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035B1 - 낚시찌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찌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035B1
KR101193035B1 KR1020120038272A KR20120038272A KR101193035B1 KR 101193035 B1 KR101193035 B1 KR 101193035B1 KR 1020120038272 A KR1020120038272 A KR 1020120038272A KR 20120038272 A KR20120038272 A KR 20120038272A KR 101193035 B1 KR101193035 B1 KR 10119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harging
fishing
recharge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도
Original Assignee
(주)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 filed Critical (주)다우
Priority to KR102012003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35B1/ko
Priority to JP2013077334A priority patent/JP201322010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한 낚시찌의 충전 시 충전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낚시찌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 충전장치는, 하부가 용기형상을 가지는 충전식 낚시찌와, 상기 충전식 낚시찌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로 이루어지는 낚시찌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낚시찌는 중앙에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과, 내부에서 상기 수직관통공의 측방에 설치되는 제1자석과,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식 배터리와, 하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를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가 안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공간과, 상기 수직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중간부에 돌출된 수직삽입로드와, 상기 안착공간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충전접촉단자와, 상기 충전연결단자와 상기 충전접촉단자의 접촉에 의한 충전시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의 측방에서 상기 안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찌 충전장치{A charging device for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낚시찌를 충전하기 위하여 낚시찌 및 충전기를 낚시찌의 특성에 적합하게 구성함으로써 충전식 낚시찌의 충전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낚시찌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간낚시용으로 사용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발광낚시찌와 물고기의 입질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낚시찌 등이 개발됨에 따라,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한 낚시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배터리는 물과 접촉하는 낚시찌의 특성상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1회용 전지를 채용하고 사용 후 낚시찌를 폐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폐기되는 전지가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전지 이외의 정상작동할 수 있는 부품에 대하여는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낚시찌에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는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그러한 충전식 낚시찌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5304호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시찌의 내부에 충전을 위한 충전식 배터리(1)가 내장되고, 충전식 배터리(1)의 전기를 이용하여 엘이디(2)가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1)의 충전은 낚시찌의 내부에 솔라셀(3)이 설치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야간 낚시나 흐린 날씨에서는 태양광을 얻을 수 없어 솔라셀(3)을 통한 충전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상기 낚시찌는 환경에 따라 사용상 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휴대폰과 같이 별도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하는 방식의 낚시찌가 사용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된 낚시찌와 관련한 충전장치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8771호에 개시된 휴대폰 충전장치(5)의 안착공간(6)을 낚시찌의 형상에 따라 약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낚시찌와 휴대폰의 형상 및 구조가 서로 상이하여 사용상 불편이 있으므로 낚시찌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충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한 낚시찌의 충전 시 충전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낚시찌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 충전장치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 형상의 충전식 낚시찌와, 상기 충전식 낚시찌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로 이루어지는 낚시찌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낚시찌는 중앙에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과, 내부에서 상기 수직관통공의 측방에 설치되는 제1자석과,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식 배터리와, 하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를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가 안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공간과, 상기 수직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중간부에 돌출된 수직삽입로드와, 상기 안착공간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충전접촉단자와, 상기 충전연결단자와 상기 충전접촉단자의 접촉에 의한 충전시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의 측방에서 상기 안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1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관통공의 둘레에 배치된 한 쌍의 자석이고, 상기 제2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의 둘레에 배치되되 충전시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석을 이루는 한 쌍의 자석 사이에 상기 충전연결단자 중 하나의 단자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충전식 낚시찌의 케이스의 하단부의 상기 수직관통공 둘레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을 향하여 배치된 코일형상부를 가지는 연결선이 상기 충전식 낚시찌의 내부에 설치되며, 머리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공에 장착된 볼트형상의 충전연결단자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상부와 나선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충전기는 상면에 상기 안착공간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2자석이 하측에서부터 삽입되기 위한 자석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자석안착공에 삽입된 상기 제2자석을 밀어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충전기에 오목한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수직삽입로드가 설치됨과 함께 충전식 낚시찌의 수직관통공이 수직삽입로드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충전 시 낚시찌가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충전기에 수직삽입로드가 설치되어 충전식 낚시찌의 수직관통공이 끼워짐으로써 제1자석과 제2자석이 서로 끌어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삽입로드가 회전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가 용기형상을 가지는 낚시찌가 충전기에 안착됨에 있어서 충전연결단자 및 충전접촉단자의 접촉연결이 수직관통공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가이드되고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된 한 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자석과, 충전시 제1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자석이 설치됨으로써, 복수 위치에서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충전연결단자 및 충전접촉단자의 양호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충전식 낚시찌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충전기로부터 충전식 낚시찌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광낚시찌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식 낚시찌와 충전기로 이루어지는 낚시찌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낚시찌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낚시찌에서 충전연결단자와 연결선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낚시찌의 하면과 충전기의 상면을 각각 도시하는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충전장치에서 충전식 낚시찌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작용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낚시찌 충전장치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14)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 형상의 충전식 낚시찌(10)와, 상기 충전식 낚시찌(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30)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식 낚시찌(10)는 용기형상을 이루는 하부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2)를 상측에 덮는 상부케이스(11)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12)의 하단부에는 충전연결단자(13)가 다수개 설치되되 수직관통공(14)을 중심으로 주변 둘레에 동일간격으로 “+”단자, “-”단자 및 접지단자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식 낚시찌(10)는 하부케이스(12)와 상부케이스(11)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수직관통공(14)를 중심으로 하는 타원형 회전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충전기(30)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하부케이스(1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31)이 형성되고, 안착공간(31)의 중심부에는 낚시찌(10)의 수직관통공(14)에 끼워지는 수직삽입로드(33)가 설치된다. 수직삽입로드(33)의 주변둘레에 동일간격으로 충전접촉단자(34)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충전식 낚시찌(10)의 수직관통공(14)에 수직삽입로드(33)가 끼워진 상태로 충전기(30)의 안착공간(31)에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도 4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충전식 낚시찌(10)는 중앙에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14)과, 내부에서 상기 수직관통공(14)의 측방에 설치되는 제1자석(15)과,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식 배터리(43)와, 하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43)를 상기 충전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연결단자(13)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관통공(14)은 상부케이스(11)의 상측관통공(141)과, 하부케이스(12)의 하측관통공(142)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낚시찌(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자석(15)은 하부케이스(12)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관통공(14)의 측방에 설치된 자석안착공(125)에 설치된다. 자석안착공(125)은 한 쌍이 형성되고 제1자석(15)은 한 쌍의 자석(151,152)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안착공(125)에 각각 삽입된다. 제1자석(15)을 이루는 한 쌍의 자석(151,152)은 서로 다른 극성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관통공(14)의 둘레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그 한 쌍의 자석(151,152) 사이에 상기 충전연결단자(13) 중 하나의 단자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43)는 하부케이스(12)의 내부에 장착되어 엘이디(LED) 발광체(4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충전식 배터리(43)의 배터리단자(44)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연결선(50) 및 충전연결단자(13)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연결단자(13)는 하부케이스(12)의 하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충전연결단자(13)는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2) 하단부의 삽입공(123)에 결합된 상태에서 머리부(132)가 외부에 노출되어 충전기(30)의 충전접촉단자(34)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도 5는 충전연결단자(13)와 연결선(50) 및 하부케이스(12)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연결단자(13)는 하부케이스(12) 하단의 삽입공(123)에 삽입된 후, 연결선(50)의 코일형상부(51)와 나선결합된다. 즉, 배터리단자(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50)이 충전연결단자(13)의 나선에 감길 수 있는 직경 및 피치를 가진 코일형상부(51)를 구비하고, 그 코일형상부(51)가 삽입공(123)을 향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12)의 삽입공(123)에 충전연결단자(13)를 삽입한 후 상기 코일형상부(51)에 접촉한 상태에서 자전시키면 연결선(50)의 코일형상부(51)가 충전연결단자(13)의 나선에 물려 감기게 되면서 충전연결단자(13)와 연결선(50)이 결합된다. 연결선(50)과 충전연결단자(13)의 표면에서 넓은 접촉면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양호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좁은 공간을 가진 하부케이스(12) 내에서 별도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큰 효과를 가진다. 즉, 하부케이스(12) 내에서 충전연결단자(13)와 연결선(50)의 전기적연결을 위한 납땜 등의 작업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전술한 연결선(50)의 코일형상부(51)와 볼트형상의 충전연결단자(13)의 나선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이 양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충전연결단자(13)가 삽입된 하부케이스(12)의 삽입공(123)은 충전연결단자(13)와 연결선(5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액상에서 경화되는 몰딩재를 내부에 주입하여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12)의 내부에는 무게추(45)가 삽입되어 낚시찌(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낚시찌(10)가 물속에 부유한 상태에서 직립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기판(41)은 하부케이스(12)의 내부에서 중공로드(21)의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피씨비기판(41)의 상부에 설치된 발광체(42)가 충전식 배터리(43)를 전원으로 하여 상부케이스(11)에 빛을 조사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충전기(30)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10)가 안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공간(31)과, 수직관통공(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31)의 중심부에 돌출된 수직삽입로드(33)와, 안착공간(31)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충전접촉단자(34)와, 낚시찌(10)의 충전연결단자(13)와 충전기(30)의 충전접촉단자(34)의 접촉에 의한 충전시 상기 제1자석(15)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수직삽입로드(33)의 측방에서 상기 안착공간(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35)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기(30)는 상부케이스(36)와 하부케이스(37)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안착공간(31)은 상부케이스(36)의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 충전식 낚시찌(10)의 하부케이스(12)가 안착되도록 오목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31)의 중심부에는 수직삽입로드(33)가 설치되고 수직삽입로드(33)의 주변둘레에 충전접촉단자(34)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삽입로드(33)는 낚시찌(10)의 수직관통공(14)에 끼워져 낚시찌(10)가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낚시찌(10)가 제1자석(15) 및 제2자석(35)의 인력작용으로 충전연결단자(13)가 충전접촉단자(34)를 찾아 회전할 때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충전접촉단자(34)는 수직삽입로드(33)의 주변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충전연결단자(13)인 “+”단자, “-”단자 및 접지단자에 각각 연결되도록 안착공간(31)의 표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자석(35)은 한 쌍의 자석(351,352)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33)의 둘레의 일부분에 배치된다. 제2자석(35)은 충전시 제1자석(15)과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제1자석(15)의 한 쌍의 자석(151,152)이 하방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자석(35)도 서로 다른 극성이 상방을 향함으로써 제1자석(15)과 인력이 작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자석(35)은 상부케이스(36)의 내부에 형성된 자석안착공(361)에 설치되고, 자석안착공(361)은 하측에서부터 자석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자석안착공(361)도 한 쌍이 형성되어 한 쌍의 자석(351,352)이 각각 삽입된 후에는 하부케이스(37)의 지지돌기(371)에 의해 제2자석(35)이 지지되고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7)와 상부케이스(36)가 결합되면 하부케이스(37)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71)가 자석안착공(361)에 삽입된 제2자석(35)을 밀어 안착시킨다. 그러한, 구성은 충전기(30)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케이스의 파손전까지는 제2자석(35)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8의 (a) 및 (b)는 충전식 낚시찌(10)의 하면과 충전기(30)의 상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서 제1자석(15)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S극, N극으로 배치되고, 도 8의 (b)에서 제2자석(35)이 도시된 바와 같이 N극, S극으로 배치되면, 충전식 낚시찌(10)의 수직관통공(14)에 수직삽입로드(33)가 끼워진 상태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천천히 돌리는 과정에서 제1자석(15)이 제2자석(35)에 끌려 충전식 낚시찌(10)가 충전기(30)의 안착공간(31)에 완전히 안착된다. 그 과정에서 같은 극성 사이에서는 척력이 작용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안착하기 위한 인력작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기(30)에 수직삽입로드(33)가 설치됨으로써 충전을 위해 낚시찌(10)가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자석(15)과 제2자석(35)이 서로 끌어당겨 충전식 낚시찌(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삽입로드(33)가 회전축의 역할을 하게 되어 충전연결단자(13) 및 충전접촉단자(34)의 접촉연결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제1자석(15) 및 제2자석(35) 모두 하나의 충전연결단자(13) 및 충전접촉단자(34)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자석(151,152;351,352)이 복수 위치에서 서로 부착되므로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3개의 충전연결단자(13)와 3개의 충전접촉단자(34)가 고르게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의 완료상태는 통상의 충전기(30)의 작동과 같이 표시램프(39)의 색깔변화로써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충전식 낚시찌(10)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램프(39)를 통해 충전의 완료상태를 확인하면, 충전식 낚시찌(10)를 잡고 도 9와 같이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과정에서 충전식 낚시찌(10)의 제1자석(15)은 도 10의 (a)와 같이 충전기(30)의 제2자석(35)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0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과정에서 충전식 낚시찌(10)의 제1자석(15) 중 하나의 자석(151)이 충전기(30)의 같은 극성의 자석(352)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충전식 낚시찌(10)가 충전기(3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작용은 제1자석(15)과 제2자석(35)의 부착이 매우 견고하여 강제적으로 서로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 충전식 낚시찌(10)를 충전기(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배터리 2; 엘이디
3; 솔라셀 5; 휴대폰 충전장치
6; 안착공간 10; 충전식 낚시찌
11; 상부케이스 12; 하부케이스
13; 충전연결단자 14; 수직관통공
15; 제1자석 21; 중공로드
30; 충전기 31; 안착공간
33; 수직삽입로드 34; 충전접촉단자
35; 제2자석 36; 상부케이스
37; 하부케이스 39; 표시램프
41; 피씨비기판 42; 발광체
43; 충전식 배터리 44; 배터리단자
45; 무게추 50; 연결선
51; 코일형상부 123; 삽입공
125; 자석안착공 132; 머리부
141; 상측관통공 142; 하측관통공
151,152,351,352; 자석 361; 자석안착공
371; 지지돌기

Claims (5)

  1. 낚시줄이 통과하는 수직관통공(14)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 형상의 충전식 낚시찌(10)와, 상기 충전식 낚시찌(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30)로 이루어지는 낚시찌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낚시찌(10)는
    내부에서 상기 수직관통공(14)의 측방에 설치되는 제1자석(15)과,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식 배터리(43)와,
    하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43)를 상기 충전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연결단자(13)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30)는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공간(31)과,
    상기 수직관통공(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31)의 중심부에 돌출된 수직삽입로드(33)와,
    상기 안착공간(31)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충전접촉단자(34)와,
    상기 충전연결단자(13)와 상기 충전접촉단자(34)의 접촉에 의한 충전시 상기 제1자석(15)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33)의 측방에서 상기 안착공간(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15)은 서로 다른 극성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관통공(14)의 둘레에 배치된 한 쌍의 자석(151,152)이고,
    상기 제2자석(35)은 서로 다른 극성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삽입로드(33)의 둘레에 배치되되 충전시 상기 제1자석(15)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자석(351,3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15)을 이루는 한 쌍의 자석(151,152) 사이에 상기 충전연결단자(13)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자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충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하단부의 상기 수직관통공(14) 둘레에 삽입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식 배터리(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123)을 향하여 배치된 코일형상부(51)를 가지는 연결선(50)이 상기 충전식 낚시찌(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머리부(1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공(123)에 장착된 볼트형상의 충전연결단자(13)가 상기 삽입공(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상부(51)와 나선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충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30)는
    상면에 상기 안착공간(3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36)와,
    상기 상부케이스(36)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37)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36)의 내부에는 상기 제2자석(35)이 하측에서부터 삽입되기 위한 자석안착공(36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7)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71)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스(36)와 상기 하부케이스(37)의 결합시 상기 지지돌기(371)가 상기 자석안착공(361)에 삽입된 상기 제2자석(35)을 밀어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충전장치
KR1020120038272A 2012-04-13 2012-04-13 낚시찌 충전장치 KR10119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72A KR101193035B1 (ko) 2012-04-13 2012-04-13 낚시찌 충전장치
JP2013077334A JP2013220101A (ja) 2012-04-13 2013-04-03 液状注入式充填体を備える魚釣り用発光ウキ、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魚釣り用発光ウキ及び充電器のセ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72A KR101193035B1 (ko) 2012-04-13 2012-04-13 낚시찌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035B1 true KR101193035B1 (ko) 2012-10-22

Family

ID=4728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72A KR101193035B1 (ko) 2012-04-13 2012-04-13 낚시찌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8794A (zh) * 2013-11-18 2014-02-05 苏州天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摄像功能的浮漂装置组合
KR20160046685A (ko) * 2014-10-21 2016-04-29 임성현 나사 볼트 접촉 안테나에 연결되는 은폐형 자전거 위치 추적 장치
KR101617834B1 (ko) * 2014-10-01 2016-05-03 정현옥 낚시용 led 케미라이트의 충전기
KR101647028B1 (ko) * 2015-12-03 2016-08-10 박금석 낚시용 전자 케미 및 전자 찌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1879135B1 (ko) * 2017-07-31 2018-07-16 추성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CN110352923A (zh) * 2019-08-23 2019-10-22 樊洁刚 分体电子漂及充电漂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87Y1 (ko) 2005-11-01 2006-01-31 최임용 솔라셀을 이용한 충전식 전자 낚시찌
KR100605304B1 (ko) 2004-11-02 2006-08-02 최임용 솔라셀을 이용한 충전식 전자 낚시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304B1 (ko) 2004-11-02 2006-08-02 최임용 솔라셀을 이용한 충전식 전자 낚시찌
KR200407487Y1 (ko) 2005-11-01 2006-01-31 최임용 솔라셀을 이용한 충전식 전자 낚시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8794A (zh) * 2013-11-18 2014-02-05 苏州天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摄像功能的浮漂装置组合
KR101617834B1 (ko) * 2014-10-01 2016-05-03 정현옥 낚시용 led 케미라이트의 충전기
KR20160046685A (ko) * 2014-10-21 2016-04-29 임성현 나사 볼트 접촉 안테나에 연결되는 은폐형 자전거 위치 추적 장치
KR101652376B1 (ko) * 2014-10-21 2016-08-30 임성현 나사 볼트 접촉 안테나에 연결되는 은폐형 자전거 위치 추적 장치
KR101647028B1 (ko) * 2015-12-03 2016-08-10 박금석 낚시용 전자 케미 및 전자 찌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1879135B1 (ko) * 2017-07-31 2018-07-16 추성미 낚시 용품의 배터리 충전기
CN110352923A (zh) * 2019-08-23 2019-10-22 樊洁刚 分体电子漂及充电漂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035B1 (ko) 낚시찌 충전장치
JP5978455B2 (ja) 電子タバコ装置
CN101678228B (zh) 高尔夫球用球位标
US9517389B2 (en) Beach ball including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accommodating groove
CN202651492U (zh) 一种充电接口结构及手电筒
US20160161071A1 (en) Solar-Powered Flameless Candle
CN110679516A (zh) 太阳能鸟澡盆发光底座及具有该底座的鸟澡盆结构
CN104037882A (zh) 一种充电器
CN211746247U (zh) 太阳能鸟澡盆发光底座及具有该底座的鸟澡盆结构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CN104957112A (zh) 结构改进后的智能电子灯式渔漂
CN206197666U (zh) 一种富氢水杯
WO2009110696A1 (ko) 전자찌용 엘이디 기관모듈
CN204741318U (zh) 一种清洁能源发电的手机充电装置
KR20170002364U (ko) 무선가습기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06946752U (zh) 一种充电式激光教学用教杆
KR102032189B1 (ko) 발광 풍선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190084834A (ko) 낚시용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일체형 led 전자 케미
CN212465628U (zh) 一种多功能茶杯
CN207897755U (zh) 一种自发光电子鱼漂及其无线充电装置
KR200332421Y1 (ko) 부상 팽이
JP2010277824A (ja) セレモニー用発光器
CN203933112U (zh) 一种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