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29B1 - 벙커링장치 - Google Patents

벙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29B1
KR102050929B1 KR1020180065976A KR20180065976A KR102050929B1 KR 102050929 B1 KR102050929 B1 KR 102050929B1 KR 1020180065976 A KR1020180065976 A KR 1020180065976A KR 20180065976 A KR20180065976 A KR 20180065976A KR 102050929 B1 KR102050929 B1 KR 10205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upport member
vessel
coupling groove
bunk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민
전상익
정성욱
방창선
장기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Abstract

벙커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는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하는 벙커링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를 연결하고,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벙커링장치{Apparatus for bunkering}
본 발명은 벙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유보다 값이 싼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추진선박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가스추진선박은 액화가스를 추진엔진에 연료로 공급하여 추진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CNG(Compressed Natural Gas: 압축천연가스)와 같이 저온상태에서 부피가 감소한 액체상태로 저장탱크에 수용되고, 추진엔진 등에 연료로 공급될 때 기화되어 연소될 수 있다.
가스추진선박은 항해과정에 필요한 액화가스를 저장탱크에 충전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액화가스의 저장시설이 구비된 항구는 많지 않다. 또한, 액화가스의 저장시설은 안전을 이유로 항구에서 거리가 먼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가스추진선박은 해상에서 벙커링선박을 통해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가스추진선박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액화가스가 전송되는 것을 벙커링이라 한다.
벙커링작업은 해상에서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서로 계류되어,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는 이송라인으로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은 벙커링작업 중 이송되는 액화가스의 무게 등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과 같은 급격한 곡률의 변화로 인해 꺽여 손상되고, 이로 인해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이송라인은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에서 곡률이 완만하게 변하도록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계류에 필요한 간격보다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있다.
이 경우, 가스추진선박과 벙커링선박은 연장되는 이송라인에 의해 간격이 증가하게 되어 해류, 바람 등에 의한 상대운동에 의해 불안정하게 계류하게 되고, 이송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벙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하는 벙커링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를 연결하고,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벙커링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이송라인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깔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선박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박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선박 및 상기 제2선박 사이 상대운동에 대응하여 각각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함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의 입구 측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1돌기부 사이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의 입구 측부에는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돌기부 사이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1선박 사이에는 유니버설조인트가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박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상기 이송라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라인이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벙커링작업 시 액화가스의 무게 등에 의해 처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가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벙커링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지지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의 지지부재가 제1선박에 보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가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D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의 지지부재가 제1선박에 보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가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벙커링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내고, 도 1에서는 고정부재(도 2의 15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한다. 여기서, 액화가스는 LNG, LPG, CNG와 같이 액체상태의 가스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선박(1)은 벙커링선박이고, 제2선박(2)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추진선박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박(1)은 액화가스를 제2선박(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선박(1)의 제1선체(10) 내부에는 도 1과 같이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제1저장탱크(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선체(10)에는 제1저장탱크(11)와 연결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는 제1매니폴드(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매니폴드(13)는 제1선체(10)의 갑판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선박(2)의 제2선체(20) 내부에는 도 1과 같이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제2저장탱크(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선체(20)에는 제2저장탱크(21)와 연결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는 제2매니폴드(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매니폴드(23)는 제2선체(20)의 갑판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벙커링작업을 위해 해상에서 서로 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길이방향(예를 들어, 도 1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도 1과 같이 제1선박(1)의 좌현측과 제2선박(2)의 우현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계류될 수 있다.
이때,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펜더(51)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도 2와 같이 계류라인(52)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계류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벙커링작업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선박은 가스추진선박이고, 제2선박은 벙커링선박일 수 있다. 또는, 제1선박 및 제2선박은 각각 FLNG, LNGC와 같이 액화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벙커링장치는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하는 벙커링작업 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는 이송라인(110)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액화가스는 이송라인(110)을 통해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송된다. 다시 말해, 이송라인(110)은 벙커링 작업 시 액화가스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라인(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단부가 제1선박(1)의 제1매니폴드(13)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선박(2)의 제2매니폴드(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액화가스는 제1저장탱크(11)에서 제1매니폴드(13)를 통해 이송라인(110)으로 이동하고, 이동라인에서 제2매니폴드(23)를 통해 제2저장탱크(21)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매니폴드(13)는 제1선체(10)의 좌현측 갑판상에 설치되고, 제2매니폴드(23)는 제1선체(10)의 좌현측을 마주보는 제2선체(20)의 우현측 갑판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액화가스는 이송라인(110)을 통해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송라인(110)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에 대응하여 신축 등 변형된 후 복원될 수 있어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이송라인(110)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130)는 벙커링작업 시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를 연결하는 이송라인(110)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이송라인(110)의 하부에서 이송라인(110)의 하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벙커링작업 시 이송라인(110)이 이송되는 액화가스의 무게 등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아래로 처진 이송라인(110)이 꺽임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이송라인(110)이 해수에 잠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화가스가 이송라인(110)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에 지지되는 이송라인(110)이 길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선박(1)과 제2선박(1)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계류될 수 있고,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이 발생할 때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에는 이송라인(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110)은 하측면이 지지부재(130)의 안착홈(131)에 안착되어 안전하며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안착홈(131)은 이송라인(110)의 연장방향(예를 들어, 도 2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31)은 도 5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재(130)는 도 5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131)은 절단된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각형의 기둥부재가 이송라인을 향한 측면이 오목하게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은 기둥부재의 오목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이송라인(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재(130)는 도 2와 같이 연장방향(예를 들어, 도 2에서 볼 때 Y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부재(130')는 도 6과 같이 연장방향(예를 들어, 도 6에서 볼 때 Y축방향)을 따라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2의 지지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깔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130')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이 발생할 때 이송라인(110)이 지지부재(1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의해 꺽이는 것을 방지하며 이송라인(110)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30)에 지지되는 이송라인(11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고정부재(1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이 발생할 때 지지부재(130)의 안착홈(131)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부재(130)에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지지부재(130)의 타단부에 배치된 고정부재(150)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재(150)는 도 5와 같이 이송라인(110)을 감싸도록 지지부재(130)의 일측부에서 지지부재(130)의 타측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150)는 이송라인(11)의 상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평상시 지지부재(130)와 분리되고, 벙커링작업 시 지지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150)의 일측부는 지지부재(130)의 일측부에 힌지축(H)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고정부재(150)의 타측부는 지지부재(130)의 타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50)는 이송라인(110)을 고정할 때 타단부가 지지부재(130)의 타측부와 결합하고, 이송라인(11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때 타단부가 지지부재(130)의 타측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50)의 타측부에는 제1결합판(151)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130)의 타측부에는 제1결합판(151)과 마주보는 제2결합판(15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50)와 지지부재(130)는 제1결합판(151)과 제2결합판(152)을 관통하는 볼트(153) 및 볼트(153)에 체결되는 너트(154)를 통해 볼트결합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결합판과 제2결합판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50)는 지지부재(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의 수는 지지부재(130)의 길이,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150)는 도 2와 같이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고정부재(150) 중 하나는 지지부재(130)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지지부재(130)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단부가 제1선박(1)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제2선박(2)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30)는 제1선박(1) 및 제2선박(2)에 대해 각각 홈-돌기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의 일단부에는 도 3과 같이 지지부재(13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홈(132)이 형성되고, 제1선박(1)에는 제1결합홈(132)에 삽입되는 제1돌기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1결합홈(132)에 삽입된 제1돌기부(133)를 통해 제1선박(1)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홈(132)은 지지부재(130)의 제1선체(10)를 향한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돌기부(133)는 제1선체(10)의 갑판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홈(132)은 제1돌기부(133)가 지지부재(130)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131)에 안착된 이송라인(110)은 제1돌기부(133)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30)의 타단부에는 도 4와 같이 지지부재(13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135)이 형성되고, 제2선박(2)에는 제2결합홈(135)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2결합홈(135)에 삽입된 제2돌기부(136)를 통해 제2선박(2)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결합홈(135)은 지지부재(130)의 제2선체(20)를 향한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돌기부(136)는 제2선체(20)의 갑판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홈(135)은 제2돌기부(136)가 지지부재(130)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131)에 안착된 이송라인(110)은 제2돌기부(136)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돌기부(133) 및 제2돌기부(136)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이 발생할 때 각각 제1결합홈(132) 및 제2결합홈(135)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에 대응하여 이송라인(110)(1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홈(132)에는 도 3과 같이 제1가이드플레이트(1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플레이트(134)는 제1결합홈(132)의 입구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플레이트(134)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이드플레이트(134)는 제1결합홈(132)의 입구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플레이트(134)는 제1결합홈(132)과 제1돌기부(133)가 결합할 때, 제1결합홈(132)의 중심과 제1돌기부(133)의 중심을 정렬하여 제1결합홈(132)과 제1돌기부(133) 사이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홈(132)과 제1돌기부(133)는 용이하며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홈(135)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한 쌍의 제2가이드플레이트(13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플레이트(137)는 제2결합홈(135)의 입구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이드플레이트(137)는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가이드플레이트(137)는 제2결합홈(135)의 입구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플레이트(137)는 제2결합홈(135)과 제2돌기부(136)가 결합할 때, 제2결합홈(135)의 중심과 제2돌기부(136)의 중심을 정렬하여 제2결합홈(135)과 제2돌기부(136) 사이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홈(135)과 제2돌기부(136)는 용이하며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30)는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제2선박(2)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평상시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제2선박(2)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 보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130)는 벙커링작업 시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제2선박(2)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의 지지부재가 제1선박에 보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7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내고, 이송호스(도 1의 11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의 일 설치예를 설명한다.
본 설치예에서는 액화가스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으로 이송되고, 지지부재(130)가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서로 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박(1)과 제2선박(2)은 제1선체(10)의 좌현측과 제2선체(20)의 우현측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계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제2선박(2)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 보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130)는 도 7과 같이 제1선체(10)의 갑판상에 제1선체(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의 일단부는 제1결합홈(132)에 삽입된 제1돌기부(133)에 지지되고, 지지부재(130)의 타단부는 제2결합홈(135)에 삽입된 보조돌기부(138)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돌기부(138)는 제1선체(10)의 갑판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돌기부(138)는 제1돌기부(133)에 대해 제1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할 때 계류라인(52)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보관될 수 있다.
이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일단부가 제1선박(1)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제2선박(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1선박(1)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에 지지되어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지지부재(130)는 제2결합홈(135)이 보조돌기부(138)에서 분리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제1돌기부(133)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제2선박(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제2결합홈(135)이 제2선체(20)의 제2돌기부(13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을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이송라인(110)은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연장되고, 지지부재(130)의 안착홈(1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송라인(110)은 일단부가 제1선박(1)의 제1매니폴드(1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선박(2)의 제2매니폴드(23)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100)는 이송라인(110)이 지지부재(130)에 지지되어 벙커링작업 시 액화가스의 무게 등에 의해 처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가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D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의 지지부재가 제1선박에 보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8 및 도 10에서 +Y축방향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의 좌현측을 나타내고, 도 10에서 이송호스(도 8의 21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200)는 이송라인(210), 지지부재(230) 및 고정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라인(210), 지지부재(230) 및 고정부재(250)은 앞선 실시예의 이송라인(도 1의 110), 지지부재(도 1의 130) 및 고정부재(도 2의 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장치(200)는 지지부재(230)가 제1선박(1) 및 제2선박(2)에 지지되는 지지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을 설명한다.
지지부재(230)는 일단부가 제1선박(1)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제2선박(2)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30)는 제1선박(1)에 대해 유니버설조인트(239)를 통해 지지되고, 제2선박(2)에 대해 홈-돌기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230)는 제1선박(1)과 제2선박(2) 사이 상대운동에 대응하여 유니버설조인트(239)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30)의 일단부와 제1선박(1) 사이에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유니버설조인트(239)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230)는 유니버설조인트(239)를 매개로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30)의 타단부에는 지지부재(23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235)이 형성되고, 제2선박(2)에는 제2결합홈(235)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홈(235)에 삽입된 제2돌기부(236)는 제2결함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홈(235) 및 제2돌기부(236)는 앞선 실시예의 제2결합홈(도 4의 135) 및 제2돌기부(도 4의 136)와 형태 및 결합구조 등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재(230)는 유니버설조인트(239)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제2선박(2)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230)는 도 10과 같이 평상시 유니버설조인트(239)를 중심으로 제2선박(2)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30)의 제2결합홈(235)은 제1선체(10)에 형성된 보조돌기부(238)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230)는 도 8과 같이 벙커링작업 시 유니버설조인트(239)를 중심으로 제2선박(2)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제1선박(1)에서 제2선박(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제1선박
2: 제2선박
100, 200: 벙커링장치
110, 210: 이송라인
130, 130', 230: 지지부재
150, 250: 고정부재

Claims (8)

  1.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하는 벙커링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를 연결하고,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선박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박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되는, 벙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선박 및 상기 제2선박 사이 상대운동에 대응하여 각각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벙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벙커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의 입구 측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1돌기부 사이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의 입구 측부에는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돌기부 사이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벙커링장치.
  5.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 액화가스를 이송하는 벙커링장치로서,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를 연결하고,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선박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선박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1선박 사이에는 유니버설조인트가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박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되는, 벙커링장치.
  6.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깔때기형상을 가지는, 벙커링장치.
  7.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상기 이송라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벙커링장치.
  8. 삭제
KR1020180065976A 2018-06-08 2018-06-08 벙커링장치 KR10205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76A KR102050929B1 (ko) 2018-06-08 2018-06-08 벙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76A KR102050929B1 (ko) 2018-06-08 2018-06-08 벙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929B1 true KR102050929B1 (ko) 2019-12-02

Family

ID=6884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76A KR102050929B1 (ko) 2018-06-08 2018-06-08 벙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900A (ko) * 2014-05-12 2015-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벙커링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900A (ko) * 2014-05-12 2015-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벙커링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70B2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US7793605B2 (en) Side-by-side hydrocarbon transfer system
US8286678B2 (en)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US6829901B2 (en) Single point mooring regasification tower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90119641A (ko) 연료 탱크의 이너팅 방법 및 부체
US20110067617A1 (en) Floating terminal for loading/offloading ships such as methane tankers
CN112368508B (zh) 配备有用于喷洒液化气的装置的装载和/或卸载塔
KR200476890Y1 (ko) Lng 벙커링선의 다층 구조 매니폴드
KR20130134244A (ko)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KR101069659B1 (ko) 액화천연가스 이송장치
KR102050929B1 (ko) 벙커링장치
KR20200004702A (ko) 계류장치
KR101348614B1 (ko)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US20180134346A1 (en) Box shaped bilge keel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Hoog et al. LNG transfer in harsh environments-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US20090233500A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propulsive devices for moving the same while sailing and mooring
KR102449083B1 (ko)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JP2022030752A (ja) Lng中継浮揚体
KR102648125B1 (ko) Lng 벙커링선의 이동식 매니폴드
KR102083477B1 (ko) 계류장치
KR102070899B1 (ko) 화물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