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68B1 - 벙커링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벙커링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68B1
KR102232568B1 KR1020190136850A KR20190136850A KR102232568B1 KR 102232568 B1 KR102232568 B1 KR 102232568B1 KR 1020190136850 A KR1020190136850 A KR 1020190136850A KR 20190136850 A KR20190136850 A KR 20190136850A KR 102232568 B1 KR102232568 B1 KR 10223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ip
bunkering
mooring
liquefi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환
이영철
문진국
김민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6Floating storage vessels, other than vessels for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e.g. for liquid car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벙커링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해상에 부유 또는 고박되며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으로서,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가스연료추진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계류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구비되며, 선박계류장비가 마련되는 다수의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벙커링 스테이션 {Bunkering Station}
본 발명은 벙커링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벙커링(bunkering)은 벙커유로 알려진 선박 연료유를 저장 및 전송하는 것을 주로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의 배출 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LNG 연료추진선 시장 및 기타 벙커링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LNG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LNG 연료의 전송 및 공급 또한 벙커링으로 포함되고 있다.
LNG 벙커링은 벙커링선(bunkering vessel), 벙커링 기지, 벙커링 플로터(floater)를 이용하여 LNG 연료추진선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벙커링선의 경우는, 직접 LNG 연료추진선에 찾아가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데, 어느 해역이던지 찾아가는 서비스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LNG 연료비에 추가로 벙커링선의 이동에 따른 운임비등 비용 추가되거나, 벙커링선의 크기 등에 따라 측벽에서 나란히 전송(Side by Side Transfer)하는 것에 제약이 따르거나, 벙커링선의 시설(Facility)이 충분하지 못하여 토탈 솔루선(Total Solution) 제공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벙커링 기지의 경우는, LNG 육상 터미널과 같이 LNG 연료추진선이 직접 터미널로 와서 주유하는데, 이미 검증된 방법인 것에 장점이 있으나, 기지 건설에 따른 육상 공간의 제약(다양한 크기 및 선종의 배가 접안 가능해야 함) 그리고 LNG 연료추진선이 터미널까지 가야 하는 단점이 있다.
벙커링 플로터의 경우는, 해상에서 고정된 구조물로 LNG 연료추진선에 LNG 공급 가능한 것으로, 벙커링선 및 벙커링 기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즉, 다양한 선종의 선박 여러 대에 동시에 LNG 공급이 가능하며, 압축기(Compressor) 관련 장비, 재액화(Re-liquefaction) 및 재가스 유닛(Re-Gas Unit)) 설치 등 토탈 솔루션 제공이 가능하며, LNG 연료추진선의 항로 가까이 설치하여 LNG 주유를 위한 이동 최소화하고, 크기나 형태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전송 관련 제약 사항을 해결할 수 있고, 일반 LNG선을 통한 LNG 로딩(Loading)이 가능하고, 해상 설치로 지역 민원 해결, 무인화 적용으로 인한 안정성(safety) 최적화 및 첨단화할 수 있는 등 상업적 이용 가치가 있어, 벙커링 플로터와 같이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의 해상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불특정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적재 및 하역(Loading & 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계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벽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은, 해상에 부유 또는 고박되며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으로서,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가스연료추진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계류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구비되며, 선박계류장비가 마련되는 다수의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높이조절부는, 함몰부에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는, 천장을 대형선박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고, 바닥을 소형선박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은, 다양한 크기의 불특정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적재 및 하역(Loading & 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계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흘수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선박계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선박계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도 7에서 본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힐링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서 본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힐링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액화가스라인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스는 액화가스, 자연기화 또는 강제기화된 증발가스(BOG: Boil-Off Gas)를 포괄할 수 있다. 다만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또한 액화가스도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뿐만 아니라 기화된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에탄, 액체질소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뿐만 아니라 기화된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스테이션(1)은, 해상에 부유 또는 고박되며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해상에서 부유되는 본체(2)와, 본체(2) 내부에 구비되며 가스연료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와, 본체(2) 내부에 마련되며 본체(2)의 평형을 유지하는 밸러스팅부(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2)에는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가스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시스템, 가스운반 선박으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적재시스템, 다른 선박을 고정시키는 계류시스템 등 다양한 설비들이 마련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벙커링 스테이션(1)은, 벙커링 플로터(bunkering float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가스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해상에 부유되는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벙커링 스테이션(1)은, 해양을 운항하는 일반 선박처럼 앞뒤가 명확하기 구분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 측벽을 좌현(11) 및 우현(12)이라 하고, 좌현(11)과 우현(12)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을 선수(13) 및 선미(14)라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고,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선박계류부(3)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박계류부(3)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는 가스연료추진선과 같은 제1선박(S1)과,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 적재하기 위한 가스운반선과 같은 제2선박(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선박(S1, S2)은 가스를 연료로 추진하는 가스연료추진선(수급선; receiving ship)이나, 가스를 싣고 해양을 항해하는 가스운반선(공급선; supply ship)을 포함한 다양한 크기의 모든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선박계류부(3)는, 액화가스를 벙커링 스테이션(1)에 공급하거나 벙커링 스테이션(1)으로부터 수급받는 크기가 다양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2선박(S1, S2)에 대한 정의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선박계류부(3)는, 크기가 다양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수용하는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함몰부(31)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플랫폼(32)과, 각 플랫폼(32)에 각각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31)는, 본체(2)의 선수(13)로부터 선미(14) 쪽으로 연장되며, 선수(13)와 선미(14) 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함몰부(31)는, 본체(2)의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고, 다수의 플랫폼(32)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함몰부(31)는, 천장을 계류되는 제1,2선박(S1, S2) 중 대형선박인 제2선박(S2)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고, 바닥을 계류되는 제1,2선박(S1, S2) 중 소형선박인 제1선박(S1)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플랫폼(32)은, 본체(2)의 양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랫폼(32)이 본체(2)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경우 계류하는 제1,2선박(S1, S2)과 간섭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수의 플랫폼(32) 각각은,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며, 그 상부에 선박계류장비(33) 및 의장품, 통행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한다.
선박계류라인(331)은 다른 선박(S1, S2)으로부터 제공이 될 수 있으며, 퀵 릴리즈 훅의 끝단을 걸어서 고정하고 풀 수 있도록 하며, 페어리드는 플랫폼(32) 외측 끝단에서 선박계류라인이 다양한 각도로 통과하여 퀵 릴리즈 훅으로 이어 준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과 다른 선박(S1, S2)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다수의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다층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일지라도 제1선박(S1)을 본체(2)의 일측벽에 제2선박(S2)을 본체(2)의 타측벽에 동시 계류시켜 액화가스를 공급하거나 수급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다층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접안하는 제1,2선박(S1, S2) 각각은 상대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계류가 가능한 플랫폼(32) 레벨을 선택 후 계류를 하여 계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다층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고,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선박계류부(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선박계류부(3)가 상이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선박계류부(3)와 이로 인해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로 가름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계류부(3)는, 액화가스를 벙커링 스테이션(1)에 공급하거나 벙커링 스테이션(1)으로부터 수급받는 크기가 다양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수용하는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함몰부(3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높이조절부(34)와, 다수의 높이조절부(34)에 장착되어 수직 이동 가능한 플랫폼(32)과,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함몰부(31)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함몰부(31)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높이조절부(34)는, 함몰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된 플랫폼(32)을 수직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34)는, 랙(Rack) 및 피니온(Pinion) 또는 카운트웨이트가 구비된 케이블 트랙션 (Cable Traction with countweight)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폼(32)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물론이다.
플랫폼(32)은, 높이조절부(34)에 장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하며, 본체(2)의 양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랫폼(32)이 본체(2)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경우 계류하는 제1,2선박(S1, S2)과 간섭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플랫폼(32)은,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며, 그 상부에 선박계류장비(33) 및 의장품, 통행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높이조절부(34)에 의해 수직이동 및 고정 가능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배치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일지라도 제1선박(S1)을 본체(2)의 일측벽에 제2선박(S2)을 본체(2)의 타측벽에 동시 계류시켜 액화가스를 공급하거나 수급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34)에 의해 수직이동 및 고정 가능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배치함으로써, 접안하는 제1,2선박(S1, S2) 각각은 상대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계류가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정된 플랫폼(32)에 계류를 하여 계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절부(34)에 의해 수직이동 및 고정 가능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양측벽에 배치함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흘수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며, 본체(2)의 양측벽에 흘수유지부(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화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는 가스연료추진선과 같은 제1선박(S1)과,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 적재하기 위한 가스운반선과 같은 제2선박(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는 선박계류부가 본체(2)에 마련될 수 있거나, 전술한 제1,2실시예 각각의 선박계류부(3)가 마련될 수 있다.
흘수유지부(4)는,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단이 해저(SB)에 고정되고, 상단이 본체(2)의 상측에서 본체(2)의 히빙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부(41), 시브(42), 앵커링 구조물(43), 가이드부(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흘수유지부(4)는, 본체(2)에 다수 배치되는데,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2)의 중앙과, 그리고 선수(13) 측 및 선미(14) 측 3곳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흘수유지부(4)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크기에 따라 수량을 증가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41)는, 본체(2)의 상측에 마련되는 윈치(411)와, 윈치(411)에 의해 장력(tension) 및 길이가 조정되는 와이어(4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1)는 히브보상윈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412)는, 본체(2)의 상측에 마련되는 윈치(4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앵커링 구조물(43)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412)는, 윈치(411)를 기준으로 본체(2)의 좌현(11) 및 우현(12) 양측을 감싸면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앵커링 구조물(43)에 고정됨으로써, 본체(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41)는, 윈치(411)를 이용하여 와이어(412)를 감거나 풀어주어 와이어(412)의 장력 및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21)의 액화가스 적재량에 따라 변화하는 본체(2)의 흘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체(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적재량에 따라 흘수의 위치가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액화가스의 공급 또는 수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윈치(411)가 와이어(412)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흘수유지부에 의해 본체의 흘수가 유지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본체(2)의 흘수가 해수면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될 경우 와이어(412)를 감거나 풀어주어 본체(2)의 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시브(42)는, 와이어(412)가 본체(2)의 좌현(11) 및 우현(12) 측의 모서리부분을 통과할 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2)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412)는 시브(42)에 걸쳐진 상태로 직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앵커링 구조물(43)은, 흘수유지부(4)의 하단을 이루며, 해저(SB)에 고정될 수 있다. 앵커링 구조물(43)은, 본체(2)를 감싸는 와이어(412)를 고정함으로써, 본체(2)가 해상에 고박된다.
이러한 앵커링 구조물(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구조물(pile structure; 43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일 구조물(43a)은, 본체(2)의 좌현(11) 측에 대응되는 해저(SB)와 본체(2)의 우현(12) 측에 대응되는 해저(SB)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2)의 좌현(11) 측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12)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본체(2)의 우현(12) 측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12)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앵커링 구조물(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물(Truss structure; 4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러스 구조물(43b)은, 본체(2)의 좌현(11)으로부터 우현(12)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해저(SB)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2)의 좌현(11) 측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12)의 일단부를 트러스 구조물(43b)의 일측에 고정하고, 본체(2)의 우현(12) 측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12)의 타단부를 트러스 구조물(43b)의 타측에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부(44)는, 본체(2)의 좌현(11) 및 우현(12)의 양측벽을 따라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본체(2)의 양측벽 부분에 수직 형상의 트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렁크 구조의 가이드부(44)는, 본체(2)의 내부에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흘수유지부(4)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수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구동부(41)에 전달되어, 윈치(411)가 정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21)의 액화가스 적재량에 관계없이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랑으로 인한 벙커링 스테이션(1)의 수직 및 수평 움직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Rigid)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벙커링 스테이션(1)과 제1,2선박(S1, S2) 사이의 상대운동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액화가스 적재 또는 하역 작업 중 제1,2선박의 흘수만 가변되고 벙커링 스테이션의 흘수는 항상 고정 임) 하도록 하여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에 동시에 액화가스 적재 또는 하역 작업 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벙커링 스테이션(1)과 제1,2선박(S1, S2) 중 어느 하나의 선박 사이에 기 작동(Operation) 중일지라도 추가적으로 선박을 접안/정박/계류/적재/하역(Approaching / Berthing / Mooring /Loading/Offloading)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의 흘수가 고정인 상태로 유지 때문에 밸러스팅부(22)의 제거 가능하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벙커링 스테이션(1)의 포지셔닝(Positioning)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파랑 등 환경 영향으로 인한 수직/수평 운동을 제한하여 계류/적하역 작업의 안정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흘수유지부(4)를 마련함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12)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형상의 트렁크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44)를 마련함으로써, 제1,2선박(S1, S2)의 접안과 계류 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12)의 끝을 해저(SB)의 앵커링 구조물(43)에 고정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이 영구적으로 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선박계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선박계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9의 (a) 내지 (c)는 도 7에서 본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힐링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서 본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힐링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고,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선박계류부(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선박계류부(3)가 상이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선박계류부(3)와 이로 인해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로 가름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계류부(3)는, 액화가스를 벙커링 스테이션(1)에 공급하거나 벙커링 스테이션(1)으로부터 수급받는 크기가 다양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을 동시에 계류시킬 수 있다.
선박계류부(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수용하는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플랫폼(32)과,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마련되어 플랫폼(32)의 높이를 변경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높이조절부(34)와,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32)은, 높이조절부(34)에 장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하며, 본체(2)의 양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은, 선수(13) 측 플랫폼(32)과 선미(14)측 플랫폼(32)을 독립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플랫폼(32)은, 본체(2)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수(13)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와 선미(1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랫폼(32)의 연장되는 부분이 고정형으로 설명하지만, 가변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랫폼(32)은,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며, 그 상부에 선박계류장비(33) 및 의장품, 통행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높이조절부(34)는,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플랫폼(32)을 수직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34)는, 랙(Rack) 및 피니온(Pinion) 또는 카운트웨이트가 구비된 케이블 트랙션 (Cable Traction with countweight)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폼(32)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물론이다.
상기한 플랫폼(32)과 높이조절부(34)는, 본체(2)의 양측벽에 전술한 제1,2실시예의 함몰부(31)를 형성하여 함몰부(31) 내부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만 가능하고 수평이동이 없는 플랫폼(32)이 본체(2)의 양측벽에 마련되므로, 본체(2)에는 하기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선박계류장비(33a)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본체(2)에 선박계류장비(33a)를 마련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또한, 선박계류부(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수용하는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플랫폼(32)과,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 각각의 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플랫폼(32)을 수평이동 시키는 이송부(35)와,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32)은, 이송부(35)에 장착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본체(2)의 양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은, 선수(13) 측 플랫폼(32)과 선미(14)측 플랫폼(32)을 독립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플랫폼(32)은, 이송부(35)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수(13)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와 선미(1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는 동일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랫폼(32)의 연장되는 부분이 고정형으로 설명하지만, 가변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랫폼(32)은,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며, 그 상부에 선박계류장비(33) 및 의장품, 통행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부(35)는, 본체(2)의 양측벽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플랫폼(32)을 수평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송부(35)는, 운반대차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폼(32)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물론이다.
상기한 수평이동 가능한 플랫폼(32)은, 제1,2선박(S1, S2)의 길이에 따라 선수(13) 측 또는 선미(14) 측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플랫폼(32)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수평 이동된 반대편의 본체(2)이 일부는 플랫폼(32)이 없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되는 제2선박(S2)의 크기가 본체(2)보다 클 경우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로 제2선박(S2)을 완전하게 계류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2)에 별도의 선박계류장비(33a)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의 선박계류장비(33a)은, 전술한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와 마찬가지로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플랫폼(32)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본체(2)의 균형이 수평 이동된 쪽으로 기울어져 불균형 상태가 될 수 밖에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의 불균형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를 계류하기 위해 본체(2)에 설치되는 본체계류장비(5)를 이용할 수 있다. 본체계류장비(5)는 윈치를 이용한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Spread Mooring System)일 수 있다.
본체계류장비(5)는, 벙커링 스테이션(1)을 해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비로, 본체(2)의 상측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2)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윈치(51)와, 윈치(51)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해저(SB)에 고정되는 본체계류라인(52)을 포함한다. 본체계류장비(5)는, 적어도 상측 네 개의 모서리부분에 설치해야 하며, 벙커링 스테이션(1)의 크기에 따라 수량을 증가해 설치될 수 있다.
본체계류장비(5)는, 플랫폼(32)의 이동 정도에 따라 윈치(51)의 작동으로 본체계류라인(52)의 장력을 가변시켜 본체(2)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체계류장비(5)는, 플랫폼(32)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된 윈치(51)를 작동시켜 본체계류라인(52)의 장력을 가변시킴에 따라 본체(2)의 힐링을 보정함으로써, 본체(2)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본체(2)의 힐링보정방법을 도 9의 (a) 내지 (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2)이 이송부(35)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2)가 균형을 유지한다. 이때 본체계류라인(52)에는 별도의 장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2)이 이송부(35)에 의해 선수(13)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본체(2)가 선수(13) 측으로 기울어지는 불균형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적재 및 하역 작업 등 정상적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설치된 본체계류장비(5)를 작동시켜 선미(14) 측의 본체계류라인(52)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본체(2)가 힐링보정되면서 다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힐링보정은, 도 9의 (b)와 같이 이미 불균형이 일어난 상태에서 도 9의 (c)와 같이 본체계류라인(52)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32)이 이동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이에 대응하는 장력을 본체계류라인(52)에 실시간으로 부여하게 되며, 따라서 플랫폼(32)의 이동에 따른 본체(2)의 불균형이 일어나기 전에 본체(2)는 항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의 불균형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내부에 마련되며 본체(2)의 평형을 유지하는 밸러스팅부(22)를 이용할 수 있다.
밸러스팅부(22)는, 본체(2) 내부에 마련되며 본체(2)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본체(2)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밸러스트탱크(221)와, 다수의 밸러스트탱크(221) 상호간을 연결하는 밸러스트라인(222)과, 밸러스트라인(222) 상에 마련되는 펌프(223) 및 밸브(224)를 포함한다. 즉, 밸러스팅부(22)는, 다수의 밸러스트탱크(221)가 종횡방향의 격자 형식으로 분할 또는 확장할 수 있으며, 모든 밸러스트탱크(221)는 밸러스트라인(222)으로 연결되며, 단방향(바깥쪽에 배치되는 탱크) 또는 양방향(안쪽에 배치되는 탱크)으로 밸러스트수(BSW)를 이송할 수 있는 펌프(223)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러스팅부(22)를 안티-힐링 시스템(anti-heeling system)으로 구현하여, 플랫폼(32)의 이동 정도에 따라 다수의 밸러스트탱크(221)에 밸러스트수(BSW)가 저장되는 위치와 저장량을 가변시켜 본체(2)의 힐링을 보정함으로써, 본체(2)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본체(2)의 다른 힐링보정방법을 도 10의 (a) 내지 (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2)이 이송부(35)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2)가 균형을 유지한다. 이때, 다수의 밸러스트탱크(221)의 밸러스트수(BSW) 저장량은 동일하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2)이 이송부(35)에 의해 선수(13)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본체(2)가 선수(13) 측으로 기울어지는 불균형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적재 및 하역 작업 등 정상적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라인(222)에 마련되는 펌프(223) 및 밸브(224)를 작동시켜 밸러스트수(BSW)가 선미(14) 측의 밸러스트탱크(221)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본체(2)가 힐링보정되면서 다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힐링보정은, 도 10의 (b)와 같이 이미 불균형이 일어난 상태에서 도 10의 (c)와 같이 특정 밸러스트탱크(221)에 밸러스트수(BSW)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32)이 이동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이에 대응하여 밸러스트수(BSW)가 특정 밸러스트탱크(221)에 실시간으로 채워지도록 하며, 따라서 플랫폼(32)의 이동에 따른 본체(2)의 불균형이 일어나기 전에 본체(2)는 항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박계류부(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수용하는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플랫폼(32)과,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플랫폼(32)을 수평이동 시키는 이송부(35)와,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32)은, 이송부(35)에 장착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본체(2)의 선수(13)와 선미(14)로부터 외부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랫폼(32)의 연장되는 부분이 고정형으로 설명하지만, 가변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랫폼(32)은, 이송부(35)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수(13)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와 선미(1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는 동일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플랫폼(32)은,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며, 그 상부에 선박계류장비(33) 및 의장품, 통행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는,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부(35)는,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수평으로 마련되며, 플랫폼(32)을 수평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송부(35)는, 운반대차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폼(32)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물론이다.
상기한 수평이동 가능한 플랫폼(32)은, 제1,2선박(S1, S2)의 길이에 따라 선수(13) 측 또는 선미(14) 측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랫폼(32)은,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배치되므로, 플랫폼(32)에서뿐만 아니라 본체(2)의 좌현(11) 및 우현(12)에서도 다수의 제1,2선박(S1, S2)을 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되는 제2선박(S2)의 크기가 본체(2)보다 클 경우 플랫폼(32)에 마련되는 선박계류장비(33)로 제2선박(S2)을 완전하게 계류하는데 한계가 있고, 계류되는 제1선박(S1)의 크기가 본체(2)보다 작을 경우 본체(2)의 좌현(11) 또는 우현(12)에 계류할 수 있어,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2)에 별도의 선박계류장비(33a) 더 마련된다.
본체(2)의 선박계류장비(33a)은, 전술한 플랫폼(32)의 선박계류장비(33)와 마찬가지로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에 다른 선박(S1, S2)을 계류시키기 위한 장비로, 선박계류라인(331)과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선박계류장비(33)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플랫폼(32)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본체(2)의 균형이 수평 이동된 쪽으로 기울어져 불균형 상태가 될 수 밖에 없어, 본체(2)의 힐링보정을 통해 본체(2)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데, 힐링보정방법은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힐링보정방법으로 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플랫폼(32)을 본체(2)의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뿐만 아니라 양측벽의 플랫폼(32)이 독립적으로 가변되도록 하거나, 플랫폼(32)을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배치하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일지라도 제1선박(S1)을 본체(2)의 일측벽에 제2선박(S2)을 본체(2)의 타측벽에 동시 계류시켜 액화가스를 공급하거나 수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뿐만 아니라 양측벽의 플랫폼(32)이 독립적으로 가변되도록 하거나, 플랫폼(32)을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배치하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을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뿐만 아니라 양측벽의 플랫폼(32)이 독립적으로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에 상관없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제한된 벙커링 스테이션(1)의 본체(2) 길이를 극복하여 벙커링 스테이션(1)과 병렬 계류하는 많은 제1,2선박(S1, S2)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을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되, 수직이동뿐만 아니라 양측벽의 플랫폼(32)이 독립적으로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접안하는 제1,2선박(S1, S2) 각각은 상대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계류가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정된 플랫폼(32)에 계류를 하여 계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거나,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배치하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안하는 제1,2선박(S1, S2)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길이만큼 플랫폼(32)을 이동 확장시킬 수 할 수 있어, 어떠한 크기의 제1,2선박(S1, S2)이라 할지라도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32)을 본체(2)의 선수(13) 측과 선미(14) 측 각각에 배치하거나, 본체(2)의 상측 센터라인에 배치하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계류 전 제1,2선박(S1, S2)의 계류 레이아웃(Mooring layout)를 고려하여 플랫폼(32)을 이동시켜 선박계류장비(33)에서 최적의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및 페어리드(Fairlead) 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에서 액화가스라인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며, 액화가스를 벙커링하는 벙커링부(6)가 구비될 수 있다.
벙커링부(6)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는 가스연료추진선과 같은 제1선박(S1) 또는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 적재하기 위한 가스운반선과 같은 제2선박(S2)을 계류시켜 액화가스를 적재 또는 하역시킬 수 있다.
벙커링부(6)는, 액화가스 저장탱크(21)를 구비한 본체(2)로부터 이격되어 해상 위치되는 다수의 벙커링 유닛(61)과, 본체(2)에서 벙커링 유닛(61)까지 연결되는 액화가스라인부(62)를 포함한다.
벙커링 유닛(61)은,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체(611)와, 부유체(611)에 마련되며 액화가스라인부(62)와 연결되는 로딩암 또는 하역호스시스템(612)과, 부유체에 마련되며 자항력을 부여하는 추진수단(613)을 포함한다.
부유체(611)는, 해상에 부유되어 추진수단(613)에 의해 자항 가능하며, 제1,2선박(S1, S2)을 계류하는 선박계류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제1,2선박(S1, S2)을 계류할 수 있다.
로딩암 또는 하역호스시스템(612)은, 부유체(611)에 마련되어 액화가스라인부(62)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제1,2선박(S1, S2)에 벙커링시킬 수 있다.
추진수단(613)은, 부유체(611)의 하부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스러스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유닛(61)은, 제1,2선박(S1, S2)을 부유체(611)에 계류시켜 액화가스를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으며, 추진수단(613)을 이용하여 자항 가능하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적하역 작업이 없는 동안에는 본체(2)에 마련되는 기존의 진공패드(vacuum pad) 또는 전자석 패드를 이용한 도킹 시스템(docking system)을 이용하여 본체(2)에 결합해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적하역 작업 전 추진수단(613)을 이용한 자체 추진으로 제1,2선박(S1, S2)으로 이동 후 제1,2선박(S1, S2)과 본체(2) 사이에서 액화가스를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본체(2)와 독립적인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숫자를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제1,2선박(S1, S2) 대비 크기가 작지만, 추진수단(613)에 의해 자항 운항하여 제1,2선박(S1, S2)의 매니폴드로 이동이 가능하여 제1,2선박(S1, S2)에 액화가스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근접해 위치해 있을 경우 충돌 위험 등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추진수단(613)에 의한 자항 운항으로 본체(2), 제1,2선박(S1, S2), 다른 벙커링 유닛(61)과 항상 자동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벙커링 유닛(61) 중 어느 하나의 벙커링 유닛(61)에 제1선박(S1) 또는 제2선박(S2)이 계류되어 액화가스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경우, 근처에 인접되어 위치하고 있는 다른 벙커링 유닛(61)은 작업 중인 벙커링 유닛(6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자항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벙커링 유닛(61) 중 어느 하나의 벙커링 유닛(61)에 본체(2)의 일측에서 제1선박(S1)이 계류되어 액화가스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다른 제2선박(S2)에 벙커링 유닛(61)의 계류가 필요할 경우, 해당 벙커링 유닛(61)은 본체(2)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제2선박(S2)을 계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추진수단(613)을 이용한 포지션(Position) 기능을 포함하여 제1,2선박(S1, S2)과 적하역 작업 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제1,2선박(S1, S2)선박과 계류 후 추진수단(613)을 이용해 자체 추진하여 인근 해상 장애물로부터 떨어진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여 적하역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제1,2선박(S1, S2)과 계류 후 추진수단(613)을 이용해 조류 또는 파랑 방향 및 풍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웨더베이닝(Weathervaning) 후 적하역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적하역 작업 중 위험(Emergency) 상황 발생으로 인한 에멀전시 셧다운 시스템(Emergency Shutdown System) 작동 후 제1,2선박(S1, S2)으로부터 이격 분리되어 추진수단(613)을 이용해 자체 추진하여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은, 부유체(611)에 펜드(Fender)를 구비하여 계류/적하역 작업 중 제1,2선박(S1, S2)의 선체와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액화가스라인부(62)는, 본체(2)에서 벙커링 유닛(61)까지 연결되며, 본체(2)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21)의 액화가스를 벙커링 유닛(61)에 계류된 제1,2선박(S1, S2)에 연료로 공급하거나, 제1,2선박(S1, S2)에 의해 운반되어 온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 저장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하역 작업시 액화가스 저장탱크(21) 내 발생한 증발가스 반송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액화가스라인부(62)와 별도로 본체(2)와 벙커링 유닛(61) 사이를 연결하는 액화가스라인부(62)와 동일 또는 유사한 증발가스라인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라인부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21)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제1,2선박(S1, S2)으로 반송할 수 있다.
액화가스라인부(6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적하역을 위한 플로팅 호스(floating h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로팅 호스로 이루어지는 액화가스라인부(62)는, 적하역 작업이 없을 경우 본체(2) 또는 벙커링 유닛(61)에 마련되는 호스 릴(hose reel)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적하역 작업 시에는 호스 릴로부터 풀어 본체(2)와 벙커링 유닛(6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라인부(6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에 가스통로(6212)가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암(621)과, 관절암(621)을 본체(2)에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에 마련되는 메인회전체(6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과 메인회전체(622)는 조립 가능한 것으로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스통로(6212)는 파이프 또는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통로(6212)는 일단부가 본체(2)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와 연결되는 제1라인(62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벙커링 유닛(61)의 로딩암 또는 하역호스시스템(612)에 연결되는 제2라인(626)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전체(622)는, 제1라인(625)과 가스통로(6212)를 연결한 상태로 관절암(6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관절암(621)은, 메인회전체(622)에 의해 한쪽 끝이 선체에 고정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관절암(621)은,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확장(연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관절암(621)을 확장할 경우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이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의 연결부위에 처짐 현상 방지를 위한 부이 구조물(624)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관절암(621)의 확장으로 다수의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을 연결해야 하는데,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 사이를 보조회전체(623)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보조회전체(623)는 가스통로(6212)가 연결된 상태로 이웃하는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보조회전체(623)는, 부이 구조물(624)의 상부에 마련되되, 부이 구조물(624)과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이 구조물(624)은, 해저(SB)에 계류되어 위치가 고정시키거나,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부이 구조물(624)이 고정될 경우에는 다수의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의 연결부위가 고정되었을 때 관절암(621)의 타단에 연결되는 벙커링 유닛(61)이 확장된 관절암(621)의 저항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고, 연결부위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결부위에 보조회전체(623)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을 보조회전체(623)로 연결하여 벙커링 유닛(61)이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이 구조물(624)이 고정되지 않을 경우, 다수의 리지드 수평 구조물(6211)을 보조회전체(623)로 연결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관절암(621)의 확장 길이가 길어질 경우 주변 환경에 의해 저항을 받으므로 보조회전체(623)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자항이 가능한 다수의 벙커링 유닛(61)을 본체(2)의 좌현(11) 및 우현(12) 양측에 배치하여 운용함으로써, 크기 및 위치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에 동시에 액화가스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이 본체(2)로부터 독립적인 벙커링 시스템의 적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의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에 선박계류부(3)를 마련하여 본체(2)로부터 선박계류부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의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유닛(61)의 자항으로 웨더베이닝(Weathervaning)이 가능하여 환경 변화(조류 방향, 풍향)에 대응 할 수 있음으로써, 동적위치(DP) 제어기능으로 인해 터미널 가용성 및 벙커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항이 가능한 다수의 벙커링 유닛(61)을 운용함으로써, 근해에서 적하역 작업이 빈번하게 수행되고 선박의 입출항이 빈번하더라도 적하역 /계류 기능을 분리할 수 있어, 근해에서 벙커링 스테이션(1)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항이 가능한 벙커링 유닛(61)에 계류 및 적하역을 위한 설비를 마련할 수 있음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며, 본체(2)의 양측벽에 흘수유지부(4)가 구비될 수 있다.
흘수유지부(4)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3실시예의 흘수유지부(4)와 대비해 볼 때,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통해 흘수를 고정하는 것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21)의 액화가스 적재량에 관계없이 본체(2)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랑으로 인한 벙커링 스테이션(1)의 수직 및 수평 움직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Rigid)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벙커링 스테이션(1)과 제1,2선박(S1, S2) 사이의 상대운동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액화가스 적재(Loading) 또는 하역(Offloading)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액화가스 적재 또는 하역 작업 중 제1,2선박의 흘수만 가변되고 벙커링 스테이션의 흘수는 항상 고정 임) 하도록 하여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에 동시에 액화가스 적재 또는 하역 작업 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벙커링 스테이션(1)과 제1,2선박(S1, S2) 중 어느 하나의 선박 사이에 기 작동(Operation) 중일지라도 추가적으로 선박을 접안/정박/계류/적재/하역(Approaching / Berthing / Mooring /Loading/Offloading)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의 흘수가 고정인 상태로 유지 때문에 밸러스팅부(22)의 제거 가능하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벙커링 스테이션(1)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벙커링 스테이션(1)의 포지셔닝(Positioning)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파랑 등 환경 영향으로 인한 수직/수평 운동을 제한하여 계류/적하역 작업의 안정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흘수유지부(4)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계류작업, 적재작업, 하역작업의 안정성 보장을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1)의 가용성(Operability)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는 본체(2)를 비대칭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본체(2)의 좌현(11)과 우현(12)이 비대칭인 형상으로 동시에 다수의 제1,2선박(S1, S2)에 적하역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스테이션(1)은, 다양한 크기의 제1,2선박(S1, S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선수(13), 선미(14), 좌현(11) 방향 크기와 설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좌현(11)보다 길이가 짧은 우현(12) 방향은 안벽 또는 부두(Jetty)와 계류(Mooring) 하게 되고, 본체(2)의 내부에는 대용량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다수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최소한의 자항이 가능하도록 기관실(Machinery Space)도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제1,2선박(S1, S2)중 대형선박인 제2선박(S2)을 좌현(11) 방향으로 소형선박인 제1선박(S1)을 선수(13), 선미(14) 방향으로 접안(Interface)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제1,2선박(S1, S2)의 적하역 작업이 가능하며, 기존의 터미널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터미널의 추가적인 공사 없이 액화가스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구비되는 본체(2)와, 본체(2)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격벽(2a)으로 구성되어 'W'자 형상을 이룬다. 본체(2)와 양측의 격벽(2a)은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본체(2)와 격벽(2a) 사이에는 다양한 크기의 제1,2선박(S1, S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다양한 선종/크기에 대응하고 액화가스의 이송(transfer)에 제약사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송(side by side transfer)의 제약사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재액화/재가스 유닛(Re-liquefaction / Re-gas unit) 등을 적용한 토탈 솔루션(total solution)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액화가스 벙커링과 더불어 밸러스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2선박(S1, S2)을 도킹(Docking)하여 수면 상부까지 떠오르도록 하여 검사/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도 15의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W'자 형상을 이루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마련되는 중앙부분의 본체(2)에 가변로딩암(retractable loading arm; 7)을 설치하여, 접안되는 다양한 크기/선종의 제1,2선박(S1, S2)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가변로딩암(7)은, 랙(Rack) 및 피니온 타입(pinion type) 또는 와이어 타입(wire type)으로 구성될 될 수 있다.
또한, 가변로딩암(7)은, 본체(2)에 레일 등을 설치하여 선수(13), 선미(14)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가변로딩암(7)을 설치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불특정 다수의 제1,2선박(S1, S2)일지라도 액화가스의 적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도 15의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W'자 형상을 이루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마련되는 중앙부분의 본체(2)와 본체(2) 양측의 격벽(2a)에 수벽시스템(Water Curtain System; 8)을 설치하여, 접안되는 다양한 크기/선종의 제1,2선박(S1, S2)에 화재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접안되는 제1,2선박(S1, S2) 화재 발생 시, 제1,2선박(S1, S2)에서 공급하는 방재시스템(Firefighting system)에 더하여 수벽시스템(8)을 사용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접안된 제1,2선박(S1, S2)에 적하역 작업 동안 청소 서비스도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1)은, 도 15의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W'자 형상을 이루되, 액화가스 저장탱크(21)가 마련되는 중앙부분의 본체(2)와 본체(2) 양측의 격벽(2a)에 유도 반발이 가능토록 코일(9a)을 설치하여, 벙커링 시 사용 가능한 초전도 자석(9b)이 설치된 제1,2선박(S1, S2)이 접안할 때 자기부상 현상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벙커링 스테이션(1)은, 코일(9a)과 자석(9b)에 의해 자기부상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제1,2선박(S1, S2)은 진입 완료와 동시에 정지 상태에서 벙커링 스테이션(1)과 일정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벙커링 시 계류 관련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벙커링에 걸리는 시간 단축할 수 있으며, 벙커링을 위한 펜더(Fender) 및 펜더링(Fendering)의 생략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제1 내지 제11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1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11실시예 각각의 조합으로부터 변형이나 개량 또는 제1 내지 제11실시예 각각의 조합으로 구현되고 예상되는 또 다른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벙커링 스테이션 11: 좌현
12: 우현 13: 선수
14: 선미 2: 본체
2a: 격벽 21: 액화가스 저장탱크
22: 밸러스팅부 221: 밸러스트탱크
222: 밸러스트라인 223: 펌프
224: 밸브 3: 선박계류부
31: 함몰부 32: 플랫폼
33: 선박계류장비 33a: 선박계류장비
331: 선박계류라인 34: 높이조절부
35: 이송부 4: 흘수유지부
41: 구동부 411: 윈치
412: 와이어 42: 시브
43: 앵커링 구조물 43a: 파일 구조물
43b: 트러스 구조물 44: 가이드부
5: 본체계류장비 51: 윈치
52: 본체계류라인 6: 벙커링부
61: 벙커링 유닛 611: 부유체
612: 로딩암 / 하역호스시스템 613: 추진수단
62: 액화가스라인부 621: 관절암
6211: 리지드 수평 구조물 6212: 가스통로
622: 메인회전체 623: 보조회전체
624: 부이 구조물 625: 제1라인
626: 제2라인 7: 가변로딩암
8: 수벽시스템 9a: 코일
9b: 자석 S1: 제1선박
S2: 제2선박 SB: 해저
BSW: 밸러스트수

Claims (4)

  1. 해상에 부유 또는 고박되며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연료추진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으로서,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가스연료추진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계류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구비되며, 선박계류장비가 마련되는 다수의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함몰부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되, 상기 함몰부의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 연장되어 필로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스테이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천장을 대형선박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고, 바닥을 소형선박의 상갑판 높이보다 적어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스테이션.
KR1020190136850A 2019-10-30 2019-10-30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50A KR102232568B1 (ko) 2019-10-30 2019-10-30 벙커링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50A KR102232568B1 (ko) 2019-10-30 2019-10-30 벙커링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568B1 true KR102232568B1 (ko) 2021-03-25

Family

ID=7522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850A KR102232568B1 (ko) 2019-10-30 2019-10-30 벙커링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96A (ko) * 2014-12-16 2016-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101650681B1 (ko) * 2016-03-07 2016-08-23 사단법인 한국선급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KR20170003142A (ko) *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96A (ko) * 2014-12-16 2016-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20170003142A (ko) *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KR101650681B1 (ko) * 2016-03-07 2016-08-23 사단법인 한국선급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4619B2 (en) Multi-function unit for the offshore transfer of hydrocarbons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US7287484B2 (en) Berthing method and system
US10150535B2 (en) Systems, methods and units for offloading or loading cargo at sea
CA2915936C (en) Cargo transfer vessel
KR100730701B1 (ko) 부유식 액화 가스 저장선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사이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수단
KR20150047257A (ko) 해양 구조물 부착형 해양 지원선
CN1576163B (zh) 用于货船例如天然气运输船装载/卸载的浮动站
KR102232568B1 (ko)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1766B1 (ko)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71B1 (ko) 벙커링 스테이션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1135462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KR20220056039A (ko) 벙커링 스테이션
KR20220056040A (ko) 벙커링 스테이션
KR20170000778U (ko) 벙커링 선박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시스템
KR20240060253A (ko) 부유식 해상 이산화탄소 허브 터미널
KR20240008825A (ko) 선박들을 위한 분할 계류 시스템 및 방법들
KR20090022646A (ko) 부유식 천연가스 저장선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OA17499A (en) Cargo transfe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