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25B1 -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25B1
KR102084525B1 KR1020180025540A KR20180025540A KR102084525B1 KR 102084525 B1 KR102084525 B1 KR 102084525B1 KR 1020180025540 A KR1020180025540 A KR 1020180025540A KR 20180025540 A KR20180025540 A KR 20180025540A KR 102084525 B1 KR102084525 B1 KR 10208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nels
arm member
member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941A (ko
Inventor
조조 이시다
이리 타케시타
나오유키 타케스에
히데오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도쿄 메트로폴리탄 유니버시티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토 기쥬츠 소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도쿄 메트로폴리탄 유니버시티,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토 기쥬츠 소켄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9010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to posts
    • E04B2/744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to posts hing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04B1/6129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the connection made by expa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8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with rotating shell-forming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4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for free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Manipulator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pecial Wing (AREA)
  • Paper (AREA)
  • Dicing (AREA)

Abstract

복수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부재, 및 복수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부재가 포함되고, 확장되고 수축될 수 있는 제1 링크 부재는 제1 구성 부재에 연결되며, 확장되고 수축될 수 있는 제2 링크 부재는 제2 구성 부재에 연결되고, 구성 부재들 각각은 링크 부재들 각각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 확장되고 수축될 수 있으며, 제1 구성 부재 및 제2 구성 부재는 회전 축선들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각각, 자유 조인트를 통해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의 양쪽 모두의 단부들에 연결되고,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EXPENSION DEVICE OF PANELS}
본 발명은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01)는, 철도 차량(rolling stock)의 차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후드 내부에 형성된 연결 통로의 측벽, 상부 벽 또는 하부 벽과 같은 내부 벽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로서 공지되어 있다.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01)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축들(102a, 103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된 차체들(110, 111)의 단부 표면들(110a, 111a)에 커플링된 측면 패널들(102, 103)을 포함하고, 측면 패널들(102, 103)의 외부측에 제공된 중앙 패널(104)은 단부 표면들(110a, 111a)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되며 링크 부재(105)로 인해 단부 표면들(110a, 111a) 사이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링크 부재(105)는 중앙 패널(104)의 외부측에 연결되고, 그의 양 측면들은 차체들(110, 111)의 단부 표면들(110a, 111a) 상에 제공된 축들(110b, 111b)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다음에,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01)는 차체들(110, 111)에 제공된 연결 통로(113)의 측벽, 상부 벽 및 하부 벽과 같은 내부 벽들(114)을 구성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01)에서는, 차체들(110, 111)의 단부 표면들(110a, 111a) 사이의 방향의 길이는 측면 패널들(102, 103)의 내부측 선단들이 서로 맞닿는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짧게할 수 없고, 그리고 그 길이를 짧게하기 위해서는 패널들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측면 패널들(102, 103)은 단부 표면들(110a, 11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 패널(104)은 링크 부재(105)에 연결되며, 측면 패널들(102, 103) 및 중앙 패널(104)이 상이한 기구들에 의해 제어되어, 패널들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에 비해, 패널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길이를 최단으로할 때 그 양단부들의 방향의 길이를 더 짧게할 수 있는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부재 및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부재를 포함하며,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1 링크 부재가 제1 구성 부재에 연결되고,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2 링크 부재가 제2 구성 부재에 연결되며, 구성 부재들 각각은 링크 부재들 각각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고, 제1 구성 부재 및 제2 구성 부재는 회전 축들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각각 자유 조인트를 통해서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의 양단부들에 연결되고, 그리고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는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1 주 아암 부재 및 제2 주 아암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아암 부재들 각각의 일단부를 제2 주 아암 부재에 그리고 그의 타단부를 제1 주 아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링크 부재는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3 주 아암 부재 및 제4 주 아암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아암 부재들 각각의 일단부를 제4 주 아암 부재에 그리고 그의 타단부를 제3 주 아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고, 제1 링크 부재에서 주 아암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에서 주 아암 부재는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 중 하나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링크 부재에서 연결 아암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에서 연결 아암 부재는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구성 부재의 양단부들에 제공되는 패널들은 임의의 주 아암 부재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구성 부재의 양단부들 또는 연결 아암 부재들 중 하나 이외의 임의 다른 곳에 제공되는 패널에는 회전 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회전 축에 나머지가 느슨하게 끼워맞춤되고 연결된다.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는 철도 차량의 차체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부재, 및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부재를 포함하며,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1 링크 부재가 제 1 구성 부재에 연결되고,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2 링크 부재가 제2 구성 부재에 연결되고, 그리고 구성 부재들 각각은 링크 부재들 각각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 확장 및 수축될 수 있어 구성 패널들의 수는 종래 기술의 구성 패널들의 수보다 많아질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의 양단부들간의 최대 길이를 더 길게할 수 있고 그 최소 길이를 더 짧게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성 부재 및 제2 구성 부재는 회전 축들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자유 조인트를 통해 연결 링크 아암 부재의 양단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그리고 제 1 링크 부재 및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분리될 수 있어, 예를 들어,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하나의 차체의 상하 방향의 축 및 다른 차체의 상하 방향의 축이 비틀린 위치 관계에 있을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는 확장 또는 수축에 의해 만족스럽게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가 철도 차량의 차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 통로의 측벽으로서 적용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를 외부측에서 본 경우의 선도이다.
도 3은, 도 2의 E-E 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링크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선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선도이다.
도 7은,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하나의 차체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의 상하 방향의 축이 도 4의 상태로부터 비틀린 위치 관계에 있는 상태의 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의 일 예를 외부측에서 본 경우의 개략적인 선도이다.
도 9는, 도 8에 사용된 링크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외부측에서 본 경우의 개략적인 선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F 선의 단부면 개략 선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사용된 링크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차체들 사이에 장착된 종래 기술의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를 위에서부터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를 외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는, 철도 차량(rolling stock) 및 연결식 버스(connected bus)와 같은 복수 개의 차체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차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 통로의 내부 벽들로서, 측벽, 상부 벽 및 하부 벽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이 설명은 철도 차량의 연결 통로의 측벽에 적용되는 실시예들에 기초한다. 선도에서, 윤곽선들은 선도들의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해 생략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가 철도 차량의 차체들(9A, 9B) 사이에 확장 디바이스(1)를 제공함으로써 연결 통로(9C)의 측벽(9D)으로서 적용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2에서 A-A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가정하고, B-B 방향은 차체들의 단부 표면들 사이의 방향(수평 방향)으로 가정하고, 도 1의 상부측은 내부측(C)으로 가정하고, 하부측은 외부측(D)으로 가정한다.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를 포함한다.
제1 구성 부재(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4), 제2 패널(5), 및 제3 패널(6)의 3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이들 패널들은 이웃한 패널들의 적어도 일부분들이 차체들(9A, 9B)의 단부 표면들(9a, 9c) 사이의 B-B 방향(수평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구성 부재(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패널(7), 제5 패널(8), 및 제6 패널(9)의 3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이들 패널들은 이웃한 패널들의 적어도 일부분들이 차체들(9A, 9B)의 단부 표면들(9a, 9c) 사이의 B-B 방향(수평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패널(4)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측 단편(inner-side piece)(4a) 및 외부측 단편(4b)이 판 부재가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내부측 단편(4a) 및 외부측 단편(4b)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제2 패널(5)의 대향측 상의 단부들이,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 및 수직 A-A 방향으로의 제2 패널(5)측이 개방되도록 연결 부분(4c)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패널(4)에는 제2 패널(5)측 상에서 그리고 수직 A-A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납 공간(4d)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그리고 제2 패널(5)측 상에서만 개방되는 노치(4e)가 제1 패널(4)의 외부측 단편(4b)의 수직 부분에 형성된다.
제2 패널(5)은, 내부측 단편(5a) 및 외부측 단편(5b)이 판 부재가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내부측 단편(5a) 및 외부측 단편(5b)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제3 패널(6)의 대향측 상의 단부들이,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 및 수직 A-A 방향으로의 제3 패널(6)측이 개방되도록 연결 부분(5c)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패널(5)에는 제3 패널(6)측 상에서 그리고 수직 A-A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납 공간(5d)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그리고 제3 패널(6)측 상에서만 개방되는 노치(5e)가 제2 패널(5)의 외부측 단편(5b)의 수직 부분에 형성된다.
제2 패널(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패널(6)측이 돌출하도록 제1 패널(4)의 수납 공간(4d) 내부측에 수납되며,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과 같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으로 제1 패널(4)에 대하여 미끄러짐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3 패널(6)은 판 부재로 형성되며, 수평 B-B 방향으로의 그 일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하나의 차체(9A)의 단부 표면(9a)에서 회전 축(9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3 패널(6)의 수평 B-B 방향으로의 타단부는 단부 표면(9a)측이 돌출하도록 제2 패널(5)의 수납 공간(5d)의 내부측에 수납된다. 또한, 제3 패널(6)은 수평 B-B 방향 및 수직 A-A 방향으로 제2 패널(5)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짐 가능하다.
제4 패널(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B-B 방향으로 제1 패널(4)을 수평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제5 패널(8)은, 수평 B-B 방향으로 제2 패널(5)을 수평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제6 패널(9)은, 수평 B-B 방향으로 제3 패널(6)을 수평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5 패널(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패널(9)측이 돌출하도록 제4 패널(7)의 수납 공간(7d) 내부측에 수납되며,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으로 제4 패널(7)에 대하여 미끄러짐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6 패널(9)의 다른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다른 차체(9B)의 단부 표면(9c)에서 회전 축(9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 B-B 방향으로 제6 패널(9)의 일단부는 단부 표면(9c)측이 돌출하도록 제5 패널(8)의 수납 공간(8d) 내부측에 수납된다. 또한, 제6 패널(9)은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과 같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으로 제5 패널(8)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짐 가능하다.
직사각형 기둥(rectangular column)과 같이 형성된 기둥형 부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전체가 수직 A-A 방향으로 제1 구성 부재(2)와 제2 구성 부재(3) 사이에서 직립하게(upright) 제공된다. 기둥형 부재(10)의 직립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부재(2)의 제1 패널(4)은 기둥형 부재(10)의 직립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으로 제공된 회전 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기둥형 부재(10)의 직립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 부재(3)의 제4 패널(7)이 기둥형 부재(10)의 직립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으로 제공된 회전 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는 기둥형 부재(10)의 직립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그리고 또한 수평 B-B 방향으로 제공된 회전 축들(11, 1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부재(2)는 그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확장 및 수축 연결될 수 있는 제1 링크 부재들(14, 14)을 가지며, 제2 구성 부재(3)는 그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확장 및 수축 연결될 수 있는 제2 링크 부재들(15, 15)을 갖는다.
제1 링크 부재(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제공된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1 주 아암 부재(16) 및 제2 주 아암 부재(17)를 가지며, 제1 주 아암 부재(16)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2 주 아암 부재(17)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1 연결 아암 부재(18)가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주 아암 부재(16)에 연결되고,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 아암 부재(16)의 일단부(16a) 및 제1 연결 아암 부재(18)의 일단부(18a)는 회전축(19)으로부터 일 측면으로 돌출하고, 제1 주 아암 부재(16)의 타단부(16b) 및 제1 연결 아암 부재(18)의 타단부(18b)는 회전축(19)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제1 주 아암 부재(16) 및 제1 연결 아암 부재(18)는 X자 형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아암 부재(18)의 일단부(18a)는 제2 주 아암 부재(17)의 타단부(17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2 연결 아암 부재(20)의 일단부(20a)는 회전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2 주 아암 부재(17)의 일단부(17a)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20b)는 제1 주 아암 부재(16)의 일단부(16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 아암 부재(20)는 제1 연결 아암 부재(18)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3 연결 아암 부재(22)의 일단부(22a)는 제2 주 아암 부재(17)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22b)는 회전 축(19)과 제1 주 아암 부재(16)의 일단부(16a) 사이에서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연결 아암 부재(22)는 제1 연결 아암 부재(18) 및 제2 연결 아암 부재(20)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즉, 3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18, 20, 22)은 제1 주 아암 부재(16)와 제2 주 아암 부재(17) 사이에서 평행하게 제공된다. 부수적으로, 제2 연결 아암 부재(20)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링크 부재들(14)은 수평 링크를 구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 아암 부재(16)의 회전 축(19)과 제2 주 아암 부재(17)의 회전 축(21) 간의 거리(L1)를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L1)를 수축시킬 수 있어, 제1 링크 부재(14)가 확장 및 수축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15)는 평행하게 제공된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3 주 아암 부재(26) 및 제4 주 아암 부재(27)를 가지며, 제3 주 아암 부재(26)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4 주 아암 부재(27)의 축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4 연결 아암 부재(28)의 일단부(28a)는 제4 주 아암 부재(27)의 일단부(27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28b)는 회전 축(29)을 중심으로 제3 주 아암 부재(26)의 일단부(26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5 연결 아암 부재(30)의 일단부(30a)는 제3 주 아암 부재(26)의 타단부(2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30b)는 회전 축(31)을 중심으로 제4 주 아암 부재(27)의 타단부(27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5 연결 아암 부재(30)는 제4 연결 아암 부재(28)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긴 평판과 같이 형성된 제6 연결 아암 부재(32)의 일단부(32a)는 제3 주 아암 부재(26)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32b)는 제4 주 아암 부재(27)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6 연결 아암 부재(32)는 제4 연결 아암 부재(28) 및 제5 연결 아암 부재(30)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즉, 3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28, 30, 32)은 제3 주 아암 부재(26)와 제4 주 아암 부재(27) 사이에서 평행하게 제공된다. 부수적으로, 제5 연결 아암 부재(30)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링크 부재들(15)은 수평 링크를 구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주 아암 부재(26)의 회전 축(29)과 제4 주 아암 부재(27)의 회전 축(31) 간의 거리(L2)를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L2)를 수축시킬 수 있어, 제2 링크 부재(15)가 확장 및 수축할 수 있다.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의 일단부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 조인트에 의해 제1 주 아암 부재(16)의 타단부(16b)에 연결된다. 또한, 제3 주 아암 부재(26)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 조인트에 의해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의 일단부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 조인트에 의해 제1 연결 아암 부재(18)의 타단부(18b)에 연결된다. 또한, 제4 연결 아암 부재(28)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 조인트에 의해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 및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 각각은 그 축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연결 및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 전체는, 3 개의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이 제공되는 것만을 필요로 하며, 상부 부분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들(14, 15)의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 및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 및 하부 부분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들(14, 15)의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 및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 중 하나는 제공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는 하부 부분에 제공된 링크 부재들(14, 15)에 제공되지 않는다.
제1 링크 부재(14)에서 제1 주 아암 부재(16)의 회전 축(19)은 연결 피팅(36)을 통해 제1 패널(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4)는 제1 패널(4)의 직립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19)을 중심으로 도 2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링크 부재(14)를 구성하는 부재들(16, 17, 18, 20, 22)의 이동 방향은 제 1 패널(4)의 외부측 단편(4b)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외부측 단편(5b)에 수직하게 돌출된 회전 축(37)이 제1 패널(4)의 노치(4e)에 위치되도록 제1 구성 부재(2)의 제2 패널(5)에 배치되어, 제1 패널(4)이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과 같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으로 제2 패널(5)에 대해 미끄러질 때, 회전 축(37) 및 제1 패널(4)은 서로를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제3 연결 아암 부재(22)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제공된 연결 구멍(22c)은 회전 축(37)에 느슨하게 끼워맞춤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수적으로, 회전 축(37)은 제2 패널(5)에서 연결 구멍(22c)을 제공하도록 제3 연결 아암 부재(22)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14)에서 제2 주 아암 부재(17)의 회전 축(21)은 연결 피팅(39)을 통해 제1 구성 부재(2)에서 제3 패널(6)의 외부측 단편(6b)의 외부측 상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구성 부재(2)를 구성하는 패널들(4, 5, 6)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도 2의 지면 상의 임의의 방향), 이를테면, 링크 부재(14)의 확장 및 수축 그리고 제1 링크 부재(14)의 회전 축(19)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수반하는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서, 제1 구성 부재(2)는 패널들의 중첩 방향의 임의의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15)에서 제3 주 아암 부재(26)의 회전 축(29)은 연결 피팅(41)을 통해 제2 구성 부재(3)의 제4 패널(7)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링크 부재(15)는 제4 패널(7)의 직립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29)을 중심으로 도 2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링크 부재(15)를 구성하는 부재들(26, 27, 28, 30, 32)의 이동 방향은 제4 패널(7)의 외부측 단편(7b)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외부측 단편(8a)에 수직하게 돌출된 회전 축(43)이, 제4 패널(7)의 노치(7e)에 위치되도록 제2 구성 부재(3)의 제5 패널(8)에 배치되어, 제5 패널(8)이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과 같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으로 제4 패널(7)에 대해 미끄러질 때, 회전 축(43) 및 제4 패널(7)은 서로를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제6 연결 아암 부재(32)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제공된 연결 구멍(32c)은 회전 축(43)에 느슨하게 끼워맞춤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수적으로, 회전 축(43)은 제5 패널(8)에서 연결 구멍(32c)을 제공하도록 제6 연결 아암 부재(32)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15)에서 제4 주 아암 부재(27)의 회전 축(31)은 연결 피팅(45)을 통해 제6 패널(9)의 외부측 단편(9b)의 외부측 상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구성 부재(3)를 구성하는 패널들(7, 8, 9)은 패널들의 중첩 방향(도 2의 지면 상의 임의의 방향), 이를테면, 제2 링크 부재(15)의 확장 및 수축 그리고 제2 링크 부재(15)의 회전 축(29)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수반하는 수평 B-B 방향 또는 수직 A-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서, 제2 구성 부재(3)는 패널들의 중첩 방향의 임의의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는 회전축들(11, 12)을 중심으로 도 1의 전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의 양단부들은 자유 조인트를 통해 제1 주 아암 부재(16) 및 제3 주 아암 부재(26) 각각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의 양단부들은 자유 조인트를 통해 제1 연결 아암 부재(18) 및 제4 연결 아암 부재(28) 각각에 연결되어, 하나의 차체(9A)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9B)의 상하 방향의 축 사이의 위치 관계 ―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하나의 차체(9A)와 다른 차체(9B) 사이에 장착되어 있음 ― 가 평행인지, 경사인지, 비틀려 있는지, 근접한지 또는 분리되어 있을지라도,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위치 관계를 따르고 이에 응답할 수 있다.
하나의 차체(9A)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9B)의 상하 방향의 축이, 예를 들어, 평행 상태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근접 상태로 바뀌면,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가 수평 B-B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링크 부재들(14, 15)이 수평 B-B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하나의 차체(9A)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9B)의 상하 방향의 축이, 평행 상태로부터 수직으로 변이된 상태(vertically shifted state)로 바뀌면,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를 구성하는 패널들이 수직 A-A 방향으로 상호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링크 부재들(14, 15)이 회전 축들(19, 29)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하나의 차체(9A)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9B)의 상하 방향의 축이, 평행한 상태로부터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만이 폐쇄되는 상태로 바뀌면,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의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만이 수평 B-B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에 제공된 링크 부재들(14, 15)만이 수축되는 것에 의해서만 응답할 수 있다.
하나의 차체(9A)의 상하 방향의 축과 다른 차체(9B)의 상하 방향의 축이, 평행한 상태로부터 비틀린 상태로 바뀌면,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가 회전축들(11, 12)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고 그리고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4)의 형상 및 제2 링크 부재(15)의 형상이 상이하게 변형되고, 제1 링크 부재(14)를 구성하는 부재들 및 제2 링크 부재(15)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이동 방향은 제1 링크 부재(14)의 이동(변형) 및 제2 링크 부재(15)의 이동(변형)이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34, 35)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경사지거나 비틀림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가 연결되는 차체들(9A, 9B)의 상호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관계없이 응답할 수 있다.
또한, 6 개의 패널들(4 내지 9)을 사용하여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를 구성함으로써, 3 개의 패널들(102, 103, 104)이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차체들(9A, 9B) 간의 거리의 최대 길이를 더 길게할 수 있고, 그 최소 길이를 더 짧게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는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 및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의 축 방향으로 중심 부분들을 분리하고, 기둥형 부재(10)를 제1 구성 부재(2) 또는 제2 구성 부재(3)로부터 연결해제함으로써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는 역방향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는 제1 주 아암 부재(16)의 타단부(16b) 및 제3 주 아암 부재(26)의 축방향으로 중앙 부분을 연결하고,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는 제1 주 아암 부재(18)의 타단부(18b) 및 제4 연결 아암 부재(28)의 축 방향으로 중앙 부분을 연결하지만,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의 연결 위치는 제1 주 아암 부재(16) 및 제3 주 아암 부재(26)가 연결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의 연결 위치는 제1 연결 아암 부재(18) 및 제4 연결 아암 부재(28)가 연결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링크 부재들(14) 및 제2 링크 부재들(15) 각각이 평행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면, 제1 주 아암 부재(16), 제3 주 아암 부재(26), 제1 연결 아암 부재(18) 및 제4 연결 아암 부재(28)의 형상들은 상기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링크 아암 부재(34) 및 제2 연결 링크 아암 부재(35) 각각은 중앙 부분을 그 축 방향으로 제거 가능하게 분리함으로써 제1 링크 부재(14) 및 제2 링크 부재(15)를 분리할 수 있고, 제1 링크 부재(14) 및 제2 링크 부재(15)의 분리 위치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 각각은 3 개의 패널들을 사용하여 구성되지만, 제1 구성 부재(2)를 구성하는 패널들의 수와 제2 구성 부재(3)를 구성하는 패널들의 수가 동일하고 구성 패널들의 수가 2 이상이라면, 구성 패널들의 수는 임의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제1 연결 아암 부재(18), 제3 연결 아암 부재(22), 제2 패널(5) 및 제5 패널(8)을 제거함으로써,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 각각은 2 개의 패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를 구성하는 부재 각각은, 각기, 제1 구성 부재(2)측 및 제2 구성 부재(3)측, 연결 아암 부재들(50, 51) 그리고 추가되었던 연결 아암 부재들(50, 51)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제2 패널(5) 및 제5 패널(8)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연결 패널들(52, 53) 중 각각 하나에 의해 제1 주 아암 부재(16)와 제2 주 아암 부재(17) 사이에서 제1 연결 아암 부재(18)와 평행하게 제공되는 연결 아암 부재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4 개의 패널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이의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 기둥형 부재(10)는 제1 구성 부재(2)와 제2 구성 부재(3) 사이에 제공되지만, 기둥형 부재(10)를 제공하지 않고, 제1 구성 부재(2) 및 제2 구성 부재(3)는 상하 방향으로 중심 부분에서 회전 축들(11, 12)과 유사한 회전 축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이의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당업자는 전술한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

  1.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expansion device)(1)로서,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부재(constituent member)(2); 및
    복수 개의 패널들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부재(3)를 포함하며,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1 링크 부재(14)가 상기 제1 구성 부재(2)에 연결되고,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2 링크 부재(15)가 상기 제2 구성 부재(3)에 연결되며, 상기 구성 부재들(2, 3) 각각은 상기 링크 부재들(14, 15) 각각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성 부재(2) 및 상기 제2 구성 부재(3)는 회전 축들(11, 1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크 부재(14)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15)는 각각 자유 조인트를 통해서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34, 35)의 양단부들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링크 부재(14)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15)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14)는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1 주 아암 부재(16) 및 제2 주 아암 부재(17)를 포함하고 연결 아암 부재들 각각의 일단부를 상기 제2 주 아암 부재(17)에 그리고 그의 타단부를 상기 제1 주 아암 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15)는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3 주 아암 부재(26) 및 제4 주 아암 부재(27)를 포함하고 연결 아암 부재들 각각의 일단부를 상기 제4 주 아암 부재(27)에 그리고 그의 타단부를 상기 제3 주 아암 부재(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연결 아암 부재들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34, 35)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14)에서 주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15)에서 주 아암 부재는 상기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34, 35) 중 하나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 부재(14)에서 연결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15)에서 연결 아암 부재는 상기 연결 링크 아암 부재들(34, 35)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구성 부재들(2, 3)의 양단부들에 제공되는 패널들은 임의의 주 아암 부재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구성 부재들(2, 3)의 양단부들 또는 상기 연결 아암 부재들 중 하나 이외의 임의의 다른 곳에 제공되는 패널에는 회전 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회전 축에 나머지가 느슨하게 끼워맞춤되고 연결되는,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는 철도 차량(rolling stock)의 차체들(9A, 9B) 사이에 제공되는,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1).
KR1020180025540A 2018-02-27 2018-03-05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KR102084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3190A JP6467537B1 (ja) 2018-02-27 2018-02-27 パネルの伸縮装置
JPJP-P-2018-033190 201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41A KR20190102941A (ko) 2019-09-04
KR102084525B1 true KR102084525B1 (ko) 2020-03-04

Family

ID=6156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40A KR102084525B1 (ko) 2018-02-27 2018-03-05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2818B2 (ko)
EP (1) EP3530542B1 (ko)
JP (1) JP6467537B1 (ko)
KR (1) KR102084525B1 (ko)
CN (1) CN110194190B (ko)
ES (1) ES2948191T3 (ko)
TW (1) TWI665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672A (ko) 2022-01-22 2023-08-0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8909B1 (ko) * 2023-08-28 2024-04-18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 차량 연결부 공기 저항 저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467A (zh) 2011-05-04 2011-12-07 青岛欧特美股份有限公司 一片式侧壁护板
CN204341060U (zh) 2014-12-30 2015-05-20 青岛卓展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风挡顶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7779A (en) * 1983-02-09 1985-05-21 Metalines, Inc. Fire resistant expansion joint cover
JPH0326048Y2 (ko) * 1987-05-27 1991-06-05
JPH0433185Y2 (ko) * 1988-07-19 1992-08-10
JPH0451085Y2 (ko) * 1988-07-19 1992-12-02
JPH079724Y2 (ja) * 1990-06-28 1995-03-08 株式会社成田製作所 連結車両間通路における壁面構造
DE9211520U1 (de) 1992-05-08 1993-09-09 Butzbacher Weichenbau Gmbh Dehnungsstoß für ein Gleisteil
ES2076046T3 (es) * 1993-05-08 1995-10-16 Huebner Gummi & Kunststoff Revestimiento interior de una intercirculacion entre vehiculos especialmente una intercirculacion con un fuelle.
CH687379A5 (de) * 1993-09-03 1996-11-29 Sig Schweiz Industrieges Uebergangseinrichtung zwischen zwei gekuppelten Fahrzeugen.
JP2760939B2 (ja) * 1993-12-22 1998-06-0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輌用連結幌装置
DE29500795U1 (de) 1995-01-19 1995-03-16 Huebner Gummi & Kunststoff Obergangsbrücke
JP3904409B2 (ja) * 2001-05-25 2007-04-11 株式会社成田製作所 鉄道車両用パネル装置
US6283040B1 (en) 2001-08-14 2001-09-04 Henry B. Lewin Adjustable height rail car
US20050066600A1 (en) * 2003-09-25 2005-03-31 Paul Moulton Expansion joint system
JP4188852B2 (ja) * 2004-01-28 2008-12-03 株式会社成田製作所 鉄道車両用パネル装置
CN102713109B (zh) * 2009-09-25 2015-04-15 Vsl国际股份公司 用于衰减建筑物中的运动的方法和结构
EP2790991A1 (en) 2011-12-13 2014-10-22 Ego International B.V. Gangway floor for a gangway between a first car of a multi-car vehicle and a second car of said vehicle
PL2700553T3 (pl) * 2012-08-22 2015-02-27 Huebner Gmbh & Co Kg Przejście między dwoma połączonymi przegubowo pojazdami, wyposażone w pomost i osłonę wykonaną w kształcie tunelu otaczającą to przejście
DE102012107901B3 (de) * 2012-08-28 2013-09-19 Migua Fugensysteme Gmbh & Co. Kg Fugenprofil für eine Bewegungsfuge
US9321469B2 (en) 2013-03-15 2016-04-26 QuEST R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expanded monitoring and control of railroad wayside interlocking systems
US20150101505A1 (en) * 2013-10-10 2015-04-16 Irwin Tsai Apparatus for Covering a Connection Between Railcars
CN104627191A (zh) * 2014-10-15 2015-05-20 马忠国 全路况万能柔性整体护板
PL3287305T3 (pl) 2016-08-23 2021-01-25 HÜBNER GmbH & Co. KG Podpora nożycowa i przejście wyposażone w podporę nożycow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467A (zh) 2011-05-04 2011-12-07 青岛欧特美股份有限公司 一片式侧壁护板
CN204341060U (zh) 2014-12-30 2015-05-20 青岛卓展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风挡顶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4439A1 (en) 2019-08-29
ES2948191T3 (es) 2023-09-01
KR20190102941A (ko) 2019-09-04
JP2019147466A (ja) 2019-09-05
JP6467537B1 (ja) 2019-02-13
TW201936428A (zh) 2019-09-16
TWI665115B (zh) 2019-07-11
CN110194190B (zh) 2021-07-06
US10472818B2 (en) 2019-11-12
CN110194190A (zh) 2019-09-03
EP3530542B1 (en) 2023-06-07
EP3530542A1 (en) 2019-08-28
EP3530542C0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797B1 (ko)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KR102084525B1 (ko) 패널들의 확장 디바이스
US9783977B2 (en) Shape-morphing space frame apparatus using unit cell bistable elements
US8402711B2 (en) Multistable shape-shifting surfaces
CN110919690B (zh) 一种多自由度折纸关节结构
WO2020124788A1 (zh) 铰链装置及电子装置
CN106611566B (zh) 可弯折机构及可弯折显示装置
CN105019749A (zh) 铰链组件
Feng et al. Design of special planar linkages
WO2013043320A1 (en) Multistable shape-shifting surfaces
JPH0429995Y2 (ko)
Su et al. Mobility analysis and type synthesis with screw theory: from rigid body linkages to compliant mechanisms
Liao Modeling and analysis of tripod-scissor deployable structures using mirrored assembly methods
RU2331805C1 (ru) Многократный шарнирный параллелограмм
JPH09240995A (ja) パンタグラフ型ジャッキ
Scheder-Bieschin et al. Curved-Crease Flat-Foldable Bending-Active Plate Structures
CN117124307A (zh) 一种可空间-平面转换的高刚度悬臂式变拓扑机构及转换方法
Lusk et al. Multistable shape-shifting surfaces
CN116796435A (zh) 一种模拟板簧柔性变形的方法及系统
Slaboch et al. Configuration Space Analysis and Synthesis of Planar Variable Kinematic Joints
JP2003003571A (ja) 屋根構造、その構造を有する屋根の施工方法及び屋根構造体
Houtman Design Coefficients for Rings Loaded Out-of-Plane
JPH0662193U (ja) シャッタ用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