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234B1 -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234B1
KR102082234B1 KR1020190131213A KR20190131213A KR102082234B1 KR 102082234 B1 KR102082234 B1 KR 102082234B1 KR 1020190131213 A KR1020190131213 A KR 1020190131213A KR 20190131213 A KR20190131213 A KR 20190131213A KR 102082234 B1 KR102082234 B1 KR 10208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hot water
cover
heat insulat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신
Original Assignee
정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신 filed Critical 정동신
Priority to KR102019013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2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hot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providing fire-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관에 대한 보s온재 시공이 용이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한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는 보온부; 상기 보온부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피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REMOVABLE GAS PIPE INSULATION}
본 발명은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배관에 대한 보온재 시공이 용이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한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스 배관 등의 배관시설은 추운 겨울에 파열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배관용 보온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관용 보온재는 관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배관시설에 시공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 절개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시판된다.
중앙 부위가 절개된 배관용 보온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시트 형태의 보온재를 관형으로 말아서 맞물린 부분에 열을 가하여 접합시킨 후, 접합된 부위를 절개하고, 그것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한다. 그런데, 열에 의해 접착된 중앙 부위를 즉시 절개하게 되면, 보온재의 복원력에 의해 배관용 보온재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을 이용하여 중앙 부위를 접합한 후, 약 3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중앙 부위 절개조작을 행해야만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이용되는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관용 보온재의 중앙 부위를 절개하기 위해, 일정시간 경과 후 작업하게 되므로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성형된 보온재의 중앙절개를 위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인력이 많이 필요했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제조된 중앙 부위가 절개된 배관용 보온재를 관의 외경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절개된 보온재를 관의 외경에 설치한 후에, 절개된 면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양면 테이프를 붙이거나 폴리머 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 주위를 감아야 했다. 따라서, 시공시간이 길어지며, 시공완료 후에도 외관이 좋지 못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10283호 한국공개실용산안 제10-2018-000059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스 배관에 대하여 보온재 시공이 용이하도록 지퍼를 형성하되, 지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재 내측에 지퍼(벨크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덮개부를 이용하여 가스 배관이 냉기로 노출되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나가아서, 동파 방지 엠보싱을 이용하여 추가 보온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 배관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내측면에 마찰 덮개가 설치된 보온부를 가스 배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설치 방법은,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는 보온부; 상기 보온부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피체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지퍼 또는 벨크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을 감쌀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가스 배관과 대향하는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가스 배관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동파 방지 엠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가 가스 배관을 감싸면 가스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는 온수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상기 덮개부가 가스 배관을 감쌈에 따라 가스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면서 가스 배관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온수가 투입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된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덮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가스 배관이 언 경우 가스 배관이 녹을 때까지 상기 입구를 통해 온수가 투입되며, 가스 배관을 녹이면서 순환된 온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상기 입구 및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해 두며, 온수 공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해 둔 물을 가열시켜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온수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통지 받으며, 가스 배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밑으로 떨어지면 가스 배관의 온도가 정상 온도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온수 공급관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온수 공급부로 전달하는 온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보온부를 흔들어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 해동부는,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상부를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하부을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하부 덮개; 및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의 외측면을 덮으며, 사용자가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는, 가스 배관의 상부 및 하부에 난연성 점착제를 도포시킨 뒤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설치 방법은,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는 보온부로 가스 배관을 덮는 단계; 및 상기 보온부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피체결부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지퍼 또는 벨크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을 감쌀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가스 배관과 대향하는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가스 배관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동파 방지 엠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가 가스 배관을 감싸면 가스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는 온수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상기 덮개부가 가스 배관을 감쌈에 따라 가스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면서 가스 배관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온수가 투입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된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덮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가스 배관이 언 경우 가스 배관이 녹을 때까지 상기 입구를 통해 온수가 투입되며, 가스 배관을 녹이면서 순환된 온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 공급관은, 상기 입구 및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해 두며, 온수 공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해 둔 물을 가열시켜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온수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통지 받으며, 가스 배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밑으로 떨어지면 가스 배관의 온도가 정상 온도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온수 공급관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온수 공급부로 전달하는 온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보온부를 흔들어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 해동부는,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상부를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하부을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하부 덮개; 및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의 외측면을 덮으며, 사용자가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는, 가스 배관의 상부 및 하부에 난연성 점착제를 도포시킨 뒤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스 배관에 대하여 보온재 시공이 용이하도록 지퍼를 형성하되, 지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재 내측에 지퍼(벨크로)를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관의 보온재를 별도의 장비 없이 간단하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를 이용하여 가스 배관이 냉기로 노출되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나가아서, 동파 방지 엠보싱을 이용하여 추가 보온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 배관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측면에 마찰 덮개가 설치된 보온부를 가스 배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시킴으로써,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와 마찰 덮개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가스 배관의 온도를 상승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온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보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온수 공급관의 입구 및 배출구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를 이용하여 가스 배관의 온도 상승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를 이용한 가스 배관 보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10)는, 보온부(100), 체결부(200) 및 피체결부(300)를 포함한다.
보온부(100)는, 가스 배관(P)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며, 가스 배관(P)과 대향하는 내측면의 일측 테두리에 체결부(200)가 설치되고, 가스 배관(P)과 대향하는 내측면의 타측 테두리에 체결부(2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온부(100)는, 기 설정된 폭(즉, 가스 배관(P)를 충분히 둘러 감쌀 정도의 폭)과 길이(즉, 가스 배관(P)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P)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부(200)는, 보온부(10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보온부(100)가 가스 배관(P)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보온부(100)의 타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피체결부(300)를 체결한다.
피체결부(300)는, 보온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체결부(200)에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200) 및 피체결부(300)는, 가스 배관(P)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지퍼 또는 벨크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200) 및 피체결부(300)는, 보온부(100)가 가스 배관(P)을 감쌀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가스 배관(P)과 대향하는 보온부(10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부(100)로 가스 배관(P)을 감싼 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0)와 피체결부(300)를 체결하여 본원 발명을 가스 배관(P)에 체결시킬 수 있다.
가스 배관(P)에 대하여 보온재 시공이 용이하도록 지퍼를 형성하되, 지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재 내측에 지퍼(벨크로)를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관(P)의 보온재를 별도의 장비 없이 간단하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보온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온부(100)는, 덮개부(110) 및 동파 방지 엠보싱(120)을 포함한다.
덮개부(110)는, 가스 배관(P)을 감싸 보온 및 단열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폭(즉, 가스 배관(P)를 충분히 둘러 감쌀 정도의 폭)과 길이(즉, 가스 배관(P)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P)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되며, 가스 배관(P)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체결부(200) 및 피체결부(300) 그리고 동파 방지 엠보싱(120)이 설치된다.
동파 방지 엠보싱(120)은, 덮개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가스 배관(P)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동파 방지 엠보싱(120)은, 덮개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P)를 감싸서 보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 공간에 충진된 비중이 큰 액체를 이용하여 보온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엠보싱들이 서로 연결 설치된 형태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엠보싱들이 서로 이격되어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온부(100)는, 덮개부(110)를 이용하여 가스 배관(P)이 냉기로 노출되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나가아서, 동파 방지 엠보싱(120)을 이용하여 추가 보온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 배관(P)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보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100)는, 덮개부(110), 동파 방지 엠보싱(120) 및 온수 공급관(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덮개부(110) 및 동파 방지 엠보싱(12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온수 공급관(130)은, 덮개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연장 형성되며, 덮개부(110)가 가스 배관(P)을 감싸면 가스 배관(P)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온수 공급관(130)은, 덮개부(110)가 가스 배관(P)을 감쌈에 따라 가스 배관(P)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면서 가스 배관(P)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온수 공급관(130)은, 온수가 투입되기 위한 입구(131) 및 입구(131)를 통해 투입된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32)가 덮개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며(도 5 참조), 가스 배관(P)이 언 경우 가스 배관(P)이 녹을 때까지 입구(131)를 통해 온수가 투입되며, 가스 배관(P)을 녹이면서 순환된 온수는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수 공급관(130)은, 입구(131) 및 배출구(132)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133, 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100)는, 온도 측정부, 온수 공급부 및 온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온도 측정부는, 가스 배관(P)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P)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가스 배관(P)의 온도를 온수 제어부로 전달한다.
온수 공급부는,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해 두며, 온수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온수 공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해 둔 물을 가열시켜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
Figure 112019107733746-pat00001
내지 80
Figure 112019107733746-pat00002
등)가 되면 온수 공급관(130)으로 공급하며, 온수 제어부로부터 온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공급 중단 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온수 공급을 중단한다.
온수 제어부는, 온도 측정부로부터 가스 배관(P)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통지받으며, 가스 배관(P)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
Figure 112019107733746-pat00003
등) 밑으로 떨어지면 가스 배관(P)의 온도가 정상 온도(예를 들어, 15
Figure 112019107733746-pat00004
등)로 복귀할 때까지 온수 공급관(130)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온수 공급부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100)는, 덮개부(110)와 동파 방지 엠보싱(120) 등의 구조를 이용한 경우에도 가스 배관(P)이 냉각된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가스 배관(P)의 온도를 상승시켜 줄 수 있도록 가스 배관(P)가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온수 공급관(130)을 통해 온수를 순화시킴으로써, 적정 온도까지 가스 배관(P)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20)는, 보온부(100), 체결부(200), 피체결부(300) 및 마찰 해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온부(100), 체결부(200) 및 피체결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마찰 해동부(400)는, 보온부(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배관(P)을 감싼 상태의 보온부(100)를 흔들어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P)을 녹인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 해동부(400)는, 상부 덮개(410), 하부 덮개(420) 및 마찰 덮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410)는, 보온부(100)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P)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P)의 상부를 덮고 가스 배관(P)에 부착 설치된다.
하부 덮개(420)는, 보온부(100)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P)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P)의 하부을 덮고 가스 배관(P)에 부착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는, 가스 배관(P)의 상부 및 하부에 난연성 점착제를 도포시킨 뒤 부착 설치된다.
이때,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의 마찰 덮개(430)과 대향하는 외측면은, 보다 효율적으로 마찰 덮개(430)의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의 발생시킬 수 있도록 사포(Sandpaper)의 연마면과 같이 거칠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찰 덮개(430)는, 보온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의 외측면을 덮으며, 사용자가 보온부(100)를 흔들 경우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P)을 녹인다.
이때, 마찰 덮개(430) 역시,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와 대향하는 내측면이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의 발생시킬 수 있도록 사포(Sandpaper)의 연마면과 같이 거칠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마찰 덮개(430)가 설치된 보온부(100)를 가스 배관(P)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덮개(410) 및 하부 덮개(420)와 마찰 덮개(43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가스 배관(P)의 온도를 상승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를 이용한 가스 배관 보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가스 배관(P)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는 보온부(100)로 가스 배관(P)을 덮다(S110).
상술한 단계 S110에 의해 보온부(100)로 가스 배관(P)을 덮으면, 보온부(10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보온부(100)가 가스 배관(P)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보온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체결하는 체결부(200)를 이용하여 보온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체결부(200)에 체결되는 피체결부(300)를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를 이용한 가스 배관 보온 방법에 사용되는 각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100: 보온부
200: 체결부
300: 피체결부
400: 마찰 해동부

Claims (2)

  1.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 마감하는 보온부;
    상기 보온부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보온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피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부는,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되며,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지퍼 또는 벨크로로 제작되며,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보온부가 가스 배관을 감쌀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가스 배관과 대향하는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을 감싸 보온 및 단열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또는 멈출 수 있도록 난연성(難燃性) 재질의 천 또는 비닐로 제작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가스 배관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동파 방지 엠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보온부는, 가스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해 두며, 온수 공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해 둔 물을 가열시켜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연장 형성되는 온수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가스 배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통지 받으며, 가스 배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밑으로 떨어지면 가스 배관의 온도가 정상 온도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온수 공급관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온수 공급부로 전달하는 온수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보온부를 흔들어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 해동부는,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상부를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가스 배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의 하부을 덮고 가스 배관에 부착 설치되는 하부 덮개; 및 상기 보온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의 외측면을 덮으며, 사용자가 상기 보온부를 흔들 경우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언 상태의 가스 배관을 녹이기 위한 마찰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는, 가스 배관의 상부 및 하부에 난연성 점착제를 도포시킨 뒤 부착 설치되는,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2. 삭제
KR1020190131213A 2019-10-22 2019-10-22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KR1020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13A KR102082234B1 (ko) 2019-10-22 2019-10-22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13A KR102082234B1 (ko) 2019-10-22 2019-10-22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234B1 true KR102082234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13A KR102082234B1 (ko) 2019-10-22 2019-10-22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52B1 (ko) 2022-12-30 2023-12-20 (주)엔피코리아 가스 배관 히터용 보온 자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83A (ko) 1998-07-31 2000-02-15 이봉주 지퍼 부착된 배관용 보온재 및 연속생산이 가능한 배관용보온재의 지퍼 부착장치
KR20050101277A (ko) * 2004-04-17 2005-10-21 김완수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101746083B1 (ko) * 2015-07-02 2017-06-12 이삼해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KR20180000598A (ko) 2016-06-23 2018-01-03 한국기계연구원 탄소막이 코팅된 반도체 검사 장치용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598U (ko) * 2016-08-22 2018-03-05 이병훈 배관 파이프의 보온 및 단열공사 마감용 테이프 부재
KR20180118287A (ko) * 2017-04-21 2018-10-31 티텍 주식회사 동파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83A (ko) 1998-07-31 2000-02-15 이봉주 지퍼 부착된 배관용 보온재 및 연속생산이 가능한 배관용보온재의 지퍼 부착장치
KR20050101277A (ko) * 2004-04-17 2005-10-21 김완수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101746083B1 (ko) * 2015-07-02 2017-06-12 이삼해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KR20180000598A (ko) 2016-06-23 2018-01-03 한국기계연구원 탄소막이 코팅된 반도체 검사 장치용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598U (ko) * 2016-08-22 2018-03-05 이병훈 배관 파이프의 보온 및 단열공사 마감용 테이프 부재
KR20180118287A (ko) * 2017-04-21 2018-10-31 티텍 주식회사 동파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52B1 (ko) 2022-12-30 2023-12-20 (주)엔피코리아 가스 배관 히터용 보온 자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234B1 (ko)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KR102082232B1 (ko)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
US6574930B2 (en) Passive film protection system for walls
US10112065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firestop device or insulation having firestop properties as well as a firestop module
KR101627819B1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 커버
WO2017174803A9 (de) Elektrisch beheizbarer latentwärmespeicher mit kurzen beladezeiten
KR200487602Y1 (ko)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WO2012034466A1 (zh) 一种新型悬挂式超细干粉自动灭火装置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JPH10321356A (ja) 自己制御型コードヒ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4244958A (ja) 凍結防止用流水配管
CN205689882U (zh) 水龙头防冻装置
JPS6343808A (ja) 即効暖房装置
KR200490756Y1 (ko) 동파방지 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JP5530552B2 (ja) 給水・給湯管
CN207831538U (zh) 一种空调蓄能系统
JPH07249476A (ja) 自己温度調節型面状発熱体とその使用方法
JP3438530B2 (ja) 配管カバー構造
JP4574906B2 (ja) 凍結防止装置の発熱テス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082714A (ja) 給水管又は給湯管の凍結防止構造
JPH0663709B2 (ja) 蓄熱体
KR101990440B1 (ko) 음수대에 적용하는 동파방지시스템
JPH08241784A (ja) 面状加温装置
JPH07276558A (ja) 被覆管、被覆管継手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025985B2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