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277A -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 Google Patents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277A
KR20050101277A KR1020040026430A KR20040026430A KR20050101277A KR 20050101277 A KR20050101277 A KR 20050101277A KR 1020040026430 A KR1020040026430 A KR 1020040026430A KR 20040026430 A KR20040026430 A KR 20040026430A KR 20050101277 A KR20050101277 A KR 2005010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ipe
insulation
foam sheet
insul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04002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277A/ko
Publication of KR2005010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발포단열관은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에 있어서,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다수의 단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을 구비한 부분을 내부면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포시트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단 또는 외측단으로 인하여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경부의 신축성을 향상하여 중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보유한 파이프를 삽입하기가 수월해지고, 신축성이 우수하여 밀착성이 향상되며, 단열계수가 높은 공기층이 단열 효과를 증대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단열 효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단과 단 사이의 공간만큼 재료비를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FOAMED INSULATION TUBE}
본 발명은 파이프를 감싸기 위한 중공 형상의 발포단열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성을 향상하고 파이프의 시공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단열관은 파이프를 감싸는 것이며, 이는 파이프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파이프 내에 흐르는 액체를 단열하게 되는 바, 단열성을 증대하기 위해 합성 수지를 발포하게 된다.
종래의 발포단열관은 파이프를 내장할 수 있도록 중공부를 형성하고, 단열정도에 따라 두께가 결정되며, 전체적으로 폴리올레핀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발포하여 구성된다.
그러면 발포단열관의 내부에 미세한 공기가 내장되어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거나 파이프 내에 흐르는 액체를 단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발포수지로 중공 형상의 관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두께에 따라 단열 정도를 결정하게 되어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했으며, 발포단열관의 중공부의 직경을 쉽게 가변할 수 없기 때문에 중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를 쉽게 삽입하기 어려워서 파이프를 시공하는 범위가 한정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며, 밀착성이 불균일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부 이외의 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으로 인하여 단열성을 향상함과 더불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하여 재료비를 용이하게 절감하고, 중공부의 직경을 쉽게 가변할 수 있어 파이프의 시공성을 증대할 수 있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에 있어서,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다수의 단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을 구비한 부분을 내부면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포시트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발포단열관(1)은 합성수지를 편편한 평판 형상으로 발포한 뒤, 중공부를 형성한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것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발포단열관(1)은 발포시트(10)의 한쪽 면에 다수의 단(10a)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10a)을 구비한 부분을 내부면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포시트(10)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단의 형상이나 단 사이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단의 높이와 폭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양측면을 부착할 때에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열풍, 히터, 고주파접착기 등과 같은 열융착수단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포단열관(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10a)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높은 단열계수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서도 단열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마주보는 두 개의 단(10a) 사이의 거리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파이프(11)를 삽입하더라도 다수의 단(10a)의 돌출 높이가 쉽게 가변될 수 있어 파이프(2)가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수지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발포수지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발포단열관(1)의 용도 등을 기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둘레면에 비닐지(film), 은박지, 겔러그 등과 같은 박판지(12)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면 박판지(12)가 발포수지가 아니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어 발포단열관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하게 되고, 박판지(12)에 용도 등을 인쇄할 수 있으므로 발포단열관(1)의 용도 등을 사용자에게 쉽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발포단열관(1)의 외부 표면이 매끄럽게 되면 작업자가 잡아서 파이프(11)를 삽입하는 작업도중에 미끄러져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둘레면에 엠보싱(13)을 형성한 뒤, 상기와 같은 박판지(12)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엠보싱(13)으로 인하여 발포단열관(1)의 표면과 작업자의 손바닥 사이의 미끄럼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의 발포단열관(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10a)을 구비한 발포시트(10)의 한쪽 면에 제1평면발포시트(14)를 부착한 뒤, 이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포단열관(2)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10a)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높은 단열계수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서도 단열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상기 제1평면발포시트(14)가 절곡되어 구비된 내경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파이프(11)를 삽입하더라도 제1평면발포시트(14)가 공기층과 함께 쉽게 가변될 수 있어 파이프(2)가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포단열관(2)의 외부 둘레면에 박판지(12)를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이의 외부 둘레면에 엠보싱(13)을 형성한 뒤, 상기 박판지(12)를 부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또다른 예의 발포단열관(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시트(10)의 다른쪽 면에 다수의 외측단(10b)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다수의 외측단(10b)을 구비한 면에 제2평면발포시트(15)를 부착한 뒤, 이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다른 한편 또다른 예의 발포단열관(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10a)을 구비한 발포시트(10)의 한쪽 면에 제1평면발포시트(14)를 부착하고, 상기 발포시트(10)의 다른쪽 면에 다수의 외측단(10b)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다수의 외측단(10b)을 구비한 면에 제2평면발포시트(15)를 부착한 뒤, 이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이들의 작용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발포단열관(1,2,3,4)은 다수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어 내부 직경이 보다 쉽게 가변될 수 있고, 쪼임성이 우수하여 밀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기층으로 인한 단열 효과가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은 다수의 단 또는 외측단으로 인하여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경부의 신축성을 향상하여 중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보유한 파이프를 삽입하기가 수월해지고, 단열계수가 높은 공기층이 단열 효과를 증대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단열 효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단과 단 사이의 공간만큼 재료비를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보유한 파이프를 삽입하기가 보다 쉽기 때문에, 쪼임성이 좋아 밀착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용 스펙(SPEC)의 사용 범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더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일 예를 설명하는 주요부를 발췌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또다른 예를 설명하는 주요부를 발췌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 : 발포단열관 10 : 발포시트
10a : 단 10b : 외측단
11 : 파이프 14,15 : 제1,제2평면발포시트

Claims (6)

  1.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에 있어서,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다수의 단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을 구비한 부분을 내부면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포시트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을 구비한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제1평면발포시트를 부착한 뒤, 이를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시트의 다른쪽 면에 다수의 외측단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다수의 외측단을 구비한 면에 제2평면발포시트를 부착한 뒤, 이들을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을 구비한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제1평면발포시트를 부착하며, 상기 발포시트의 다른쪽 면에 다수의 외측단을 상호 이격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다수의 외측단을 구비한 면에 제2평면발포시트를 부착한 뒤, 이들을 절곡 형성하여 접촉하는 양측면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둘레면에 박판지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둘레면에 엠보싱을 형성한 뒤, 박판지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1020040026430A 2004-04-17 2004-04-17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20050101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30A KR20050101277A (ko) 2004-04-17 2004-04-17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30A KR20050101277A (ko) 2004-04-17 2004-04-17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277A true KR20050101277A (ko) 2005-10-21

Family

ID=3727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430A KR20050101277A (ko) 2004-04-17 2004-04-17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32B1 (ko) * 2019-10-22 2020-02-27 정동신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82234B1 (ko) * 2019-10-22 2020-02-27 정동신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32B1 (ko) * 2019-10-22 2020-02-27 정동신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82234B1 (ko) * 2019-10-22 2020-02-27 정동신 탈부착형 가스 배관 보온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67910T3 (pl) Rura przewodowa z izolacją termiczną
WO2008126448A1 (ja) 伝熱シートおよび放熱構造体
WO2008071637A3 (en) Cryogenic transfer hose having a fibrous insulating lay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transfer hose
ITMI20012812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evacuati cilindrici termicamenteisolanti e pannelli cosi&#39; ottenuti
KR20050101277A (ko)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JP5555611B2 (ja) 断熱式貯湯装置
JP5255376B2 (ja) 断熱材及び断熱管
KR200407770Y1 (ko)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20050101276A (ko)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KR101199956B1 (ko) 복합 배관재,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155279A (ja) 断熱筺体
JPH09317044A (ja) 複合断熱材
KR200440907Y1 (ko) 에어컨 냉매배관용 보온호스
JP2006200586A (ja) パイプ用断熱保護部材
KR20100077597A (ko) 보온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4144147A (ja) 配管用断熱カバー及びその製法
WO2002012775A1 (en) Pipe insulating jackets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
JP2010511139A (ja) 空調システムのための空気チャネルを形成する導管部材
KR100906295B1 (ko) 에어컨 배관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190204Y1 (ko) 단열매트
KR101442563B1 (ko) 파이프 보온시트
KR200379024Y1 (ko) 에어컨 배관용 단열재
JP3769130B2 (ja) 床暖房マット及びその梱包方法
JP2002295746A (ja) 可撓性多重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