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81B1 -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 Google Patents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81B1
KR101650681B1 KR1020160026927A KR20160026927A KR101650681B1 KR 101650681 B1 KR101650681 B1 KR 101650681B1 KR 1020160026927 A KR1020160026927 A KR 1020160026927A KR 20160026927 A KR20160026927 A KR 20160026927A KR 101650681 B1 KR101650681 B1 KR 10165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kering
inlet
shuttle
stat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송종춘
김종민
이재훈
노길태
박희범
천강우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선급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to KR102016002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천연 자원을 운반하여 벙커링 스테이션에 하역하는 벙커링 셔틀은, 해양 플랜트로부터 해양 천연 자원을 유입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벙커링 스테이션으로 유출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해양 천연 자원이 유출입하는 유출입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높이 차이가 큰 벙커링 셔틀의 유출입구와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의 높이를 동등하게 조절할 수 있어, 벙커링 셔틀로부터 벙커링 스테이션으로 안전하게 해양 천연 자원 이송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Marine Natural Resources Inlet/Outlet Height Adjustable Bunkering Station and Shuttle}
본 발명은 해양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천연 자원을 저장하고 운반하는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에 관한 것이다.
해상 부유식 또는 고정식 해양 플랜트에서 시추, 저장, 정제된 오일과 가스 등의 해양 천연 자원은 벙커링 셔틀에 의해 벙커링 스테이션에 집하 되고, 이송 선박에 의해 육상으로 이송된다.
도 1은 해양 천연 자원 이송 과정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셔틀(10)은 해양 플랜트(미도시)에서 시추된 해양 천연 자원을 벙커링 스테이션(20)으로 운반하고, 이송 선박(30)은 벙커링 스테이션(20)에 집하된 해양 천연자원을 육상으로 운반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벙커링 스테이션(20)과 이송 선박(30)은 대형으로 높이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벙커링 셔틀(10)은 소형으로, 벙커링 스테이션(20)과 높이가 크게 차이 난다.
이와 같은 높이 차이는, 해양 천연 자원 이송을 위한 호스 연결을 어렵게 하는 한편, 파도가 거센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호스는 곡률 제한이 있으므로, 높이 차이가 허용 범위를 넘어선 경우에는, 연결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천연 자원의 안전한 이송을 위해, 벙커링 셔틀의 유출입구와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의 높이를 동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천연 자원을 운반하여 벙커링 스테이션에 하역하는 벙커링 셔틀은, 해양 플랜트로부터 해양 천연 자원을 유입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으로 유출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해양 천연 자원이 유출입하는 유출입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유출입구의 높이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유출입구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가위 리프트 또는 사다리 리프트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은,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의 특정 지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은,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로써,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길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장되고 단축되는 다단 연장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은, 상기 호스 또는 상기 다단 연장 호스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 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는, 상기 유출입구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하강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이 운반한 해양 천연 자원을 저장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은, 상기 벙커링 셔틀로부터 유입 받아 해양 천연 자원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해양 천연 자원이 유입되는 유입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유입구의 높이가 상기 벙커링 셔틀에서 해양 천연 자원이 유출되는 유출입구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유출입구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높이 차이가 큰 벙커링 셔틀의 유출입구와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의 높이를 동등하게 조절할 수 있어, 벙커링 셔틀로부터 벙커링 스테이션으로 안전하게 해양 천연 자원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해양 천연 자원 이송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벙커링 셔틀과 벙커링 스테이션의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 및 그 설치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셔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벙커링 셔틀(100) 외에 벙커링 스테이션(200)과 이송 선박(300)을 더 도시하였다.
벙커링 셔틀(100)은 해양 플래트(미도시)에서 시추된 오일, 가스 등의 해양 천연 자원을 운반하여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하역한다.
벙커링 셔틀(100)은 해양 플랜트로부터 유입 받은 해양 천연 자원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은 유출입구(110)를 통해 유출되어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하역된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벙커링 셔틀(100)의 저장 탱크와 유출입구(110)는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해양 플랜트로부터 유출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해양 천연 자원이 벙커링 셔틀(100)의 저장 탱크에 저장되고,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이 유출입구(110)를 통해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하역된다.
한편, 벙커링 셔틀(100)의 선체 상부에는 리프트(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120)의 상부에는 유출입구(110)가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120)는 유출입구(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120)는 평상시에는 하강(수축)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하역하는 상황에서는, 리프트(120)가 상승(신장)하여, 높이가 낮은 유출입구(110)의 높이를 높이가 높은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의 높이로 올린다.
도 3에서 리프트(120)는 가위 리프트(Scissors Lift)로 구현되어 있는데,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사다리 리프트로 대체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120)에 의해 유출입구(110)의 높이가 상승하여,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와 높이가 동등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스테이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는 벙커링 스테이션(200) 외에 벙커링 셔틀(100)과 이송 선박(300)을 더 도시하였다.
벙커링 스테이션(200)은 벙커링 셔틀(100)이 해양 플랫폼으로부터 운반하여 하역한 오일, 가스 등의 해양 천연 자원을 저장 탱크(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육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이송 선박(300)에 하역한다.
벙커링 스테이션(200)은 벙커링 셔틀(100)로부터 해양 천연 자원을 유입 받기 위한 유입구(210)와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이송 선박(300)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22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저장 탱크와 유입구(210)는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선체 외벽에는 리프트(2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230)의 선반에는 유입구(210)가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120)는 유입구(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230)는 평상시에는 상승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벙커링 셔틀(100)이 운반한 해양 천연 자원을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저장 탱크에 하역하는 상황에서는, 리프트(230)가 하강하여 유입구(210)의 높이를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의 높이로 낮춘다.
도 5에서 리프트(230)는 선반이 장착된 사다리 리프트로 구현되어 있는데,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랙 앤 피니언 구조의 리프트로 대체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황을 좌측/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230)에 의해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의 높이가 하강하여,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와 높이가 동등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해양 천연 자원의 안전한 하역을 위해, 리프트(120, 230)를 이용하여,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와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의 높이를 동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벙커링 셔틀(100) 및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리프트(120)가 벙커링 셔틀(100)에 마련되어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및 리프트(230)가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마련되어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를 상정하였는데, 양자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벙커링 셔틀(100)에 리프트(120)를 마련함과 동시에 벙커링 스테이션(200)에도 리프트(230)를 마련하여,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의 높이는 상승하고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의 높이는 하강하도록 하여 양자가 중간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는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와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를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 및 그 설치 구조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구조물은 벙커링 셔틀(100)과 벙커링 스테이션(200) 모두에 설치가능하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스(410)의 특정 지점의 위치가 고정용 가이드(420)에 의해 벙커링 셔틀(100)과 벙커링 스테이션(200)에 고정되어, 벙커링 셔틀(100)과 벙커링 스테이션(200)가 파도에 의해 흔들리거나 출렁거리는 경우, 유출입구(110)와 유입구(210)로부터 호스(410)의 이탈을 막아 파손 및 해상 천연 자원의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호스(410)는, 각도 조절기(430)에 의해, 벙커링 셔틀(100) 측으로 향하는 호스(410)의 방향과 벙커링 스테이션(200) 측으로 향하는 호스(41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는 벙커링 셔틀(100)의 유출입구(110)와 벙커링 스테이션(200)의 유입구(210)를 사이에 연결되는 다단 연장 호스(510)를 예시한 도면이다. 벙커링 셔틀(100)과 벙커링 스테이션(200)가 파도에 의해 흔들리거나 출렁거리는 경우, 다단 연장 호스(510)의 길이가 유출입구(110)와 유입구(210) 간의 길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장/단축 되어, 유출입구(110)와 유입구(210)로부터 호스 이탈에 따른 파손과 해상 천연 자원의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다단 연장 호스(510)도 각도 조절기(520)에 의해, 벙커링 셔틀(100) 측으로 향하는 다단 연장 호스(510)는 그 길이가 신장/단축 가능하므로 호스(510)의 방향과 벙커링 스테이션(200) 측으로 향하는 다단 연장 호스(51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벙커링 셔틀 110 : 유출입구
120 : 리프트 200 : 벙커링 스테이션
210 : 유입구 220 : 유출구
230 : 리프트 300 : 이송 선박
410 : 호스 420 : 고정용 가이드
430 : 각도 조절기 510 : 다단 연장 호스
520 : 각도 조절기

Claims (9)

  1. 해양 천연 자원을 운반하여 벙커링 스테이션에 하역하는 벙커링 셔틀에 있어서,
    해양 플랜트로부터 해양 천연 자원을 유입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해양 천연 자원을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으로 유출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해양 천연 자원이 유출입하는 유출입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로써,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길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장되고 단축되는 다단 연장 호스; 및
    상기 다단 연장 호스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 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연장 호스는,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벙커링 셔틀의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선체 외벽에 설치된 사다리 리프트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되,
    상기 벙커링 셔틀의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상기 유입구의 높이가 동일해지는 지점에서, 상기 벙커링 셔틀의 상기 유출입구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셔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유출입구의 높이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의 유입구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유출입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셔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가위 리프트 또는 사다리 리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링 셔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26927A 2016-03-07 2016-03-07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KR10165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927A KR101650681B1 (ko) 2016-03-07 2016-03-07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927A KR101650681B1 (ko) 2016-03-07 2016-03-07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681B1 true KR101650681B1 (ko) 2016-08-23

Family

ID=5687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927A KR101650681B1 (ko) 2016-03-07 2016-03-07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7360A (ja) * 2018-09-05 2020-03-12 三井E&S造船株式会社 バンカー船および燃料移送方法
KR102231766B1 (ko) * 2019-10-30 2021-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71B1 (ko) * 2019-10-30 2021-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68B1 (ko) * 2019-10-30 2021-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791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9628B1 (ko) * 2010-09-3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이송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40025700A (ko) *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KR20150068062A (ko) * 2013-12-11 2015-06-1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공급장치가 설치되는 lng 벙커링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28B1 (ko) * 2010-09-3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이송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20050791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5700A (ko) *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KR20150068062A (ko) * 2013-12-11 2015-06-1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공급장치가 설치되는 lng 벙커링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7360A (ja) * 2018-09-05 2020-03-12 三井E&S造船株式会社 バンカー船および燃料移送方法
KR102231766B1 (ko) * 2019-10-30 2021-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71B1 (ko) * 2019-10-30 2021-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KR102232568B1 (ko) * 2019-10-30 2021-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681B1 (ko) 해양 천연 자원 유/출입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벙커링 스테이션 및 셔틀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US10173755B2 (en) Floating and mobile carrying platform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0997473B (zh) 连续竖向管件装卸及提升浮力结构
KR102473468B1 (ko) 가스 배출 마스트
EP3147200B1 (en) Marin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of installing marine structure
US201302332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PSO Deck Mating
KR101710997B1 (ko)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
KR20170015901A (ko) 다공성 터릿 케이지에 의한 부력식 터릿 계류
CN205256600U (zh) 一种半潜式钻井平台和压缩空气调压载系统
KR101036625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20170001587U (ko) 선박의 빌지 배출 시스템
RU24165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грузки танкера
CN104105637A (zh) 用于船舶的溢流装置
US20130087208A1 (en) Specific gravity valve for a production tank
KR101275977B1 (ko) 선창용 밸브 장치
KR101732642B1 (ko) 펌프타워
KR101750762B1 (ko) 터렛 설치 방법
KR101456857B1 (ko) 중량물 이송 장치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EA029878B1 (ru) Баржа с изменяемой осадкой 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носа грузов с баржи на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в вод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KR101701468B1 (ko) 선외 확장형 공조 장치
KR20150025585A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발라스트 탱크 에어벤트 파이프 설치구조
US20220332394A1 (en) Method and system of ballasting and deballasting a vessel
KR101762595B1 (ko) 선박의 회전식 유지보수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