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54B1 - 내화 칸막이 - Google Patents

내화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54B1
KR102084654B1 KR1020170008511A KR20170008511A KR102084654B1 KR 102084654 B1 KR102084654 B1 KR 102084654B1 KR 1020170008511 A KR1020170008511 A KR 1020170008511A KR 20170008511 A KR20170008511 A KR 20170008511A KR 102084654 B1 KR102084654 B1 KR 10208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lame retardant
horizontal direction
boards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042A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17000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1Details f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화 칸막이는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구비하는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 및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하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은 샛 기둥;을 포함하고,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은 샛 기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방화 보드; 방화 보드의 전면을 덮고,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섬유 시트와 섬유 시트에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무기계 난연제 중 적어도 하나가 함유된 압축 섬유 시트; 방화 보드의 측면과 압축 섬유 시트의 전면을 덮는 마감용 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 칸막이{FIREPROOF PARTITION}
본 발명은 내화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내화구조"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내화성능을 확인하여 인정한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화성능기준은 건축물의 용도별 높이나 층수, 면적 등에 따라 화재시의 가열에 대해 각기 정해진 시간을 견딜 수 있는 내화구조이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칸막이 또한 일반 건축물이나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이루는 것으로, 용도별 내화성능을 가져야만 건축허가를 득할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으로 사용되는 칸막이는 통칭 'SGP칸막이' 즉, 석고보드 외측에 강판을 부착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SGP칸막이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요구로 하는 내화성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는 칸막이의 한쪽 면에서 열을 가할 경우 내부의 석고보드만으로는 타측 면으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주지 못하고, 내화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화 성능이 보다 향상된 내화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화 칸막이는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구비하는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 및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하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은 샛 기둥;을 포함하고,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은 샛 기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방화 보드; 방화 보드의 전면을 덮고,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섬유 시트와 섬유 시트에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무기계 난연제 중 적어도 하나가 함유된 압축 섬유 시트; 방화 보드의 측면과 압축 섬유 시트의 전면을 덮는 마감용 강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 섬유 시트의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고,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및 붕소함유 화합물,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감용 강판은 방화 보드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음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은 마감용 강판의 이음부를 관통한 나사에 의해 샛 기둥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난연 보드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샛 기둥의 제1 수평 방향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2 난연 보드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위치하고,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의 이음매 부분과 중첩하여 샛 기둥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이음부는 될 수 있다.
또한, 제1 난연 보드와 샛 기둥 사이에 제1 바탕 보드가 더 위치하고, 제2 난연 보드와 샛 기둥 사이에 제2 바탕 보드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의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폭은 샛 기둥의 제2 수평 방향 폭보다 크고, 제1, 2 난연 보드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은 제1, 2 난연 보드의 이음매 부분 각각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탕 보드와 샛 기둥 사이 및 제2 바탕 보드와 샛 기둥 사이에는 압축 섬유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의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폭은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샛 기둥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은 제2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제1, 2 바탕 보드의 이음매 부분과 중첩하여 샛 기둥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2 난연 보드의 이음매 부분과 제1, 2 바탕 보드의 이음매 부분은 서로 엇갈릴 수 있다.
아울러, 샛 기둥은 C형 스터드(stud)를 포함하고, C형 스터드는 제1, 2 난연 보드 각각에 나사 체결되도록 C형 스터드의 전면과 배면 각각에 제2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부와 배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화 칸막이는 압축 섬유 시트가 포함된 난연 보드를 사용함으로써, 내화 칸막이의 내화 성능을 더욱 증가시키면서, 물리적 강도와 충격 흡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내화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측벽에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측벽에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더불어, 내화 칸막이의 전면 또는 배면이라는 의미는 반드시 내화 칸막이의 앞과 뒤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내화 칸막이의 어느 한쪽 면이 전면이라 칭하는 경우, 배면은 어느 한쪽 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10%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가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투시도의 일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화 칸막이의 입면도의 일례,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내화 칸막이의 수직 단면도의 일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화 칸막이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 도 5은 도 1에 도시된 내화 칸막이의 제1, 2 난연 보드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내화 칸막이에서 난연 보드의 이음매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에 적용되는 샛 기둥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내화 칸막이(100)의 전면과 배면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편의상 제1 난연 보드(40a)가 위치한 부분을 내화 칸막이(100)의 전면, 제2 난연 보드(40b)가 위치한 부분을 내화 칸막이(100)의 배면으로 칭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제1, 2 바탕 보드(10a, 20a), 샛 기둥(30) 및 제1, 2 난연 보드(40a, 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가 제1 바탕 보드(10a)와 제2 바탕 보드(20a)를 구비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바탕 보드(10a)와 제2 바탕 보드(20a)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내화 칸막이(100)는 건물 내부의 천정(1)과 바닥(2) 사이에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되, 제1 수평 방향(y)으로 두께를 가지며, 제1 수평 방향(y)에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화 칸막이(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천정(1)에 설치된 상부 러너(3)와 바닥(2)에 설치된 하부 러너(4)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러너(3)와 하부 러너(4)는 U형 러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수평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칸막이(100) 중 제1 바탕 보드(10a)와 제2 바탕 보드(20a) 및 샛 기둥(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고정된 샛 기둥(3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난연 보드(40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방향(x)으로 형성된 면을 가지며,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샛 기둥(30)의 전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난연 보드(40b)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방향(x)으로 형성된 면을 가지며,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샛 기둥(30)의 배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제2 수평 방향(x) 폭은 제2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샛 기둥(3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되, 샛 기둥(30) 사이의 간격의 3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2 난연 보드(40a, 40b) 각각의 제2 수평 방향(x) 폭은 일례로, 800mm ~ 100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샛 기둥(30) 사이의 간격은 400mm ~ 50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제1 수평 방향(y) 두께는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이격 간격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례로, 12.5mm ~ 14.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는 샛 기둥(30)을 사이에 두고 제1 수평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이격 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샛 기둥(30)의 제1 수평 방향(y)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샛 기둥(30)의 제1 수평 방향(y) 두께는 60mm ~ 7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이격 간격은 85mm ~ 9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 사이의 제1 수평 방향(y) 이격 간격은 샛 기둥(30)의 제1 수평 방향(y)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 사이에 제1 수평 방향(y)으로 이격된 공간은 공기로 채워지거나 미네랄울 또는 글라스 울이 채워져,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제2 수평 방향(x)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이음매 부분(42)과 중첩하여 샛 기둥(30)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샛 기둥(30)의 전면 및 배면에 제2 수평 방향(x)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난연 보드(40a)가 제2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인접한 제1 난연 보드(40a) 이음매 부분(42)과 복수의 제2 난연 보드(40b)가 제2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인접한 제2 난연 보드(40b) 이음매 부분(42)은 샛 기둥(30)과 중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고온에 강한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제1, 2 바탕 보드(10a, 20a) 및 샛 기둥(30)에 대해 설명을 한 이후 설명한다.
샛 기둥(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삽입되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되, 제2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더불어, 샛 기둥(30)은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난연 보드(40a)와 제2 난연 보드(40b)를 제1 수평 방향(y)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샛 기둥(30)은 경량 강재 샛 기둥(30)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샛 기둥(30)은 도 7에 도시된 C 형 스터드(stud)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샛 기둥(30)으로 사용되는 C 형 스터드는 배면부(31), 전면부(33) 및 연결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면부(31)와 전면부(33)는 C 형 스터드의 배면측과 전면측 각각에 제2 수평 방향(x)으로 면이 형성된 부분이고, 연결부(35)는 전면부(33)와 배면부(31)를 서로 제1 수평 방향(y)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C 형 스터드에 구비된 배면부(31)와 전면부(33)의 제2 수평 방향(x)으로의 폭은 40mm ~ 5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고, C 형 스터드에 구비된 연결부(35)의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폭은 60mm ~ 7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샛 기둥(30)으로 사용되는 C 형 스터드의 배면부(31), 전면부(33) 및 연결부(35) 각각의 두께는 0.8mm ~ 1.2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형 스터드의 전면부(33)에는 제1 난연 보드(40a)가 나사 고정되고, C 형 스터드의 배면부(31)에는 제2 난연 보드(40b)가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탕 보드(10a)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난연 보드(40a)와 샛 기둥(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바탕 보드(10a)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삽입되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며, 제1 바탕 보드(10a)에서 제2 수평 방향(x)으로 형성된 면이 제1 난연 보드(40a)와 함께 샛 기둥(30)에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바탕 보드(10a)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샛 기둥(30)이 위치하는 부분과 중첩되도록 제2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탕 보드(20a)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난연 보드(40b)와 샛 기둥(3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바탕 보드(20a)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삽입되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되, 제2 수평 방향(x)으로 형성된 면이 제2 난연 보드(40b)와 함께 샛 기둥(30)에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이음매 부분(42)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2 바탕 보드(10a, 20a)는 제1, 2 난연 보드(40a, 40b)를 제외한 제1, 2 바탕 보드(10a, 20a)만 샛 기둥(30)에 스테인리스 피스(7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바탕 보드(10a)와 제2 바탕 보드(20a)는 석고 보드, MGO 보드, CRC 보드 및 불연성 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 규격이 정하는 난연 1급 재료인 방화 석고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바탕 보드(10a, 20a) 각각의 제2 수평 방향(x)으로의 폭은 샛 기둥(30)의 제2 수평 방향(x) 폭보다 크고,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이격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2 바탕 보드(10a, 20a) 각각의 제2 수평 방향(x)으로의 폭은 45mm ~ 5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바탕 보드(10a, 20a)의 제1 수평 방향(y)으로의 두께는 12mm ~ 13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바탕 보드(10a, 20a) 각각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이음매 부분(42) 각각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바탕 보드(10a, 20a) 각각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이음매 부분(42)을 관통한 나사못(70)에 의해 제1 난연 보드(40a)와 함께 샛 기둥(3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난연 보드(40a)와 샛 기둥(30) 사이 및 제2 난연 보드(40b)와 샛 기둥(30) 사이에는 압축 섬유 시트(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화재 발생시 제1 난연 보드(40a)와 제1 바탕 보드(10a)를 관통한 열이 샛 기둥(30)으로 전달되거나, 제2 난연 보드(40b)와 제2 바탕 보드(20a)를 관통한 열이 샛 기둥(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고온에 강한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칸막이(100)의 최외곽 전면 및 배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샛 기둥(30)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되도록 하여,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2 난연 보드(40a, 40b) 각각은 방화 보드(41), 압축 섬유 시트(43) 및 마감용 강판(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화 보드(4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탕 보드(10a)의 전면 또는 제2 바탕 보드(20a)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재질은 석고 보드, MGO 보드, CRC 보드 및 불연성 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방화 석고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화 보드(41)의 두께는 11.5mm ~ 13.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압축 섬유 시트(43)는 난연제가 코팅된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보드(41)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섬유 시트(43)의 두께는 0.5mm 이상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용 강판(4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보드(41)의 전면을 덮는 압축 섬유 시트(43)와 방화 보드(41)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용 강판(45)의 두께는 0.6mm 이상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아연 도금 강판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용 강판(45)은 방화 보드(41)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x)으로 돌출되는 이음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용 강판(45)의 이음부(47)는 제1, 2 난연 보드(40a, 40b)를 샛 기둥(30)에 고정할 때, 나사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방화 보드(41)와 중첩되지 않아, 방화 보드(4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이음매 부분(42)에서 제2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인접한 각 난연 보드의 이음부(47)는 서로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된 이음부(47)를 관통하는 나사못(70)에 의해 제1, 2 난연 보드(40a, 40b) 각각이 샛 기둥(30)으로 사용되는 C 형 스터드의 전면부(33) 및 배면부(31)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섬유 시트(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 시트와 난연제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시트는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시트는 일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특성에 의해 난연 보드(40)의 내습성과 차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 섬유 시트(43)의 난연제는 섬유 시트에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무기계 난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할로겐계 난연제에서 생성 된 라디칼로 늦추거나 할로겐계 난연제에서 발생한 밀도 높은 가스가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불소, 브롬, 염소 및 요오드와 같은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인계 난연제는 연소 시 숯(char)를 형성하여 탈 수 있는 부분과의 접촉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인산에스테르 또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 (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포스파젠(phosphazene)과 같은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시에 물을 방출하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붕소함유 화합물, 또는 이산화규소(SiO2, 실리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난연 성능은 뛰어나나, 연소시에 독성 물질이 방출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인계 난연제는 난연 성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러나,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시 독성 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인계 난연제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축 섬유 시트(43)의 난연제로 무기계 난연제 중에서 보다 더 친환경적인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축 섬유 시트에 함유된 난연제가 반드시 이산화규소(SiO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섬유 시트(43, 43’)에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압축 섬유 시트(43)를 형성하면, 용융점이 매우 높은 이산화규소(SiO2)의 특성에 의해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내화 성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섬유 시트(43)는 일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섬유시트와 이산화규소를 다량 포함하는 황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섬유 시트(43)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할 경우,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특성에 의해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내습성과 차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압축 섬유 시트(43)에 이산화규소를 60% 이상 포함하는 황토를 혼합하여 제1, 2 난연 보드(40a, 40b)를 형성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만 형성된 섬유시트가 포함된 난연 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황토에 포함된 이산화규소로 인하여 강도가 보다 증가될 수 있으며, 난연성과 충격 흡수성을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난연 보드(40a, 40b)는 황토를 포함하므로, 기존의 석고 보드만을 포함한 내화 칸막이나 마그네슘보드를 포함한 내화 칸막이에 비하여, 인체 유해성이 거의 없는 친환경적인 내화 칸막이(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제1, 2 난연 보드(40a, 40b)를 포함하는 내화 칸막이(100)의 다양한 시공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끝단과 제2 내화 칸막이(100b)의 끝단은 서로 “ㄱ”자 형태로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 제1 바탕 보드(10a) 및 제2 바탕 보드(20a)의 측면은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에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는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제1 난연 보드(40a)의 배면에 접합 시공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화 칸막이(100a)는 제1 난연 보드(40a)의 이음부(47)를 관통한 나사못(70)이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끝단과 제2 내화 칸막이(100b)의 끝단은 서로 “ㄱ”자 형태로 접합 시공될 때에도, 압축 섬유 시트(43’)가 제1, 2 내화 칸막이(100a, 100b) 각각에 구비된 샛 기둥(30)과 제1 바탕 보드(10a) 사이 및 샛 기둥(30)과 제2 바탕 보드(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끝단과 제2 내화 칸막이(100b)의 끝단을 서로 “ㄱ”자 형태로 접합 시공할 때에도, 제1, 2 내화 칸막이(100) 각각의 제1, 2 바탕 보드(10a, 20a)와 샛 기둥(30) 사이에도 도 8와 같이 압축 섬유 시트(43’)를 함께 시공하여,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측벽에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측벽에 접합 시공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측벽에 맞닿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못에 의해 샛 기둥(30)을 측벽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샛 기둥(30)의 전면 및 배면에 시공된 구조는 앞선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경우,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에 제2 내화 칸막이(100b1, 100b2)의 측면을 접합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은 제1 난연 보드(40a) 또는 제2 난연 보드(40b)의 전면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2 내화 칸막이(100b1, 100b2)의 측면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의 전면에 접합 시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에 제2 내화 칸막이(100b1)의 측면을 접합 시공될 때, 제2 내화 칸막이(100b1)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의 이음매 부분(42)과 중첩되도록 접합 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내화 칸막이(100b2)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의 이음매 부분(42)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접합 시공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시공된 내화 칸막이(100)의 구조를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내화 칸막이(100b2)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샛 기둥(30)에 중첩되도록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내화 칸막이(100)에서 제1, 2 바탕 보드(10a, 20a)가 샛 기둥(30) 사이에서 제2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내화 칸막이(100)의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키기기 위하여, 제1, 2 바탕 보드(10a, 20a)가 샛 기둥(30) 사이에서 이격되지 않고, 제2 수평 방향(x)으로 제1, 2 바탕 보드(10a, 20a) 각각의 측면이 맞닿도록 제1, 2 바탕 보드(10a, 20a)의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 이하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앞선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에서는 제1, 2 바탕 보드(10a, 20a)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 샛 기둥(30) 사이에서 제1, 2 바탕 보드(10a, 20a)가 제2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바탕 보드(10b, 20b) 각각의 제2 수평 방향(x)으로의 폭이 샛 기둥(30) 사이의 제2 수평 방향(x)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제1, 2 바탕 보드(10b, 20b)의 제2 수평 방향(x) 폭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샛 기둥(30) 사이에서 제2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샛 기둥(30) 사이의 중심 간격의 3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바탕 보드(10b, 20b)의 제2 수평 방향(x) 폭은 일례로, 800mm ~ 100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 난연 보드(40a, 40b)의 제2 수평 방향(x)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바탕 보드(10b, 20b) 각각은 제2 수평 방향(x)으로 복수 개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바탕 보드(10b)가 서로 인접한 제1 바탕 보드(10b) 이음매 부분(22)과 중첩하여 샛 기둥(30)이 위치하고, 복수의 제2 바탕 보드(20b)가 서로 인접한 제2 바탕 보드(20b) 이음매 부분(22)과 중첩하여 샛 기둥(3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탕 보드(10b)의 이음매 부분(22)과 중첩하는 샛 기둥(30)은 제2 바탕 보드(20b)의 이음매 부분(22)과 중첩하는 샛 기둥(30)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2 바탕 보드(10b, 20b) 각각의 이음매(22)는 제1, 2 난연 보드(40a, 40b) 각각의 이음매(42)와 엇갈려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바탕 보드(10b, 20b)는 제1, 2 난연 보드(40a, 40b) 이음매 부분(42)에서 중첩되는 샛 기둥(30)에 제1, 2 난연 보드(40a, 40b)와 함께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1, 2 바탕 보드(10b, 20b) 각각의 이음매 부분(22)에서는 제1, 2 바탕 보드(10b, 20b)만 스테인리스 피스(71)에 의해 샛 기둥(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제1, 2 바탕 보드(10b, 20b)의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샛 기둥(30) 사이에서 이격되는 부분이 없도록 설치하되, 제1, 2 바탕 보드(10b, 20b) 각각의 이음매(22)와 제1, 2 난연 보드(40a, 40b) 각각의 이음매(42)를 서로 엇갈려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화제 발생시 내화 칸막이(100)를 경유하는 열전달 경로를 더욱 협소하고 길게 할 수 있어,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끝단과 제2 내화 칸막이(100′b)의 끝단은 서로 “ㄱ”자 형태로 접합 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 제1 바탕 보드(10b)의 측면이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에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 제1 바탕 보드(10b)의 측면은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제2 바탕 보드(20b)의 배면에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2 바탕 보드(20b)와 제2 난연 보드(40b)의 이음부(47)는 나사못(70)에 의해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샛 기둥(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더불어,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2 바탕 보드(20b)만 제2 내화 칸막이(100′b)에 구비된 샛 기둥(30)에 스테인리스 피스(71)에 의해 추가적으로 더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측벽에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측벽에 접합 시공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측벽에 맞닿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못에 의해 샛 기둥(30)을 측벽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샛 기둥(30)의 전면 및 배면에 시공된 구조는 앞선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상세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 칸막이(100′)를 “T”자 형으로 교차하여 접합 시공한 경우,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에 제2 내화 칸막이(100′b1, 100′b2)의 측면을 접합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은 제1 난연 보드(40a) 또는 제2 난연 보드(40b)의 전면일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2 내화 칸막이(100′b1, 100′b2)의 측면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1 난연 보드(40a)의 전면에 접합 시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일측면에 제2 내화 칸막이(100′b1, 100′b2)의 측면을 접합 시공될 때, 제2 내화 칸막이(100′b1)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2 난연 보드(40b)의 이음매 부분(42)과 중첩되도록 접합 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내화 칸막이(100′b2)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에 구비된 제2 난연 보드(40b)의 이음매 부분(42)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접합 시공되더라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시공된 내화 칸막이(100′)의 구조를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내화 칸막이(100′b2)에 구비된 샛 기둥(30)의 연결부(35)가 제1 내화 칸막이(100′a)의 샛 기둥(30)에 중첩되도록 접합 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구비하는 제1 난연 보드와 제2 난연 보드; 및
    상기 제1 난연 보드와 상기 제2 난연 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난연 보드와 상기 제2 난연 보드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복수의 샛 기둥;
    상기 제1 난연 보드와 상기 샛 기둥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샛 기둥들 사이에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바탕 보드; 및
    상기 제2 난연 보드와 상기 샛 기둥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샛 기둥들 사이에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바탕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은
    상기 샛 기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방화 보드;
    상기 방화 보드의 전면을 덮는 섬유 시트와 이산화규소(SiO2)가 함유된 황토를 포함하는 난연제를 구비하는 압축 섬유 시트;
    상기 방화 보드의 측면과 상기 압축 섬유 시트의 전면을 덮는 마감용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바탕 보드와 상기 제1, 2 난연 보드 각각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난연 보드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난연 보드가 서로 인접한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바탕 보드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바탕 보드가 서로 인접한 바탕 보드 이음매 부분과 엇갈리되,
    상기 바탕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복수의 샛 기둥 중 제1 샛 기둥에 고정되되,
    상기 바탕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제1 또는 제2 난연 보드가 설치되기 전에, 고정못이 상기 제1 또는 제2 바탕 보드 및 상기 제1 샛 기둥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샛 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2 바탕 보드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바탕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2 난연 보드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바탕 보드가 설치된 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바탕 보드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샛 기둥 중 상기 제1 샛 기둥과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샛 기둥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되,
    상기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에서 상기 제1, 2 난연 보드의 마감용 강판은 상기 방화 보드의 측면을 덮는 부분의 끝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 고정시, 상기 나사못이 상기 제1 또는 제2 난연 보드에 구비된 상기 방화 보드를 제외한 상기 이음부, 상기 제1 또는 제2 바탕 보드 및 상기 제2 샛 기둥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샛 기둥에 고정되는 내화 칸막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는 내화 칸막이.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난연 보드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상기 샛 기둥의 상기 제1 수평 방향 두께보다 큰 내화 칸막이.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난연 보드 이음매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이음부는 중첩되는 내화 칸막이.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의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샛 기둥의 상기 제2 수평 방향 폭보다 크고, 상기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의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2 난연 보드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보다 작은 내화 칸막이.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탕 보드와 상기 샛 기둥 사이 및 상기 제2 바탕 보드와 상기 샛 기둥 사이에는 상기 압축 섬유 시트를 더 포함하는 내화 칸막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의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상기 샛 기둥 사이의 간격보다 큰 내화 칸막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탕 보드 각각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2 바탕 보드의 이음매 부분과 중첩하여 상기 샛 기둥이 위치하는 내화 칸막이.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샛 기둥은 C형 스터드(stud)를 포함하고,
    C형 스터드는 상기 제1, 2 난연 보드 각각에 나사 체결되도록 C형 스터드의 전면과 배면 각각에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부와 배면부를 구비하는 내화 칸막이.
KR1020170008511A 2017-01-18 2017-01-18 내화 칸막이 KR10208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11A KR102084654B1 (ko) 2017-01-18 2017-01-18 내화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11A KR102084654B1 (ko) 2017-01-18 2017-01-18 내화 칸막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29A Division KR20170120906A (ko) 2016-04-22 2016-04-22 내화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42A KR20170121042A (ko) 2017-11-01
KR102084654B1 true KR102084654B1 (ko) 2020-03-04

Family

ID=6038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511A KR102084654B1 (ko) 2017-01-18 2017-01-18 내화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74A (ja) * 1999-04-01 2000-10-17 Sekisui Chem Co Ltd 防・耐火パネル壁
JP2004516956A (ja) * 2000-12-29 2004-06-10 エルジー ケミカル エルティーディー. 黄土を含む不燃性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パネル
KR100899597B1 (ko) * 2009-01-12 2009-05-26 광스틸 주식회사 내화 칸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79B1 (ko) * 2001-05-28 2004-10-20 김진웅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2819U (ko) * 2008-06-11 2009-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석고보드 심재를 이용한 건식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74A (ja) * 1999-04-01 2000-10-17 Sekisui Chem Co Ltd 防・耐火パネル壁
JP2004516956A (ja) * 2000-12-29 2004-06-10 エルジー ケミカル エルティーディー. 黄土を含む不燃性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パネル
KR100899597B1 (ko) * 2009-01-12 2009-05-26 광스틸 주식회사 내화 칸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42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03B1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9862B1 (ko) 건식 내화 벽체
KR101993745B1 (ko) 내화 칸막이 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1891799B2 (en) Mineral wool wall system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973665B1 (ko) 내화 칸막이
KR102208212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2133371B1 (ko) 내화 칸막이
KR102084652B1 (ko) 내화 칸막이
KR102084654B1 (ko) 내화 칸막이
KR102129848B1 (ko) 내화 칸막이
KR101473365B1 (ko) 경량 방화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방화벽체 모듈
JP6063917B2 (ja) 外壁の耐火構造
KR20170120906A (ko) 내화 칸막이
JP4700215B2 (ja) 防火区画壁
JP6245893B2 (ja) 木質構造材と壁との接合構造
JP2011026953A (ja) 防火区画壁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JP7313870B2 (ja) 耐火被覆構造および耐火被覆工法
JP6991772B2 (ja) 耐火主要構造部
JP6497922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US20180298604A1 (en) Building element and associated reinforcing device
JP2002013225A (ja) Cft柱を有する防火区画体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及びその延焼防止方法
JPH07150647A (ja) 多層空気層断熱材
RU2793696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ежду перегородками и плитой пере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