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35B1 -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35B1
KR101879135B1 KR1020170096621A KR20170096621A KR101879135B1 KR 101879135 B1 KR101879135 B1 KR 101879135B1 KR 1020170096621 A KR1020170096621 A KR 1020170096621A KR 20170096621 A KR20170096621 A KR 20170096621A KR 101879135 B1 KR101879135 B1 KR 10187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shing
case
mother
batter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성미
Original Assignee
추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성미 filed Critical 추성미
Priority to KR102017009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마더 배터리와 복수의 제1, 2 단자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마더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1, 2 단자 클립에 낚시 용품용 배터리를 장착하고 상기 마더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며, 과충전 방지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더라도 배터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Battery charger of fishing goods}
본 발명은 낚시 용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용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가늘고 기다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는 발광 표시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발광 될 수 있다. 발광 표시기는 낚싯대 끝부분, 낚싯줄, 초릿대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 낚싯대 끝부분, 낚싯줄, 초릿대 등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하여 사용이 가능함에도, 1회용으로 사용되는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긴 것은 지름 4mm이고 길이 34mm일 수 있으며, 짧은 것은 지름 4mm이고 길이 26mm일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는 크기가 다양할 수 있는 것인데, 적절하게 보관할 케이스가 마땅하지 않아서 보관이 불편하였고, 길이가 긴 형태이더라도 실제로 크기가 대단히 작은 형태이므로 보관이 불편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낚시 용품은 실외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일반적인 상용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낚시 용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상용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곳에서도 충전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에 알려진 기술로는 실외에서는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834호(2016.04.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028호(2016.08.0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낚시 용품에 사용되는 1회용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 용품의 배터리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공되더라도 충전할 수 있고 보관할 수 있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장소에서 1회용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제1 수납부(14)가 형성된 제1 케이스(10);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용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잭(60); 상기 제1 케이스(10)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마더 배터리(80);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되고, 배터리의 몸통을 붙잡는 제1 단자 클립(110); 상기 제1 수납부(14)에서 상기 제1 단자 클립(11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접속 단자를 붙잡는 제2 단자 클립(120); 및 상기 마더 배터리(80)의 충전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제1, 2 단자 클립(110, 120)이 설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90); 및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이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을 매립하도록 액상으로 덮어씌워져 굳어진 수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의 상기 제2 단자 클립(12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에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 및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 중에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며 제1, 2 배터리(210, 220)의 접속 단자(212, 222)를 떠받쳐서 상기 제1, 2 배터리(210, 220)를 정렬시키는 밴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 쪽에 절첩부(30)로 연결되고 제2 수납부(24)가 형성된 제2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제1 케이스(10)에 씌워져 상기 제1 수납부(14)를 폐쇄시키는 제1 커버(40); 및 상기 제2 케이스(20)에 씌워져 상기 제2 수납부(24)를 폐쇄시키는 제2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제2 수납부(24)는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2 커버(50)는 상기 복수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각 수납공간 별로 개폐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1회용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공되더라도 수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길이의 낚시 용품용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내부에 마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마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낚시 용품용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에서 단자 클립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가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에서 단자 클립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가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제1 케이스(10), 전원 잭(60), 마더 배터리(80), 제1, 2 단자 클립(110, 12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고,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 중에 어느 한쪽 공간에는 상기 전원 잭(60)과 제어부(70)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쪽 공간은 제1 수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잭(60)은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용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잭(6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는 전원 잭과 호환될 수 있고, 이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마더 배터리(80)는 상기 제1 케이스(10)의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클립(110)은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의 몸통을 붙잡을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 클립(120)은 상기 제1 수납부(14)에서 상기 제1 단자 클립(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의 접속 단자를 붙잡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 클립(110)과 상기 제2 단자 클립(120)간의 거리를 상기 배터리의 길이가 짧은 것에 맞추어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도 2에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로 나타내었다. 제1 배터리(210)는 몸통의 길이가 긴 것이고, 제2 배터리(220)는 제1 배터리(21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몸통의 길이가 짧은 것이다.
상기 제1, 2 배터리(210, 220)는 각각 제1, 2 접속 단자(212, 222)를 구비하며, 제1, 2 배터리(210, 220)의 몸통은 양극(+극)일 수 있고, 상기 제1, 2 접속 단자(212, 222)는 음극(-극)일 수 있다. 제1, 2 접속 단자(212, 222)는 지름이 대략 1mm 내외로 가느다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마더 배터리(80)의 충전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마더 배터리(80)가 과충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마더 배터리(80)가 완충 되었을 때와 충전 중일 때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의 한 쪽에 제1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가 완충 되었을 때와 충전 중일 때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의 한쪽에 각각의 제2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발광다이오드는 충전 중일 때에 적색으로 발광하고,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에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마더 배터리(8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마더 배터리(80)가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기를 휴대할 수 있고,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의 충전이 필요할 때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단자 클립(110, 120)에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를 장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제어부(70)에 의하여 과충전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의 충전이 완료되었더라도 꺼내지 않고 그대로 보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상용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곳에서 마더 배터리(8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낚시 용품에 이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로써 1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졌던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의 크기(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 참조)가 다양하게 제공되더라도 수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길이의 낚시 용품용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사용된 제1, 2 배터리(210, 220)를 버리지 않고, 배터리 충전기에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인쇄 회로 기판(90) 및 수지(1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은 상기 제1, 2 단자 클립(110, 12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 단자 클립(110, 1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한꺼번에 여러 개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수지(100)는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이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을 매립하도록 액상으로 덮어씌워져 굳어진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이 임의로 흩트려지거나 이물질에 의하여 마더 배터리(80) 또는 인쇄 회로 기판(9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100)는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을 가릴 수 있는 것으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의 상기 제1 단자 클립(1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에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제11 스프링(1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1 스프링(122)에는 제1 배터리(210)의 몸통 또는 제2 배터리(220)의 몸통이 장착될 수 있고, 양극(+극)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의 상기 제2 단자 클립(120)은,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과 밴드(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에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밴드(124)는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 중에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다른 한쪽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124)는 제1, 2 배터리(210, 220)의 접속 단자(212, 222)를 떠받치며 이로써 상기 제1, 2 배터리(210, 22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밴드(124)는 제1, 2 배터리(210, 220)의 높낮이나 놓인 경사 각도가 임의로 들쭉날쭉하게 배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하게 정돈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배터리와 제2 단자 클립 사이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0)는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 쪽에 절첩부(30)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수납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24)에는 낚시 용품 중에서 크기가 다소 작은 형태의 낚시 용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제1, 2 배터리(210, 220)를 수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제1, 2 배터리(210, 220)는 사용되지 않았거나 사용된 것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어 분실 우려를 줄일 수 있고, 특히 낚시터에서 사용된 배터리를 임의로 버리지 않고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커버(40, 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40)는 상기 제1 케이스(10)에 씌워져 상기 제1 수납부(14)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단자 클립(110, 120)에 제1 배터리(210) 또는 제 2 배터리(220)가 장착된 상태로 휴대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배터리(210) 또는 제 2 배터리(220)가 상기 제1, 2 단자 클립(110, 120)에서 이탈하였더라도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임의의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이 제1 수납부(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50)는 상기 제2 케이스(20)에 씌워져 상기 제2 수납부(24)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50)는 상기 제1 커버(40)와 마찬가지로 제2 수납부(24)에 수납된 낚시 용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의 상기 제2 수납부(2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낚시 용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각 수납공간 별로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특정한 수납공간만 개폐할 수 있어 수납된 낚시 용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을 하면, 배 위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 배가 파도에 의해 흔들릴 수 있는데, 사용자가 조심하더라도 제2 케이스(20)는 흔들릴 수밖에 없고 이렇게 흔들리는 환경에서는 자칫 부주의 한 경우에 낚시 용품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여러 개로 나누어 형성하고, 덮개를 각각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배가 흔들려 수납된 낚시 용품이 쏟아질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덮개가 개방된 어느 특정한 위치에 수납공간의 낚시 용품만 쏟아지는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쪽에는 잠금부(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케이스(20)에는 잠금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케이스(10, 20)는 상기 절첩부(30)에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돌기(22)에 상기 잠금부(12)가 결속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를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써 외형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는 낚시 용품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20: 제1, 2 케이스 12: 잠금부
14, 24: 제1, 2 수납부 22: 잠금 돌기
30: 절첩부 40, 50: 제1, 2 커버
60: 전원 잭 70: 제어부
80: 마더 배터리 90: 인쇄 회로 기판
100: 수지 110, 120: 제1, 2 단자 클립
112, 122: 제11, 12 스프링 124: 밴드
210, 220: 제1, 2 배터리 212, 222: 제1, 2 접속 단자

Claims (6)

  1. 제1 수납부(14)가 형성된 제1 케이스(10);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용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잭(60);
    상기 제1 케이스(10)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마더 배터리(80);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되고, 배터리의 몸통을 붙잡는 제1 단자 클립(110);
    상기 제1 수납부(14)에서 상기 제1 단자 클립(11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접속 단자를 붙잡는 제2 단자 클립(120);
    상기 마더 배터리(80)의 충전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어부(70);
    상기 제1, 2 단자 클립(110, 120)이 설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90); 및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이 상기 제1 수납부(1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더 배터리(8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을 매립하도록 액상으로 덮어씌워져 굳어진 수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클립(12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90)에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 및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 중에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2 스프링(122)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며 제1, 2 배터리(210, 220)의 접속 단자(212, 222)를 떠받쳐서 상기 제1, 2 배터리(210, 220)를 정렬시키는 밴드(124);
    를 포함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한 쪽에 절첩부(30)로 연결되고 제2 수납부(24)가 형성된 제2 케이스(20);
    를 포함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10)에 씌워져 상기 제1 수납부(14)를 폐쇄시키는 제1 커버(40); 및
    상기 제2 케이스(20)에 씌워져 상기 제2 수납부(24)를 폐쇄시키는 제2 커버(50);
    를 포함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24)는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2 커버(50)는 상기 복수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각 수납공간 별로 개폐되는 것
    을 포함하는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KR1020170096621A 2017-07-31 2017-07-31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KR10187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21A KR101879135B1 (ko) 2017-07-31 2017-07-31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21A KR101879135B1 (ko) 2017-07-31 2017-07-31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135B1 true KR101879135B1 (ko) 2018-07-16

Family

ID=6304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21A KR101879135B1 (ko) 2017-07-31 2017-07-31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28A1 (ko) * 2019-09-04 2021-03-11 추성미 전자 케미컬 라이트 전지용 휴대 충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035B1 (ko) * 2012-04-13 2012-10-22 (주)다우 낚시찌 충전장치
KR200475029Y1 (ko) * 2013-11-18 2014-11-06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접이식 휴대용 다중 충전기
KR20150014358A (ko) * 2014-05-27 2015-02-06 백종수 도난경보 기능이 구비된 전자케미 배터리 충전장치
KR101617834B1 (ko) 2014-10-01 2016-05-03 정현옥 낚시용 led 케미라이트의 충전기
KR101647028B1 (ko) 2015-12-03 2016-08-10 박금석 낚시용 전자 케미 및 전자 찌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170001567U (ko) * 2015-10-27 2017-05-10 신제길 케미라이트 셋트 보관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035B1 (ko) * 2012-04-13 2012-10-22 (주)다우 낚시찌 충전장치
KR200475029Y1 (ko) * 2013-11-18 2014-11-06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접이식 휴대용 다중 충전기
KR20150014358A (ko) * 2014-05-27 2015-02-06 백종수 도난경보 기능이 구비된 전자케미 배터리 충전장치
KR101617834B1 (ko) 2014-10-01 2016-05-03 정현옥 낚시용 led 케미라이트의 충전기
KR20170001567U (ko) * 2015-10-27 2017-05-10 신제길 케미라이트 셋트 보관 케이스
KR101647028B1 (ko) 2015-12-03 2016-08-10 박금석 낚시용 전자 케미 및 전자 찌용 배터리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28A1 (ko) * 2019-09-04 2021-03-11 추성미 전자 케미컬 라이트 전지용 휴대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518B2 (en) Mobile device case including electronic cigarettes and accessories
US9722439B2 (en) Bag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er
US7746029B2 (en) Battery charger with USB connector and cable storage recess
US9065283B2 (en) Charging system
US20120268064A1 (en) Inductively Rechargeable Portable Charger
US20150288205A1 (en) Power charger with charge indicating power button
US9450429B2 (en) Woman's accessory smartphone battery charger
US20150097090A1 (en) Portable hold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an inline electronics module
US20140091765A1 (en) Traveler Charger Kit
US201101495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portable hand-held devices
US20210036528A1 (en) Portable power bottle
US20140239888A1 (en) Wireless charger
KR101879135B1 (ko)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WO2006012701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US20080063936A1 (en) Portable Battery Power Supply
US20150035479A1 (en) Battery charger
CN209748765U (zh) 一种与蓝牙耳机配套使用的充电收纳盒
CN208226591U (zh) 一种移动电源
CN203205926U (zh) 一种带有收纳盒的充电器
KR101456667B1 (ko)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CN214412321U (zh) 颈部按摩仪的充电收纳盒
CN213908911U (zh) 充电收纳包
CN205791718U (zh) 一种可照明防震手机壳式充电宝
US20220294066A1 (en) Portable battery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