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96B1 -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 Google Patents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596B1
KR102080596B1 KR1020180011761A KR20180011761A KR102080596B1 KR 102080596 B1 KR102080596 B1 KR 102080596B1 KR 1020180011761 A KR1020180011761 A KR 1020180011761A KR 20180011761 A KR20180011761 A KR 20180011761A KR 102080596 B1 KR102080596 B1 KR 10208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aryngoscope
patient
uni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700A (ko
Inventor
오영준
권태동
오영민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2Display arrangement positioned at proximal end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기관 부위를 촬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굽혀지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LARYNGOSCOPE WITH TENSION WIRE}
본 발명은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 삽관 수술시, 블레이드를 굽힘으로써 후두 공간을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텐션 와이어를 통해 환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길이 및 굽힘 조절이 가능하여 능동적이고 신속한 수술이 가능토록 하는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 내 삽관이라 함은 기관내로 기관튜브를 거쳐시키는 작업을 의미하며, 호흡에 장애가 있는 응급 상황 시나, 심폐 소생술의 시행 시 또는 수술을 위한 전신마취 등의 상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도(airway) 확보 방법이다.
이러한 기관 내 삽관을 위해 사용하는 후두경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11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3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41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일단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기관 내 삽관 시, 후두경을 구강 내의 적절한 위치에 거치시킨 다음, 핸들을 뒤로 젖힌다. 이때 핸들에 연결된 블레이드가 후두개 및 환자의 혀를 함께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환자의 기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통해 후두개와 혀를 함께 들어 올리는 것은 환자의 혀에 직접적인 힘을 인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환자의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어 통증이나 혈압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후두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부 환자에서는 적절한 시야가 확보가 되지 않아서 기도삽관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에 내시경을 장착하여서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하였다. 그래서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에는 내시경이 장착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기도삽관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일부 환자에 있어서는 내시경이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또한 시야확보를 위해서 블레이드를 위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환자에게 자극이 가해지는 동작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11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3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41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블레이드형 내시경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또한 혈역학적인 자극을 피하고자 에어웨이(airway) 형태의 후두경을 이용하여 후두부 부위까지 삽입한 후 텐션 와이어를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하여 기도삽관을 하는 장치를 만들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부위를 촬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후두경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굽혀지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 각각은 상기 연결유닛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 각각의 회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의 상기 상단부의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하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확장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와이어를 향해 굽혀질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후두개와 인접한 위치에서 굽혀져 상기 후두개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블레이드 끝단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상기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실리콘(silico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1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끝단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부재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경우 인두부 하방에 위치한 식도 앞에 위치하여, 상기 튜브의 끝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제3 커버부재 및 상기 제3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 커버부재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휘어진 제4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커버부재는 상기 기관 내부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후두개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후두개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함으로써 후두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수술 시 환자의 후두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두개와 혀를 함께 들어 올림으로써 환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통증이나 혈압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잡아당겨지는 와이어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 및 굽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가 환자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화될 수 있어 블레이드를 환자의 특성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가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1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구형으로 형성된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제2 커버부재를 통해 튜브의 끝단부가 전방으로 가이드 되도록 하며 튜브를 기관으로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어 기관 삽관의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가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3 커버부재 및 상기 제3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 커버부재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의 형태로 형성된 제4 커버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제4 커버부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켜 환자의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후두경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두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레이드가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블레이드가 기관 부위에 삽입되어 후두개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블레이드가 후두개를 향하도록 굽혀져서 기도가 확보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후두경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것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4b의 굽혀진 블레이드를 따라 튜브가 후두개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두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블레이드가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후두경(1)은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한 후 기도를 통해 공기나 마취제를 공급하기 위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것으로, 몸통부(100), 블레이드(200), 커버부(300), 촬상부(400), 디스플레이부(500) 및 안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100)는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시술을 할 때 한 손(예를 들어, 왼손)으로 잡게 되는 부분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몸통부(100)는 시술자가 손쉽게 쥘 수 있도록 요철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기존 공지의 후두경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400)는 상기 블레이드(200)의 일측 단부, 즉 상기 블레이드(200) 끝단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기관 부위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상부(400)는 상기 블레이드(200)에 의해 기도가 확보된 후에는 환자의 기도 또는 그 주변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하여 시술자에게 보여준다.
상기 안내부(600)는 상기 후두경(1)에 의해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블레이드(2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600)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상기 안내부(600)에는 상기 튜브의 삽관을 가이드하는 삽관용 공간(601)이 형성된다. 상기 삽관용 공간(601)을 통해서 상기 튜브의 삽관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튜브가 삽관 장애 없이 원활하게 기도 안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촬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CD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0)는 환자의 구강을 후두에 삽입되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즉, 환자의 후두개를 실질적으로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몸통부(100)의 끝단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몸통부(100)와 상기 블레이드(200)는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블레이드(200)는 환자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후두경(1)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200)는 길이가 변화되어 환자의 특성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들(211, 212),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와이어(211, 212)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굽혀지는 연결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유닛(220)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부재들(2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211, 212) 각각은 상기 연결유닛(220), 즉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221)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221) 각각의 회동을 유도한다.
즉, 상기 제1 와이어(211)가 당겨지는 경우(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220)의 상기 상단부의 길이가 축소되고 이에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221)의 상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유닛(220)은 상지 제1 와이어(211)를 향해 굽혀진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와이어(212)가 당겨지는 경우(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220)의 상기 하단부의 길이가 축소되고 이에 따라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221)의 하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상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유닛(220)은 상기 제2 와이어(212)를 향해 굽혀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00)의 일 면에는 상기 제1 와이어(211) 및 상기 제2 와이어(212)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210)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211) 또는 상기 제2 와이어(212)를 구동시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반대 방향으로 풀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최적의 위치에 구비되면 충분하다.
나아가, 상기 조절부(210)는 버튼식으로 형성되어, 시술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211, 212)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블레이드(200)에는 외면을 커버하는 실리콘 재질의 상기 커버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300)는 교체되면서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술 후 소독 등을 위하여 분리 및 소독이 가능하여, 환자의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블레이드가 기관 부위에 삽입되어 후두개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블레이드가 후두개를 향하도록 굽혀져서 기도가 확보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후두경(1)의 상기 블레이드(200)가 환자의 기관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00)가 상기 기관 부위에 삽입되면서 후두개(5)와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들(211, 212)을 이용하여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221) 각각의 회동을 유도하여 상기 연결유닛(220)이 상기 제1 와이어(211)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한다.
그리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0)가 상기 후두개를 향하도록 굽혀지게 됨에 따라 후두(20)로의 공간이 확보된다.
종래에는 수술 시 환자의 후두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환자의 혀 밑으로 위치시키고 후두개와 혀를 함께 들어 올림으로써 환자의 혀에 직접적인 힘을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통증이나 혈압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0)를 상기 후두개(5)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후두개(5)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함으로써 후두(20)로의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상기 촬상부(400)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0)의 끝단부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0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기관 부위로 삽입될 때, 상기 촬상부(400)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블레이드(200)가 삽입되면서 상기 후두개(5)와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블레이드(200)를 상기 후두개와 근접한 위치인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후두개(5)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200)가 상기 후두개(5)를 향하여 굽혀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상부(400)가 후두 공간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술자는 보다 용이하게 후두 공간을 확인하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후두경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것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6은 도 4b의 굽혀진 블레이드를 따라 튜브가 후두개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시술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후두경(1)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하는 시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술자는 상기 블레이드(200)의 상기 제1 및/또는 제2 와이어(211, 212)를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200)의 길이 및 굽혀지는 방향을 조절한다.
이후, 상기 후두경(1)의 상기 몸통부(100)를 한 손으로 잡고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200)를 환자의 구강에 집어넣는다.
다음으로, 상기 블레이드(200)가 구강 내의 후두개(5)와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1 및/또는 제2 와이어(211, 212)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부가 상기 후두개(5)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촬상부(400)를 통해 후두(20)가 보이면서 충분한 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시술자는 상기 블레이드(200)의 상기 제1 및/또는 제2 와이어(211, 212)를 추가로 당기거나 풀면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길이 및 굽혀지는 방향을 제어하여 기도 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두(20)가 상기 촬상부(400)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므로 시술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후두 부분을 볼 수 있게 된다.
시술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화면을 보면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상기 안내부(600)를 따라 튜브(10)를 환자의 기도에 삽관할 수 있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0)의 끝단부가 후두개(5)를 향하는 형태로 위치함에 따라, 상기 튜브(10)를 보다 용이하게 상기 후두(20)로 삽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10)는 공기가 출입하여 환자의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안내부(600)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후두개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후두개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함으로써 후두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수술 시 환자의 후두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두개와 혀를 함께 들어 올림으로써 환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통증이나 혈압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잡아당겨지는 와이어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 및 굽힘 정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블레이드가 환자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화될 수 있어 블레이드를 환자의 특성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후두경 5 : 후두개
10 : 튜브 20 : 후두
100 : 몸통부 200 : 블레이드
300 : 커버부 400 : 촬상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안내부
601 : 삽관용 공간

Claims (8)

  1.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기관 부위를 촬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후두경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굽혀지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 각각은 상기 연결유닛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 각각의 회동을 유도하며,
    상기 제1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의 상단부의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의 상단부가 회동하고, 상기 제2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의 하단부의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X자형 링크부재들의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관 부위로 삽입되면서 후두개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후두개를 향하여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상기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후두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실리콘(silicone)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경.
KR1020180011761A 2018-01-31 2018-01-31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KR10208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61A KR102080596B1 (ko) 2018-01-31 2018-01-31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61A KR102080596B1 (ko) 2018-01-31 2018-01-31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00A KR20190092700A (ko) 2019-08-08
KR102080596B1 true KR102080596B1 (ko) 2020-02-25

Family

ID=6761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761A KR102080596B1 (ko) 2018-01-31 2018-01-31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6378B (zh) * 2020-12-08 2023-09-29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拟合喉镜的插管塑性方法
KR102492718B1 (ko) * 2021-04-02 2023-0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KR102492719B1 (ko) * 2021-04-13 2023-02-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06B1 (ko) 2009-06-05 2011-11-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두경
KR101234520B1 (ko) * 2011-03-11 2013-02-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술용 의료 기기
KR101070416B1 (ko) 2010-11-26 2011-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식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는 후두경
KR101600339B1 (ko) 2015-09-03 2016-03-08 박문태 비디오 후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00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6153A (en) Intubating video endoscope
JP5809563B2 (ja) 挿入器ガイド
KR102080596B1 (ko)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US6539942B2 (en) Endotracheal intubation device
TWI574662B (zh) 喉頭鏡
US6718970B2 (en) Intub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756795A1 (en) Intubation device
JP2008528131A (ja) ビデオに支援された喉頭マスク気道デバイス
US20140275772A1 (en) Intubation device with video and anatomic stylet steering
US20150112146A1 (en) Video Laryngoscope with Adjustable Handle Mounted Monitor
US20150173598A1 (en) Intubating Airway
KR101100785B1 (ko)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US20130245372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assistance apparatus
US20210260320A1 (en) Intubating endoscopic device
JP2006527027A (ja) 挿管装置
US9662068B2 (en) Medical device for conducting a medical examination and/or intervention
TWM322821U (en) Set of laryngeal mask, operation element and air-supplying
US11116926B2 (en) Intubating endoscopic device
JP2002000732A (ja) 気管内挿管用補助装置
US9084572B2 (en) Collapsible laryngoscope
KR102327349B1 (ko) 내시경 장치
TWM523426U (zh) 醫療插管輔助內視鏡
KR101436362B1 (ko)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KR101889690B1 (ko)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US20220218930A1 (en) Airway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