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70U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70U
KR20170002870U KR2020160000631U KR20160000631U KR20170002870U KR 20170002870 U KR20170002870 U KR 20170002870U KR 2020160000631 U KR2020160000631 U KR 2020160000631U KR 20160000631 U KR20160000631 U KR 20160000631U KR 20170002870 U KR20170002870 U KR 20170002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charging
side wall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우
Original Assignee
전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우 filed Critical 전현우
Priority to KR202016000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70U/ko
Publication of KR20170002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2J7/00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깔끔하게 수납하면서도 각각의 수납부에 충전수단을 마련하여 수납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멀티탭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장방형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멀티탭의 전원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에 안착되되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로 내입된 거치부가 복수로 배열된 수납트레이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에는 수납부마다 각각 본체의 설치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부터 충전기의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케이블 인출구를 형성하고, 케이블 인출구는 거치부의 수납측벽이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납측벽이 타공되어 충전케이블을 수납부의 수납측벽으로부터 인출하여 충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기별 수납공간을 독립되게 구획하여 여러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멀티탭을 내장하고 각각의 독립된 수납공간에 충전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전자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각각의 기기를 충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display cradl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각종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깔끔하게 수납하면서도 각각의 수납부에 충전수단을 마련하여 수납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현대 우리의 생활 속에서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MP3기기나 PMP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워치,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어폰 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하고 외출하여 외부에서 사용한 후에 집이나 사무실로 돌아오면 대체로 다음 사용을 위하여 충전기에 꽂아두게 되며, 이를 위하여 집이나 사무실 등에는 여러 개의 충전기가 멀티탭이나 콘센트에 꽂아진 상태로 비치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중에는 충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케이블 이외에도 거치독(Dock)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는데, 거치독은 각 디바이스 마다 개별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디자인이나 형태가 전혀 상이하고, 그 거치독 또한 일부의 기기에만 제공되므로 개인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정에서 이를 마땅히 보관할만한 공간이 없어서 충전기들이 책상 또는 방바닥 위에 어지럽게 배치된 채로 방치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충전기들에 여러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중인 상태로 어지럽게 배치되고, 충전기용 코드가 복잡하게 엉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콘센트 또는 멀티탭 주변은 항상 정리정돈이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러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변에 충전기나 충전기용 코드가 어지럽게 방치되지 않고 실내를 단정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수납수단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납수단의 일 예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거치대를 구비하고, 그 거치대의 하부에 여러 종류의 충전케이블이 인출되게 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디바이스 거치가 매우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를 충전하지 않을 경우 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매우 지저분하다.
또 다른 예로, 서랍식으로 이루어져 전자기기를 충전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비싸기 때문에 제품이 고가이고,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24094 A KR 101398763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별 수납공간을 독립되게 구획하여 여러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멀티탭을 내장하고 각각의 독립된 수납공간에 충전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전자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각각의 기기를 충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독립된 수납공간에 충전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직경이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멀티탭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장방형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멀티탭의 전원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에 안착되되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로 내입된 거치부가 복수로 배열된 수납트레이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에는 수납부마다 각각 본체의 설치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부터 충전기의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케이블 인출구를 형성하고, 케이블 인출구는 거치부의 수납측벽이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납측벽이 타공되어 충전케이블을 수납부의 수납측벽으로부터 인출하여 충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동시에 보관함과 동시에 각각의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깔끔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올려두어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된 상태에서 각 디바이스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를 할당된 구획공간에 수납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된 구획공간의 크기 또는 형상을 달리하거나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납공간의 용도를 쉽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각각의 수납공간에 충전케이블이 구비되므로 각종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각각의 수납공간에 충전케이블이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수려하다.
또한, 충전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충전케이블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고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멀티 수납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멀티 수납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본체에 멀티탭이 내장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멀티 수납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와 수납트레이가 장착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홀딩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본체에 표시수단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멀티탭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그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납트레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멀티탭을 수납하기 위하여 설치공간(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설치공간은 사각형의 바닥면의 테두리에 상측으로 직립하게 측벽(112)이 구비되어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설치공간은 상측이 개구되고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멀티탭을 상측으로 넣어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측벽(112)에는 멀티탭을 본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멀티탭의 전원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120)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120)는 본체의 네 변중 측방향 또는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측벽(112) 양측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절개부(120)를 형성함으로써 멀티탭의 삽입방향과 관계없이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120)는 전원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한 모든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멀티탭의 전원케이블이 내,외부로 관통하는 구조를 취하면서도 본체의 내부가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개구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전원콘센트를 직접 인출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크기가 큰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체(100)에 멀티탭을 내장한 상태에서 본체의 상단에 수납트레이(200)를 안착시켜 충전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깔끔하게 거치수단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트레이(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개구된 상측에 안착되어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거치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납트레이(200)에는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각각 거치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거치부(210)가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하부측으로 내입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거치 또는 수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210)에는 수납부마다 각각 본체의 설치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부터 충전기의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케이블 인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케이블 인출구(220)는 충전케이블이 거치부(210)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충전케이블이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거치부의 수납측벽(2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케이블이 수납측벽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측벽(212)이 본체의 측벽(112)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수납측벽이 타공되어 충전케이블을 수납부의 수납측벽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수납대가 실내공간에 놓여진 상태에 대응하게 즉, 예를 들면 멀티 수납대가 가로방향으로 놓여질 경우 거치부의 수납측벽 중 전면측에 배치된 수납측벽에 케이블 인출구를 형성하면 전방에서는 케이블 인출구가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인출구(220)는 하나의 거치부(210)마다 하나씩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거치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블 인출구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거치부에 복수의 케이블 인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블 인출구는 케이블 커넥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2) 및 인출공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딩요소(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딩요소(224)에는 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대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직경으로 타공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조절부(226)를 마련함으로써 직경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고정함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되어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226)를 형성함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조절편(227)을 형성하여 케이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공(222)의 테두리에 복수의 끼움구멍(225)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대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작할 필요없이 수납트레이를 성형 제작하는 과정에서 조절부(226)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트레이(200)에는 수납트레이가 본체의 측벽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플랜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플랜지(230)의 하부에는 본체에 수납트레이가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의 형상에 대응하게 돌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트레이(200)를 본체(100)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돌부(240)가 절개부(120)에 맞물려 고정되면서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의 양측으로 절개부(120)를 대칭되게 형성하면서 그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와 대응하게 수납트레이의 양측으로도 돌추(240)를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절개부(120)와 돌부(240)의 형상은 본 고안에서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만곡된 형태이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제작하여 본체와 수납트레이 간 맞물림이 더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도 5와 같이 수납트레이의 하부에 간격유지구(250)를 더 구비하여 본체의 측벽과 수납트레이의 수납측벽의 간격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간격유지구는 플랜지(230)의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링체를 구비하여 간단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링체가 측벽과 수납측벽에 밀착되면서 강제끼움으로 조립되어 수납트레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트레이(200)에 구비되는 거치부(210)에는 덮개(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덮개(260)는 복수의 거치부(21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되거나 각각의 거치부 전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덮개(260)에 의하여 거치부의 개구된 상측이 차폐 가능하게 된다.
이 덮개는 사용하지 않는 거치부를 닫아서 미관을 깔끔하게 하거나, 또는 이어폰 등의 전자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닫아서 깔끔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260)의 소재를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작하면 내용물의 수납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덮개(260)는 전자기기를 거치부(210)에 거치하거나 수납할 때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덮개(260)가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의 절첩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덮개가 일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울여 지지하게 세워서 디스플레이 창이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이 표시란에 거치부에 수납되어야 할 전자기기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수단(130)은 본체의 전면에 점착식 또는 접착식으로 부착하는 스티커나 조립, 분리가능한 구조로 탈착되는 표시구일 수 있으며, 또는 식별용 표지판이 삽입되어 전면으로 투영되는 투명 표시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표시창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필름 등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부로 표지판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형상은 거치 또는 수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문자로 인쇄한 인쇄물이거나, 각종 전자기기를 도안화한 형상을 인쇄한 인쇄물이거나, 또는 상기 문자 또는 도안을 음각하거나 양각한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100: 본체
110: 설치공간 112: 측벽
120: 절개부 130: 표시부
200: 수납트레이
210: 거치부 212: 수납측벽
220: 케이블 인출구 222: 인출공
224: 홀딩요소 225: 끼움구멍
226: 조절부 227: 조절편
230: 플랜지 240: 돌부
250: 간격유지구 260: 덮개

Claims (7)

  1. 멀티탭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장방형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되고, 측벽(112)에는 멀티탭의 전원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에 안착되되 복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로 내입된 거치부(210)가 복수로 배열된 수납트레이(200);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210)에는 수납부마다 각각 본체의 설치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부터 충전기의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케이블 인출구(220)가 형성되고,
    케이블 인출구(220)는 거치부(210)의 수납측벽(212)이 본체의 측벽(112)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납측벽이 타공되어 충전케이블을 수납부의 수납측벽으로부터 인출하여 충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출구(220)는 케이블 커넥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2) 및 인출공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딩요소(224)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요소(224)에는 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대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부(2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26)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조절편(227)에 의하여 케이블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출구(220)는 케이블 커넥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2) 및 인출공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딩요소(224)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요소(224)는 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대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인출공(222)의 테두리에 복수의 끼움구멍(2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멀티탭의 삽입방향이 특정되지 않도록 측벽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절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트레이(200)에는 수납트레이가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플랜지(230) 및 본체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돌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6.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본체(100)의 전방에는 수납트레이(200)의 거치부(210)에 수납하는 제품을 특정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1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거치부(2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거치부의 상부를 차폐 가능하도록 덮개(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KR2020160000631U 2016-02-03 2016-02-03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KR20170002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31U KR20170002870U (ko) 2016-02-03 2016-02-03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31U KR20170002870U (ko) 2016-02-03 2016-02-03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70U true KR20170002870U (ko) 2017-08-11

Family

ID=6062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31U KR20170002870U (ko) 2016-02-03 2016-02-03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8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340A (zh) * 2018-12-19 2019-03-08 浙江自贸区金达实业控股有限公司 模块集成式梳洗台
KR20210099373A (ko) * 2020-02-04 2021-08-12 (주)정인일렉텍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094A (ko) 2008-08-25 2010-03-05 박혁준 휴대용 디지털기기 충전수납함
KR101398763B1 (ko) 2011-06-30 2014-05-27 블랙베리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094A (ko) 2008-08-25 2010-03-05 박혁준 휴대용 디지털기기 충전수납함
KR101398763B1 (ko) 2011-06-30 2014-05-27 블랙베리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340A (zh) * 2018-12-19 2019-03-08 浙江自贸区金达实业控股有限公司 模块集成式梳洗台
KR20210099373A (ko) * 2020-02-04 2021-08-12 (주)정인일렉텍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766B2 (en) System for charging multiple devices
US10135268B1 (en) Lockers with charging power
US20140035511A1 (en)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20160308569A1 (en) Adaptable mobile phone case with battery and charger
US20120098493A1 (en) Charging station
US9143180B2 (en) Cell phone charger holder
US9144279B2 (en) Rugged cases for tablets
KR200486212Y1 (ko) 노트북 충전 보관함
US10084300B1 (en) Integrated electrical outlet cover and support for voice-controlled assistants, speak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8050016B2 (en) Control device particularly remote control for industrial appliances
US10116139B2 (en) Solar power lighted audio fishing tackle box
US20160233701A1 (en) Multiple smartphones charging station
US9300118B2 (en)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ables
KR20170002870U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KR101510706B1 (ko) 담배진열케이스의 수납장치
JP3200326U (ja) 多種類の電源を供給する電源供給ベース
US10847939B2 (en) Reconfigurable modular power station
US9750342B1 (en) Cord holder and organizer
KR101549042B1 (ko) 배선 및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된 테이블
JP2008181722A (ja) 電池ボ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4171912A (ja) 電気機器充電用保管庫
CN211423912U (zh) 一种模块插接式置物垫支架
US20180041059A1 (en)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having cover for charging stand
JP6601210B2 (ja) 給電装置
KR101879135B1 (ko)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