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477B1 -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477B1
KR102083477B1 KR1020180065993A KR20180065993A KR102083477B1 KR 102083477 B1 KR102083477 B1 KR 102083477B1 KR 1020180065993 A KR1020180065993 A KR 1020180065993A KR 20180065993 A KR20180065993 A KR 20180065993A KR 102083477 B1 KR102083477 B1 KR 10208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ooring
vessel
supported
moor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470A (ko
Inventor
조태민
전상익
정성욱
방창선
장기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4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701/16
    • B63B2708/00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계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는 제1선박에 대해 제2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 개재되는 펜더부; 및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빌지킬에 지지되는 제2계류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장치{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유보다 값이 싼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추진선박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가스추진선박은 액화가스를 추진엔진에 연료로 공급하여 추진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CNG(Compressed Natural Gas: 압축천연가스)와 같이 저온상태에서 부피가 감소한 액체상태로 저장탱크에 수용되고, 추진엔진 등에 연료로 공급될 때 기화되어 연소될 수 있다.
가스추진선박은 항해과정에 필요한 액화가스를 저장탱크에 충전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액화가스의 저장시설이 구비된 항구는 많지 않다. 또한, 액화가스의 저장시설은 안전을 이유로 항구에서 거리가 먼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가스추진선박은 해상에서 벙커링선박을 통해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가스추진선박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액화가스가 전송되는 것을 벙커링이라 한다.
벙커링작업은 해상에서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서로 계류되어 수행될 수 있다.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은 해류, 바람 등에 의한 상대운동에 의해 안정된 계류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액화가스가 전송되는 배관이 손상되어 액화가스가 누출되어, 가스추진선박 및 벙커링선박에 대한 안전이 위협되고, 해상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벙커링작업 과정에 선박을 안정되게 계류할 수 있는 계류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030702호(2008.02.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벙커링작업을 수행하는 두 선박을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는 계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선박에 대해 제2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 개재되는 펜더부; 및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빌지킬에 지지되는 제2계류라인을 포함하는, 계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계류라인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빌지킬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전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에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빌지킬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빌지킬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제2전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선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계류라인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을 감거나 푸는 윈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계류라인, 펜더부 및 제2계류라인을 통해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3점을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1선박에 대해 제2선박을 보다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계류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제2계류라인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 중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 중 이동가이드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계류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제2계류라인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5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내고, 도 1에서는 결합부(도 3의 17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는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선박(1)은 벙커링선박이고, 제2선박(2)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추진선박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박(1)의 제1선체(10) 내부에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제1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되고, 제1선체(10) 갑판상에는 제1저장탱크와 연결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는 제1매니폴드(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선박(2)의 제2선체(20) 내부에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제2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되고, 제2선체(20) 갑판상에는 제2저장탱크와 연결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는 제2매니폴드(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선박(2)의 제2선체(20)에는 횡동요를 저감하기 위해 빌지킬(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빌지킬(23)은 제2선체(20)에 대해 돌출되도록 제2선체(20)의 양측 외벽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빌지킬(23)은 도 1과 같이 단면형상이 T자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빌지킬(23)은 스틸(steel)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빌지킬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횡동요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벙커링작업을 위해 해상에서 각각 길이방향(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각각 측부가 서로 마주보는 병렬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도 1과 같이 제1선박(1)의 좌현측과 제2선박(2)의 우현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는 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설치되어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류된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제1매니폴드(11)와 제2매니폴드(21)가 이송라인(50)으로 연결되어 벙커링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선박은 가스추진선박이고, 제2선박은 벙커링선박일 수 있다. 또는, 제1선박 및 제2선박은 각각 FLNG, LNGC와 같이 다양한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는 제1계류라인(110), 펜더부(120) 및 제2계류라인(130)을 포함한다.
제1계류라인(110)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된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0)은 운항하는 경우와 같이 평상시 제1선박(1)의 별도의 보관영역(미도시)에 보관되고,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이 계류될 때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계류라인(110)은 제1선박(1)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 또는 제1선박(1)에 구비된 발사수단(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계류라인(110)은 일단부가 제1선박(1)의 상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2선박(2)의 상부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제1계류라인(110)을 통해 제1선박(1)의 상부 및 제2선박(2)의 상부가 지지되어 서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계류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부에서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계류라인(110)의 일단부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선체(10)의 갑판상에 고정되고, 제1계류라인(110)의 타단부는 제2선체(20)의 갑판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선체(10)의 갑판상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볼라드(111)가 돌출 형성되고, 제2선체(20)의 갑판상에는 제2볼라드(1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계류라인(110)은 일단부가 제1볼라드(1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볼라드(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계류라인(11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계류라인(110)은 도 2와 같이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계류라인(110)의 개수는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펜더부(12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개재된다.
이 경우, 펜더부(120)는 평상시 제1선박(1)의 별도의 보관영역(미도시)에 보관되고,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이 계류될 때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펜더부(120)는 제1선박(1)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펜더부(120)는 제1선박(1)의 제2선박(2)을 마주보는 측벽과 제2선박(2)의 제1선박(1)을 마주보는 측벽 사이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펜더부(120)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제1선박(1)의 측부와 제2선박(2)의 측부가 서로 접근하여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펜더부(12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중앙부에서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펜더부(1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1선체(10)의 우측벽과 제2선체(20)의 좌측벽 사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펜더부(120)는 도 1과 같이 제1계류라인(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펜더부(120)는 도 1과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펜더부(120)는 원기둥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펜더부(12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펜더부(120)는 서로 접근하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에 대해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펜더부(12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펜더부(120)는 도 2와 같이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펜더부(120)의 개수는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된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평상시 후술하는 윈치부(140)에 감겨 제1선박(1)에 보관되고,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이 계류될 때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계류라인(130)은 일단부가 제1선박(1)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2선박(2)의 빌지킬(23)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제2계류라인(130)을 통해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하부가 지지되어 서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하부에서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계류라인(130)은 도 1과 같이 제1선체(10)의 좌현측에서 제2선체(20)의 우현측에 설치된 빌지킬(2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펜더부(1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계류라인(13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계류라인(130)의 개수는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계류라인(130)의 일단부는 윈치부(140)에 지지될 수 있다.
윈치부(140)는 제2계류라인(13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윈치부(140)의 동작에 따라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윈치부(140)는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이 계류될 때, 제2계류라인(130)을 푸는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윈치부(140)는 제1선박(1)에 대한 제2선박(2)의 계류가 해제될 때, 제2계류라인(130)을 감는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빌지킬(23)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어, 제1선박(1)으로 회수될 수 있다.
또는, 윈치부(140)는 제2계류라인(130)이 빌지킬(23)에 지지되는 동안 제2계류라인(130)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도록 감거나 푸는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윈치부(140)는 제1선박(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윈치부(140)는 제1선박(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짧게 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윈치부(140)는 도 1과 같이 제1선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일단부가 윈치부(140)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1선체(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윈치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선체의 제2선체를 마주보는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계류라인(130)의 타단부에는 도 1과 같이 제2선박(2)의 빌지킬(23)에 지지되는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계류라인(130)은 지지부(150)를 매개로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50)는 제1전자석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석부재(151)는 자력을 통해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전자석부재(151)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다양한 전자석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전자석부재(151)는 제1선박(1)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전기공급라인(미도시)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전자석부재(151)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빌지킬(23)에 부착되거나 빌지킬(2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전자석부재(151)의 일측부는 제2계류라인(13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석부재(151)는 빌지킬(23)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계류라인(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계류라인을 빌지킬에 지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는 이동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는 지지부(150)가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다시 말해, 지지부(150)는 제2계류라인(130)이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때 이동가이드부(160)를 통해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50)는 빌지킬(23)을 향해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는 일단부가 제1선박(1)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160)는 도 1과 같이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되고, 이동가이드부(160)의 타단부가 빌지킬(2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가이드부(160)는 도 1과 같이 일단부가 제1선체(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160)의 일단부는 일부가 제1선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제1선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의 타단부에는 지지부(15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160)의 타단부에는 지지부(150)가 탈부착되는 결합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50)는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할 때 결합부(170)에 부착되고, 빌지킬(23)에 지지될 때 결합부(17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170)는 제2전자석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171)는 자력을 통해 지지부(15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다양한 전자석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전자석부재(171)는 제1선박(1)에서 연장되는 전기공급라인(미도시)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지지부(15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전자석부재(171)의 일측부는 이동가이드부(160)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의 타측부에는 지지부(150)가 탈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클램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프부재는 유압에 의해 클램핑 동작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는 지지부가 빌지킬을 향해 이동할 때 클램핑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부재는 지지부와 부착, 즉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클램프부재는 지지부가 빌지킬에 지지될 때 클램핑해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부재는 지지부와 탈착, 즉 분리될 수 있다.
이외에도, 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가이드부(16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빌지킬(23)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70)에 부착된 지지부(150)는 이동가이드부(160)의 신축동작에 따라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가이드부(160)는 도 3과 같이 텔레스코픽 붐일 수 있다. 또는, 이동가이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실린더부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계류라인(130)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계류라인(130)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지지부(150)가 제1전자석부재(151)이고, 결합부(170)가 제2전자석부재(171)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계류라인(130)의 타단부는 제1선박(1)이 운항 중과 같은 평상시 제1선박(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151)는 제2계류라인(130)에 연결되어 제1선박(1)측에 위치하고, 전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에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171)에는 자력이 발생되고, 제1전자석부재(151)는 제2전자석부재(17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는 빌지킬(23)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축동작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130)은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계류라인(13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이 계류를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151)에는 전기의 공급이 계속 중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에는 전기가 계속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171)는 제1전자석부재(151)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는 빌지킬(23)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50)는 이동가이드부(160)의 신장동작에 따라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하여 빌지킬(23)에 안착되고, 제2계류라인(130)은 제1전자석부재(151)에 지지되어 빌지킬(2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130)은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151)에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석부재(151)는 자력이 발생되어 빌지킬(23)에 부착되고, 제2계류라인(130)은 제1전자석부재(151)를 매개로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171)에는 전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171)에는 자력이 제거되고, 제1전자석부재(151)는 제2전자석부재(171)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151)는 제2전자석부재(171)의 간섭없이 효과적으로 빌지킬(2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60)는 수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30)은 수중에서 해류 등의 영향을 받더라도 이동가이드부(160)의 간섭없이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선박(2)의 빌지킬(23)의 해수면에 대한 위치는 제2선박(2)의 크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160)에 가이드되어 이동한 지지부(150)는 빌지킬(23)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고, 빌지킬(23)에 지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0)의 빌지킬(23)에 대한 위치는 제1선박(1)의 흘수 및 제2선박(2)의 흘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지지부(150)가 빌지킬(23)에 지지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는 제1계류라인(110), 펜더부(120) 및 제2계류라인(130)을 통해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3점을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보다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벙커링작업 등이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 중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200)는 제1계류라인(미도시), 펜더부(미도시), 윈치부(미도시)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제2계류라인(230), 지지부(250), 이동가이드부(260) 및 결합부(270)를 포함하고,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 펜더부, 제2계류라인(230), 이동가이드부(260) 및 결합부(27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도 1의 110), 펜더부(도 1의 120), 제2계류라인(도 1의 130), 이동가이드부(도 1의 160) 및 결합부(도 3의 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200)는 지지부(250)의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50)는 후크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재(252)는 빌지킬(23)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후크부재(252)의 일단부는 제2계류라인(23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후크부재(252)의 타단부는 갈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재(252)는 타단부가 빌지킬(23)에 걸림 지지되고, 제2계류라인(230)은 후크부재(252)를 통해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부재(252)에는 도 6과 같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2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재(252)는 부력부재(253)의 부력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부력부재(253)는 공기가 충진된 공기튜브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라인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50)가 후크부재(252)이고, 결합부(270)가 제2전자석부재(271)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230)은 제1선박(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재(252)는 제2계류라인(230)에 연결되어 제1선박(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재(252)에 설치된 부력부재(253)에는 공기가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271)에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271)는 자력이 발생되어 후크부재(252)의 일단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60)는 수축동작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230)은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전자석부재(271)에는 전기가 계속 공급될 수 잇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271)는 후크부재(252)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60)는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재(252)는 이동가이드부(260)의 신장동작에 따라 빌지킬(23)을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재(252)는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 빌지킬(23)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8을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230)은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2전자석부재(271)에는 전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271)에는 자력이 제거되고, 후크부재(252)는 제2전자석부재(271)에서 탈착될 수 있다.
후크부재(252)는 부력부재(253)의 부력에 의해 빌지킬(23)을 향해 상승 이동하여 빌지킬(23)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부력부재(253)는 제2전자석부재(271)에서 탈착된 후크부재(252)가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제1선박(1)의 흘수 및 제2선박(2)의 흘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필요없이 후크부재(252)가 빌지킬(23)에 걸리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60)는 수축동작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 중 이동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300)는 제1계류라인(미도시), 펜더부(미도시), 윈치부(미도시)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제2계류라인(330), 지지부(350), 이동가이드부(360) 및 결합부(170)를 포함하고, 제1선박(1)에 대해 제2선박(2)을 계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 펜더부, 제2계류라인(330), 지지부(350) 및 결합부(37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도 1의 110), 펜더부(도 1의 120), 제2계류라인(도 1의 330), 지지부(도 1의 350) 및 결합부(도 3의 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300)는 이동가이드부(360)의 제1선박(1)에 대한 지지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가이드부(360)는 도 9와 같이 일단부가 제1선박(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선체(10)의 측벽에는 제1선체(10) 내부를 향해 오목한 수용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360)의 일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60)의 일단부는 수용홈(13)의 형성하는 제1선체(10)의 측벽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360)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제1선박(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60)는 빌지킬(23)을 향해 이동한 지지부(350)의 빌지킬(23)에 대한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50)는 회전하는 이동가이드부(360)에 의해 용이하게 빌지킬(23)에 지지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부(350)의 빌지킬(23)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1선박(1)의 흘수 및 제2선박(2)의 흘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지지부(350)는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빌지킬(2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360)는 구동부(38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360)는 구동부(38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의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80)는 도 9와 같이 신축동작하는 신축부재(381a, 38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360)는 신축부재(381a, 381b)의 신축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부재(381a, 381b)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동작하는 실린더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신축부재(381a, 381b)의 일단부는 도 9와 같이 이동가이드부(360)의 일단부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신축부재(381a, 381b)의 타단부는 수용홈(13)을 형성하는 제1선체(10)의 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신축부재(381a, 381b)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신축부재(381a, 381b)는 도 9와 같이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신축부재(381a, 381b) 중 하나는 이동가이드부(36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구동축은 힌지축과 연결되고, 이동가이드부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이드부는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가이드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계류라인(330)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350)가 제1전자석부재(351)이고, 결합부(370)가 제2전자석부재(371)이고, 구동부(380)가 2개의 신축부재(381a, 381b)로 제공되고, 이동가이드부(360)가 상측방향(예를 들어, 도 9 및 도 11에서 +Z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330)은 제1선박(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351)는 제2계류라인(330)과 연결되어 제1선박(1)측에 위치하고, 전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371)에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371)에는 자력이 발생되고, 제1전자석부재(351)는 제2전자석부재(37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360)는 수축동작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계류라인(330)은 제2선박(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351)에는 전기의 공급이 계속 중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371)에는 전기가 계속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371)는 제1전자석부재(351)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360)는 도 10과 같이 빌지킬(23)을 향해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350)는 빌지킬(2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60)는 도 11과 같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신축부재(381a, 381b) 중 상측에 배치된 신축부재(381a)는 수축동작하고, 하측에 배치된 신축부재(381b)는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50)는 빌지킬(23)을 향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빌지킬(23)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방향으로 회전한 이동가이드부(360)는 지지부(350)가 빌지킬(23)에 안착되도록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계류라인은 빌지킬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자석부재에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석부재는 자력이 발생되어 빌지킬에 부착되고, 제2계류라인은 제1전자석부재를 매개로 빌지킬에 지지될 수 있다.
제2전자석부재에는 전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석부재는 자력이 제거되어 제1전자석부재와 탈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는 수축동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제1선박
10: 제1선체
13: 수용홈
2: 제2선박
20: 제2선체
23: 빌지킬
50: 이송라인
100, 200, 300: 계류장치
110: 제1계류라인
120: 펜더부
130, 230, 330: 제2계류라인
140: 윈치부
150, 250, 350: 지지부
160, 260, 360: 이동가이드부
170, 270, 370: 결합부

Claims (11)

  1. 제1선박에 대해 제2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상부에 지지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 개재되는 펜더부;
    상기 제1선박에서 상기 제2선박을 향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의 빌지킬에 지지되는 제2계류라인;
    상기 제2계류라인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빌지킬에 지지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빌지킬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빌지킬에 걸리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에 상기 후크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빌지킬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빌지킬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계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계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2전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선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류라인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을 감거나 푸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장치.
KR1020180065993A 2018-06-08 2018-06-08 계류장치 KR10208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93A KR102083477B1 (ko) 2018-06-08 2018-06-08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93A KR102083477B1 (ko) 2018-06-08 2018-06-08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70A KR20190139470A (ko) 2019-12-18
KR102083477B1 true KR102083477B1 (ko) 2020-03-02

Family

ID=6905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93A KR102083477B1 (ko) 2018-06-08 2018-06-08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702A (ja) * 2006-07-31 2008-02-14 Shinkichi Morimoto 浮体間係留方法および装置
KR100957170B1 (ko) * 2009-09-16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가스자원용 부유식 해상 플랜트 시스템
KR101805669B1 (ko) 2016-06-27 2017-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선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979A (ja) * 1997-10-30 1999-05-18 Miyoshi:Kk 係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702A (ja) * 2006-07-31 2008-02-14 Shinkichi Morimoto 浮体間係留方法および装置
KR100957170B1 (ko) * 2009-09-16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가스자원용 부유식 해상 플랜트 시스템
KR101805669B1 (ko) 2016-06-27 2017-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70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6743B2 (ja) 炭化水素のオフショア移送のための多機能ユニット
AU2005237929B2 (en) Side-by-side hydrocarbon transfer system
RU2548306C2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ей между первым и вторым судном,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NO314250B1 (no) Dynamisk posisjonert lasteböye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8045495B (zh) 运送流体的运送船、用于运送流体的方法及运送装置
EP3558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0983084B1 (ko) 선회식 추진장치를 갖는 해양 구조물
GB2439295A (en) Method and vessel for laying reeled articles at sea
KR101069659B1 (ko) 액화천연가스 이송장치
KR102083477B1 (ko) 계류장치
WO1994006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recovery of lines on a seabed
JP2020132082A (ja) 燃料供給船
KR102095252B1 (ko) 계류장치
US109609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ercraft
KR20200115150A (ko) 선박
WO2004011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recovery of lines on a seabed
KR102587511B1 (ko) 선수부가물 속도성능 저하 개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가스저장 재기화 설비
KR102050929B1 (ko) 벙커링장치
KR102232568B1 (ko)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71B1 (ko)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1766B1 (ko) 벙커링 스테이션
JP2022030752A (ja) Lng中継浮揚体
WO2018168372A1 (ja) 浮体構造物及び被燃料補給体への燃料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