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087B1 -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 Google Patents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87B1
KR102085087B1 KR1020190153464A KR20190153464A KR102085087B1 KR 102085087 B1 KR102085087 B1 KR 102085087B1 KR 1020190153464 A KR1020190153464 A KR 1020190153464A KR 20190153464 A KR20190153464 A KR 20190153464A KR 102085087 B1 KR102085087 B1 KR 10208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accommodating
mov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2019015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기판의 보관 및 이동을 위한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탈착 결합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상측부, 하측부 및 일측부가 개방된 수용부가 마련되고, 인쇄회로기판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의 둘레부에 끼움부가 절개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볼록하고,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오목하고, 상기 지지돌기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납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일측부 및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를 안착하는 안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타단부에 바닥을 지지하게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UNIT FOR STORAGE AND TRANSFER OF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보관 및 이동을 위한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125264 호에는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란 집적 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얇은 판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해 보관 케이스를 사용했었다.
그런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박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양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따라서 보관 케이스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을 보관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면서 서로 접촉되어 회로부가 파손되고, 이로 인해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면서 보관 케이스 내부에서 나란하게 적층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보관상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수직으로 끼워서 보관하면 인쇄회로기판을 삽입할 때 자중으로 인해 바닥과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이 깨져서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의 보관 및 이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탈착 결합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상측부, 하측부 및 일측부가 개방된 수용부가 마련되고, 인쇄회로기판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의 둘레부에 끼움부가 절개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볼록하고,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오목하고, 상기 지지돌기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납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일측부 및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를 안착하는 안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타단부에 바닥을 지지하게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 둘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중앙에 볼록한 돌기가 형성된 마크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 둘레부 중 상기 마크부의 인근에 상기 마크부의 이동 범위를 따라 문자, 숫자, 눈금 및 색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일측부에 상기 트레이의 크기와 대응하게 개구된 출입부와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에 상기 출입부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대응하게 절개된 PCB 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하부에 오목하게 상기 출입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지지돌기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한 쌍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PCB 출입부는 길이 중에 타 부위에 비해 크기가 크게 절개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납부는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핸들부와 하부에 복원력을 갖고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개별 트레이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하로 정렬되게 적층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인쇄회로기판을 안전하고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별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한 트레이를 작업자가 취급하기 쉽게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트레이를 편리하게 수납하고 수납된 트레이에서 인쇄회로기판 만을 쉽게 꺼내거나 다시 트레이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과 보관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한 이동 수납부를 이동하기 쉽게 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운송 기능을 증대하고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트레이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이동 수납부만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적층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를 좌척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수납부만 정면에서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수납부를 제거하여 안착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를 우측면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트레이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이동 수납부만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P)을 탈착 결합하는 트레이(100) 및 상기 트레이(100)를 수납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100)는 내부에 상측부, 하측부 및 일측부가 개방된 수용부(101)가 마련되고, 인쇄회로기판(P)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101)의 둘레부에 끼움부(140)가 절개된 몸체부(100a), 상기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손잡이부(110), 상기 몸체부(100a)의 하부에 볼록하고,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120) 및 상기 몸체부(100a)의 상부에 오목하고, 상기 지지돌기(120)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끼움홈(12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납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레이(100)를 내부에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210), 일측부 및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210)를 안착하는 안착공간(261)(도 10 참고)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부(260), 상기 하우징부(260)의 하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260)가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이동부(240) 및 상기 하우징부(260)의 하부 타단부에 바닥을 지지하게 마련된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트레이(100)의 수용부(101)는 상측부, 하측부 및 일측부를 개방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을 트레이(100)에 탈착하기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을 트레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로 노광 등과 같은 작업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00)의 무게를 극소화하여 인쇄회로기판(P)을 트레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취급할 때 무게에 의한 피로감을 극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적층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0)는 인쇄회로기판(P)을 결합한 복수 개의 트레이(100)를 적층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각의 트레이(100)를 분리할 시 손잡이부(11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트레이(100)를 분리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에 작업자의 손을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인쇄회로기판(P)을 결합한 트레이(100)를 취급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20)는 몸체부(100a)의 하부에 복수 개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트레이(1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지지돌기(120)가 바닥을 지지한 상태에서 몸체부(100a)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환경의 바닥에 트레이(100)를 내려 놓아도 인쇄회로기판(P)이 바닥에 접촉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21)은 복수 개의 트레이(100)를 상호 적층할 시 지지돌기(120)를 끼옴홈(121)의 내부로 안착하여 트레이(100)가 상하로 정렬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120)와 끼움홈(121)은 상호 다른 극의 자성을 가져 복수 개의 트레이(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자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0)는 마크부(131)와 표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크부(131)는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 중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볼록한 돌기(131a)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부(133)는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 중에 마크부(131)의 인근에 형성되되, 마크부(131)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따라 문자, 숫자, 눈금 및 색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마크부(131)는 작업자가 돌기(131a)를 손가락으로 잡거나 돌기(131a)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마크부(13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 이동한 마크부(131)의 돌기(131a)가 위치한 장소의 인근에 표시부(133)로 표시된 문자, 숫자, 눈금 및 색깔 등에 의해 작업 중이거나 작업을 완료한 공정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의 제조 작업 상태를 인쇄회로기판(P)이 결합된 트레이(100)에 표시하게 함으로서 작업자가 제조 과정에서 작업 상태를 표시해 두거나 다른 작업자가 표시해둔 마크부(131)에 의해 작업 상태를 파악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의 수납부만 정면에서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납부(200)의 복수 개의 수납부(210)는 각각 내부에 트레이(1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3)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공간(213)은 일측부에 트레이(100)를 내부로 넣거나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트레이(100)의 크기와 대응하게 개구된 출입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213)은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에 출입부(211)의 크기보다 작고 인쇄회로기판(P)의 크기에 대응하게 절개된 PCB 출입부(212)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공간(213)에 트레이(100)를 수납할 시 출입부(211) 측으로 트레이(100)의 정면이 위치하도록 하여 트레이(100)의 손잡이부(110)를 출입부(211)로 노출되도록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00)의 개구된 일측부는 PCB 출입부(212) 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트레이(100)를 이동 수납부(200)에 수납한 상태에서 트레이(100)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P)을 PCB 출입부(212)로 꺼내거나 PCB 출입부(21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을 트레이(100)에 결합할 수 있다.
수납공간(213)은 하부에 오목한 한 쌍의 안착부(211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1a)는 수납공간(213)의 내측 하부로부터 출입부(211)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00)가 출입부(211)를 통해 수납공간(213)으로 들어가고 나올 때 트레이(100)의 하부에 볼록한 지지돌기(120)는 안착부(211a)에 안착되어 트레이(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1a)는 지지돌기(120)와 다른 극의 자성을 형성하여 자성에 의해 트레이(100)가 수납공간(213)의 정확한 위치로 수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PCB 출입부(212)는 길이 중에 타 부위에 비해 크기가 크게 절개된 그립부(212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립부(212a)는 PCB 출입부(21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을 트레이(100)로부터 빼거나 트레이(100)에 넣을 때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P)을 손으로 잡아서 빼거나 넣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서 수납부를 제거하여 안착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납부(200)는 수납부(210)를 내부에 안착하는 안착공간(261)의 일측부와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를 개방함에 따라 안착공간(261)에 안착되는 수납부(210)의 출입부(211)로 트레이(100)를 출입시키고 PCB 출입부(212)를 통해선 수납부(210)에 수납된 트레이(100)로부터 인쇄회로기판(P)만 출입키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를 우측면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은 이동 수납부(2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핸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220)는 이동 수납부(20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220)는 절곡된 바(bar) 형상으로 이동 수납부(200)의 상부 일측부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부(220)를 잡고 이동 수납부(200)를 이동시킬 때는 핸들부(220)를 이동 수납부(200)의 일측부에 기립하게 힌지 회전시킬 수 있고, 이동 수납부(200)를 소정의 장소에 보관할 때는 핸들부(220)를 이동 수납부(200)의 일측부에 접히도록 힌지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부(220)는 이동 수납부(200)의 상부 일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 환경이나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핸들부(220)를 잡고 이동 수납부(200)를 취급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수납부(200)는 하부에 복원력을 갖고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받침부(230)는 이동 수납부(200)의 일측부에 기립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하측 방향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기립하도록 복원력을 갖을 수 있다.
발받침부(230)는 복원력을 갖도록 복원 스프링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동부(240)는 이동 수납부(200)의 하부 일단부에 복수 개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바퀴 일 수 있다.
이동부(240)는 이동 수납부(200)에서 핸들부(220)와 발받침부(230)가 형성된 일측부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이동 수납부(200)의 하부 타단부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동 수납부(200)를 소정의 장소에 보관할 때 이동 수납부(2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바닥에 고정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동 수납부(200)를 이동시킬 시에는 작업자가 핸들부(220)를 손으로 잡고 작업자 측으로 당기면서 작업자의 발로 발받침부(230)를 하측으로 눌러 이동부(240)를 축으로 이동 수납부(200)를 작업자 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 그러면 이동 수납부(200)의 지지부(250)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공중에 위치하고 이동 수납부(200)는 이동부(240) 만으로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부(220)를 손으로 잡고 이동 수납부(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밀게되면 이동 수납부(200)를 이동부(240)에 의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개별 트레이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하로 정렬되게 적층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인쇄회로기판을 안전하고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별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한 트레이를 작업자가 취급하기 쉽게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트레이를 편리하게 수납하고 수납된 트레이에서 인쇄회로기판 만을 쉽게 꺼내거나 다시 트레이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과 보관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한 이동 수납부를 이동하기 쉽게 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운송 기능을 증대하고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트레이
100a: 몸체부
101: 수용부
110: 손잡이부
120: 지지돌기
121: 끼움홈
131: 마크부
131a: 돌기
133: 표시부
140: 끼움부
200: 이동 수납부
210: 수납부
211: 출입부
211a: 안착부
212: PCB 출입부
212a: 그립부
213: 수납공간
220: 핸들부
230: 발받침부
240: 이동부
250: 지지부
260: 하우징부
261: 안착공간

Claims (5)

  1. 내부에 인쇄회로기판(P)을 탈착 결합하는 트레이(100); 및
    상기 트레이(100)를 수납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100)는,
    내부에 상측부, 하측부 및 일측부가 개방된 수용부(101)가 마련되고, 인쇄회로기판(P)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101)의 둘레부에 끼움부(140)가 절개된 몸체부(100a);
    상기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손잡이부(110);
    상기 몸체부(100a)의 하부에 볼록하고,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120); 및
    상기 몸체부(100a)의 상부에 오목하고, 상기 지지돌기(120)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복수 개의 끼움홈(121);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납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레이(100)를 내부에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210);
    일측부 및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210)를 안착하는 안착공간(261)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부(260);
    상기 하우징부(260)의 하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260)가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이동부(240); 및
    상기 하우징부(260)의 하부 타단부에 바닥을 지지하게 마련된 지지부(250);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210)는 내부에 상기 트레이(1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213)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213)은 일측부에 상기 트레이(100)의 크기와 대응하게 개구된 출입부(211)와 상기 일측부와 이웃하는 타측부에 상기 출입부(211)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크기에 대응하게 절개된 PCB 출입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0)는,
    상기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중앙에 볼록한 돌기(131a)가 형성된 마크부(131)와
    상기 몸체부(100a)의 외부 둘레부 중 상기 마크부(131)의 인근에 상기 마크부(131)의 이동 범위를 따라 문자, 숫자, 눈금 및 색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표시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3)은 하부에 오목하게 상기 출입부(211)까지 연장되고 상기 지지돌기(120)와 다른 극의 자성을 갖는 한 쌍의 안착부(211a)를 포함하고,
    상기 PCB 출입부(212)는 길이 중에 타 부위에 비해 크기가 크게 절개된 그립부(2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납부(200)는,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핸들부(220)와
    하부에 복원력을 갖고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KR1020190153464A 2019-11-26 2019-11-26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KR10208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464A KR102085087B1 (ko) 2019-11-26 2019-11-26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464A KR102085087B1 (ko) 2019-11-26 2019-11-26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87B1 true KR102085087B1 (ko) 2020-03-05

Family

ID=6980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464A KR102085087B1 (ko) 2019-11-26 2019-11-26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24Y1 (ko) * 1993-02-27 1995-04-04 홍준표 휴대용 손수레
JPH11301776A (ja) * 1998-04-21 1999-11-02 Hitachi Ltd 収納容器
JP2001022053A (ja) * 1999-07-09 2001-01-26 Nikon Corp 基板収納ケースおよび露光装置
KR100841002B1 (ko) * 2007-02-14 2008-06-24 주식회사 경한 조리용기 살균기용 운반구
KR20190012703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트레이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24Y1 (ko) * 1993-02-27 1995-04-04 홍준표 휴대용 손수레
JPH11301776A (ja) * 1998-04-21 1999-11-02 Hitachi Ltd 収納容器
JP2001022053A (ja) * 1999-07-09 2001-01-26 Nikon Corp 基板収納ケースおよび露光装置
KR100841002B1 (ko) * 2007-02-14 2008-06-24 주식회사 경한 조리용기 살균기용 운반구
KR20190012703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트레이 보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179B1 (ko) 핸들러 장치용 트레이 장착대
US20100164337A1 (en) Medicine Cart
KR102085087B1 (ko) 기판용 보관 및 이동 유닛
CN109891358B (zh) 用于电子设备的支撑装置以及电子设备
US11148044B2 (en) Input device for intelligent terminal
US20110305537A1 (en) Processing machine
US2707066A (en) Reversible ejector-type article dispenser
JP6280734B2 (ja) 断裁機
JP5645170B2 (ja) 遊技機
KR20140002487A (ko) 팁 홀더 및 팁 홀더 수납 세트
JP6041735B2 (ja) 遊技機
CN215421214U (zh) 一种多路分配接口箱
JP6041734B2 (ja) 遊技機
CN213381464U (zh) 综合布线用工具箱
US11264817B2 (en) Handy terminal and handy terminal charg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ssibility of contaminating charging terminal by operator's hand
KR20170002870U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JP2013006114A5 (ko)
CN220862589U (zh) 一种元器件引脚剪切防护装置
JP5179558B2 (ja) 遊技機
CN211905073U (zh) 一种易于操作的分光光度计
CN214806600U (zh) 一种光源移动装置及视力训练仪
KR101672491B1 (ko) 휴대용 전자 영상 확대 장치
JP4310485B2 (ja) ドラム式図柄表示装置
EP3569094B1 (en) Cleaning and charging station
JP6490165B2 (ja) リモコン受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