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417B1 -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0417B1 KR100360417B1 KR1019950007862A KR19950007862A KR100360417B1 KR 100360417 B1 KR100360417 B1 KR 100360417B1 KR 1019950007862 A KR1019950007862 A KR 1019950007862A KR 19950007862 A KR19950007862 A KR 19950007862A KR 100360417 B1 KR100360417 B1 KR 100360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plate
- dust collecting
- electrode
- electrode plates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시의 액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로서 고성능이고 소형의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를 제공함과 아울러, 통전측단부(10A),(20A)와 대향측단부(10B),(20B)를 보유하는 전극판(10),(20)을 번갈아서 적층한다. 통전측단부(10A),(20A)는 대응하는 동일 극성의 통전지주(E5),(E6)를 관통시켜서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한편, 대향측단부(10B),(20B)는, 반대극성의 통전지주(E6),(E5)에 대하여, 그 전극판(10),(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D)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집진부(E)의 액이 고이기 쉬운 부위에 소망하는 공간(S),(S1)을 구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시의 액이 잔류하기 어렵게 된다. 또, 액이 잔류하였다고 하더라도,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액의 잔류에 의한 전하의 손실을 방지하여, 양호한 집진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집진엘리먼트이 집진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인가전극판과 어스측의 집진전극판을 서로 간격을 두고 번갈아서 적충한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류의 전기집진엘리먼트는, 깨끗이되어야 할 공기의 경로중에, 이온화부와 이 이온화부의 하류측에 배설되는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온화부에 의해서 미리 한쪽의 극성(예컨대 플러스의 극성)에 하전된 상기한 공기중의 먼지가, 집진부에 의해서 포집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집진부로서는, 인가전극판과 집진전극판을 보유하고 있다. 양 전극판은 서로 공기를 유통가능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서 적층되어 있다. 인가전극판과 집진전극판의 간격이 좁을수록 높은 집진효율이 얻어진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양자 모두 도전성의 전극판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에는, 전극판간의 간격은 4mm정도가 한계로, 그 이상 전극판의 간격을 좁게하여 집진효율을 높이고자 하면,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버린다. 그래서, 한쪽의 전극판(예컨대, 인가전극판)은,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를 수지제의 피복부재로 피복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다른 쪽의 전극판(예컨대, 집진전극판)은, 대전된 전하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전부재를 보유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전극판의 간격을 비교적 좁게하여, 높은 집진효율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개평3-80953호 공보, 특개평6-31200호 공보참조).
각 전극판의 일단측에는, 인가측의 통전지주가 배설되고, 각 전극판의 타단측에는 어스측의 통전지주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인가전극판의 도전부재는, 그 인가전극판의 일단측으로부터 인가측의 통전지주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어스측의 통전지주와는 절연되어 있다. 다른 한편, 집진전극판의 도전부재는, 그 집진전극판의 타단측으로부터 어스측의 통전지주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인가측의 통전지주와는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판과 그것에 대응하는 통전지주와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종래는, 각각 접속되는 쪽에 통전단자편을 설치하여 그 통전단자편을 만곡시켜, 그 탄성반발력에 의해서 도전부재를 통전지주에 압압하고 있었다(예컨대 실공평2-33881호 공보사본).
이와같은 집진부는, 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기적으로 포집된 먼지가 세정수에 의해서 세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것에서는, 세정후의 물기제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문제점에 대해서는 집진부의 세정시, 상술한 전극판에 있어서는, 만곡한 상태로 통전지주에 접속하는 통전단자편을 설치하고 있었으므로, 각 전극판과 통전지주의 사이에 세정시에 있어서 세정수 등의 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잔류하기 때문이다.
본건 출원인은, 서로 극성이 다른 전극판을 번갈아서 적층해서 전극판적층체를 구성하고, 이 전극판적층체를 관통하는 1쌍의 통전지주에 의해서 각 전극판에 통전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특원평4-226238호).
이 구성에서는, 각 전극판의 단부에 만곡한 통전단자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느정도, 액의 잔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각 통전지주는 전체 전극판의 양 단부를 관통하고 있으므로, 그래도, 역시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각 전극판의 단부와 통전지주의 사이에 구획되는 작은 틈새에 세정시의 액이 잔류하게 된다.
한편, 세정후의 전기집진엘리먼트를 물기제거를 위해 충분히 흔들어 두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큰 물방울이 눈에 띠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따른 물기제거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예의 검토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물기제거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는 하기와 같이 발생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였다.
즉, 세정후의 엘리먼트를 물기제거를 위해 충분히 흔들어 두었다고 하더라도,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시의 액은 미세한 다수의 물방울(W)로 되어서 각 전극판(10),(20)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물방물(W)을 건조시키기 위해 소정시간 방치하여 둔 경우, 물방울(W)에 작용하는 중력이나 진동과 바람 등의 영향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물방울(W)은 점차 모아져서 성장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전극판(10),(20)의 문제는 높은 집진효율을 얻기 위해, 비교적 좁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전극판(예컨대, 인가전극판(10))에서 성장한 물방울(W)이, 다른쪽의 전극판(예컨대, 집진전극판(20))에서 성장한 물방울(W)에 접속해서 서로 일체화되어 양 전극판(10),(20)간에 가설된 상태의 이른바,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W1)(제10도 참조)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연결된 물방울(W1)은, 양 전극판(10),(20)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그 부착력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물방울(W)에 비하여, 강고한 것으로 되어, 전기집진엘리먼트를흔들어도 물방울(W1)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연결된 상태에서는, 물방울(W1)의 대기에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물방울(W1)이 건조하는데 보다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 및 상기한 고찰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정후의 물기제거성이 향상된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형태는,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도전부재를 각각 보유하는 장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을 포함하여, 각 전극판을 서로 간격을 띠워서 번갈아 적층해서 구성된 전극적충체와, 전극적층체의 양 단부를, 그 전극판의 적층방향으로 관통해서 쌍을 이루고, 서로 다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통전지주를 구비한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에 있어서, 각 전극판은, 대향하는 동일전극의 통전지주를 관통시켜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는 통전측단부와, 반대극성의 통전지주에 대하여 그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띠워서 대향하고 있는 대향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1의 형태에 의하면, 통전지주와 그것에 대향하는 대향측단부와의 사이에 소망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더우기, 통전지주의 주위에는, 그 통전지주의 극성과 동일 극성의 전극판만이 대향하는 넓은 공간이 구획되게 되므로, 각 전극판과 통전지주의 사이가 넓어지는분만큼, 세정시의 액이 잔류하기 어렵게 되어, 물기제거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우기, 대향측단부는, 그것과 반대극성의 통전지주에 대하여, 그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띠우며 대량하고 있으므로, 조금의 액이 잔류하고 있다고 하더래도,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액을 통하여 인가전극판으로부터 어스측의 집진전극판에 전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보다 양호한 집진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전극적층체에 설치되고, 또한 각 전극판의 대향측단부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경우, 규제수단이 대향측단부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므로, 전극판적층체의 기계적인 강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규제수단은, 통전지주와 평행으로 각 전극판을 관통하는 관통봉이라도 좋다. 이 경우, 규제수단으로서, 각 전극판을 관통하는 관통봉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전극적층체의 바깥치수를 크게할 것 없이 대향측단부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규제수단은 각 전극판의 폭방향 양 측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각 전극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서 각 전극판을 폭방향으로 끼워두는 것이라도 좋다. 이경우, 규제수단으로서 끼움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각 전극판의 적층후에, 끼움수단으로 끼워맞출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형태는,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를 각각 보유하는 장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을 포함하고,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은 서로 간격을 띠워서 번갈아서 적층되어 있고,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한 도전부재가 수지제의 피복부재로 피복된 구성의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극판끼리의 간격은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2의 형태는 인접하는 전극판의 적층간격이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1.5mm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물기제거성이 월등하게 향상한다고 하는 실험결과에 따라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의하면, 세정후에 각 전극판의 표면에 잔류한 물방울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모아져서 성장하여도, 한쪽 전극판에서 성장한 물방울이 다른쪽의 전극판에서 성장한 물방울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는 결과, 상기한 성장한 물방울이 전극판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되기 어렵고, 이른바 연결된 형상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은, 인접하는 양 전극판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물기제거를 위해 엘리먼트를 흔들어도 부착된 것이 끊어지기 어려우나, 본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 자체를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물기제거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형태는,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도전부재를 각각 보유하는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을 포함하여,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은, 서로 간격을 띠우고 번갈아서 적층된 전기집진엘리먼트에 있어서, 집진전극판의 적어도 한쪽의 폭방향단부와, 그 폭방향단부에 대응하는 인가전극판의 폭방향단부가 서로 폭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3의 형태에서는, 세정후 물기제거를 위해 집진부를 상기한 폭방향위치가 변경되고 있는 쪽으로 흔들면, 물방울은, 서로 폭방향위치가 변경되고 있는 양 전극판의 폭방향 단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전극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물방울은, 한쪽이 전극판과의 부착을 끊은후, 다른쪽의 전극판과의 부착을 끊게된다. 이와같이 연결된 상태(서로붙은 상태)의 물방울이 전극판에 대한 부착을 한쪽씩 끊으므로, 양 전극판에 대한 부착을 동시에 끊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간단하게 부착을 끊을 수 있다. 그결과 물기제거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본 제3의 형태에 있어서,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의 폭방향의 중앙위치끼리가 서로 같게하고 있고, 집진전극판 및 인가전극판의 한쪽의 폭을 다른 쪽의 폭보다 소정량이상 좁게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물기제거를 위해 전기집진엘리먼트를 흔드는 방향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제3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극판은, 도전부재 및 이것을 피복한 수지제의 피복부재로 이루어지고, 집진전극판은 덮거나 가리지 않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집진전극판의 폭을 인가전극판의 폭보다 소정량이상 좁게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경우,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거둔다. 즉, 금속보다도 수지쪽이 물방울의 부착력이 강하다. 그 때문에, 세정후, 엘리먼트가 흔들리는 것에 의해, 각 전극판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잔류하는 물방울은, 덮거나 가리지않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집진전극판보다도, 수지제의 피복부재가 피복되어 있는 인가전극판쪽이 성장하기 쉽고, 큰 물방울로 될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집진전극판의 폭을, 단부에 큰 물방울로 되기 쉬운 인가전극판의 폭보다도 소정량이상 좁게하고 있으므로서, 인가전극판은 집진전극판보다도 폭이 넓게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가전극판의 폭방향 양 단부에 부착하는 경향이 강한 물방울은, 외기에 접촉하기 쉽게 되어 건조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세정후의 물기제거성의 향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고, 제2도는 상기 집진부의 케이싱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해서 상기 집진부(E)는, 도시하지 아니한 이온화부와 함께 전기집진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이고, 기판(E1)과 기판(E1)에 대향하는 천정판(E2)과, 양판(E1),(E2)의 각 구석부 사이에 세워 설치된 프레임재(E3)(제1도 및 제2도에 각각 2개만 도시)와, 각 프레임재(E3)의 외측으로부터 측벽부를 구성하는 측판(E4)(제1도, 제2도에 각각 한쪽만 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기판(E1)과 천정판(E2) 사이에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 관재로 된 1쌍의 통전지주(E5),(E6)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한쪽(통전지주 E5)이 도시하지 아니한 고전압공급원의 마이너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쪽(통전지주 E6)이, 상기 고전압공급원의 플러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해서, 기판(E1)과 천정판(E2)의 사이에는, 인가전극판(10)과 집진전극판(20)이 서로 간격을 두고 번갈아서 적층되어 있고, 내부에 전극적층체(30)를 구성하고 있다.
양 전극판(10),(20)은,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기판(E1)과 천정판(E2)의 대향방향(제1도에 있어서 L로 표시하는 적층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인가전극판(1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시이트부재의 위에, 도전성 수지를 프린트하고, 그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시이트부재를 적층한 이른바 몰드식 전극판이다.
다른한편, 집진전극판(20)은, 외부에 노출해서 어스측의 전극에 접속되는 피복하지 않은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집진전극판(20)은, 예컨대 두께 50㎛의 스테인레스에 의해 구체화되어 있다. 이 집진전극판(20)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스페이서돌기가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인가전극판(10)의 대향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또, 제1도에서는 간략화되어 있으나, 각 전극판(10),(20)은, 실제로는 서로 1.5mm 정도의 좁은 간격을 두고 예컨대 50∼90단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전극판(10),(20) 사이에 깨끗이되어야 할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로(PH)를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깨끗이되어야 할 공기는, 통기로(PH)를 통해서 양 전극판(10),(20)의 폭방향(Q)에 따라서 흐른다. 상기한 통전지주(E5), (E6)는, 전극적층체(30)의 양 단부를 적충방향(L)으로 관통해서 쌍을 이루고 있고, 각 하단부는 기판(E1)에, 상단부는 천정판(E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 전극판(10),(20)은, 각각 통전측단부(10A),(20A)와 대향측단부(10B),(20B)를 포함하고 있고, 대향하는 동일극성의 통전지주(E5),(E6)를 통전측단부(10A),(20A)를 관통시켜서, 상기한 도전부재를 통전지주(E5),(E6)와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대향측단부(10B),(20B)를 반대극성의 통전지주(E6),(E5)에 대하여 그 전극판(10),(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D)을 두고 대향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전극판(10),(20)은 각각 동일극성의 통전지주(E5),(E6)에 의해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집진부(E)에는 한쪽 지지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는 각 전극판(10),(20)의 대향측단부(10B),(20B)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기 위해 규제수단(40)을 설치하고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규제수단(40)은 통전지주(E5),(E6)와 평행으로 각 전극판(10),(20)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봉(40A),(40B)이다. 그리고, 통전지주(E5),(E6)와 마찬가지로, 하단부가 기판(E1)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단부가 천정판(E2)에 고정되어 있다. 관통봉(40A),(40B)은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판(10),(20)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따라서는 1개만이라도 충분히 대향측단부(10B),(20B)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통봉(40A),(40B)으로서는 내알카리성의 금속재료(예컨대, 스테인레스)를 채용하고 있다. 관통봉(40A),(40B)은 인가전극판(10)의 수지제의 피복부재부분만이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인가전극판(10)을 관통하는 것에 의해, 인가전극판(1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봉(40A),(40B)은 집진전극판(20)도 관통하고 있으나, 집진전극판(20)은 어스측의 전극에 접속되므로서, 그 도전부재가 관통봉(40A),(40B)과 접촉하여도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대향측단부(10B),(20B)가 그것과 반대극성의 통전지주(E6),(E5)에 대하여 간격(D)을 띠우고 있으므로, 양자간에 소망하는 공간(S)을 구획할 수가 있다.
또, 대향측단부(10B),(20B)가 통전지주(E6),(E5)보다도 길이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통전지주(E5),(E6)의 주위는, 그 통전지주(E5),(E6)의 극성과 동일극성의 전극판(10),(20)만이 대향하는 넓은 공간(S1)을 구획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의하면, 각 전극판(10),(20)의 적층간격이, 예컨대 1.5mm정도로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전극판(10),(20)과 통전지주(E5),(E6)의 사이가 넓어지는 분만큼, 세정시의 물이 잔류하기 어렵게 되어 물기제거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인가전극판(10)의 통전측단부(10A)와 이에 인접하는 집진전극판(20)의 대향측단부(20B)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있고, 또한 인가전극판(10)의 대향측단부(10B)와 이에 인접하는 집진전극판(20)의 통전측단부(20A)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있으므로, 한층 물기제거성이 좋다. 이것은 하기의 이유에 의한다. 즉, 물기제거를 위해 집진부(E)를 흔들때, 인접하는 양인가전극판(10),(20)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하면, 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은, 양 전극판(10),(20)의 어느 한쪽과의 부착을 끊은 후, 다른쪽과의 부착을 끊게 된다.
이와같이,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이, 양 전극판(10),(20)에 대한 부착을 한쪽씩 끊으므로, 양 전극판(10),(20)에 대한 부착을 동시에 끊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간단하게 부착을 끊을 수 있는 결과 물기제거성이 좋아진다.
또, 본 제1실시예는, 양 전극판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위치가 간추려져 있고, 또한 각 통전지주가 양 전극판을 관통하는 종래예와 비교하여도, 하기의 점에서 물기제거성이 뛰어나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인가측의 통전지주가 집진전극판에 설치한 끼워 통하는 구멍을 비접촉상태로 통과하고, 또한 어스측의 통전지주가 인가전극판에 설치한 끼워 통하는 구멍을 비접촉상태로 통과하게 되어, 통전지주와 끼워 통하는 구멍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절연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간격이 형성되게 된다. 이 종래예에서는 물기제거를 위해 집진부가 흔들리고, 양 전극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이,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이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이, 상기 끼움구멍을 통과하는 순간에 일단 어느 한쪽의 전극판과 부착을 끊었다고 하더라도, 이 끼움구멍보다도 길이방향의 단부측에는 양 전극판이 존재하므로, 그 물방울은 재차 양 전극판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물기제거성이 나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제1실시예에서는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이 양 전극판(10),(20)에 대한 부착을 한쪽씩 끊으므로, 종래예와 비교해서 물기제거성이 좋다.
더우기, 본 제1실시예에서는, 대향측단부(10B),(20B)는, 그것과 반대극성의 통전지주(E6),(E5)에 대하여 그 전극판(10),(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D)을 두고 대향하고 있으므로, 조금의 액이 잔류하고 있더라도,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액을 통해서 인가전극판(10)으로부터 어스측의 집진전극판(20)에 전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양호한 집진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각 전극판(10),(20)의 대향단부(10B),(20B)는, 규제수단(40)에 의해 위치어긋남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각 통전측단부(10A),(20A)를 관통하고 있는 통전지주(E5),(E6)가 기계적으로 각 전극판(10),(20)을 유지하고 있는 가의 여부에 불구하고, 전극판적층체(30)의 기계적 강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규제수단(40)으로서, 양 전극판(10),(20)을 관통하는 관통봉(40A),(40B)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전극적층체(30)의 바깥치수를 크게할 것 없이, 대향측단부(10B),(20B)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규제수단(40)으로서, 각 전극판(10),(20)의 통기방향(즉 폭방향 Q) 양 측부에 배치되어서, 각 전극판(10),(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서로의 사이에 각 전극판(10),(20)을 끼우는 1쌍의 끼움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제3도∼제5도 참조).
제3도는, 기판(E1)과 천정판(E2)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적층방향(L)으로 연장되어 각 전극판(10),(20)의 대향측단부(10B),(20B)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1쌍의 고정프레임(40C),(40D)을 채용한 예를 표시하고 있다.
또, 제4도는, 기판(E1) 및 천정판(E2)의 외측면에 2쌍의 핀(40E)을 설치하여, 각 핀(40E)에 와이어(40F)로 대략 N자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한 예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5도는, 바깥틀(40G)을 보유하는 직사각형의 망(40H)을 설치하고, 이망(40H)을 기판(E1)과 천정판(E2)의 소정위치에 고정하여 각 대향측단부(10B),(20B)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고 있는 예를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규제수단(40)은, 어느것이나 집진부(E)의 통기방향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3도 내지 제5도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제1도의 실시예에 비하여 치수적으로 커지지만, 집진부(E)를 조립한 후, 규제수단을 부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제4도의 와이어(40F)나 제5도의 망(40G)을 채용한 구성에서는, 통기 저항을 거의 증대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제1실시예의 집진부(E)는, 도시하지 아니한 이온화부와 일체적으로 전기집진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이나, 이온화부와 분리해서 구성되는 집진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혹은, 집진측의 전극판의 극성을 상술한 실시예와 반대로 설정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E)가 보유하는 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의 설명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여, 각 전극판(10),(20)은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가전극판(10)은 수지몰드식 전극판인 것과 동시에, 집진전극판(20)은 스테인레스 등의 피복되지 않은 도전부재(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은, 1.5mm 이상의 간격(P)을 두고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전극판(10),(2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케이싱내에, 공지의 수단에 의해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전극에 도통됨과 아울러, 상호의 전기적인 절연성이 확보된 상태로, 장착고정되어 있다.
또, 각 전극판(10),(20)의 깊이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는, 각 전극판(10),(20)과도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폭방향(Q)에 있어서도 각 전극판(10),(20) 모두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시험
1 ) 시험대상
제6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집진부(E)에 있어서, 간격(P)을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해서, 시험예1 내지 3과 비교예1 및 2를 작성하였다.
시험예1 : 간격 P = 1.5mm
시험예2 : 간격 P = 1.8mm
시험예3 : 간격 P = 2.0mm
비교예1 : 간격 P = 1.2mm
비교예2 : 간격 P = 1.4mm
2) 시험방법
상기 각 예의 집진부(E)를 세정한 후에, 각각을 2∼3회 흔들어서 집진부(E)내의 잔류수를 거의 떨어뜨리고, 그 직후에 1쌍의 전극판(10),(20) 사이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보아 연결된 상태(두개의 물방울이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W1)의 수를 세어서, 그 수를 100으로 하여 둔다.
그리고,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W1)의 수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상술한 100으로 하여둔 물방울(W1)의 수에 대하여, 어떠한 비율로 변화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즉, 소정시간 경과후의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W1)의 수를, 초기상태를 100으로 한 지수로서 구하였다. 지수가 낮을수록 시간경과를 두고 물기제거성이 좋은 것으로 된다.
3) 시험결과
연결된 상태(두개의 물방울이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W1)의 수의 시간경과변화를 상기한 지수에 의해 나타내서 제7도에 표시한다. 제7도에 있어서, 각 선종류는 각각 다음과 같은 것을 표시하고 있다.
2점쇄선 : 시험예1 (간격 P = 1.5mm)
파 선 : 시험예2 (간격 P = 8mm)
1점쇄선 : 시험예3 (간격 P = 2.0mm)
실 선 : 비교예1 (간격 P = 1.2mm)
굵은 선 : 비교예2 (간격 P = 1.4mm)
제7도에 의해 다음것이 고찰된다.
① 각 시험예 및 각 비교예를 참조하여, 간격(P)이 넓을수록 상기한 지수가 낮고, 또한 그 시간경과 이후에서 보면 시험예1 내지 3은, 비교예1 및 2와 비교해서 월등하게 그 지수가 낮다.
② 제8도는, 각 시험예 및 각 비교예에 대하여 3시간 경과시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W1)의 수를 지수로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8도를 참조해서, 3시간 경과시에 있어서, 비교예2, 시험예1 및 시험예2의 지수를 보면, 각각 300, 100 및 50이다. 즉, 시험예1(간격P=1.5mm)에서 간격을 불과 0.1mm 좁힌 비교예2(간격P=1.4mm)는, 시험예1(간격P=1.5mm)에 대하여 지수가 200도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시험예1(간격P=1.5mm)에서 간격을 0.3mm 넓힌 시험예2는, 시험예1에 대하여 지수가 불과 50 낮게되어 있을뿐이다. 이것으로 보아서, 시험예1, 즉 간격P=1.5mm가 연결된 상태(두개 물방울이 하나로 뭉쳐진 상태)의 물방울(W1)의 수를 월등하게 적게하는 임계점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것에서, 인접하는 전극판(10),(20) 끼리의 간격(P)이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시간이 경과되므로, 세정시의 물방울(W)이 연결되는 것이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극판(10),(20)끼리의 간격(P)이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것에서는, 연결되는 것이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세정후의물기제거를 위하여 전기집진엘리먼트를 흔들면, 용이하게 물방울을 각 전극판으로부터 흔들어 떨어뜨릴 수 있고, 물기제거성이 대단히 좋다.
다음에, 제9도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각 전극판(10),(20)의 폭방향으로 치수를 다르게한 것이다. 즉, 각 전극판(10),(20)의 길이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는, 각 전극판(10),(20) 모두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나, 폭방향(Q)(즉 통기방향)에 있어서는, 집진전극판(20)의 폭이 인가전극판(10)의 폭보다 소정량(Xmm)이상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전극판(10),(20)의 폭방향(Q)의 중앙위치끼리는 서로 간추려져서 번갈아서 적층되어 있다. 이상의 것에서, 집진전극판(20)의 폭방향(Q)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가 인가전극판(10)의 그것보다 X/2mm 이상 들어가있음과 아울러, 집진전극판(20)의 폭방향(Q)에 있어서 다른쪽의 단부가 인가전극판(10)의 그것보다 X/2mm이상 들어가 있게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 이외의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의 적층간격(P)은 제2실시예의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제3실시예에 의하면, 세정후에, 물기제거를 위해 전기집진엘리먼트를 흔들은 때에, 각 전극판(10),(20)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다수의 물방울이 모아지지 않으므로, 각 전극판(10),(20)의 폭방향(Q)의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온다.
이때, 인접하는 전극판(10),(20)간에 연결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이 있으면, 이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은, 양 전극판(10),(20)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부착력이 강하고, 따라서 전극판(10),(20)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제3실시예에서는, 인가전극판(10)과 집진전극판(20)의 폭을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폭방향(Q)의 단부로 이동하여온 연결된 상태의 물방울은 각 전극판(10),(20)과의 부착을 한쪽씩 끊게 되어, 양 전극판(10),(20)에 대한 부착을 동시에 끊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간단하게 부착을 끊게 된다. 따라서 물기제거성이 좋다.
또, 금속보다도 수지쪽이 물방울의 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세정후 엘리먼트가 흔들리는 것에 의해, 각 전극판의 폭방향(Q)의 양 단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방울(W)은, 덮거나 가리지 않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집진전극판(20)보다도, 수지제의 피복부재가 피복되어 잇는 인가전극판(10)쪽이 성장하기 쉽고, 큰 물방울(W)이 될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집진전극판(20)의 폭을, 단부에 큰 물방울(W)이 생기기 쉬운 인가전극판(10)의 폭보다도 소정량(Xmm)이상 좁게하고 있다. 따라서, 인가전극판(10)의 폭방향(Q)의 단부에 성장한 물방울(W)이, 집진전극판(20)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고, 그 결과, 성장한 물방울(W)이 연결되는(두개의 물방울이 하나로 뭉치는 상태) 것이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또, 제3실시예에서는, 집진전극판(20)의 폭을 인가전극판(10)의 폭보다도 소정량(Xmm)이상 좁게하고 있기 때문에, 인가전극판(10)은, 집진전극판(20)보다도 폭이 넓고,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가전극판(10)의 폭방향 단부에 부착하는 경향이 강한 물방울(W)은, 외기에 접촉하기 쉽게 되어서 건조하기 쉽게 된다. 이상의 일로 해서, 제3실시예에 의하면, 세정후의 시간이 경과후의 물기제거성의 향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폭방향(Q)의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전극판(10),(20)의 폭방향위치를 변경하였으므로, 물기제거를 위해 전기집진엘리먼트의 흔드는 방향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본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폭방향(Q)의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전극판(10),(20)의 폭방향위치를 서로 밀리게 변경하였으나, 폭방향(Q)의 일단부만에 있어서, 양 전극판(10),(20)의 폭방향위치를 서로 밀리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폭방향위치가 변경되고 있는 쪽으로, 전기집진엘리먼트를 흔들어서 물기제거를 행하도록 된다.
또, 상술한 제2 및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한데 불과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구성을 조합하면, 각각 상술한 작용과 합쳐져서 세정후의 시간의 흐름에 물기제거성의 향상을 보다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전극판(10),(20) 끼리의 간격을 1.5mm 이상으로 한다고 하는 제2실시예의 특징이나, 양 전극판(10),(20)의 폭방향을 서로 다르게 한다는 제3실시예의 특징을 소용돌이현상으로 감아서 구성되는 집진부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의 일부를 파단해서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2도는, 상기 집진부의 케이싱부분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변경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별도 변경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다른 변경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가 보유하는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의 사시도.
제7도는, 인접하는 전극판끼리의 소정의 간격에 대하여,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의 수를 지수로서 표시하고 그 지수의 경시변화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세정후 3시간경과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극판끼리의 소정의 간격에 대하여,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의 수를 지수로서 표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채용하고 있는 집진부가 보유하는 인가전극판 및 집진전극판의 폭방향의 관계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전극판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물방울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 -------------------------- 집진부,
E5, E6 --------------------- 통전지주,
P -------------------------- 간격,
D -------------------------- 간격,
L -------------------------- 적층방향,
W -------------------------- 폭방향,
10 ------------------------- 인가전극판,
10A ------------------------ 통전측단부,
10B ------------------------ 대향측단부,
20 ------------------------- 집진전극판,
20A ------------------------ 통전측단부,
20B ------------------------ 대향측단부,
30 ------------------------- 전극판적층체,
40 ------------------------- 규제수단,
40A, 40B ------------------- 관통봉,
40F ------------------------ 와이어,
40H ------------------------ 망.
Claims (5)
-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를 각각 보유하는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을 포함하고, 각 전극판(10),(20)을 서로 간격을 띠우고 번갈아서 적층해서 구성되는 전극적층체(30)를 구비하고,각 전극판 (10, 20) 은 각각 통전측 단부 (10A, 20A) 및 대향측 단부(10B, 20B)를 포함하고, 전극적층체 (30) 의 일단에는 인가전극판 (10) 의 통전측 단부 (10A) 가, 전극적층체 (30) 의 타단에는 집진전극판 (20) 의 통전측단부 (20A) 가 갖춰지고,인가전극판 (10) 의 통전측 단부 (10A) 및 집진전극판 (20) 의 통전측 단부 (20A) 에는, 각각, 대응하는 동일 극성의 통전지주 (E5, E6) 가 관통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고, 인가전극판 (10) 의 대향측 단부 (10E) 는 반대극성의 통전지주 (E6) 에 대하여 상기 전극판 (10)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D)을 띄우고 대향하고, 집진전극판 (20) 의 대향측 단부 (20B) 는 반대극성의 통전지주 (E5) 에 대하여 해당 전극판 (20)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D) 를 띄우고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
- 제1항에 있어서, 전극적층체 (30) 에 설치되고, 또한 각 전극판 (10),(20)의 대향측 단부 (10B),(20B) 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규제수단(4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40)은, 통전지주(E5),(E6)와 평행으로 각 전극판(10),(20)을 관통하는 관통봉(40A),(40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40)은, 각 전극판(10),(20)의 폭방향 양 측부에 배치되고, 또한, 각 전극판(10),(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전극판(10),(20)을 폭방향으로 끼움하는 한쌍의 끼움수단 (40C), (40D), (40F), (40H)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
- 제1항에 있어서,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은, 서로 간격(P)을 두고 번갈아서 적층되어 있고,인가전극판(10) 및 집진전극판(20)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도전부재가 수지제의 피복부재로 피복되고, 인접하는 전극판(10),(20)끼리의 간격(P)은,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엘리먼트의 집진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4-066146 | 1994-04-04 | ||
JP6614694 | 1994-04-04 | ||
JP94-208961 | 1994-09-01 | ||
JP20896194A JP3257271B2 (ja) | 1994-04-04 | 1994-09-01 |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集塵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31238A KR950031238A (ko) | 1995-12-18 |
KR100360417B1 true KR100360417B1 (ko) | 2003-02-19 |
Family
ID=264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7862A KR100360417B1 (ko) | 1994-04-04 | 1995-04-04 |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257271B2 (ko) |
KR (1) | KR10036041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1899B1 (ko) * | 2018-10-04 | 2020-02-26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KR102081898B1 (ko) * | 2018-10-01 | 2020-04-23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및 집진 모듈의 설치 방법 |
US11260401B2 (en) | 2018-10-01 | 2022-03-01 |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 Dust collecting module, desulfurizing apparatus having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dust collecting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67182B2 (ja) * | 2009-02-10 | 2013-08-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気集じん機 |
KR101283428B1 (ko) * | 2011-08-16 | 2013-07-08 |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 유적함유 가스처리용 전기집진장치 |
CN107398350B (zh) * | 2017-08-02 | 2019-02-05 | 内蒙古星光煤炭集团鄂托克旗华誉煤焦化有限公司 | 一种烟囱排放的烟气控制处理装置 |
DE102018205333A1 (de) * | 2018-04-10 | 2019-10-10 | BSH Hausgeräte GmbH | Elektrostatische Filtereinheit und Lüftungsvorrichtung mit elektrostatischer Filtereinheit |
-
1994
- 1994-09-01 JP JP20896194A patent/JP325727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4-04 KR KR1019950007862A patent/KR1003604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1898B1 (ko) * | 2018-10-01 | 2020-04-23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집진 모듈을 갖는 탈황 장치 및 집진 모듈의 설치 방법 |
US11260401B2 (en) | 2018-10-01 | 2022-03-01 |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 Dust collecting module, desulfurizing apparatus having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dust collecting module |
KR102081899B1 (ko) * | 2018-10-04 | 2020-02-26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57271B2 (ja) | 2002-02-18 |
KR950031238A (ko) | 1995-12-18 |
JPH07323242A (ja) | 1995-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32434B1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
KR101610024B1 (ko)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전극 | |
US4234324A (en) | Electrostatic filter | |
EP0314811A1 (en) | Dust collecting electrode | |
EP0558090A2 (en) | Electrical dust collector | |
US4602921A (en) | Air cleaner | |
PL181050B1 (pl) | Oddzielacz zdyspergowanych cząstek od powietrza przy wykorzystaniu zjawisk elektrostatycznych | |
KR100360417B1 (ko) | 전기집진엘리먼트의집진부 | |
KR101997549B1 (ko) |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 |
KR101963786B1 (ko) |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 |
KR20090009549U (ko)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 청정기 | |
EP4062993A1 (en) |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ir purifier including same | |
JPH1190265A (ja) | フィルム電気集塵フィルタ | |
KR200142511Y1 (ko) | 전기집진장치 | |
EP4062992A1 (en) | Air purifying filter | |
EP0129401A1 (en) | Filter element for electrostatic air cleaner | |
JP2582975B2 (ja) | 集塵セル | |
JPH06254437A (ja) |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集塵極板 | |
CN220969472U (zh) | 一种静电除尘滤芯及静电除尘设备 | |
KR102572534B1 (ko) |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 |
CN219739238U (zh) | 电池组 | |
KR200156415Y1 (ko) | 전기집진장치 | |
JPH04187252A (ja) | 電気集塵機 | |
JP3257268B2 (ja) | 集塵電極板のスペーサ突起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極板積層体 | |
KR200156412Y1 (ko) | 전기집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