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30B1 - 차량용 로워암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워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830B1 KR102082830B1 KR1020180069869A KR20180069869A KR102082830B1 KR 102082830 B1 KR102082830 B1 KR 102082830B1 KR 1020180069869 A KR1020180069869 A KR 1020180069869A KR 20180069869 A KR20180069869 A KR 20180069869A KR 102082830 B1 KR102082830 B1 KR 1020828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vehicle
- upper panel
- lower arm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의 간섭이 회피되어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용접시 발생되는 열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용 로워암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제작시 열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용 로워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의 로워암은 차체를 이루어는 서브 프레임과 바퀴가 연결되는 너클 암 사이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전후방향 및 서스펜션의 상하방향의 운동을 가능하도록 타이어를 지지한다.
한편, 로워암은 휠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암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컨트롤 암이라고도 하며 볼조인트, 고무부시 등에 의하여 보디 또는 액슬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로워암은 그 형태에 따라 A자 모양의 A암과 I자 모양의 I암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로워암은 서브프레임과 바퀴측에 연결되기에 자체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주변에 드라이브샤프트, 스테빌라이져와 같은 부품들이 통과됨에 따라, 각 부품들 간의 간섭이 회피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로워암과 주변 부품이 서로 접촉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로워암은 상판과 하판이 용접되어 결합되는데, 상판과 하판의 측벽부가 매칭된 상태에서 아크 용접이 수행됨에 따라, 로워암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이 거동시 주변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여 내구성이 확보되며, 용접시 발생되는 열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용 로워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은 상하방향으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다수의 패널부가 구성되고, 다수의 패널부는 일부가 개구된 커버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패널부의 결합시 각 패널부의 개구된 부분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패널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각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다수의 부시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패널부는, 중앙부에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상부판넬과, 상부판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측벽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 및 중앙부에 상부관통홀과 매칭되는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하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측벽으로 이루어진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패널은 상부측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하부패널은 하부측벽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이 접하도록 매칭되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 또는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는 상호 매칭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은 돌기를 통해, 스폿 용접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조인트는 체결부재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볼조인트가 연결되는 단부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매칭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어 벌어짐에 따라 삽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볼조인트의 커넥터가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체결부재가 상부판넬, 커넥터, 하부판넬을 관통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부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제1파이프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개통홀과 하부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판넬은 상부개통홀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리브가 형성하고, 하부판넬은 하부개통홀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하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개통홀과 하부개통홀은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리브와 하부리브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제2파이프가 연결되는 단부는 상부측벽 및 하부측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2파이프가 감싸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매칭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밍부에는 다수개의 드레인홀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로워암은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의 간섭이 회피되어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용접시 발생되는 열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상부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하부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상부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하부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상부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하부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다수의 패널부(100)가 구성되고, 다수의 패널부(100)는 일부가 개구된 커버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패널부(100)의 결합시 각 패널부(100)의 개구된 부분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패널부(100)가 포개진 상태에서 각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다수의 부시(10)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2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로워암은 다수의 패널부(100)가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패널부(100)는 일부가 개구된 커버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패널부(100)를 결합시 각 패널부(100)의 개구된 부분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로워암은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워암은 일부가 개구된 커버 형태의 패널부(100)를 각 패널부(100)의 단면과 단면이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패널부(100)의 결합 형태가 'H'형상을 이룸에 따라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이 위치되어 로워암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샤프트와 같은 부품이 개구된 부분을 통과하거나 그 위에 위치되어 로워암과 간섭됨이 회피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복수의 패널을 결합시 양측단에 아크 용접을 수행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다수의 패널부(100)의 단면과 단면이 접한 상태에서 단면상에 스폿 용접이 가능함으로써, 용접시 열변형에 의한 내구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부(100)는, 중앙부에 상부관통홀(121)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10) 및 볼조인트(20)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상부판넬(120)과, 상부판넬(120)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측벽(130)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110); 및 중앙부에 상부관통홀(121)과 매칭되는 하부관통홀(161)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10) 및 볼조인트(20)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하부판넬(160)과, 하부판넬(160)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측벽(170)으로 이루어진 하부패널(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관통홀(121)과 하부관통홀(161)은 공구가 삽입되어 스테빌라이저 링크, 드라이브샤프트와 같은 로워암에 근접한 부품들의 설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관통홀(121) 및 하부관통홀(161)의 직경은 공구의 크기에 따라, 공구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부(100)는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로 구성되며, 상부패널(110)의 상부판넬(120)과 하부패널(150)의 하부판넬(160)이 접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부측벽(130)이 상부판넬(120)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부측벽(170)이 하부판넬(160)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은 결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패널(110)은 상부판넬(120)의 둘레를 상방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상부측벽(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블랭킹 공정을 통해, 상부판넬(120)에서 상부측벽(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판넬(120)에서 다수의 부시(10) 및 볼조인트(20)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부측벽(13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부패널(150)의 경우에도 상부패널(110)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부판넬(160)과 하부측벽(1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은 각각의 판넬과 측벽이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한 강성 저하가 회피되고, 자체 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부시(10) 및 볼조인트(20)가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50)의 각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10)은 상부측벽(130)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하부패널(150)은 하부측벽(170)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이 접하도록 매칭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은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이 접하도록 매칭된 상태에서, 상부패널(110)의 상부측벽(130)이 상방을 향하고, 하부패널(150)의 하부측벽(170)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H'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로워암은 절단면이 'H'형상을 이룸에 따라 자체 내구 강성이 확보되고, 상부패널(110)에서 상부측벽(130) 사이로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로워암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샤프트와 같은 부품이 해당 공간을 통과하거나 그 위에 위치되어 부품과 로워암 간의 간섭됨이 회피된다.
또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이 상하방향으로 포개지도록 매칭된 상태에서, 상부판넬(120) 또는 하부판넬(160)에 스폿 용접으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용접시 열변형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 또는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는 상호 매칭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P)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하부판넬(160)의 단면에 돌기(P)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식되어 있다. 이처럼,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이 돌기(P)를 통해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 사이의 돌기(P)에 의한 간극에 의해 구조적으로 좌굴 강성 및 내구 증대의 효과가 발생된다. 이러한 돌기(P)는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에 모두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넬(120) 또는 하부판넬(160)에서, 돌기(P)가 단면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여 전체 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이 돌기(P)를 통해 접한 상태에서 돌기(P) 부분을 용접하여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은 돌기(P)를 통해, 스폿 용접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은 돌기(P)를 통해 상호 접함에 따라, 돌기(P) 부분에 스폿 용접이 가능하며, 스폿 용접의 특성상 열비틀림이 적고, 간단한 용접 공정으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부판넬(120) 또는 하부판넬(160)에 형성된 돌기(P)를 확인하여, 용접이 누락된 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은 돌기(P)에 스폿 용접이 수행되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열변형이 저감되고 내부식성이 향상되며, 돌기(P)에 의해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자체 내구 성능이 증대된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20)는 체결부재(22)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커넥터(21)가 구비되고,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볼조인트(20)가 연결되는 단부(100a)는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이 매칭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어 벌어짐에 따라 삽입공간(101)을 형성함으로써, 볼조인트(20)의 커넥터(21)가 삽입공간(101)으로 삽입되고 체결부재(22)가 상부판넬(120), 커넥터(21), 하부판넬(160)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볼조인트(20)는 상부판넬(120) 및 하부판넬(160)에 고정되는 커넥터(21)가 구비되며, 커넥터(21)는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2)를 통해 상부판넬(120) 및 하부판넬(160)에 고정됨으로써, 볼조인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은 볼조인트(20)가 연결되는 단부(100a)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삽입공간(101)을 형성한다. 즉, 상부판넬(120)의 경우 볼조인트(20)가 연결되는 단부(100a)가 상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하부판넬(160)의 경우 볼조인트(20)가 연결되는 단부(100a)가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됨에 따라,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 사이에 볼조인트(20)의 커넥터(2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0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 사이의 삽입공간(101)으로 볼조인트(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어 압입된 후 체결부재(22)가 상하방향으로 상부판넬(120), 커넥터(21), 하부판넬(160)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강건한 체결 구조가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시(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11)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12)로 구성되고,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제1파이프(11)가 연결되는 단부(100b)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개통홀(122)과 하부개통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시(10)를 이루는 제1파이프(11)는 지오메트리부쉬(G부쉬)가 될 수 있고, 제2파이프(12)는 차체마운팅부쉬(A부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11)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5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평방향에 대해 부싱작용이 수행되고, 제2파이프(12)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5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해서 부싱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에서 제1파이프(11)가 연결되는 단부(100b)에는 각각 상부개통홀(122)과 하부개통홀(162)이 형성되고, 상부개통홀(122)과 하부개통홀(162)에 제1파이프(1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넬(120)은 상부개통홀(122)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리브(123)가 형성되고, 하부판넬(160)은 하부개통홀(162)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하부리브(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개통홀(122)과 하부개통홀(162)은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파이프(11)가 상부개통홀(122)과 하부개통홀(162)의 내측면에 균일하게 접촉되고, 상부리브(123)와 하부리브(163)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됨으로써, 제1파이프(11)가 상부리브(123) 및 하부리브(163)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의 제2파이프(12)가 연결되는 단부(100c)는 상부측벽(130) 및 하부측벽(170)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2파이프(12)가 감싸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파이프(12)는 차체마운팅부쉬로서, 외부에 원형의 프레임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2파이프(12)가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5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패널(110)의 상부측벽(130)과 하부패널(150)의 하부측벽(170)의 형상을 제2파이프(1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부측벽(130) 및 하부측벽(170)에 제2파이프(12)가 감싸지도록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측벽(130) 및 하부측벽(170)의 곡면은 제2파이프(12)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파이프(12)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5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50)이 매칭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판넬(120)과 하부판넬(160)의 단면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밍부(102)에는 다수개의 드레인홀(103)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넬(120) 및 하부판넬(160)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포밍부(102)가 하방으로 동일하게 함물 형성되며, 포밍부(102)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오목하게 함몰됨으로써, 상부판넬(120) 및 하부판넬(160)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판넬(120) 및 하부판넬(160)에 포밍부(102)가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패널에 발생되는 이물질 및 물이 포밍부(102)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렇게, 포밍부(102)측으로 유도된 이물질 및 물은 포밍부(102)에 형성된 복수개의 드레인홀(103)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로워암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드레인홀(103)은 이물질 및 물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로워암의 제조 또는 조립을 위한 지그가 장착되는 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로워암은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여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용접시 발생되는 열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패널부 101:삽입공간
102:포밍부 103:드레인홀
110:상부패널 120:상부판넬
121:상부관통홀 122:상부개통홀
123:상부리브 130:상부측벽
150:하부패널 160:하부판넬
161:하부관통홀 162:하부개통홀
163:하부리브 170:하부측벽
102:포밍부 103:드레인홀
110:상부패널 120:상부판넬
121:상부관통홀 122:상부개통홀
123:상부리브 130:상부측벽
150:하부패널 160:하부판넬
161:하부관통홀 162:하부개통홀
163:하부리브 170:하부측벽
Claims (12)
- 상하방향으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다수의 패널부가 구성되고, 다수의 패널부는 일부가 개구된 커버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패널부의 결합시 각 패널부의 개구된 부분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패널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각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다수의 부시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가 연결되며,
다수의 패널부는, 중앙부에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상부판넬과, 상부판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측벽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 및
중앙부에 상부관통홀과 매칭되는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단부가 형성된 하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측벽으로 이루어진 하부패널;을 포함하며,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 또는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는 상호 매칭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패널은 상부측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하부패널은 하부측벽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이 접하도록 매칭되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은 돌기를 통해, 스폿 용접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1에 있어서,
볼조인트는 체결부재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볼조인트가 연결되는 단부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매칭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어 벌어짐에 따라 삽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볼조인트의 커넥터가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체결부재가 상부판넬, 커넥터, 하부판넬을 관통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부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제1파이프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개통홀과 하부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부판넬은 상부개통홀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리브가 형성되고,
하부판넬은 하부개통홀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하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부개통홀과 하부개통홀은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리브와 하부리브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제2파이프가 연결되는 단부는 상부측벽 및 하부측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2파이프가 감싸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매칭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단면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 청구항 11에 있어서,
포밍부에는 다수개의 드레인홀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869A KR102082830B1 (ko) | 2018-06-18 | 2018-06-18 | 차량용 로워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869A KR102082830B1 (ko) | 2018-06-18 | 2018-06-18 | 차량용 로워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666A KR20190142666A (ko) | 2019-12-27 |
KR102082830B1 true KR102082830B1 (ko) | 2020-02-28 |
Family
ID=6906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9869A KR102082830B1 (ko) | 2018-06-18 | 2018-06-18 | 차량용 로워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283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142318U (zh) * | 2013-03-21 | 2013-08-21 | 上海汇众汽车制造有限公司 | 单片式控制臂 |
KR101338968B1 (ko) | 2012-09-28 | 2013-12-10 | 주식회사화신 | 차량용 로워암 |
KR101488207B1 (ko) | 2014-02-10 | 2015-01-30 | 이형광 | 자동차용 로워암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2179B1 (ko) * | 1999-10-20 | 2001-11-03 | 정주호 | 자동차용 컨트롤암 |
KR100660272B1 (ko) | 2004-12-20 | 2006-12-20 | 위아 주식회사 |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
-
2018
- 2018-06-18 KR KR1020180069869A patent/KR1020828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968B1 (ko) | 2012-09-28 | 2013-12-10 | 주식회사화신 | 차량용 로워암 |
CN203142318U (zh) * | 2013-03-21 | 2013-08-21 | 上海汇众汽车制造有限公司 | 单片式控制臂 |
KR101488207B1 (ko) | 2014-02-10 | 2015-01-30 | 이형광 | 자동차용 로워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666A (ko) | 2019-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99337B2 (ja) |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 |
EP1625955A1 (en) | A trailing arm suspension assembly | |
KR101338966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US6533300B1 (en) | Trailing twist axl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CN112278088B (zh) | 一种发动机舱稳定杆总成及发动机舱 | |
KR102359711B1 (ko) | 차량용 서브프레임 장치 | |
US20040007843A1 (en) | Suspension trailing arm | |
JP4637751B2 (ja) | 車両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 |
JP4356506B2 (ja)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 |
KR102082830B1 (ko) | 차량용 로워암 | |
JP6875679B2 (ja) | 自動車の後部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CN207257274U (zh) | 一种悬架连杆安装支架、安装总成及汽车 | |
JP4311219B2 (ja) | 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保持構造 | |
KR20190142664A (ko) | 차량용 로워암 | |
KR100834223B1 (ko) |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 |
KR102552017B1 (ko) | 폐구간을 갖는 프레임의 용접 구조 | |
CN218594077U (zh) | 一种减震器座加强结构及汽车 | |
JP2006168641A (ja) |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 |
JP4405376B2 (ja) |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 |
CN102381151A (zh) | 一种汽车扭转梁悬架扭杆的安装固定结构 | |
JP7040259B2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JP2000071733A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 |
KR20170066718A (ko) | 자동차 로어암 | |
CN116902089A (zh) | 车辆及其后地板边梁总成 | |
JP6406321B2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部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