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939B1 -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939B1
KR101401939B1 KR1020110117837A KR20110117837A KR101401939B1 KR 101401939 B1 KR101401939 B1 KR 101401939B1 KR 1020110117837 A KR1020110117837 A KR 1020110117837A KR 20110117837 A KR20110117837 A KR 20110117837A KR 101401939 B1 KR101401939 B1 KR 10140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rame
room
wooden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417A (ko
Inventor
여인환
민병렬
조범연
조경숙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9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목골조 경량벽체에 있어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제작된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골조 경량벽체는 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하부목재프레임;상기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의 상하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을 서로 구분하도록 설치된 중인방(Midddle Lintel; 및 상기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과 중인방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양 내화용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WOOD FRAMED LIGHTWEIGHT WALL CONSTRUCTION METHOD WITH MIDDLE LINTEL}
본 발명은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목골조 경량벽체에 있어 내화성능 및 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서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소비형 친환경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고조와 함께 한옥을 비롯한 목조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지속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서울을 비롯한 몇몇 지자체에서 정책적으로 한옥 지원 사업을 벌인 결과 새로운 시대의 주거 및 활동 공간으로서 한옥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많은 예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사적 혹은 공적 공간으로서 성공적인 한옥의 사례는 이제 주변에서 그리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이제는 한옥의 보존 문제가 아니라 시대에 걸맞은 한옥을 만들어 내는 문제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된 것이다.
전통 목조건축물인 한옥은 단층 혹은 2층 규모의 건축물이 주종이지만 고성능, 고기능성 집성재들이 개발되고, 목조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층, 대공간의 목조건축 활성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건축물의 층수가 늘어나고 대공간화, 다수의 인원을 수용하는 공간이 되어감에 따라 목조건축물의 화재안전기술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간막이벽은 차음성능을 확보해야 하므로 목조주택의 경우 세대간 벽은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한옥등과 같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목골조 경량벽체(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목골조 경량벽체(10)는 깔도리(11,12)가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깔도리 사이에 기둥부재인 스터드(12)가 다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면 깔도리(11)에 작용하는 하중(지붕)은 스터드(12)를 통해 하면 깔도리(12)로 전달(최종 바닥으로 전달))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목골조 경량벽체(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마감보드(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마감보드(20)는 합판, 석고보드 등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통상의 목골조 경량벽체(10)의 마감보드(20) 사이에 다양한 단열재(30)가 설치된다.
이에 종래 상기 목골조 경량벽체(10)는 기본적인 하중 지지 역할 및 단열성능 확보는 충분히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목골조 경량벽체(10)도 목조건축물로서 화재안전을 위해 필요한 내화성능을 확보해야 하지만 4층이상 고층화되는 목골조 경량벽체에 있어 고유의 전통인방재를 포함하면서 내화성능과 차음성능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 친환경적이고 미관도 뛰어난 목골조 경량벽체는 아직 소개되지 않고 있다.
건축물에 있어 내화구조는 화재확산 및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방화구획요소 및 구조적 붕괴 방지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목골조 경량벽체에 있어서 관련 규정(내화실험 관련 규정: KS F 2257-1「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일반요구사항」, KS F 2257-8「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수직 비내력 구획 부재의 성능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면서도 하중 지지에도 유리하며, 친환경 목골조 경량벽체를 제공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면서도 미관도 뛰어난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중인방(Midddle Lintel)을 이용하여 목골조 경량벽체를 제작하게 된다. 원래 인방(Lintel)은 창, 문 등 개구부 바로 위의 벽을 받치기 위해 걸쳐진 콘크리트, 돌, 나무 혹은 스틸의 수평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방은 통상 스터드(Stud)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인방을 상,하부 목재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하부 목재프레임을 서로 상하로 구분되도록 하는 중인방으로 설치되도록 하였다.
상기 중인방(Midddle Lintel)은 상,하부 목재프레임을 서로 이격시켜 구분함으로서 상,하부 목재프레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이에 상기 중인방(Midddle Lintel)과 상,하부 목재프레임과의 경계(접촉부위)에는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내화처리(난연처리)를 통해 중인방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상,하부 목재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는 통상 마감보드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특히 황토보드와 같은 내화용 보드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보다 친환경적인 목골조 경량벽체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황토보드는 석고보드와 마찬가지로 내화용 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과 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하부목재프레임을 제작하고,
상기 상부목재프레임과 하부목재프레임을 내화처리된 목재인 중인방을 이용하여 서로 상,하로 연결시켜 일체화시키고,
이에 상기 중인방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부목재프레임과 하부목재프레임을 건축물 바닥에 벽체가 형성되어야 부위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 바닥에 고정 설치된 상부목재프레임과 하부목재프레임의 스터드 사이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설치된 상부목재프레임과 하부목재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내화용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인방(Midddle Lintel)의 내화처리는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의 경계에 쉬트형태의 난연재를 설치하여, 상기 중인방이 상부목재프레임과 하부목재프레임에 발생된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중간매개체 역할하도록 하는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는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벽체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목골조 경량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벽체는 한국적 건축언어로서 벽체 중간부에 중인방을 포함하는 벽체인데 이와 같이 중인방이 이용되는 전통방식의 벽체 구조는 보-기둥방식의 가구식 구조이므로 벽체자체의 내력은 중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벽체에 사용되는 스터드는 내력도 부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내력, 비내력벽체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벽체의 내화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하여 내화성능을 확인하였다.
중인방을 포함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내화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 [표 1]과 같은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한옥의 일반적 벽체두께를 고려하여 벽체의 두께는 150㎜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골조는 목구조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38×89㎜(2×4)크기의 목재 스터드와 150×150㎜ 단면의 중인방 목재, 12.5㎜ 방화석고보드를 이용해 단열재 종류별로 벽체를 구성하고 각 실험체별 내화성능을 측정하였다.
구분 구성
실험체-1 -벽체 두께 : 139mm
방화석고보드(12.5mm ×2겹)
+목재스터드(38mm×89mm, 간격 600mm)
+방화석고보드(12.5mm ×2겹)
-중인방(150mm ×150mm)
실험체-1 -벽체 두께 : 139mm
방화석고보드(12.5mm ×2겹)
+목재스터드(38mm×89mm, 간격 600mm)
+글라스울단열재(두께 50mm, 밀도 24kg/m3)+방화석고보드(12.5mm ×2겹)
-중인방(150mm ×150mm)
실험체-1 -벽체 두께 : 139mm
방화석고보드(12.5mm ×2겹)
+목재스터드(38mm×89mm, 간격 600mm)
+글라스울단열재(두께 50mm, 밀도 9kg/m3)+방화석고보드(12.5mm ×2겹)
-중인방(150mm ×150mm)
실험체 제작에 사용한 스터드와 중인방은 북미산 미송(Douglas-fir) 집성목재를 사용하였다.
150× 150㎜ 단면의 중인방을 경계로 38×89㎜ 스터드 및 깔도리로 구성된 상하 벽체 골구를 제작하고 실험체별로 한쪽면 방화석고보드 시공, 단열재시공, 반대편 방화석고보드 마감시공 순으로 3000×3000㎜크기의 벽체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체-2, 3의 단열재는 각각 밀도 24, 9㎏/㎥의 유리면 단열재를 시공하였다.
내화실험 결과 3개 실험체 모두 차염성 상실로 인해 각각 92분, 98분, 99분만에 실험을 종료하였다.
차염성에 문제가 발생한 부분은 모두 중인방과 방화석고보드 경계면으로서 이 부분에서 불꽃이 발생하였다. 실험체-1, 2, 3의 내화성능은 각각 91분, 97분, 98분으로 나타났다.
단열재를 넣지 않은 실험체-1의 경우 실험시작 92분 후 가열이면의 평균온도는 84℃로 나타났으며, 유리섬유 단열재를 넣은 실험체-2, 3의 경우 각각 시험시작 98분과 99분 후 가열이면의 평균온도는 105℃, 103℃로 차열성능을 모두 만족하였다.
유리면 단열재가 없는 실험체-1에 비해 단열재가 들어간 실험체-2, 3은 각각 6분, 7분정도 내화성능이 더 유지되는 차이를 보였다.
실험결과 목골조 경량벽체의 내화성능은 중인방 주변의 차염성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재스터드 경량벽체 중인방의 난연처리와 중인방에 인접한 경계면 처리방법 개선을 통해 벽체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은 이러한 경계면에 난연처리를 하여 보다 확실한 내화성능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우 중인방을 통해 상하로 구분된 상부 및 목재프레임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의 전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며, 높이가 커진 목골조를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목골조 경량벽체 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목골조 경량벽체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완성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실시예들을 사시도이다.
[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실시예 1]
실시예 1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100)는 상부목재프레임(110); 하부목재프레임(120); 중인방(Midddle Lintel ,130); 및 양 내화용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a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동일한 사각틀 형태로 제작된다.
먼저, 상부목재프레임(110)은 상부 및 하부깔도리(111,11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깔도리(111)의 저면과 하부 깔도리(112)의 상면 사이에 연장 형성된 스터드(11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와 스터드(113)는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목재프레임(120)도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사이에 연장형성된 스터드(12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역시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와 스터드(123)는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의 목골조 경량벽체(100)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은 목골조 경량벽체는 그 높이가 커짐에 따라 기둥부재인 스터드(13)의 높이도 함께 커져야 하고 이에 따라 스터드(13)의 단면도 커져야 하는데 본 발명은 스터드(13)의 단면을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2a와 같이 2개의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서로 상하로 연결하여 원하는 높이의 목골조 경량벽체로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연결을 위하여 중인방(130)이 이용된다.
원래 인방은 인방(Lintel)은 창, 문 등 개구부 바로 위의 벽을 받치기 위해 걸쳐진 콘크리트, 돌, 나무 혹은 스틸의 수평부재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방을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서로 연결시켜주면서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이 서로 연결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목재프레임(120)에 하중을 분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골조 경량벽체의 구조적인 성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에 발생된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중간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서 차열성 및 차염성 확보에 중요한 역활을 하게 된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난연처리를 할 경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난연처리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쉬트 형태 등의 난연재를 부착 또는 장착하면 된다.
이에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하로 서로 구분되어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기본적은 목골조 경량벽체 역할을 하게 되는데 재질은 모두 목재(집성목 등)이므로 화재에 의하여 탄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용보드(140)를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역시 철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화용보드(140)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석고보드(141)인데 이러한 석고보드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내화용보드(140)로서 도 2a와 같이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역시 철못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이러한 내화용보드(140) 사이 및 각 스터드(113,123) 사이에 유리면섬유와 같은 다양한 단열재(150)를 삽입함으로서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용보드(140) 및 단열재(150)에 의하여 기본적인 차음효과도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실시예 2]
실시예 2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는 실시예 1과 달리 내화용보드(140)에 차이가 있다. 즉, 내화용보드(140)로서 황토보드(142)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실시예 2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100)도 상부목재프레임(110); 하부목재프레임(120); 중인방(Midddle Lintel ,130); 및 양 내화용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b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역시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동일한 사각틀 형태로 제작된다.
먼저, 상부목재프레임(110)은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 사이에 연장 형성된 스터드(113)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와 스터드(113)는 역시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된다.
다음으로 역시 하부목재프레임(120)은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 사이에 연장 형성된 스터드(12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와 스터드(123)는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의 목골조 경량벽체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사이에 역시 중인방(130)이 설치된다.
이에 중인방은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서로 연결시켜주면서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이 서로 구분될 수 하게 됨은 동일하다.
이에 역시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목재프레임(120)에 하중을 분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골조 경량벽체의 구조적인 성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에 발생된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중간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서 차열성 및 차염성 확보에 중요한 역활을 함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난연처리를 위해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쉬트 형태 등의 난연재를 부착 또는 장착하게 된다.
역시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하로 서로 구분되어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기본적은 목골조 경량벽체 역할을 하게 되는데 재질은 모두 목재(집성목 등)이므로 화재에 의하여 탄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용보드(140)를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역시 철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화용보드(140)로 사용되는 것이 황토보드(142)이다.
황토보드(142)는 황토를 보드 형태로 제작한 것인데, 이러한 황토를 보드형태로 제작하여 내화용보드로 사용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황토가 탄화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황토는 친환경재료로서 한옥 벽체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목골조 경량벽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간단하게 역시 철못 등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벽체의 미관을 증진시키고, 친환경적인 목골조 경량벽체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역시 도 3과 같이 이러한 내화용보드(140) 사이 및 각 스터드(113,123) 사이에 유리면섬유와 같은 다양한 단열재(150)를 삽입함으로서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역시 상기 내화용보드(140) 및 단열재(150)에 의하여 기본적인 차음효과도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실시예 3]
실시예 3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는 실시예 1,2의 조합이라 할 수 있다. 즉, 즉, 내화용보드(140)로서 석고보드(141)와 황토보드(142)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실시예 3에 의한 목골조 경량벽체(100)도 역시 상부목재프레임(110); 하부목재프레임(120); 중인방(Midddle Lintel ,130); 및 양 내화용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c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역시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동일한 사각틀 형태로 제작된다.
이에 상부목재프레임(110)은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 사이에 연장형성된 스터드(11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11,112)와 스터드(113)는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도록 함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하부목재프레임(120)은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 상면 상방으로 연장된 스터드(123)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깔도리(121,122)와 스터드(123)은 서로 철못으로 결합되도록 하게 됨도 동일하다.
이러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의 목골조 경량벽체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역시 중인방(130)이 설치된다.
이에 역시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목재프레임(120)에 하중을 분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골조 경량벽체의 구조적인 성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인방(130)은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에 발생된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중간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서 차열성 및 차염성 확보에 중요한 역활을 함은 역시 동일하다.
역시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난연처리를 위해 하부목재프레임(120)과 중인방(130)의 경계에 쉬트 형태 등의 난연재를 부착 또는 장착하게 된다.
역시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하로 서로 구분되어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은 기본적은 목골조 경량벽체 역할을 하게 되는데 재질은 모두 목재(집성목 등)이므로 화재에 의하여 탄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용보드(140)를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역시 철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화용보드(140)로 사용되는 것이 앞서 살펴본 석고보드(141)와 황토보드(142)이다.
즉, 실시예 3은 내하용보드(140)로서 목골조 경량벽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석고보드(141)를 설치하고, 석고보드(141)의 반대편에는 황토보드(142)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내벽에는 황토보드(142) 또는 석고보드(141)가 전면 및 배면에 모두 설치된 목골조 경량벽체를 이용하고 외벽은 실시예 3과 같이 황토보드(142)와 석고보드(141)가 어느 한쪽 면에 설치된 목골조 경량벽체를 이용하면 된다.
역시 상기 상기 내화용보드(140) 및 단열재(150)에 의하여 기본적인 차음효과도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시공방법 ]
본 발명의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시공방법을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이 현장에서 목재를 반입하고,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제작하게 된다.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면 되고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게 되므로 높이를 설계에 맞추어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내화처리된 중인방(130)에 의하여 서로 상, 하로 연결시켜 일체화시키고,
이에 상기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 하로 연결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건축물 바닥에 벽체가 형성되어야 부위를 따라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에 건축물 바닥에 중인방(130),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이 서로 연결된 것이 고정 설치되면 도 3과 같이 단열재(150)를 스터드(113,123) 사이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는 유리섬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여 마치 솜처럼 형성되어 스터드 사이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설치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본 발명에 의한 내화용보드(14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내화용보드(140)는 석고보드(141) 또는 황토보드(142)를 이용할 수 있는데 간단하게 철못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이에 내화용보드(140)에 의하여 전면 및 마감된 목골조 경량벽체(100)는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도록 설치되며, 다층건물 및 천정이 높은 단층건물에 매우 유용하고, 화재 시 내화처리에 의한 탄화속도를 충분히 지연시킬 수 있어 한옥의 화재 발생에 의한 안전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0: 본 발명의 목골조 경량벽체
110: 상부목재프레임
111: 상부 깔도리
112: 하부 깔도리
113: 스터드
120: 하부목재프레임
121: 상부 깔도리
122: 하부 깔도리
123: 스터드
130: 중인방
140: 내화용보드
141: 석고보드
142: 황토보드
150: 단열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깔도리(111,112)와 스터드(113)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깔도리(121,122)와 스터드(123)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하부목재프레임(120)을 제작하고,
    상기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내화처리된 목재인 중인방(130)을 이용하여 서로 상,하로 연결시켜 일체화시키고,
    이에 상기 중인방(130)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을 건축물 바닥에 벽체가 형성되어야 부위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 바닥에 고정 설치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스터드 사이사이에 단열재(15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설치된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내화용보드(1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인방(Midddle Lintel ,130)의 내화처리는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110,120)의 경계에 쉬트형태의 난연재를 설치하여, 상기 중인방이 상부목재프레임(110)과 하부목재프레임(120)에 발생된 화재가 서로 전이되지 않도록 중간매개체 역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 내화용보드(140)는 상부 및 하부 목재프레임(110,120)와 중인방(130)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석고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 내화용보드(140)는 상부 및 하부 목재프레임(110,120)와 중인방(130)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황토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 내화용보드(140)는 상부 및 하부 목재프레임(110,120)와 중인방(130)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 황토보드와 석고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KR1020110117837A 2011-11-11 2011-11-11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KR10140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837A KR101401939B1 (ko) 2011-11-11 2011-11-11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837A KR101401939B1 (ko) 2011-11-11 2011-11-11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417A KR20130052417A (ko) 2013-05-22
KR101401939B1 true KR101401939B1 (ko) 2014-06-09

Family

ID=4866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837A KR101401939B1 (ko) 2011-11-11 2011-11-11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02B1 (ko)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834A (zh) * 2015-05-15 2015-08-12 贵州剑河园方林业投资开发有限公司 一种低成本木结构墙体及其制作方法
KR102372757B1 (ko) * 2018-06-11 2022-03-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골목구조를 이용하는 목조주택의 모듈화 설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622A (ko) * 2006-02-11 2006-03-03 김기태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200412103Y1 (ko) * 2006-01-12 2006-03-22 김재춘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US20060075703A1 (en) * 2004-10-09 2006-04-13 Simmons Robert J Defined relative-motion tongue-and-groove building-surfacing-panel interface
JP2007262660A (ja) * 2006-03-27 2007-10-11 Jfe Steel Kk 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耐力壁パネル、建築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703A1 (en) * 2004-10-09 2006-04-13 Simmons Robert J Defined relative-motion tongue-and-groove building-surfacing-panel interface
KR200412103Y1 (ko) * 2006-01-12 2006-03-22 김재춘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60019622A (ko) * 2006-02-11 2006-03-03 김기태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JP2007262660A (ja) * 2006-03-27 2007-10-11 Jfe Steel Kk 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耐力壁パネル、建築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02B1 (ko)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417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895B1 (ko) 시공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그 단열패널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EP3102750B1 (en) Building with modules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building
JP6391001B2 (ja) 耐火集成材
KR101401939B1 (ko) 중인방을 이용한 목골조 경량벽체 시공방법
JP2017193950A (ja) 耐火構造物
CN104805928A (zh) 泵浇芯材纤维板覆面夹心保温外墙
CN104963610B (zh) 一种防火门
KR102023715B1 (ko) 목재 방화문
JP2014101751A (ja) 防火区画方法
KR101544921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단열 구조체
CN204662693U (zh) 一种防火吸音装饰板
JP6338103B2 (ja) 耐火集成材
JP4700215B2 (ja) 防火区画壁
CN212984426U (zh) 一种多层复合保温轻质石膏板
KR20180096002A (ko) 건식 벽체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JP7313870B2 (ja) 耐火被覆構造および耐火被覆工法
WO2013178074A1 (zh) 一种非承重内墙隔断墙体板材
JP2006104702A (ja) 高断熱性−耐燃焼性基礎建材
CN202248321U (zh) 一种外墙外防火保温系统
JP2017179700A (ja) 木質耐火構造の接合部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2002356943A (ja) 外壁構造
JPH0125134Y2 (ko)
CN214738957U (zh) 一种防火效果好的厨房用装配式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