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99B1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899B1 KR102081899B1 KR1020180118515A KR20180118515A KR102081899B1 KR 102081899 B1 KR102081899 B1 KR 102081899B1 KR 1020180118515 A KR1020180118515 A KR 1020180118515A KR 20180118515 A KR20180118515 A KR 20180118515A KR 102081899 B1 KR102081899 B1 KR 102081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discharge electrode
- support
- discharge
- setting bea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477 desulfur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23556 desulfuriz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2716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BAOBIBJACZTNA-UHFFFAOYSA-L calc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Ca+2].[O-]S([O-])=O GBAOBIBJACZTN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261 calcium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LSNNMFCWUKXFEE-UHFFFAOYSA-L sulfite Chemical class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430 calcium compoun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674 calc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6 calc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or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모듈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방전극에 고전압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탈황 장치 및 집진 모듈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모듈은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모듈은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하고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집진 모듈 및 탈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소각시설이나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또는 제철소 등에서 물질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 가스내의 염화수소(HCl)나 황산화물(SOx) 또는 불화수소(HF) 등의 산성성분은 인체에 매우 해롭고 대기오염의 원인물질이 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거되고 있다.
배기 가스 중의 아황산가스 제거 방법에서 배기 가스의 배출 과정 중 배기 가스에 중화제인 소석회나 활성탄 등의 분말을 건식으로 분사, 접촉시켜 황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건식탈황법이라 하고, 가성소다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석회석의 수성 슬러리(Slurry)를 중화제로 사용하고 흡수액을 분무하여 배기 가스와 접촉시켜 황 성분을 제 거하는 방법을 습식탈황법이라 한다.
습식 탈황 공정에 있어서, 배기 가스는 석회와 같은 알칼리를 함유한 흡수 유체와 기체 및 액체 접촉(gas-liquid contact)되고, 그에 따라 SO2가 배기 가스로부터 흡수되고 제거된다. 그 결과, 배기 가스로부터 흡수된 SO2는 흡수 유체에 아황산염을 형성한다. 이러한 아황산염을 산화시켜 안정된 아황산염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기를 흡수 유체내로 불어넣는 것에 의해 아황산염을 산화시키는 것이 통상적으로 실행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습식 연도 가스 탈황장치는 이른바 산화 탱크 유형의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습식 연도 가스 탈황장치에 있어서, 산소 함유 가스(통상적으로, 공기)가 흡수 탑의 탱크 내로 불어넣어지고, 상기 탱크에서 산소 함유 가스는 이산화황을 산화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흡수된 이산화황을 갖는 슬러리(석회와 같은 칼슘 화합물을 함유함)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탈황 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기 집진기에 의하여 먼지가 제거되는데, 통상적으로 전기 집진기는 탈황 장치와 별도로 설치되어 연도 가스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에서 방전극의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입자상 물질이 하전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이 정전기력에 의하여 집진판에 포집된다. 전기 집진기는 많은 수의 방전극과 집진극을 갖는데, 방전극과 집진극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대형 구조물 내부에 많은 수의 방전극과 집진극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높은 구조물에서 위험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방전극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방전극을 고압 전원에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집진 모듈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방전극에 고전압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탈황 장치 및 집진 모듈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모듈은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고압 지지봉을 포함하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연결부재는 관형 거더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팅 빔은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에 결합된 상부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빔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쪽 측단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롯은 상기 측벽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빔은 상기 바닥부와 맞닿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절곡되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벽과 맞닿는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내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막대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의 상면을 관통하는 세로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막대에서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부분은 제1 용접부에 의하여 상기 하부 빔에 고정되고, 상기 세로 보강부와 상기 상부 빔은 제2 용접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팅 빔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형상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과 상기 제2 세팅 빔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극의 상단을 삽입하는 중앙 세팅 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는 하측에 배기 가스 유입구와, 상부에 배기 가스 배출구를 구비하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 복수 개의 분무노즐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흡수액 공급관, 및 상기 흡수액 공급관 상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탑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방전극과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고압 지지봉을 포함하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연결부재는 관형 거더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극이 제1 세팅 빔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1 세팅 빔이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어 하부 프레임과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방전극들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집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집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를 따르는 탈황 장치(1000)는 화력 발전소 등 플랜트 설비의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 가스와 흡수액의 기액 접촉으로 배기 가스에 포함된 황성분을 흡수 제거한다.
탈황 장치(1000)는 흡수탑(1200), 흡수액 공급관(1410), 흡수액 펌프(1470), 교반기(1460), 산화공기 공급부(1450), 액적 제거 다공판(1420), 및 집진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탑(1200)은 유입부, 배출부 및 내부 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수탑(1200) 내부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황성분과 미세 먼지가 제거된다. 흡수탑(1200)의 하부에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3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황성분 및 미세 먼지가 제거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20)가 형성된다. 유입부(1310)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일러 등에서 석탄 등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가 유입부(1310)를 통하여 흡수탑(1200) 내부로 유입되어 상향 이동한다. 배출부(1320)는 흡수탑(1200)의 상단에 형성되며 흡수탑(12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사각형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탑(1200)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원기둥부(1210), 원기둥부(1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사각기둥부(1250) 및 원기둥부(1210)와 사각기둥부(1250)를 연결하는 가변부(1230)를 포함한다. 배출부(1320)는 사각기둥부(1250)의 상단에 연결 형성된다. 가변부(1230)의 하단은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가변부(1230)의 상단은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액 공급관(1410)은 흡수탑(1200) 하부로 공급되어 저류된 석회석 슬러리를 흡수액 펌프(1470)로 펌핑하여 상측으로 이송시켜 흡수탑(1200) 상부에 설치된 분무노즐을 통해 흡수액을 미세 액적으로 분무한다. 분무된 흡수액은 배기 가스와 접촉 반응하며, 미반응 흡수액은 하강하여 저류되다가 흡수액 펌프(1470))의 펌핑에 의해 재순환되어 사용된다.
흡수액 공급관(1410)의 하부에는 다공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다공판이 설치된 영역에서 황성분 함유 배기 가스가 흡수액의 미세 액적과 접촉 반응한다. 이러한 장소는 스프레이존이라 불리는데, 스프레이존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아황산가스가 물과 흡수반응하여 아황산이 되고, 아황산은 석회석과 중화반응되어 아황산칼슘이 생성되며, 생성된 아황산칼슘과 물과 미반응 흡수액은 하부로 하강하여 저류되고, 흡수액은 재순환되어 이용된다.
흡수탑(1200)의 하부에 흡수액이 위치하는 저류부(1350)에서 아황산칼슘이 산소와 물과 산화반응하여 석고와 황산을 생성시키고, 황산은 석회석과 다시 중화반응하여 석고가 생성된다. 산화반응을 위하여 흡수탑(1200)의 바닥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산화공기 공급부(145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다.
한편, 흡수탑(1200)의 하부에는 교반기(1460)가 설치되어 석회석 슬러리를 교반하여 반응을 촉진시킨다. 또한 흡수탑(1200) 하부에는 저류부(1350)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관(미도시)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흡수액 공급관(1410)의 상부에는 미세 액적의 제거를 위한 액적 제거 다공판(142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액적 제거 다공판(1420)은 가변부(12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다공판(1420)의 상부에는 집진 모듈(100)과 집진 모듈(100)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집진 모듈(100)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2층으로 적층 배열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집진 모듈(100)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으로 적층 배열될 수도 있다.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는 집진극(13)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세정수 공급부(14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세정수 공급부(1430)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정수 공급부(1430)는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집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설명을 위해서 집진극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방전극(12)과 집진극(13),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 및 중앙 세팅 빔(18)을 포함한다. 집진 모듈(100)은 타이 로드들과 세팅 빔들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흡수탑(1200) 내부의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설치될 수 있다.
방전극(12)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전극(12)에는 복수의 개구(122)가 형성된다. 개구(12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엣지 부분에는 복수의 방전핀(125)이 형성된다. 방전핀(125)은 침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측단 엣지 및 개구(122)의 내측단 엣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방전극(12)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보강 막대(121, 도 4 참조)을 포함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제1 보강 막대(121)는 방전극(1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되도록 방전극(12)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방전극(12)에는 제2 타이 로드(17)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집진극(13)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133)이 형성된다. 집진극(13)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진극(13)을 지지하는 제2 보강 막대(131)를 포함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되도록 집진극(13)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방전극(12)과 집진극(1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복수의 집진극(13) 사이에 방전극(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집진극(13)과 방전극(12)의 간격(G1)은 50mm~7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극(1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이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과 정전기력이 발생한 영역으로 배기 가스가 이동하는 중에 입자상 물질은 코로나 방전으로 생성된 이온(전자)와 결합하여 하전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으로 집진극(13)에 부착된다.
제1 타이 로드(16)는 복수의 방전극(12)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집진극(13)에 형성된 제2 홀(1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집진극(13)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방전극(12)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1 타이 로드(16)가 설치되고, 방전극(12)의 하부에도 복수의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 설치된다.
제1 타이 로드(16)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타이 로드(16) 중 하부에 배치된 제1 타이 로드(16)는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되고, 제1 타이 로드(16) 중 상부에 배치된 제1 타이 로드(16)는 상부 지지대(61)에 고정된다.
한편, 제2 타이 로드(17)는 복수의 집진극(13)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제2 타이 로드(17)는 방전극(12)에 형성된 제1 홀(1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방전극(1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집진극(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2 타이 로드(17)가 결합되며, 제2 타이 로드(17)의 길이 방향 단부는 집진극(13)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타이 로드(17)는 흡수탑(1200) 내의 다른 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에는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전극(12)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2 홀(13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방전극(12)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집진극(13)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1 홀(12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집진극(13)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1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제1 보강 막대(121)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14)은 하부 빔(141)과 하부 빔(141)에 결합되는 상부 빔(1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빔(141)은 바닥부(141a)와 바닥부(141a)의 양쪽 측단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된 2개의 측벽(141b, 141c)을 포함한다. 한편, 상부 빔(142)은 바닥부(141a)와 맞닿는 하부 지지부(142a)와 하부 지지부(142a)에서 절곡되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141c)과 맞닿는 외측 지지부(142b), 외측 지지부(142b)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142c), 및 경사부(142c)에서 절곡되어 바닥부(141a)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지지부(142d), 상부 지지부(142d)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내측 지지부(142e)를 포함한다. 경사부(142c)를 통해서 수분이 외측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슬롯(143)은 측벽(141b, 141c)에만 형성되고, 바닥부(141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빔(142)에도 하부 슬롯(143)이 형성되는데, 하부 슬롯(143)은 하부 지지부(142a)와 외측 지지부(142b)에 형성된다. 하부 빔(141)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과 상부 빔(142)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은 서로 연결되며 제1 보강 막대(121)는 외측 측벽(141b)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과 외측 지지부(142b)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부 빔(142)과 하부 빔(141)이 결합되면 제1 세팅 빔(14)은 일측 측면이 절개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세팅 빔(14)이 상부 빔(142)과 하부 빔(141)으로 분리 형성되면 제1 세팅 빔(14)을 하부 빔(141)에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즉, 방전극(12)을 하부 빔(141)에 용접 고정한 후, 상부 빔(142)을 하부 빔(141)에 결합하고 상부 빔(142)에 방전극(12)을 용접하면 제1 세팅 빔(14)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방전극(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방전극(12)의 두께는 최소화되어야 하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방전극(12)의 전도성이 높고 두께가 얇으면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극(12)이 제1 보강 막대(121)를 포함하므로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세팅 빔(15)은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2 세팅 빔(15)에는 집진극(13)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 슬롯(156)이 형성된다. 상부 슬롯(156)은 제2 세팅 빔(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2 세팅 빔(15)은 제1 세팅 빔(14) 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13)의 상단 폭방향 중앙에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의 상단 중앙을 삽입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중앙 세팅 빔(18)이 설치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상단에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에는 제2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제2 세팅 빔(15)에 지지된다.
제2 세팅 빔(15)은 하판(151), 하판(151)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측판(152), 측판(152)에서 절곡되어 하판(151)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153), 및 하판(151)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판(154)을 포함한다. 하판(151)과 측판(152)의 일부에 제2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되며, 제2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지지판(154)의 상면과 맞닿는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이 유지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 어셈블리(20)는 하부 프레임(30), 관형 거더(48), 상부 지지대(61), 하부 지지대(51), 락킹부재(70), 절연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30)은 방전극(12) 및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절연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된다. 2개의 하부 프레임(30)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하부 프레임(30)에는 2개의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30)에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거치대(35)가 형성되며, 거치대(35)에 제1 세팅 빔(14)이 거치된다. 하부 프레임(30)은 고압으로 대전되며 제1 세팅 빔(14)과 방전극(12)도 하부 프레임(30)을 통해서 고압으로 대전된다.
한편, 하부 지지대(51)는 하부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데, 하부 지지대(51)는 집진 모듈(100)의 외측과 중앙에 각각 배치된다. 하부 지지대(51)는 하부 프레임(30) 상에 위치하는 측단 돌출부(51a)와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30)의 측면과 맞닿는 하부 돌출부(51b), 및 제1 타이 로드(16)가 고정되는 지지 바(51c)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대(51)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는 복수의 커넥터(55)가 설치되는데, 커넥터(55)는 제1 타이 로드(16)와 나사 결합되어 제1 타이 로드(16)를 고정한다. 제1 타이 로드(16)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외측에 배치된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 타측 단부는 중앙에 배치된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이 로드(16)를 하부 지지대에 체결하는 것으로 집진 모듈을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30)에는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되는데, 절연 연결부재(40)에는 방전극(12)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단자봉(42)과 절연을 위한 하부 절연 애자(41)가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며 고압 단자봉(42)이 돌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압 단자봉(42)에는 하부 프레임(30)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43)가 설치되어 하부 프레임(30)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30)과 제1 세팅 빔(14)을 통해서 방전극(12)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30)은 절연 연결부재(40)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거더(48)에 삽입 설치되며, 관형 거더(48)는 하부 프레임(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관형 거더(48)는 흡수탑(1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관형 거더(48)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49)이 설치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하부에는 퍼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내부에는 하부 절연 애자(41)를 지지하는 지지대(46)가 설치되며 하부 절연 애자(41)는 지지대(46) 상에 거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연결되며, 고압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를 매개로 관형 거더(48)에 고정 설치되어 절연된다. 이에 따라 고압 단자봉(42)은 고압으로 대전되고, 관형 거더(48)는 접지될 수 있다.
제2 세팅 빔(15)은 관형 거더(48)의 상면에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의 하단은 관형 거더(48)에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세팅 빔(15)은 관형 거더(48)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배치된다.
상부 지지대(61)는 집진 모듈(100)의 상부측에 배치되되 집진 모듈(100)의 양쪽 외측과 중앙에 각각 배치된다. 상부 지지대(61)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는 복수의 커넥터(65)가 설치되는데, 커넥터(65)는 제1 타이 로드(16)와 나사 결합되어 제1 타이 로드(16)를 고정한다. 제1 타이 로드(16)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외측에 배치된 상부 지지대(61)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 타측 단부는 중앙에 배치된 상부 지지대(61)에 고정된다.
외측에 배치된 상부 지지대(61)에는 상부 지지대(61)를 가압 지지하는 락킹부재(70)가 연결 설치되는데, 락킹부재(70)는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부 지지대(61)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락킹부재(70)는 흡수탑(1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상부 절연 애자가 설치된다. 락킹부재(70) 내부에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락킹부재(70)들에는 공기의 공급을 위한 퍼지 공기 공급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락킹부재(70)는 하부로 돌출된 연결 막대(71)와 연결 막대(7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부 지지대(61)를 중앙으로 가압하는 가압 지지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대(61)가 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면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은 제1 세팅 빔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세팅 빔(240)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240)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2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240)에는 제1 보강 막대(121)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2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단은 제1 세팅 빔(240)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24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형상의 지지관(241)과 지지관(241)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 지지판(242)을 포함한다. 지지관(241)에 복수의 하부 슬롯(243)이 형성되며 하부 슬롯(243)에는 제1 보강 막대(121)와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된다.
한편, 하부 지지판(242)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관(24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지지판(242)은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면과 맞닿아 제1 보강 막대(121)를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팅 빔(240)과 방전극(12)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전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은 제1 보강 막대(33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방전극(12)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보강 막대(330)을 포함하는데, 제1 보강 막대(330)는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제1 보강 막대(330)는 방전극(1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되도록 방전극(12)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제1 보강 막대(330)는 제1 세팅 빔(14)에 제1 용접부(351)를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보강 막대(330)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 돌기(331)가 형성된다. 지지 돌기(331)는 제1 세팅 빔(14)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 세팅 빔(14)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돌기(331)는 제1 세팅 빔(14)에 제2 용접부(352)를 매개로 접합된다.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1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제1 보강 막대(330)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330)는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330)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14)은 하부 빔(141)과 하부 빔(141)에 결합되는 상부 빔(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접부(351)는 제1 보강 막대(330)에서 방전극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부분과 하부 빔(141)을 고정하고, 제2 용접부(352)는 지지 돌기(331)와 상부 빔(142)을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강 막대(330)에 지지 돌기(331)가 형성되고 제1 보강 막대(330)가 제1 세팅 빔(14)과 제1 용접부(351) 및 제2 용접부(35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방전극(12)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집진 모듈 10: 지지부
12: 방전극 13: 집진극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제1 세팅 빔 15, 240: 제2 세팅 빔
18: 중앙 세팅 빔 20: 프레임 어셈블리
30: 하부 프레임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고압 단자봉
43: 앵커 46: 지지대
48: 관형 거더 61: 상부 지지대
70: 락킹부재 51: 하부 지지대
121, 330: 제1 보강 막대 241: 지지관
242: 하부 지지판 351: 제1 용접부
352: 제2 용접부 1000: 탈황 장치
1200: 흡수탑 1210: 원기둥부
1230: 가변부 1250: 사각기둥부
1410: 흡수액 공급관 1420: 액적 제거 다공판
1430: 세정수 공급부 1450: 산화공기 공급부
1460: 교반기 1470: 흡수액 펌프
12: 방전극 13: 집진극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제1 세팅 빔 15, 240: 제2 세팅 빔
18: 중앙 세팅 빔 20: 프레임 어셈블리
30: 하부 프레임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고압 단자봉
43: 앵커 46: 지지대
48: 관형 거더 61: 상부 지지대
70: 락킹부재 51: 하부 지지대
121, 330: 제1 보강 막대 241: 지지관
242: 하부 지지판 351: 제1 용접부
352: 제2 용접부 1000: 탈황 장치
1200: 흡수탑 1210: 원기둥부
1230: 가변부 1250: 사각기둥부
1410: 흡수액 공급관 1420: 액적 제거 다공판
1430: 세정수 공급부 1450: 산화공기 공급부
1460: 교반기 1470: 흡수액 펌프
Claims (17)
-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고압 지지봉을 포함하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연결부재는 관형 거더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형 거더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관형 거더의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세팅 빔은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에 결합된 상부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빔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쪽 측단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롯은 상기 측벽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빔은 상기 바닥부와 맞닿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절곡되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벽과 맞닿는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의 상면을 관통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팅 빔은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에 결합된 상부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막대에서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부분은 제1 용접부에 의하여 상기 하부 빔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상부 빔은 제2 용접부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고압으로 대전되는 복수의 방전극;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세팅 빔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형상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과 상기 제2 세팅 빔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극의 상단을 삽입하는 중앙 세팅 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 - 하측에 배기 가스 유입구와, 상부에 배기 가스 배출구를 구비하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 복수 개의 분무노즐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흡수액 공급관; 및
상기 흡수액 공급관 상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탑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방전극과 집진극,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방전극들을 지지하는 제1 세팅 빔, 및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은 하부 절연 애자와 고압 지지봉을 포함하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집진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연결부재는 관형 거더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형 거더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관형 거더의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 삭제
- 삭제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8515A KR102081899B1 (ko) | 2018-10-04 | 2018-10-04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CN201811485881.5A CN110960958B (zh) | 2018-10-01 | 2018-12-06 | 集尘模块、脱硫装置及集尘模块的安装方法 |
US16/215,632 US11260401B2 (en) | 2018-10-01 | 2018-12-10 | Dust collecting module, desulfurizing apparatus having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dust collecting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8515A KR102081899B1 (ko) | 2018-10-04 | 2018-10-04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1899B1 true KR102081899B1 (ko) | 2020-02-26 |
Family
ID=6963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8515A KR102081899B1 (ko) | 2018-10-01 | 2018-10-04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899B1 (ko)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3625A (ja) * | 1994-10-06 | 1996-04-2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排煙脱硫装置 |
JP2000107637A (ja) * | 1998-10-01 | 2000-04-18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
KR100360417B1 (ko) * | 1994-04-04 | 2003-02-19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
KR100818639B1 (ko) * | 2006-10-02 | 2008-04-01 | 이아름드리 | 습식전기이오나이져 |
JP2009034599A (ja) * | 2007-08-01 | 2009-02-19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装置 |
JP2009095799A (ja) * | 2007-10-18 | 2009-05-07 | Midori Anzen Co Ltd | 電気集塵機 |
JP2010063966A (ja) * | 2008-09-09 | 2010-03-25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機 |
KR101478770B1 (ko) | 2014-05-29 | 2015-01-05 | 박진성 |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방전극 |
KR20170076944A (ko) * | 2015-12-24 | 2017-07-05 | (주)에코솔루텍 | 수평형 습식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장치 |
CN106944261A (zh) * | 2017-03-31 | 2017-07-14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电极板组件、静电装置和油烟机 |
JP2017127818A (ja) * | 2016-01-21 | 2017-07-27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清浄機 |
KR101901572B1 (ko) * | 2018-02-05 | 2018-09-27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선박용 배가스 처리 시스템 |
-
2018
- 2018-10-04 KR KR1020180118515A patent/KR102081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0417B1 (ko) * | 1994-04-04 | 2003-02-19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
JPH08103625A (ja) * | 1994-10-06 | 1996-04-2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排煙脱硫装置 |
JP2000107637A (ja) * | 1998-10-01 | 2000-04-18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
KR100818639B1 (ko) * | 2006-10-02 | 2008-04-01 | 이아름드리 | 습식전기이오나이져 |
JP2009034599A (ja) * | 2007-08-01 | 2009-02-19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装置 |
JP2009095799A (ja) * | 2007-10-18 | 2009-05-07 | Midori Anzen Co Ltd | 電気集塵機 |
JP2010063966A (ja) * | 2008-09-09 | 2010-03-25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機 |
KR101478770B1 (ko) | 2014-05-29 | 2015-01-05 | 박진성 |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방전극 |
KR20170076944A (ko) * | 2015-12-24 | 2017-07-05 | (주)에코솔루텍 | 수평형 습식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장치 |
JP2017127818A (ja) * | 2016-01-21 | 2017-07-27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清浄機 |
CN106944261A (zh) * | 2017-03-31 | 2017-07-14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电极板组件、静电装置和油烟机 |
KR101901572B1 (ko) * | 2018-02-05 | 2018-09-27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선박용 배가스 처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9796B1 (ko)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
KR101300482B1 (ko) | 매개 금속이온 및 환원제를 사용한 대기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
KR101376341B1 (ko) | 연도 가스 세정용 시스템 및 방법 | |
JPWO2007080676A1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KR20150010605A (ko) | 습식 스크러버 노즐 시스템 및 공정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사용 방법 | |
CN110960958B (zh) | 集尘模块、脱硫装置及集尘模块的安装方法 | |
KR102081899B1 (ko)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
KR102081898B1 (ko) |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및 집진 모듈의 설치 방법 | |
KR102134460B1 (ko) |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 |
KR102225473B1 (ko) | 집진 장치 | |
CN111001269B (zh) | 集尘模块及具备集尘模块的脱硫装置 | |
JPH08299747A (ja) | 排ガスの脱硫・脱塵装置 | |
KR100733075B1 (ko) | 가스층 다공판 장착 습식 배연 탈황장치 | |
KR102209793B1 (ko) | 승강장 집진 장치 | |
KR102442005B1 (ko) | 전기집진기가 복합된 탈황장치 | |
JP2008080248A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KR20140074013A (ko) | 흡수탑 | |
KR100285294B1 (ko) | 배기가스 중 황산화물의 제거장치 | |
KR101838139B1 (ko) | 배기가스 복합처리 시스템 | |
KR102365644B1 (ko) | 가스 스크러버 장치 | |
KR20230159734A (ko) | 탈황, 탈질 및 미세먼지 저감을 동시에 수행하는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 |
KR102458498B1 (ko) | 상향류 방식 2단 직간접식 정전분무장치 | |
KR102601883B1 (ko) | 가스 및 먼지 동시 저감장치 | |
KR101020258B1 (ko) | 산성 폐가스 처리 시스템 | |
CN112717661A (zh) | 一种净化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