촬영 장치(100)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7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70)는 촬영 수행 요청에 따라 생성된 사진(또는 동영상 등)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사진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사진이 촬영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진 촬영 시 카메라의 모드 설정 상태 정보, 화소 정보 등을 사진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70)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눈 패턴 인식 알고리즘, 소리 위치 추적(Sound localization) 알고리즘, 심볼 인식(symbol recognition) 알고리즘, 얼굴 인식 알고리즘, 에지 검출 알고리즘 등 수집된 센서 정보를 통해 특징적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 수의 센싱 프로그램 모듈(17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장치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전원이 공급되면, 장치의 부팅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촬영 장치(100)의 기능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 센서 판단부(182) 및 초점 조절부(1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정보 수집부(181)는 센서부, 통신부, 오디오 처리부, 저장부, 카메라 부와 연결되며, 카메라 구동되면,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활성화시켜 센서들의 센서 정보들을 수집한다. 센서 정보는 카메라, 마이크, 통신부, 센서부 등을 통해 수집 되는 제1 센서 정보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집된 제1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얼굴 검출, 음성 검출, 윤곽 정보 등 센싱 프로세싱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제2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촬영 장치의 종류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수집되는 센서 정보들이 달라질 수 있다.
센서 판단부(182)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를 통해 수집된 센서 정보들과 촬영 모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 초점 센서를 결정한다. 자동 초점 센서는 적어도 피사체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측정 센서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판단부(182)는 수집된 센서들 각각에 대해 센서 정보들의 정확도 수치와 촬영 모드에 따른 가중치를 계산하여 최상위값을 갖는 센서를 자동 초점 센서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초점 조절부(183)는 센서 판단부(180)에서 결정된 방향 측정 센서 및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한다. 예컨대, 초점 조절부(183)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50)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피사체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초점 조절부(183)는 피사체의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기 위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할 수 있다. 초점 조절부(183)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관심 영역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의 상세한 기능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한다. 단계 220에서 촬영 장치(210)는 카메라를 활성화(on)시킨다. 이 과정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프리뷰(preview) 영상을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장치에서 지원하는 구성 및 센싱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정보들을 수집한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카메라, 마이크, 통신부(130), 센서부(160) 등을 통해 수집 되는 센서 정보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얼굴 검출, 음성 검출, 에지 검출(예, 윤곽 정보), 심볼 인식, 방향 인식, 위치 측정, 움직임 인식, 동작 인식 등 센싱 프로세싱 모듈(171)을 통해 수집되는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주변의 조도 즉 광량 정보,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오디오 정보,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눈 패턴 인식 알고리즘, 소리 위치 추적(Sound localization) 알고리즘, 심볼 인식(symbol recognition) 알고리즘, 얼굴 인식 알고리즘,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센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촬영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정보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센서들의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계산한다. 여기서, 정확도 수치는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계산되는 수치를 의미하고, 가중치는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에 따라 센서 별로 부여되는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촬영 환경이 어두운 경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센서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미지 센서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이미지 센서 정보를 이용하는 눈 패턴 인식 알고리즘이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센서 정보를 수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센서들보다 다른 센서들에게 정확도 및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계산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촬영 장치(100)는 센서들의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기반으로 촬영 환경 및 촬영 모드에 최적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한다. 여기서, 초점 조절 센서들은 적어도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방향 측정 센서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모드는 정지 영상(예, 사진)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측정 센서와 거리 측정 센서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촬영 장치는 촬영 모드가 동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사진 촬영 모드이므로, 각각의 센서 별로 촬영 모드에 따라 주변 환경 및 센서들의 가중치가 다르므로, 소리 및 방향 측정을 위해 결정된 센서들이 동영상 촬영 모드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둡고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 통신 모뎀을 구비하지 않은 촬영 장치로 동영상을 촬영하고 하는 경우, 촬영 장치는 어두운 환경으로 인해 광량이 충분하지 않고 소음이 없어 방향 측정 초점 조절 센서로 스테레오 마이크(stereo microphone) 센서로 결정하고, 거리 측정 초점 조절 센서 역시 스테레오 마이크 센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동영상 촬영 모드이므로, 일반적으로 소리가 들리는 방향에 피사체가 있을 확률이 높고, 촬영 모드에서 마이크 센서에 대한 가중치가 높게 계산된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 마이크 센서는 삼각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어둡고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 통신 모뎀을 구비하지 않는 촬영 장치로 정지 영상(예, 사진)촬영하는 경우에 촬영장치는 심볼 인식 알고리즘을 거리 측정 센서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보조광을 비추는 모습이 영상에 포함될 수 있어 보조광을 사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정지 영상에서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 음성을 전달하는 피사체와 다를 수 있고, 촬영 장치가 보조광을 통해 특정 이미지 패턴을 피사체로 비추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초점을 잡기 위해 보조광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므로,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거리 측정을 위한 초점 조절 센서로 심볼 인식 센서를 선택하고, 방향 측정을 위한 초점 조절 센서로 스테레오 마이크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심볼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먼저, 마이크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고, 해당 방향을 관심 영역(ROI)로 설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보조광을 비추도록 한다. 다음에 촬영 장치는 심볼의 사이즈를 알고 있고, 피사체의 크기는 촬영장치와 피사체간의 거리와 반비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촬영 장치(100)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자동 초점 센서들을 이용해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한다. 초점 조절 방법은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내에서 기준 피사체를 판단한다. 여기서, 피사체는 초점 조절 판단의 대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장치(100)는 기준 피사체를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밝기, 색상, 채도 등의 경사도 및 경사도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는 윤곽선이 명확한 피사체와, 풍경과 같이 특별하게 명확한 윤곽선이 존재하지 않는 피사체가 있을 수 있다. 단말기는 윤곽선이 명확한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 윤관선이 명확한 피사체를 초점 조절 기준이 되는 기준 피사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촬영 장치(100)는 밝기, 색상, 채도 등의 유사도를 연산하여 유사한 특징을 갖는 영역만을 피사체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영상 내에서 피사체로써 얼굴 영역을 검출하여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 얼굴 검출은 카메라의 자동 얼굴 인식 기능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영상 내에서 피사체를 인식하거나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영상의 중앙부를 초점 조절 판단의 대상이 되는 기준 피사체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촬영 장치(100)는 피사체를 초점 조절 판단의 대상으로 결정하고, 도 2의 420단계에서 결정된 방향 측정 센서를 이용해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스테레오 마이크를 구비하는 경우, 소리 위치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삼각측량 기법으로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 또는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촬영 장치(100)는 피사체가 인물이고, 해당 인물이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구비한 경우, 피사체에 해당하는 인물이 구비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 촬영 장치(100)는 피사체의 방향이 결정되면,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으로 초점 조절을 위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즉, 초점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촬영 장치(100)는 설정된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포커스 마크(Focus mark)를 프리뷰 영상의 특정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장치(100)는 초점 조절 완료 여부에 따라 포커스 마크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다르게 하여 초점 조절이 완료된 상태와 초점 조절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초점 재설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영역이며,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단계 340에서 촬영 장치(100)는 도 2의 420단계에서 결정된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관심영역으로부터 피사체까지 거리를 판단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 동작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서 방출된 적외선이나 초음파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촬영 장치(100)는 얼굴 인식을 통해 피사체를 인식한 경우, 영상 내에서 피사체의 크기 및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 등을 기초로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심볼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100)는 마이크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고, 해당 방향을 관심 영역(ROI)로 설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보조광을 비추도록 한다. 다음에 촬영 장치는 심볼의 사이즈를 알고 있고, 피사체의 크기는 촬영장치와 피사체간의 거리와 반비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 에서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카메라부(150)가 구동되어 사진 촬영 모드로 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반셔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프리뷰(preview) 영상을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장치에서 지원하는 구성 및 센싱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정보들을 수집한다. 다음에, 촬영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정보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센서들의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계산한다. 여기서, 정확도 수치는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계산되는 수치를 의미하고, 가중치는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에 따라 센서 별로 부여되는 수치를 의미한다.
단계 430에서 촬영 장치(100)는 센서들의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기반으로 촬영 환경 및 촬영 모드에 최적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한다. 여기서, 초점 조절 센서들은 적어도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방향 측정 센서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측정 센서와 거리 측정 센서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40에서 촬영 장치(100)는 반셔터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입력은 촬영 장치에서 지원하는 셔터 버튼(또는 반셔터 버튼)을 제1 압력으로 프레스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촬영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결정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거리 및 방향을 판단하여 초점을 조절한다. 촬영 장치(100)는 초점 조절에 대한 정보를 프리뷰 영상 화면으로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장치는 초점 조절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반셔터 버튼을 입력하는 동안 초점 조절 고정 상태(AF Lock)로 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을 통해 피사체에 초점이 조절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촬영 장치(100)는 사진 촬영을 요청하는 제2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입력은 제1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압력으로 셔터 버튼을 프레스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촬영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피사체에 대해 사진을 촬영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센서들의 후보군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는 카메라 촬영 시의 촬영 환경에 최적화된 센서의 선택을 위해, 촬영 환경 변화에 따른 센서의 정확도를 계산하고, 촬영 모드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촬영 환경에 따라 초점 조절 센서를 결정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예컨대, <501>도표는 초점 조절 센서 중 피사체 방향 측정 센서를 선택하기 위해 센서들의 정확도를 표로 구성한 예시이며, 도 5에서 표 내부의 "선"은 촬영 환경에 따른 각 센서의 정확도 수치로 해석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장치에서 지원하는 센서들 중에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후보군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방향 측정 센서들의 후보군은 이미지 센서, 마이크, 눈 인식 검출 프로세싱 모듈, 얼굴 인식 프로세싱 모듈, 통신 모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방향 측정 센서들은 조도 변화, 주변 소음, 통신 신호와 같은 환경 변화에 따라 각 센서 정보를 수집한다. 촬영 장치(100)는 수집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측정 정확도에 따라 수치(point)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501 도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눈 패턴 인식, 얼굴 인식 알고리즘은 조도 변화에 따라 정확도가 너무 어둡거나 밝은 경우, 측정되는 센서 정보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즉, 촬영 장치(100)는 주변 조도가 어둡거나 밝은 경우, 이미지 센서 정보의 정확도 수치를 "0"으로 설정하고, 조도가 적당한 경우, 이미지 센서 정보의 정확도 수치를 가장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는 조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통신 모뎀, GPS 수신 모듈 센서들의 경우, 이를 반영하여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의 수치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촬영 장치(100)는 센서들 마다 촬영 모드에 따른 가중치값을 계산한다. 촬영 모드에 따른 가중치값은 이상적인 환경 예를 들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센서들 모두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촬영할 경우의 값을 의미한다. 촬영 장치(100)는 정확도 수치와 가중치값을 곱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 센서를 방향 측정 센서로 선택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초점 조절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1304825204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3048252043-pat00002
는 촬영 환경에서의 센서의 정확도 수치값이며,
Figure 112013048252043-pat00003
는 촬영 모드에 따른 해당 센서들의 가중치값이며, n은 전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센서들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 502> 도표는 초점 조절 센서 중 피사체 거리 측정 센서를 선택하기 위해 센서들의 정확도를 표로 구성한 예시이며, 도 5에서 표 내부의 "선"은 촬영 환경에 따른 각 센서의 정확도로 해석될 수 있다. 501 도표와 502 도표를 비교해보면, 거리 측정 센서들의 후보군과 방향 측정 센서들의 후보군이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검출 센서는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반면에, 거리를 특정하는 데 부적합할 수 있다. 반대로 심볼 인식 센서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반면,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측정 센서들을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에서 센서 별 가중치는 방향 측정 센서들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경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촬영 장치는 50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리 측정 센서들의 정확도와 가중치를 계산하고, 정확도 수치와 가중치값을 곱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 센서를 거리 측정 센서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 모드로 운용중인 경우, 단말기는 방향 측정 센서로 통신 모뎀을 선택하고, 거리 측정 센서로 이미지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피사체가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피사체에 대한 촬영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여 방향을 감지하고, 광량이 충분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초점 조절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피사체가 인물이 아니고, 휴대 단말기에 통신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자의 시선을 검출하여 피사체의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GPS 수신부와 주변 맵(Map)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반면에, 단말기가 사진 촬영 모드로 운용 중인 경우, 광량이 충분하므로, 동영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통신 모뎀과 이미지 센서를 초점 조절 센서로 결정할 수 있다. 피사체가 인물이고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한 경우, 촬영 장치는 프리뷰 모드에서 피사체의 방향을 감지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반 셔터를 누르는 순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피사체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환경, 센서 특징 및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 센서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초점 조절 센서들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 센서들의 센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초점 조절 센서들이 가변적으로 변경되어 초점을 조절함으로써,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 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촬영 장치
110: 표시부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카메라부 160: 센서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Claims (17)

  1.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구동 시 다 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는 촬영 환경, 센서들의 특성 및 촬영 모드를 포함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정보가 수집된 다수의 센서들에 대해 센서 정보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기반으로 방향에 대한 최상위값을 갖는 제1 센서와 거리에 대한 최상위값을 갖는 제2 센서를 초점 조절 센서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내에서 기준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으로 초점 재설정을 위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으로부터 상기 기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의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는,
    촬영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센서 정보의 정확도 수치를 계산하고,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외부 객체의 근접을 센싱하는 근접 센서, 거리 측정 센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모션 인식 센서, 3차원 공간의 동작 및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방향 측정 센서,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환경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정보는, 광량, 이미지, 속도, 소리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되는 제1 센서 정보와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세싱 처리하여 피사체 동작 인식, 피사체 움직임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위치 추적, 에지 검출, 심볼 인식, 피사체 위치 측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되는 제2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서 반셔터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반셔터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검출된 경우, 초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 시 다 수의 센서들을 활성화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내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는 촬영 환경, 센서들의 특성 및 촬영 모드를 포함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정보가 수집된 센서들에 대해 센서 정보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정확도 수치 및 가중치를 기반으로 방향에 대한 최상위값을 갖는 제1 센서와 거리에 대한 최상위값을 갖는 제2 센서를 초점 조절 센서로서 선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내에서 기준 피사체를 결정하고, 상기 제1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가 위치한 방향으로 초점 재설정을 위한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으로부터 상기 기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센서 정보의 정확도 수치를 계산하고,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반영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광량, 이미지, 속도, 소리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되는 제1 센서 정보와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세싱 처리하여 피사체 동작 인식, 피사체 움직임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위치 추적, 에지 검출, 심볼 인식, 피사체 위치 측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되는 제2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반셔터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반셔터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검출된 경우, 초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테레오 마이크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소리를 인식하고, 삼각측량기법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정의된 간격 이내에 타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경우, 상기 타 통신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여 피사체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두 개의 촬영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눈 패턴 인식을 수행하여 촬영자 눈 시선에 따라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61782A 2013-05-30 2013-05-30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08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782A KR102085766B1 (ko) 2013-05-30 2013-05-30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US14/289,012 US9900500B2 (en) 2013-05-30 2014-05-28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focusing of an photograp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782A KR102085766B1 (ko) 2013-05-30 2013-05-30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855A KR20140140855A (ko) 2014-12-10
KR102085766B1 true KR102085766B1 (ko) 2020-04-14

Family

ID=5198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782A KR102085766B1 (ko) 2013-05-30 2013-05-30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00500B2 (ko)
KR (1) KR102085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31A1 (ko) * 2022-06-22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398B1 (en) * 2014-08-06 2018-03-06 Amazon Technologies, Inc. Variable density content display
EP3055734A4 (en) 2014-10-28 2016-10-26 Sz Dji Technology Co Ltd RGB-D IM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ULTRASONIC DEPTH DETECTION
US10498976B2 (en) * 2014-12-05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focus feedback
CN105763787A (zh) * 2014-12-19 2016-07-13 索尼公司 图像形成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429427B1 (ko) 2015-07-20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30888B2 (en) * 2015-07-31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Sensor-based camera initialization
US20170054897A1 (en) * 2015-08-21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on region of interest by an electronic device
CN105917262B (zh) * 2016-01-06 2018-08-24 深圳市莫孚康技术有限公司 简易多种测距方式的影视跟焦系统及拍摄系统
US10044920B2 (en) * 2016-09-28 2018-08-07 Intel Corporation Retractable image capture devices and methods to protect such retractable image capture devices
CN108270914A (zh) * 2017-01-04 2018-07-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拍照方法及装置、智能终端
US11169661B2 (en) 2017-05-31 2021-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umbnail generation for digital images
CN107948510B (zh) * 2017-11-27 2020-04-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焦距调整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46679B1 (ko) * 2018-12-21 2021-04-30 주식회사 지니틱스 Af 구동 소자의 변위 곡선 선형화 방법
KR102357263B1 (ko) * 2019-09-24 2022-0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카메라를 지지하는 홀더 장치 및 상기 홀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1522A (ko) * 2020-03-30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검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2954217B (zh) * 2021-02-25 2022-11-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对焦方法
KR20230018069A (ko) * 2021-07-29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792A (ja) * 1998-10-02 2000-04-21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5258401A (ja) * 2004-02-12 2005-09-22 Ricoh Co Ltd 補助光機能付き撮像装置
US20080050108A1 (en) 2006-08-25 2008-02-28 Naoki Mizutani Imaging apparatus
US20100002084A1 (en) 2006-09-04 2010-01-07 Nikon Corporation Video sharing system, Photography support system, And camera
US20100134642A1 (en) 2006-10-02 2010-06-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ocused areas in an image
JP2011216976A (ja) * 2010-03-31 2011-10-27 Casio Computer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9843A (ja) * 2010-12-16 2012-07-05 Olympus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216A (ja) * 1984-11-28 1986-06-16 Canon Inc 焦点調節装置のノイズ除去装置
JPH0854558A (ja) * 1994-06-10 1996-02-27 Minolta Co Ltd 自動焦点カメラ
JP2004129927A (ja) 2002-10-11 2004-04-30 Canon Inc 視線検出装置
KR100689420B1 (ko) 2004-06-02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 방법
JP2008124846A (ja) 2006-11-14 2008-05-29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81186A (ja) 2009-10-07 2011-04-2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2012113204A (ja) 2010-11-26 2012-06-14 Canon Inc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792A (ja) * 1998-10-02 2000-04-21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5258401A (ja) * 2004-02-12 2005-09-22 Ricoh Co Ltd 補助光機能付き撮像装置
US20080050108A1 (en) 2006-08-25 2008-02-28 Naoki Mizutani Imaging apparatus
JP2008052123A (ja) * 2006-08-25 2008-03-06 Eastman Kodak Co 撮像装置
US20100002084A1 (en) 2006-09-04 2010-01-07 Nikon Corporation Video sharing system, Photography support system, And camera
US20100134642A1 (en) 2006-10-02 2010-06-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ocused areas in an image
JP2011216976A (ja) * 2010-03-31 2011-10-27 Casio Computer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9843A (ja) * 2010-12-16 2012-07-05 Olympus Corp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31A1 (ko) * 2022-06-22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855A (ko) 2014-12-10
US20140354874A1 (en) 2014-12-04
US9900500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766B1 (ko)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US949137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a camera
RU263583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спышкой и терминал
US10353574B2 (en) Photograph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399349B (zh) 图像识别方法及装置
JP6267363B2 (ja) 画像を撮影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4139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and infrared illuminator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80131869A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RU2612892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окусиро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окусировки
WO2020221012A1 (zh) 图像特征点的运动信息确定方法、任务执行方法和设备
JP6105953B2 (ja) 電子機器、視線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視線入力方法
KR20160038460A (ko) 전자 장치와, 그의 제어 방법
CN108616691B (zh) 基于自动白平衡的拍照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8184260A1 (zh) 文档图像的校正方法及装置
CN111447322B (zh) 获取外部照度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电子装置
KR20190021108A (ko) 이미지의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009089A (ko)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촬영 장치.
KR2019008721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카메라 자동 초점 제어 방법
WO2023231687A1 (zh) 一种摄像头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12840634B (zh) 用于获得图像的电子装置及方法
KR2015001422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US20170111569A1 (en) Face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22026893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JP2017130736A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709353B (zh) 图像采集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