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22B1 -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22B1
KR102080722B1 KR1020130058406A KR20130058406A KR102080722B1 KR 102080722 B1 KR102080722 B1 KR 102080722B1 KR 1020130058406 A KR1020130058406 A KR 1020130058406A KR 20130058406 A KR20130058406 A KR 20130058406A KR 102080722 B1 KR102080722 B1 KR 10208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light emitting
optical member
emitting modul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647A (ko
Inventor
김하나
김병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22B1/ko
Priority to CN201480029387.1A priority patent/CN105229806B/zh
Priority to US14/892,906 priority patent/US9799802B2/en
Priority to EP14801082.0A priority patent/EP3001466B1/en
Priority to PCT/KR2014/004217 priority patent/WO2014189221A1/ko
Publication of KR2014013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61Cap
    • H01L2924/1615Shape
    • H01L2924/16195Flat cap [not enclosing an internal ca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61Cap
    • H01L2924/163Connection portion, e.g. seal
    • H01L2924/16315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형태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된 하단부, 상기 하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벽부, 및 상기 벽부 상에 배치된 상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부재; 및 상기 바디와 상기 광학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벽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에 의한 바디의 변색 또는/및 변질을 막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모듈{LIGHT EMITTING MODULE}
실시 형태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질화갈륨(Ga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인듐갈륨(InGaN) 등과 같은 Ⅲ족 질화물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직접 천이형 에너지 밴드(band) 구조를 갖고 있어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Ⅲ족 질화물은 청색 발광 다이오드(Blue LED)뿐만 아니라,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LED는 소정의 바디(또는 케이스)에 패키징되어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여기서, UV LED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발광 모듈의 바디를 비롯한 다른 부품들을 변색 또는 변질시킬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한 바디 또는 다른 부품들의 변색 또는 변질은 UV LED를 갖는 발광 모듈의 신뢰성이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시 형태는 자외선에 의한 바디의 변색 또는 변질을 막을 수 있는 발광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의 변색 또는 변질 막을 수 있는 발광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된 하단부, 상기 하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벽부, 및 상기 벽부 상에 배치된 상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부재; 및 상기 바디와 상기 광학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벽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벽부의 상면은 내측부와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벽부의 상면의 내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벽부의 상면의 외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상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하면은 상기 상단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부의 상면은 내측부, 중간부, 및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벽부의 상면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제1 상단부, 상기 벽부의 상면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제2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벽부의 상부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광학부재는 복수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들은 상기 제1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2 상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복수 개의 측면들은 상기 제1 상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상단부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부의 높이는 적어도 50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접착부재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된 광학부재;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제1 캐비티와, 상기 광학부재가 배치되는 제2 캐비티를 갖고, 상기 제2 캐비티 내부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제2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부재와 상기 바디를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캐비티는 상기 제1 캐비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캐비티의 직경은 상기 제1 캐비티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착부재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을 사용하면, 자외선에 의한 바디의 변색 또는 변질을 막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의 변색 또는 변질 막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바디와 광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바디와 광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로서,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변형 예.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변형 예로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바디와 광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바디(body, 100), 광원부(200), 접착부재(300) 및 광학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에는 광원부(200), 접착부재(300) 및 광학부재(4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광원부(200), 접착부재(300) 및 광학부재(400)를 내부에 수납한다. 여기서, 바디(100)는 접착부재(300)를 통해 광학부재(400)와 결합된다. 바디(100)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바디(100)는 하단부(110), 벽부(130) 및 상단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부(110), 벽부(130) 및 상단부(150)는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서 각기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하단부(110)의 상에는 광원부(200)와 벽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부(110)의 상면에 광원부(200)와 벽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200)는 하단부(110)의 상면의 중앙부 상에 배치되고, 벽부(130)는 광원부(2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단부(110)의 상면의 외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단부(110)는 단일 층 또는 다층의 세라믹 기판일 수도 있다. 여기서, 하단부(110)가 단일 층의 세라믹 기판인 경우,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 HTCC)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TCC)은 1200℃ 이상의 고온에서 세라믹 층들을 동시소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단부(110)가 다층의 세라믹 기판인 경우, 예를 들어,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 HTCC) 또는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단부(110)가 다층의 세라믹 기판인 경우,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하단부(110)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의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iO2, SixOy, Si3N4, SiOxNy, Al2O3, 또는 AlN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110)의 상면, 특히 광원부(200)가 배치되는 상면의 중앙부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증착 또는 코팅되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벽부(130)는 하단부(1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130)는 하단부(110)의 상면의 외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벽부(130)는 광원부(2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광원부(2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또는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부(130)는 하단부(110)의 상면의 외곽부 상에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광원부(200)의 주위를 둘러싸거나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형상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벽부(130)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과 광원부(200)를 둘러싸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하단부(11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룰 수도 있고, 하단부(110)의 상면과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내벽은 광원부(2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기 용이한 재질로 코팅 또는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광 반사기능을 갖는 내벽을 갖는 벽부(130)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벽부(130)는 하단부(110)와 마찬가지로 단일 층 또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로 구성된 세라믹 기판일 수도 있다. 여기서, 벽부(130)가 다층의 세라믹 기판인 경우,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벽부(130)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제1 캐비티(cavity, 135)를 가질 수 있다. 제1 캐비티(135)는 벽부(130)의 내벽들과 하단부(11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캐비티(135)에는 광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단부(150)는 벽부(130)의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단부(150)는 벽부(1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부(150)는 벽부(130)의 상면의 외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부(150)는 광학부재(400)를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단부(150)는 광학부재(400)의 측면들을 둘러싸 광학부재(4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150)의 내면은 광학부재(400)의 측면들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고, 광학부재(400)의 측면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상단부(150)의 형상은 벽부(130)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단부(150)는 하단부(110) 또는 벽부(130)와 마찬가지로 단일 층 또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로 구성된 세라믹 기판일 수도 있다. 여기서, 벽부(150)가 다층의 세라믹 기판인 경우,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단부(150)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제2 캐비티(155)를 가질 수 있다. 제2 캐비티(155)는 상단부(150)의 내면들과 벽부(13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캐비티(155)에는 접착부재(300)와 광학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캐비티(155)는 제1 캐비티(135) 상에 형성되고, 제2 캐비티(155)의 직경은, 광학부재(400)를 광원부(200) 상에 배치시키기 위해, 제1 캐비티(135)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바디(100), 즉 하단부(110), 벽부(130) 및 상단부(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일 층 또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로 구성된 세라믹 기판인 경우,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50)가 약 200∼405㎚의 파장을 갖는 심 자외선(Deep UV)을 방출하더라도 자외선에 의한 바디(100)의 변색 또는 변질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에 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광원부(200)는 바디(10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200)는 하단부(1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제1 캐비티(13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기판(210) 및 발광 소자(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도전성 기판 또는 절연성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 SiC 또는 AlN 등 열 전도율과 열팽창 계수를 고려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의 표면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이거나,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발광 소자(250)는 자외선(UV)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3족-5족 원소의 반도체 층을 이용한 심 자외선(Deep UV)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근 자외선(Near UV) LED 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 소자(250)는 청색, 녹색, 적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LED일 수도 있다.
접착부재(300)는 광학부재(400)와 바디(100) 사이에 개재되어 광학부재(400)와 바디(10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성의 물질이다.
접착부재(300)는 바디(100)와 광학부재(4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300)는 벽부(130)의 상면과 상단부(150)의 내면 상에 배치되고, 광학부재(400)가 바디(100)의 제2 캐비티(155)에 수납될 때, 광학부재(400)의 측면과 하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접착부재(300)는 유기물일 수 있다. 유기물의 접착부재(300)는 바디(100)가 세라믹 기판인 경우에 바디(100)와 광학부재(400)를 더욱 견고하게 접착시켜줄 수 있다. 여기서, 유기물의 접착부재(300)는 자외선(UV) 경화 공정을 통해 경화되어 바디(100)와 광학부재(40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로부터 방출된 직접 또는 간접의 광을 투과시킨다.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단순히 투과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광을 확산 또는 집광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광학부재(400)는 형광체와 같은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투과 등을 하기 위해, 광 투과성의 물질, 예를 들면 유리(glas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PMMA 등 일 수 있다.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 상에 배치되고, 바디(10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광학부재(400)는 광원부(200)가 배치된 바디(100)의 제1 캐비티(135) 상에 형성된 제2 캐비티(155) 상에 배치되고, 측면과 하면의 일부가 접착부재(300)에 의해 접착되어 바디(10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광학부재(400)의 측면들은 상단부(1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단부(150)의 내면과 직접 접촉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50)가 자외선(UV) 중에서도 특히, 심(Deep) 자외선을 방출하는 경우에, 발광 소자(250)의 심 자외선에 의해 유기물의 접착부재(300)가 변색 또는 변질될 수 있다. 접착부재(300)의 변색은 또는 변질은 바디(100)와 광학부재(400) 사이의 결합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 이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을,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바디와 광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25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300’)의 변색 또는 변질을 막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바디(100’), 광원부(200), 접착부재(300’) 및 광학부재(4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을 이하에서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바디(100’)는 하단부(110), 벽부(130)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상단부들(160, 17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부호 160을 제1 상단부로, 도면부호 170을 제2 상단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상단부(160)는, 광학부재(4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단부(160)의 내면은 광학부재(40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간격은 광학부재(400)를 바디(100’)에 설치 시 생길 수 있는 협소의 공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간격은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광학부재(400)가 정확하게 바디(100’)에 들어맞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간격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제2 상단부(170)는 벽부(13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상단부(170)는 벽부(130)의 상면의 내측부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상단부(170)는 광원부(200)와 접착부재(30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벽부(130)의 상면을 정의하면, 벽부(130)의 상면은 제1 상단부(160)가 배치되는 외측부, 제2 상단부(170)가 배치되는 내측부 및 접착부재(300’)가 배치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부는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배치된 부분을 의미한다.
제2 상단부(170)의 상면은 광학부재(4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고, 광학부재(400)의 하면과 접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상단부(170)의 광학부재(400)의 하면에 접촉하는 경우, 제2 상단부(170)는 광학부재(4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단부(170)는 외면과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면은 하단부(110)의 상면 및 벽부(130)의 내벽과 함께 제1 캐비티(135’)를 형성하고, 외면은 벽부(130)의 중간부 및 제1 상단부(160)의 내면과 함께 제2 캐비티(15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13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1 캐비티(135)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캐비티(135’)은 하단부(110)의 상면, 벽부(130)의 내벽 및 제2 상단부(17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캐비티(135’)에는 광원부(200)가 배치된다.
제2 상단부(170)의 내면은, 광원부(200)에서 방출되어 접착부재(300’)로 향하는 자외선 광을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300’)의 변색 또는 변질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상단부(170)의 내면은, 벽부(130)의 내벽과 마찬가지로,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 또는 증착될 수 있다.
제2 상단부(170)는 제1 상단부(160)와 마찬가지로 단일 층 또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로 구성된 세라믹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제2 상단부(170)는 하단부(110), 벽부(130) 및 제1 상단부(16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제2 상단부(170)의 높이는 제1 상단부(16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단부(160)와 제2 상단부(170)의 높이란, 벽부(130)의 상면으로부터 각 상단부(160, 170)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2 상단부(170)는 광학부재(40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단부(170)의 상면은 광학부재(400)의 하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상단부(170)는 광학부재(400)과 이격되지 않고 접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로서,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변형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대비하여, 제2 상단부(170’)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상단부(170’)는 광학부재(400)와 접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상단부(170’)의 상면이 광학부재(4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제2 상단부(170’)가 광학부재(400)와 접하면, 제2 상단부(170)가 광학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대비하여, 광학부재(400)는 제1 상단부(160)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부재(400)의 측면은 제1 상단부(16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광학부재(400)와 제1 상단부(160)가 접하면,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대비하여, 제1 상단부(160)가 광학부재(400)를 더욱 타이트하게(tightly)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부재(400)와 제1 상단부(160) 사이에 소정의 틈이 생기기 않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접착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제2 상단부(170’)가 광학부재(4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상단부(160)가 광학부재(400)를 타이트하게 가이드하므로, 광학부재(400)가 바디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고, 외부 이물질이나 수분 등에 의한 접착부재의 기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상단부(170)의 높이는 적어도 50μm 이상일 수 있다. 제2 상단부(170)의 높이가 50μm 이상이면, 제2 상단부(170)가 세라믹 기판인 경우, 제2 상단부(170)의 제조 공정 상 유리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130)가 제2 상단부(170)와 동일한 재질인 세라믹 기판일 때, 제2 상단부(170)의 제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다층 구조의 세라믹 벽부(130)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2 상단부(170)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세라믹 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상단부(170)를 벽부(130)와 함께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50μm의 높이는 다층 구조의 세라믹 기판을 형성할 때, 현재의 공정 상 제작가능한 하나의 세라믹 층의 최소 두께이다. 따라서, 상기 높이는 세라믹 층의 형성 공정의 발전에 따라 더 줄어들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제2 상단부(170)는 제2 캐비티(155’) 내부로 연장된 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2 캐비티(155)와 비교하여 볼 때, 제2 캐비티(155’)는 일 부분이 돌출부(170)에 의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상단부(170, 또는 돌출부)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25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접착부재(300’)에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300’)의 변색 또는/및 변질을 막을 수 있어, 자외선에 의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변형 예로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대비하여 1) 제1 상단부(160)가 없는 바디(100’’)를 갖고, 2) 광학부재(400)가 더 길다.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은, 광학부재(400’)의 측면이 벽부(130)의 외벽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보다 광 추출 면적이 더 늘어나는 이점이 있고, 도 6에 도시된 제1 상단부(16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추가 공정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상단부(160)의 부재에 의해, 접착부재(300’’)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부재(400’)와 바디(100’’)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상단부(170)는 도 7에 도시된 상단부(170’)처럼 광학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상단부(170)의 상면이 광학부재(4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도,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모듈과 마찬가지로,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300’’)의 변색 또는/및 변질을 막을 수 있어 자외선에 의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바디
200: 광원부
300, 300’, 300’’: 접착부재
400, 400’: 광학부재

Claims (15)

  1.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된 하단부, 상기 하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벽부, 및 상기 벽부 상에 배치된 상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부재; 및
    상기 바디와 상기 광학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의 상면은 제2 상단부, 상기 제2 상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상단부, 및 상기 제2 상단부와 상기 제1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다층의 세라믹 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복수 개의 측면들은 상기 제1 상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하면과 접촉하는 발광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부의 높이는 50μm 이상인, 발광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접착부재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는, 발광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광을 반사하는, 발광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부재의 복수 개의 측면들과 상기 제1 상단부가 이격된 영역으로 연장되는, 발광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58406A 2013-05-23 2013-05-23 발광 모듈 KR10208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06A KR102080722B1 (ko) 2013-05-23 2013-05-23 발광 모듈
CN201480029387.1A CN105229806B (zh) 2013-05-23 2014-05-12 发光模块
US14/892,906 US9799802B2 (en) 2013-05-23 2014-05-12 Light emitting module
EP14801082.0A EP3001466B1 (en) 2013-05-23 2014-05-12 Light-emitting module
PCT/KR2014/004217 WO2014189221A1 (ko) 2013-05-23 2014-05-12 발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06A KR102080722B1 (ko) 2013-05-23 2013-05-23 발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47A KR20140137647A (ko) 2014-12-03
KR102080722B1 true KR102080722B1 (ko) 2020-02-24

Family

ID=5245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06A KR102080722B1 (ko) 2013-05-23 2013-05-23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58B1 (ko) * 2015-01-23 2021-12-20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355110B1 (ko) * 2015-06-23 2022-01-25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JP6849368B2 (ja) 2016-09-30 2021-03-2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637A (ja) * 2006-02-27 2007-09-13 Kyocera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25B1 (ko) * 2011-04-20 2017-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KR101516358B1 (ko) * 2012-03-06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637A (ja) * 2006-02-27 2007-09-13 Kyocera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47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841B2 (en) Light emitting package
JP6724933B2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9799802B2 (en) Light emitting module
JP2016219743A (ja) 発光装置
KR20140006971A (ko) 발광 모듈, 램프, 조명기구 및 표시 디바이스
KR20100093975A (ko) 발광 디바이스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2192A (ko) 발광소자 패키지
JP6493053B2 (ja) 発光装置
JP2008270707A (ja) 発光装置
KR102607320B1 (ko) 발광 장치
KR101719628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80722B1 (ko) 발광 모듈
KR101653395B1 (ko) 멀티 칩 엘이디 패키지
KR101202173B1 (ko) 복수개의 파장변환 물질층들을 갖는 발광 소자
KR102049380B1 (ko) 발광 모듈
JP5313143B2 (ja) 張力緩和を備える発光装置
JP4424170B2 (ja) 発光装置
JP5287747B2 (ja) 線状光源装置
KR10167975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JP7299492B2 (ja) 発光装置および発光モジュール
JP6696550B2 (ja) 発光装置
US20240136788A1 (en) Light emitter
KR101920259B1 (ko) 시트블록을 갖는 led 모듈
KR20180081635A (ko) Led 모듈
KR20170064898A (ko)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