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862B1 - 건식 내화 벽체 - Google Patents

건식 내화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862B1
KR102099862B1 KR1020170166062A KR20170166062A KR102099862B1 KR 102099862 B1 KR102099862 B1 KR 102099862B1 KR 1020170166062 A KR1020170166062 A KR 1020170166062A KR 20170166062 A KR20170166062 A KR 20170166062A KR 102099862 B1 KR102099862 B1 KR 10209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ards
finishing
flam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388A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곽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곽인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17016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8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1Details for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내화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는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샛 기둥; 복수의 샛 기둥의 뒤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 샛 기둥의 앞쪽에 배치되고, 배면 마감 보드와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 전면 바탕 보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난연 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난연 보드 중 두께 방향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난연 보드가 만나는 제1 이음매 부분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1 불연 쉬트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건식 내화 벽체{FIRE RESISTANCE DRY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건식 내화 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방화대책은 건물 내 인명안전, 소방활동의 확보, 화재 확대 방지, 재산보호, 건물도괴 방지 및 이에 따른 부지 주변의 위험방지 등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 건물에서 실시하는 방화대책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건축부재의 내화성능의 확보이다.
건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어느 일정한 공간의 방화구획을 통해 한정시킬 수 있다면 거주자의 피난활동 및 인명보호가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건물이나 수용품의 피해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재방지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재 공간을 구성하는 바닥, 벽 등의 구획부재이며, 이 구획부재는 피난통로를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또한 소방대의 소화활동이나 구조활동을 장애 없이 수행할 수 있는 거점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의 내화구조 인정제품들의 등급은 30분에서 내화성능 2시간까지 제품이 있으며, 구조별로 보면 방화석고보드를 이용한 스터드 벽체 방식, 일명 샌드위치 패널로 알려져 있는 철강재 벽체 방식, 콘크리트 패널과 암면, 유리면 등을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벽체 방식으로 내화구조인정을 취득하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이중 철강재 벽체구조는 내화성능이 최대 1시간으로 나타나 초고층 건물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건식벽체를 사용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CH-STUD에 방화 석고 보드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방화 석고 보드를 이용하여 건식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건식 벽체의 특성상 벽체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통해 화재가 쉽게 번질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샛 기둥을 강철로 사용하는 벽체의 구조상 외부의 열을 차단하지 못하면, 벽체의 구조가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화 성능이 보다 향상된 건식 내화 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는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샛 기둥; 복수의 샛 기둥의 뒤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 샛 기둥의 앞쪽에 배치되고, 배면 마감 보드와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 전면 바탕 보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난연 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난연 보드 중 두께 방향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난연 보드가 만나는 제1 이음매 부분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1 불연 쉬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의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은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의 제2 이음매 부분과 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고, 복수의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은 복수의 샛 기둥 중 일부 샛 기둥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난연 보드 각각은 전면 바탕 보드의 전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방화 보드; 방화 보드의 전면을 덮고,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섬유 시트와 난연제를 함유하는 압축 섬유 시트; 및 방화 보드의 측면과 압축 섬유 시트의 전면을 덮는 마감용 강판;를 포함하고, 복수의 난연 보드 각각에 구비된 마감용 강판은 제1 이음매 부분 사이로 노출되는 전면 바탕 보드를 이중으로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불연 쉬트는 제1 이음매 부분에서 마감용 강판과 전면 바탕 보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불연 쉬트의 면 방향 폭은 제1 이음매 부분의 면 방향 폭보다 크고, 이음배 부분의 명 방향 폭의 2배보다 작고, 제1 불연 쉬트의 두께는 마감용 강판의 두께보다 크고, 방화보드 두께보다 작은 범위에서, 0.5mm ~ 2mm 사이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불연 쉬트의 재질은 섬유 시트에 흑연을 포함하는 난연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난연성 입자는 흑연 이외에 무기 단열재, 우레탄 수지, 무기 난연제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샛 기둥은 CH 형 스터드(stud)를 포함하고, CH형 스터드의 앞쪽 전면부에는 전면 바탕 보드가 접하여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고, CH형 스터드의 뒤쪽에 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함몰홈에는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CH형 스터드에서 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함몰홈과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의 면 방향 측면 사이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2 불연 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불연 쉬트의 두께 방향으로의 폭은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의 두께와 동일하고, 제2 불연 쉬트의 두께는 0.5mm ~ 2mm 사이일 수 있으며, 제2 불연 쉬트의 재질은 제1 불연 쉬트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각 배면 마감 보드 사이에는 H형 스터드가 위치하고, H형 스터드는 수직 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함몰홈을 구비하고, 각 배면 마감 보드의 상하 측면은 함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H형 스터드의 함몰홈과 각 배면 마감 보드의 상하 측면 각각의 사이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3 불연 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는 건식 내화 벽체의 전면에 난연 보드를 배치하고, 난연 보드 사이의 제1 이음매 부분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1 불연 쉬트를 구비하여, 난연 보드 사이의 제1 이음매 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벽체의 차열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가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투시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정면도의 일례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배면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수직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난연 보드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에서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의 구조와 제1 불연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제1 이음매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에 적용되는 샛 기둥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불연 쉬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서 K1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불연 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3 불연 쉬트를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내화 벽체 전면에서 난연 보드의 이음매 부분에 화염을 가한 경우, 본 발명의 제1 불연 쉬트만 구비한 내화 벽체의 제1 예, 본 발명의 제2, 3 불연 쉬트만 구비한 내화 벽체의 제2 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내화 벽체 각각의 후면에서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13은 내화 벽체 후면에서 배면 마감 보드의 이음 부분에 화염을 가한 경우, 비교예에 따른 내화 벽체, 본 발명의 내화 벽체의 제1 예 및 내화 벽체의 제2 예 각각의 전면에서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더불어, 건식 내화 벽체의 전면 또는 배면이라는 의미는 반드시 건식 내화 벽체의 앞과 뒤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건식 내화 벽체의 어느 한쪽 면이 전면이라 칭하는 경우, 배면은 어느 한쪽 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10%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가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투시도의 일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정면도의 일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배면도의 일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수직 단면도의 일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의 난연 보드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건식 내화 벽체에서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의 구조와 제1 불연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제1 이음매 부분을 확대도, 도 8은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에 적용되는 샛 기둥의 수평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는 전면 바탕 보드(10), 배면 마감 보드(20), 샛 기둥(30a) 및 난연 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건식 내화 벽체는 건물 내부의 천정(1)과 바닥(2) 사이에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되, 두께 방향(y)으로 샛 기둥(30a)을 사이에 두고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가 이격되어 위치하고, 두께 방향(y)에 교차하는 면 방향(x)으로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10)와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가 길에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식 내화 벽체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천정(1)에 설치된 상부 러너(3)와 바닥(2)에 설치 및 고정된 하부 러너(4)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러너(3)와 하부 러너(4)는 U형 러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면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내화 벽체 중 배면 마감 보드(20)와 샛 기둥(30a)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전면 바탕 보드(10)와 난연 보드(40)는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고정된 샛 기둥(30a)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삽입되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고, 면 방향(x)으로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가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 각각이 샛 기둥(30a)의 뒤쪽에 면 방향(x)으로 형성된 함몰홈에 삽입 및 고정되어 면 방향(x)으로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면 마감 보드(20)의 면 방향(x) 폭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샛 기둥(30a) 사이의 중심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배면 마감 보드(20)의 면 방향(x) 폭은 350mm ~ 65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면 마감 보드(20)의 두께 방향(y) 두께는 일례로, 22.5mm ~ 27.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1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고, 면 방향(x)으로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10)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바탕 보드(10)는 배면 마감 보드(20)와 두께 방향(y)으로 이격되어, 샛 기둥(30a)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 각각이 샛 기둥(30a)에 고정되어 면 방향(x)으로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전면 바탕 보드(10)의 면 방향(x) 폭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마감 보드(20)의 면 방향(x) 폭 또는 각 샛 기둥(30a) 사이의 중심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샛 기둥(30a) 사이의 중심 간격의 3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바탕 보드(10)의 면 방향(x) 폭은 일례로, 850mm ~ 125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바탕 보드(10)의 두께 방향(y) 두께는 배면 마감 보드(20)의 두께 방향(y)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례로, 13.5mm ~ 16.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바탕 보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70)에 의해 샛 기둥(30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에 두께 방향(y)으로 이격된 공간은 상대적으로 공기로 채워지거나 미네랄울 또는 글라스 울이 채워져, 건식 내화 벽체의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의 두께 방향(y) 이격 간격은 전면 바탕 보드(10) 및 배면 마감 보드(20) 각각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건식 내화 벽체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의 두께 방향(y) 이격 간격은 45mm ~ 55mm 사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바탕 보드(10)는 면 방향(x)으로 복수 개가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전면 바탕 보드(10)가 면 방향(x)으로 서로 인접한 전면 바탕 보드(10)의 제2 이음매 부분(12)은 샛 기둥(30a)과 중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바탕 보드(10)는 전면 바탕 보드(10) 제2 이음매 부분(12)에서 중첩되는 샛 기둥(30a)에 나사못(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는 석고 보드, MGO 보드, CRC 보드 및 불연성 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 규격이 정하는 난연 1급 재료인 방화 석고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난연 보드(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방향(x)으로 형성된 면을 가지며,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전면 바탕 보드(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 보드(40)는 전면 바탕 보드(10)의 전면에 면 방향(x)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난연 보드(40)가 서로 인접하는 난연 보드(40)의 제1 이음매 부분(49)은 샛 기둥(30a)과 중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난연 보드(40)의 난연 보드(40) 제1 이음매 부분(49)과 전면 바탕 보드(10) 제2 이음매 부분(12)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면 방향(x)으로 서로 엇갈려 위치하되, 서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난연 보드(40)의 제1 이음매 부분(49)은 복수의 샛 기둥(30a) 중 일부 샛 기둥(30a)과 두께 방향(y)으로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난연 보드(40) 제1 이음매 부분(49)과 중첩되는 샛 기둥(30a)과 전면 바탕 보드(10) 제2 이음매 부분(12)과 중첩되는 샛 기둥(30a)은 교번하여 면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 보드(40)의 면 방향(x) 폭은 배면 마감 보드(20)의 면 방향(x)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전면 바탕 보드(10)의 면 방향(x)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850mm ~ 125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난연 보드(40)의 두께 방향(y) 두께는 전면 바탕 보드(10)의 두께 방향(y)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례로, 11.5mm ~ 13.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난연 보드(40)의 제1 이음매 부분(49)과 전면 바탕 보드(10) 제2 이음매 부분(12)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더욱 길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식 내화 벽체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보드(40)는 고온에 강한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건식 내화 벽체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난연 보드(40)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내화 벽체의 최외곽 전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난연 보드(4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전면 바탕 보드(10), 샛 기둥(30a) 및 배면 마감 보드(20), 샛 기둥(30a)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되도록 하여, 건식 내화 벽체의 내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 보드(40)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연 보드(40)는 방화 보드(41), 압축 섬유 시트(43) 및 마감용 강판(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화 보드(41)는 전면 바탕 보드(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재질은 석고 보드, MGO 보드, CRC 보드 및 불연성 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내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방화 석고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화 보드(41)의 두께는 11.5mm ~ 13.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 섬유 시트(43)는 난연제가 코팅된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보드(41)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섬유 시트(43)의 두께는 0.5mm 이상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섬유 시트(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 시트와 난연제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시트는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시트는 일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특성에 의해 난연 보드(40)의 내습성과 차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 섬유 시트(43)의 난연제는 섬유 시트에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무기계 난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할로겐계 난연제에서 생성 된 라디칼로 늦추거나 할로겐계 난연제에서 발생한 밀도 높은 가스가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불소, 브롬, 염소 및 요오드와 같은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인계 난연제는 연소 시 숯(char)를 형성하여 탈 수 있는 부분과의 접촉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인산에스테르 또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 (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포스파젠(phosphazene)과 같은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시에 물을 방출하는 기능을 하고, 일례로,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붕소함유 화합물, 또는 이산화규소(SiO2, 실리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난연 성능은 뛰어나나, 연소시에 독성 물질이 방출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인계 난연제는 난연 성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러나,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시 독성 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인계 난연제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축 섬유 시트(43)의 난연제로 무기계 난연제 중에서 보다 더 친환경적인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축 섬유 시트(43)에 함유된 난연제가 반드시 이산화규소(SiO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 섬유 시트(43)에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형성하면, 용융점이 매우 높은 이산화규소(SiO2)의 특성에 의해 난연 보드(40)의 내화 성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섬유 시트(43)는 일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섬유시트와 이산화규소를 다량 포함하는 황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시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할 경우,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특성에 의해 난연 보드(40)의 내습성과 차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섬유시트에 이산화규소를 60% 이상 포함하는 황토를 혼합하여 난연 보드(40)를 형성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만 형성된 섬유시트가 포함된 난연 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보드(40)는 황토에 포함된 이산화규소로 인하여 난연 보드(40)의 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난연성과 충격 흡수성을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보드(40)는 황토를 포함하므로, 기존의 석고 보드만을 포함한 건식 내화 벽체나 마그네슘보드를 포함한 건식 내화 벽체에 비하여, 인체 유해성이 거의 없는 친환경적인 건식 내화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마감용 강판(4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보드(41)의 전면을 덮는 압축 섬유 시트(43)와 방화 보드(41)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용 강판(45)의 두께는 0.6mm 이상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아연 도금 강판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용 강판(45)은 방화 보드(41)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면 방향(x)으로 돌출되는 이음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난연 보드(40) 각각에 구비된 마감용 강판(45)의 이음부(47)는 제1 이음매 부분(49) 사이로 노출되는 전면 바탕 보드(10)를 이중으로 덮을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보드(40)의 제1 이음매 부분(49)에서 서로 인접한 각 난연 보드(40)의 이음부(47)는 이중으로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된 이음부(47)를 관통하는 나사못(70)에 의해 난연 보드(40)가 샛 기둥(3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음부(47)는 난연 보드(40)를 샛 기둥(30a)에 고정할 때, 나사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제1 이음매 부분(49) 사이로 노출되는 전면 바탕 보드(10)를 이중으로 덮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로 인한 열기가 건식 내화 벽체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퍼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샛 기둥(30a)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러너(3) 및 하부 러너(4)에 삽입되어 천정(1)부터 바닥(2)까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설치되되,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 바탕 보드(10)와 배면 마감 보드(20)를 두께 방향(y)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면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2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각 샛 기둥(30a) 중심 사이의 간격은 일례로, 850mm ~ 1250mm 사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샛 기둥(30a)은 경량 강재 샛 기둥(30a)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샛 기둥(30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H 형 스터드(stu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샛 기둥(30a)은 반드시 CH 형 스터드(stu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c형 스터드가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샛 기둥(30a)이 CH 형 스터드(stud)로 구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CH 형 스터드는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에 함몰홈(31a), 앞쪽에 전면부(33a) 및 함몰홈(31a)과 전면부(33a)를 연결하는 연결부(35a)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샛 기둥(30a)으로 사용되는 CH 형 스터드의 함몰홈(31a)은 CH 형 스터드의 뒤쪽에 위치하고, 면 방향(x) 양측으로 함몰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H 형 스터드의 양측 함몰홈(31a)에는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샛 기둥(30a)으로 사용되는 CH 형 스터드의 전면부(33a)는 CH 형 스터드의 전면에 면 방향(x)으로 면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전면부(33a)에는 전면 바탕 보드(10)가 접하여 위치하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70)가 전면 바탕 보드(10)와 CH 형 스터드의 전면부(33a)를 관통 및 체결되어, 전면 바탕 보드(10)가 CH 형 스터드의 전면부(33a)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CH 형 스터드의 연결부(35a)는 전술한 CH 형 스터드의 함몰홈(31a)과 전면부(33a)를 두께 방향(y)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난연 보드(40)는 마감용 강판(45)의 이음부(47)를 관통한 나사못(70)에 의해 전면 바탕 보드(10)와 함께 CH 형 스터드의 전면부(33a)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식 내화 벽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난연 보드(40)가 만나는 제1 이음매 부분(49)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1 불연 쉬트(6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연 보드(40)의 제1 이음매 부분(49)에 제1 불연 쉬트(61)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제1 이음매 부분(49)을 통하여 불길이 확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효과적으로 불길을 차단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제1 불연 쉬트(61)는 제1 이음매 부분(49)에서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불연 쉬트(61)의 면 방향(x) 폭(W61)은 제1 이음매 부분(49)의 면 방향(x) 폭(W49)보다 크고, 이음배 부분의 면 방향 폭(W49)의 2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불연 쉬트(61)의 면 방향(x) 폭(W61)을 제1 이음매 부분(49)의 면 방향(x)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화재의 열기로 인하여 샛 기둥(30a)이 변형되거나, 전면 바탕 보드(10)가 수축하여, 제1 이음매 부분(49)의 면 방향(x) 폭이 더 벌어지거나,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보다 확실하게 제1 이음매 부분(49)을 통하여 화염과 열기가 확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불연 쉬트(61)의 두께(t61)는 마감용 강판(45)의 두께보다 크고, 방화보드 두께보다 작은 범위에서, 0.5mm ~ 2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불연 쉬트(61)의 재질은 섬유 시트에 흑연을 포함하는 난연성 입자가 분산 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난연성 입자로 흑연을 사용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열을 받았을 때, 팽창 발포되는 흑연의 특유한 성질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제1 불연 쉬트(61)가 화염이나 열에 노출될 경우 흑연이 팽창, 발포되어, 흑연의 발포로 발생되는 탄화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탄화층이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에서 제1 이음매 부분(49)을 기밀 및 차폐하여, 내화 벽체 내부로 진행되는 화염과 열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불연 쉬트(61)의 섬유 시트에 분산되는 난연성 입자는 흑연 이외에 무기 단열재, 우레탄 수지, 무기 난연제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불연 쉬트(61)가 제1 이음매 부분(49)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마감용 강판(45)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화염이나 열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제1 불연 쉬트(61)가 제1 이음매 부분(49)에 위치하되, 내화 벽체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된 경우, 제1 불연 쉬트(61)가 팽창, 발포되더라도, 탄화층이 제1 이음매 부분(49)을 기밀 및 차폐하는 정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제1 불연 쉬트(61)가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불연 쉬트(61)가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의 공간에 갖혀진 상태에서 팽창 및 발포되므로, 탄화층이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에서 압력을 받으며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탄화층이 제1 이음매 부분(49)에서 마감용 강판(45)과 전면 바탕 보드(10) 사이를 완벽히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화 벽체는 제1 불연 쉬트(61)를 구비하여, 내화 벽체의 전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이나 열기가 내화 벽체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확장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불연 쉬트(62)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서 K1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화 벽체는 CH형 스터드에서 면 방향(x) 양측으로 구비된 함몰홈과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의 면 방향(x) 측면 사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2 불연 쉬트(6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불연 쉬트(62)의 재질은 제1 불연 쉬트(61)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화염과 열기가 외부로부터 제2 불연 쉬트(62)에 가해지는 경우, 제2 불연 쉬트(62)는 팽창 및 발포되어 CH 형 스터드의 함몰홈(31a)과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에 탄화층을 형성하여, CH 형 스터드의 함몰홈(31a)과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의 결합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염이나 열기가 내화 벽체를 통과하여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불연 쉬트(62)의 두께 방향(y)으로의 폭(W62)은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2 불연 쉬트(62)의 두께(t62)는 0.5mm ~ 2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화 벽체는 제2 불연 쉬트(62)를 구비하여, 내화 벽체의 후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이나 열기가 내화 벽체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확장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불연 쉬트(63)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 벽체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가 수직 방향(z)으로 각각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z)으로 위치하는 각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에는 H형 스터드가 위치하고, H형 스터드는 수직 방향(z)으로의 양측에 각각 함몰홈을 구비하고, 각 배면 마감 보드(20)의 상하 측면은 함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H형 스터드의 함몰홈과 각 배면 마감 보드(20)의 상하 측면 각각의 사이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3 불연 쉬트(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불연 쉬트(63)의 재질은 제1 불연 쉬트(61)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과 열기가 외부로부터 제3 불연 쉬트(63)에 가해지는 경우, 제3 불연 쉬트(63)는 팽창 및 발포되어 H형 스터드의 함몰홈과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에 탄화층을 형성하여, H형 스터드의 함몰홈과 배면 마감 보드(20) 사이의 결합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염이나 열기가 내화 벽체를 통과하여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불연 쉬트(63)의 두께 방향(y)으로의 폭(W63)은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2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3 불연 쉬트(63)의 두께(t63)는 0.5mm ~ 2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1, 2, 3, 불연 쉬트를 각각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제1, 2, 3 불연 쉬트는 본 발명과 같은 내화 벽체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식 내화 벽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3 불연 쉬트를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2는 내화 벽체 전면에서 난연 보드(40)의 이음매 부분에 화염을 가한 경우, 본 발명의 제1 불연 쉬트(61)만 구비한 내화 벽체의 제1 예, 본 발명의 제2, 3 불연 쉬트만 구비한 내화 벽체의 제2 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내화 벽체 각각의 후면에서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고, 도 13은 내화 벽체 후면에서 이음매 부분에 화염을 가한 경우, 비교예에 따른 내화 벽체, 본 발명의 내화 벽체의 제1 예 및 내화 벽체의 제2 예 각각의 전면에서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비교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비교예에 따른 내화 벽체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 벽체의 구성과 비교하여, 전면 바탕 보드(10)가 2층으로 구성된 점을 제외하면, 샛 기둥(30a), 배면 마감보드, 전면 바탕 보드(10) 및 난연 보드(40)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비교예의 경우, 본 발명과 비교하여, 전면 바탕 보드(10)가 더 두껍게 형성되었다.
실험에는 대형 LPG 토치가 사용되었으며, 도 12의 경우, 본 발명의 제1, 2 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내화 벽체의 전면에서 대형 LPG 토치로 2시간 동안 1200℃ 이상의 온도로 화염을 방사하여, 각 내화 벽체의 후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고, 도 13의 경우, 본 발명의 제1, 2 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내화 벽체의 후면에서 대형 LPG 토치로 2시간 동안 1200℃ 이상의 온도로 화염을 방사하여, 각 내화 벽체의 전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제1, 2에 따른 내화 벽체는 가열 5분 후부터 제1, 2, 3 불연 쉬트의 팽창 및 발포가 시작되어, 각 이음매 또는 조인트 부분을 탄화층이 밀실하게 채우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화 벽체의 전면에서 가열을 한 경우, 대략 가열 30분 이후부터 본 발명의 제1, 2예와 비교예 사이에 내화 벽체의 후면의 온도가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이후로 2시간 동안 본 발명의 제1, 2예와 비교예 사이의 온도차가 대략 12°C 이상으로 온도차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화 벽체의 후면에서 가열을 한 경우, 대략 가열 15분 이후부터 본 발명의 제1, 2예와 비교예 사이에 내화 벽체의 후면의 온도가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이후로 2시간 동안 본 발명의 제1, 2예와 비교예 사이의 온도차가 대략 23°C 이상으로 온도차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 벽체는 제1, 2, 3 불연 시트를 적용하여, 내화 성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면 바탕 보드(10)를 이중으로 구비한 경우보다 더 뛰어난 내화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건물 내부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샛 기둥;
    상기 복수의 샛 기둥의 뒤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
    상기 샛 기둥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 마감 보드와 상기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 및
    상기 전면 바탕 보드의 전면에 배치되어, 각각이 상기 전면 바탕 보드의 전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방화 보드와 상기 방화 보드의 전면과 측면을 덮는 마감용 강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난연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난연 보드 중 상기 두께 방향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난연 보드가 마주보는 제1 이음매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난연 보드 각각에 구비된 상기 마감용 강판은 상기 제1 이음매 부분 사이로 노출되는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 부분에서 마감용 강판의 이음부 후면과 상기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 전면 사이에 상기 면 방향으로 길게 흑연 재질의 난연성 입자가 분산 함유된 난연제를 포함하는 제1 불연 쉬트가 구비되고,
    상기 샛 기둥은 CH 형 스터드를 포함하고,
    상기 CH형 스터드의 앞쪽 전면부에는 상기 전면 바탕 보드가 접하여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CH형 스터드의 뒤쪽에 상기 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함몰홈에는 상기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CH형 스터드에서 상기 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함몰홈과 상기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의 상기 수평 방향 끝단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불연 쉬트의 재질과 동일할 제2 불연 쉬트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각 배면 마감 보드 사이에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함몰홈을 갖는 H형 스터드가 위치하고,
    상기 H형 스터드와 상기 각 배면 마감 보드의 상기 수직 방향 끝단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불연 쉬트의 재질과 동일한 제3 불연 쉬트가 구비되는 건식 내화 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전면 바탕 보드의 제2 이음매 부분과 상기 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고,
    상기 복수의 난연 보드의 제1 이음매 부분은 상기 복수의 샛 기둥 중 일부 샛 기둥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여 위치하는 건식 내화 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난연 보드 각각은
    상기 방화 보드와 상기 마감용 강판 사이에 플라스틱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섬유 시트와 난연제를 함유하는 압축 섬유 시트;를 더 포함하는 덮는 건식 내화 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연 쉬트는 상기 제1 이음매 부분에서 상기 마감용 강판과 상기 전면 바탕 보드 사이에 위치하는 건식 내화 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연 쉬트의 상기 면 방향 폭은 상기 제1 이음매 부분의 면 방향 폭보다 크고, 상기 이음매 부분의 명 방향 폭의 2배보다 작은 건식 내화 벽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연 쉬트의 두께는 상기 마감용 강판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방화보드 두께보다 작은 범위에서, 0.5mm ~ 2mm 사이인 건식 내화 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입자는 흑연 이외에 무기 단열재, 우레탄 수지, 무기 난연제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건식 내화 벽체.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연 쉬트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복수의 배면 마감 보드의 두께와 동일한 건식 내화 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연 쉬트의 두께는 0.5mm ~ 2mm 사이인 건식 내화 벽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66062A 2017-12-05 2017-12-05 건식 내화 벽체 KR10209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62A KR102099862B1 (ko) 2017-12-05 2017-12-05 건식 내화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62A KR102099862B1 (ko) 2017-12-05 2017-12-05 건식 내화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88A KR20190066388A (ko) 2019-06-13
KR102099862B1 true KR102099862B1 (ko) 2020-05-29

Family

ID=6684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062A KR102099862B1 (ko) 2017-12-05 2017-12-05 건식 내화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809A (zh) * 2019-08-16 2019-12-03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无机不燃板的安装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289989B1 (ko) * 2021-06-22 2021-08-13 정영환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
KR102486780B1 (ko) * 2022-10-26 2023-01-11 주식회사 신조건영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 시공 방법
KR102533204B1 (ko) * 2023-02-07 2023-05-17 주식회사 플랜모리 한옥 리모델링 시공을 위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225A (ja) * 2000-12-22 2002-07-05 Toyo Tire & Rubber Co Ltd 耐火断熱パネルのジョイント構造
KR101767441B1 (ko) * 2017-03-02 2017-08-11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판넬에 부착되는 화재확산 방지용 불연 탄성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52B1 (ko) * 2017-01-18 2020-03-04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225A (ja) * 2000-12-22 2002-07-05 Toyo Tire & Rubber Co Ltd 耐火断熱パネルのジョイント構造
KR101767441B1 (ko) * 2017-03-02 2017-08-11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판넬에 부착되는 화재확산 방지용 불연 탄성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88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862B1 (ko) 건식 내화 벽체
KR101383043B1 (ko) 난연성을 구비한 반사형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9775B1 (ko) 준불연 우레탄계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126900B1 (ko)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
KR101735884B1 (ko) 커튼월 내화충전구조용 단열재를 포함하는 층간 방화 구조물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1060311B1 (ko) 고단열성의 난연성 복합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KR101875500B1 (ko) 내열 성능이 향상된 방화도어용 내부 충진재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KR20200090287A (ko)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패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371B1 (ko) 내화 칸막이
KR101973665B1 (ko) 내화 칸막이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JP2019218853A (ja) 耐火構造
KR102129848B1 (ko) 내화 칸막이
KR102084652B1 (ko) 내화 칸막이
KR102319048B1 (ko) 단열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JP4700215B2 (ja) 防火区画壁
JP2011026953A (ja) 防火区画壁
KR101835135B1 (ko) 샌드위치 패널 간 접합부에서 화염 및 열의 침투를 차단하는 화염 및 열 차단 부재
RU2015115686A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зданий
KR102084654B1 (ko) 내화 칸막이
JP2021008712A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および断熱パネル耐火用被覆体
KR102649837B1 (ko) 화재지연 및 확산방지용 샌드위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