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664A - 차량용 로워암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워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664A
KR20190142664A KR1020180069867A KR20180069867A KR20190142664A KR 20190142664 A KR20190142664 A KR 20190142664A KR 1020180069867 A KR1020180069867 A KR 1020180069867A KR 20180069867 A KR20180069867 A KR 20180069867A KR 20190142664 A KR20190142664 A KR 2019014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lower arm
vehicle
panel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일
한기수
배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8006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2664A/ko
Publication of KR2019014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여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로워암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로워암 {LOWER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에 연결되는 부품들과 간섭을 회피하는 차량용 로워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의 로워암은 차체를 이루어는 서브 프레임과 바퀴가 연결되는 너클 암 사이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전후방향 및 서스펜션의 상하방향의 운동을 가능하도록 타이어를 지지한다.
한편, 로워암은 휠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암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컨트롤 암이라고도 하며 볼조인트, 고무부시 등에 의하여 보디 또는 액슬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로워암은 그 형태에 따라 A자 모양의 A암과 I자 모양의 I암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로워암은 서브프레임과 바퀴측에 연결되기에 자체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주변에 드라이브샤프트, 스테빌라이져와 같은 부품들이 통과됨에 따라, 각 부품들 간의 간섭이 회피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로워암과 주변 부품이 서로 접촉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70011 A (2006.06.2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의 거동시 주변 부품의 간섭이 회피되어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로워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 단부에 차체와 연결되는 복수의 부시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가 연결되며, 단면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개통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패널의 단면 상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빈공간이 차체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측면패널;을 포함한다.
베이스패널과 측면패널은 일체로 구성되고, 측면패널은 베이스패널의 둘레에서 복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는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은 관통홀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관통홀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조인트는 베이스패널에 안착시,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베이스패널에서 볼조인트가 안착되는 단부의 측면패널은 베이스패널에 안착되는 볼조인트의 커넥터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의 포밍부에는 복수개의 개통홀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은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가 상방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의 각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베이스패널에는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제1파이프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장착홀에는 원통형의 장착리브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에서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단부의 측면패널은 제2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의 관통홀은 제2파이프의 회전중심점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로워암은 자체 내구 강성이 증대되고, 로워암의 거동시 주변 부품의 간섭이 회피되어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A-A'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B-B'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C-C'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A-A'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B-B'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의 C-C'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로워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 단부에 차체와 연결되는 복수의 부시(30)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40)가 연결되며, 단면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11)이 개통된 베이스패널(10); 및 베이스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패널(10)의 단면 상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빈공간이 차체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측면패널(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로워암은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로 구성되며, 베이스패널(10)의 경우 각 단부에 복수의 부시(30) 및 볼조인트(40)가 연결되고, 각 단부를 연결하는 단면이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패널(10)의 단면에는 관통홀(11)이 상하방향으로 개통되게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에 공구를 삽입하여 스테빌라이저 링크, 드라이브샤프트와 같은 로워암에 근접한 부품들의 설치 및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11)의 직경은 공구의 크기에 맞추어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패널(10)의 둘레에는 측면패널(20)이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즉, 베이스패널(10)의 너비방향으로 양단에 측면패널(20)이 돌출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워암은 베이스패널(10)에서 둘레를 따라 측면패널(20)이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의 단면 상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고, 로워암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샤프트와 같은 부품이 빈공간을 통과하거나 그 위에 위치되어 로워암과 간섭됨이 회피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베이스패널(10)의 단면에서 측면패널(20)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베이스패널(10)의 너비방향의 양단에서 측면패널(2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하방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은 일체로 구성되고, 측면패널(20)은 베이스패널(10)의 둘레에서 복수의 부시(30) 및 볼조인트(40)가 연결되는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은 하나의 로워암 소재로 구성된 상태에서, 베이스패널(10)의 둘레를 상방으로 절곡시켜 측면패널(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블랭킹 공정을 통해, 로워암 소재를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패널(10)에는 각 단부에 복수의 부시(30) 및 볼조인트(40)가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 복수의 부시(30) 및 볼조인트(40)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측면패널(2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베이스패널(10)과 측면패널(20)이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한 강성 저하가 회피되고, 자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은 관통홀(11)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관통홀(11)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패널(10)의 관통홀(11)은 단순히 개통되는 것이 아니라, 관통홀(11)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관통홀(11)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됨으로써, 관통홀(11) 주변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로워암에 하중이 작용될 경우 관통홀(11)이 형성된 부분의 강성이 취약해지는데, 베이스패널(10)은 관통홀(11)의 주변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의 강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패널(10)의 관통홀(11)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부품의 설치 및 수리 공정 수행시, 관통홀(11)의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공구를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볼조인트(40)는 베이스패널(10)에 안착시, 체결부재(42)를 통해 베이스패널(10)에 고정되는 커넥터(41)가 구비되고, 베이스패널(10)에서 볼조인트(40)가 안착되는 단부(10a)의 측면패널(20)은 베이스패널(10)에 안착되는 볼조인트(40)의 커넥터(41)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볼조인트(40)는 베이스패널(10)에 안착되는 커넥터(41)가 구비되고, 커넥터(41)는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2)를 통해 베이스패널(10)에 고정됨으로써, 볼조인트(40)가 베이스패널(10)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패널(10)에서 볼조인트(40)가 안착되는 단부(10a)의 측면패널(20)은 볼조인트(40)의 커넥터(41)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에 안착된 볼조인트(40)의 결합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패널(20)은 볼조인트(40)의 커넥터(41)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만으로, 볼조인트(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볼조인트(40)가 베이스패널(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넥터(41)의 외측면이 측면패널(20)에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결합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패널(10)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패널(10)의 포밍부(12)에는 복수개의 개통홀(13)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패널(10)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포밍부(12)가 형성되며, 포밍부(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오목하게 함몰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의 강성의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패널(10)에 포밍부(12)가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패널(10)에 발생되는 이물질 및 물이 포밍부(12)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렇게, 포밍부(12)측으로 유도된 이물질 및 물은 포밍부(12)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통홀(13)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로워암의 오염이 방지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개통홀(13)은 이물질 및 물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로워암의 제조 또는 조립을 위한 지그가 장착되는 홀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은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10a)가 상방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로워암은 종래의 로워암 대비 베이스패널(10)의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베이스패널(10)에 설치되는 볼조인트(40)의 위치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베이스패널(10)에서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10a)는 상방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볼조인트(40)의 설치 위치가 상측으로 조정됨에 따라 볼조인트(40)의 적정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의 각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시(3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31)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32)로 구성되고, 베이스패널(10)에는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10a)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단부(10b)에 제1파이프(31)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홀(14)이 형성되며, 장착홀(14)에는 원통형의 장착리브(15)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시(30)를 이루는 제1파이프(31)는 지오메트리부쉬(G부쉬)가 될 수 있으며, 제2파이프(32)는 차체마운팅부쉬(A부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41)는 베이스패널(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평방향에 대해 부싱작용이 수행되고, 제2파이프(32)는 베이스패널(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해서 부싱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파이프(31)는 베이스패널(10)에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10a)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단부(10b)에 형성된 장착홀(14)에 삽입되고, 장착홀(14)에는 원통형의 장착리브(15)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파이프(31)가 장착홀(14)에 삽입시 장착리브(15)의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착리브(15)는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장착리브(15)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1파이프(3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패널(10)에서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단부의 측면패널(20)은 제2파이프(32)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결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파이프(32)는 차체마운팅부쉬로서, 외부에 프레임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2파이프(32)가 베이스패널(1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베이스패널(10)에서 볼조인트(40)가 장착되는 단부(10a)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단부(10c)에는 반원형의 결합부(16)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16)가 제2파이프(32)를 감싼 상태에서 결합부(16)에 제2파이프(32)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패널(10)의 결합부(16)는 제2파이프(32)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6)와 제2파이프(32)가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의 관통홀(11)은 제2파이프(32)의 회전중심점(O)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패널(10)에서 측면패널(20)이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베이스패널(10)이 하측에 위치되고, 베이스패널(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은 베이스패널(10)의 단부에 설치된 제2파이프(32)의 회전중심점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패널(10)의 관통홀(11)에 공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로워암이 제2파이프(3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향 회전시, 로워암의 일정 회전까지는 공구가 관통홀(11)에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로워암은 자체 강성이 확보되고, 로워암이 거동됨에 따른 주변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여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로워암에 공구가 관통되어 다른 부품의 조립을 수행시, 공구가 로워암을 관통하더라도 로워암의 회전량이 확보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베이스패널 11:관통홀
12:포밍부 13:개통홀
14:장착홀 15:장착리브
16:결합부 20:측면패널
30:부시 31:제1파이프
32:제2파이프 40:볼조인트
41:커넥터 42:체결부재

Claims (10)

  1.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 단부에 차체와 연결되는 복수의 부시 및 휠 너클과 연결되는 볼조인트가 연결되며, 단면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개통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패널의 단면 상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빈공간이 차체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측면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로워암.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과 측면패널은 일체로 구성되고,
    측면패널은 베이스패널의 둘레에서 복수의 부시 및 볼조인트가 연결되는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은 관통홀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관통홀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볼조인트는 베이스패널에 안착시,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베이스패널에서 볼조인트가 안착되는 단부의 측면패널은 베이스패널에 안착되는 볼조인트의 커넥터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에는 너비방향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6. 청구항 5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의 포밍부에는 복수개의 개통홀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은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가 상방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8.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의 각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파이프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베이스패널에는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제1파이프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장착홀에는 원통형의 장착리브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9. 청구항 8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에서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단부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단부의 측면패널은 제2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의 관통홀은 제2파이프의 회전중심점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암.
KR1020180069867A 2018-06-18 2018-06-18 차량용 로워암 KR20190142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67A KR20190142664A (ko) 2018-06-18 2018-06-18 차량용 로워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67A KR20190142664A (ko) 2018-06-18 2018-06-18 차량용 로워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64A true KR20190142664A (ko) 2019-12-27

Family

ID=6906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867A KR20190142664A (ko) 2018-06-18 2018-06-18 차량용 로워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26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011A (ko) 2004-12-20 2006-06-23 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011A (ko) 2004-12-20 2006-06-23 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CN110023117B (zh) 车辆用悬架装置
KR10133896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WO2012049857A1 (en) Vehicle suspension support structure
US6733020B2 (en) Suspension trailing arm
WO2014129046A1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構造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210153446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장치
KR101027409B1 (ko) 차량용 현가 시스템
JP4637751B2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JP505743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30629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KR20190142664A (ko) 차량용 로워암
KR100475910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JP499829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082830B1 (ko) 차량용 로워암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0834223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2008149789A (ja) 連結手段
KR102406141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
JP2015123952A (ja) トラニオンブラケット
JP3975572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565830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特性の決定方法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JP6943369B2 (ja) 自動車の後部サスペンショ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