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362B1 -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62B1
KR101436362B1 KR1020110130925A KR20110130925A KR101436362B1 KR 101436362 B1 KR101436362 B1 KR 101436362B1 KR 1020110130925 A KR1020110130925 A KR 1020110130925A KR 20110130925 A KR20110130925 A KR 20110130925A KR 101436362 B1 KR101436362 B1 KR 10143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et
camera
tube
airwa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348A (ko
Inventor
서원준
Original Assignee
서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준 filed Critical 서원준
Priority to KR102011013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 스타일릿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릿은 카메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릿은 광 조사를 위한 발광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는 스타일릿과 함께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스타일릿의 일측 표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스타일릿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광섬유로서, 상기 스타일릿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스타일릿의 표면을 덮는 고정외피를 더 구비하여 스타일릿의 표면과 상기 고정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갖춰진 스타일릿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되지 않아도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Stylet for endotracheal tube with camera and light source}
본 발명은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styl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타일릿을 이용하여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정확하게 삽입할 때 육안으로는 어려웠던 문제점을 카메라와 발광수단을 더 구비하여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에 관한 것이다.
구강-기관 튜브들과 같은 삽관 장치는 산소, 의약품들 및 치료들이 통과하는 환자의 기도에 막히지 않은 도관을 제공하여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이용되어 진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의료상의 주의는 요구되어 지고, 의료인들은 먼저 환자의 기도유지의 가능성을 결정할 것이다. 자주 이러한 응급 상황(emergent evaluation)에서 적절한 기도 유지 지식을 갖고 훈련을받은 사람에 의하여 수행되어 진다. 사람들에게 통기의 루트를 제공하고 기도를 고정하지 못한다면 되돌릴 수 없는 뇌 손상과 죽음을 가져온다.
기관 튜브와 같은 삽관 장치를 환자의 기관과 기관지의 트리(tree)로 배치는 구강 개구부 또는 코에 의하여 접근되어 진다. 몇몇 까다로운 상황에서 코의 삽관이 지시되어 지나 대부분의 기도는 구강 기도 루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다. 기관 튜브의 삽입은 비록 숙련되고 노련한 사람들에 의해서라도 어려운 작업인 것이 종종 발생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기도가 고정되어야하는 곤란한 상황 또는 인체적인 다양성으로부터 기인되어 진다. 게다가 기관 튜브를 환자의 기도로 끼워 넣는 작업을 하는 동안 오직 인체 후두(=기관)의 미세한 시각만 얻어질 수 있어 발생 가능한 식도 삽관의 기회들이 증가한다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환자의 기도로 알맞게 기관 튜브를 끼워 넣는 “마구잡이식(blindly)” 능력은 부가적인 삽관 장치들의 이용으로 도움이 되고 상대적인 의료인의 경험으로 결정되어 진다.
기관 튜브들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두 하부(hypopharynx)를 통하여 지나갈 때 직면하는 따듯한 습한 공기 내에서 유연성(plasticity)을 증가시켜 최대한 최선의 시각화 하에 성문의 개구부(glottic opening)를 통하여 기관 튜브를 끼워 넣을때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딱딱한 재료로부터 기관 튜브의 제작은 취급하기에 매우 민감한 둘러싼 점막과 후두로써 목의 조직 또는 코의 조직에 지나친 외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대안으로 수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삽관 장치들은 기관 튜브 내에 끼워 넣는 식으로 위치되어진 다소 전성이 있는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제거 가능한 스타일릿을 종종 가지며, 기도 내에 삽관을 돕고 튜브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정도의 딱딱함을 가진다
구강 삽관을 위한 대부분의 수용자들이 얻어지는 스타일릿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금속과 같은 강성(rigid)과 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미리-구부러진” 스타일릿(=속심)이다. 일반적으로, 삽관 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을 하는 의료인은 기관튜브로 스타일릿을 삽입하고, 튜브의 외측 주위에 스타일릿의 한 단부를 걸친다. 튜브 및 스타일릿은 그 다음 후두의 유입구로 통로의 루트(route)로 확신하고 있는 것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도록 성형되어 진다. 후두경의 도움으로 인하여, 의료인은 환자의 기도에 도달할 때까지 스타일릿과 기관 튜브를 인두 하부(hypopharynx) 및 환자의 입으로 삽입한다. 요구되어 진다면, 인두 하부를 본 후 튜브 및 스타일릿은 제거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형상은 다시 조절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의료인들은 심지어 광범위한 훈련을 한 후에도 기관 튜브가 환자의 기도에 삽입하기 위하여 성형되어 지는 알맞은 형상을 미리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환자에게 삽관하는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 의료인은 그 뒤 환자로부터 스타일릿과 튜브를 제거하고 튜브와 스타일릿의 형상을 조절하여 환자에게 산소를 재공급하며, 조절된 튜브 및 스타일릿을 환자에게 재 삽입한다. 기관 튜브와 스타일릿의 이와 같은 제거와 재삽입으로 인하여 중요한 시간이 소요되며, 반복되는 기도삽관의 시도행위는 하인두(hypopharynx)와 기도입구부위에 현저한 부기(swelling)와 시각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구강 기도 삽관을 방해하고 방지하여 환자의 생명을 중대한 위기에 빠트린다. 게다가, 사용자가 알맞은 형상으로 스타일릿을 다시 구부리기 위하여 스타일릿을 잡을 때 기관 튜브의 무균상태는 저하된다.
본 발명은 스타일릿을 이용하여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정확하게 삽입할 때 육안으로는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관삽관튜브가 기도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 스타일릿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릿은 카메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릿은 광 조사를 위한 발광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는 스타일릿과 함께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스타일릿의 일측 표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스타일릿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광섬유로서, 상기 스타일릿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스타일릿의 표면을 덮는 고정외피를 더 구비하여 스타일릿의 표면과 상기 고정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갖춰진 스타일릿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되지 않아도 기관삽관튜브를 기도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의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기관삽관튜브(200)가 기도(101)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카메라(20)를 더 구비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10)에 관한 것으로, 기관삽관튜브(200)를 기도(101)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 스타일릿(10)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릿(10)은 카메라(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릿(10)은 광 조사를 위한 발광수단(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20)는 스타일릿(10)과 함께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스타일릿(10)의 일측 표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40)은 상기 스타일릿(10)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광섬유로서, 상기 스타일릿(10)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스타일릿(10)의 표면을 덮는 고정외피(50,80)를 더 구비하여 스타일릿(10)의 표면과 상기 고정외피(50,8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10)은 크게 카메라(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카메라(20)는 광원(light source)이 필요없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외선 카메라가 아닌 경우에는 발광수단(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0)는 스타일릿(10)의 전방에 장착되어 기관삽관튜브(200)가 기도(101)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속의 영상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은 카메라(2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되며, 의사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스타일릿(10)을 이용하여 기관삽관튜브(200)를 기도(101)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0)는 바람직하게는 스타일릿(10)의 전방에 장착하고, 구체적으로는 스타일릿(10)의 선단에 장착된 브라켓(30)을 통해 스타일릿(10)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0) 외관의 재질과, 브라켓(30)의 재질은 연약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의 재료(실리콘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라켓(30)은 스타일릿(10)과 접착제 또는 볼트 등으로 장착될 수 있고, 볼트를 사용할 경우 인체와 닿지 않는 부위를 택하여 스타일릿(10)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20)와 브라켓(30)과의 결합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0)는 도 5와 같이 스타일릿(10)과 함께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릿(10)과 카메라(20)는 고정외피(80)에 덮여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카메라(20)의 동작을 위한 전원선(70)은 스타일릿(10)의 표면과 상기 고정외피(80)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카메라(20)에 공급한다.
한편, 광 조사를 위한 발광수단(40)은 비록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전원이 공급되면 자체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일 수 있다.
예컨대, 발광수단(4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로서, 도 3에서는 스타일릿(1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이고, 도 4에서는 스타일릿(10)의 표면과 고정외피(50)의 사이에 개재된 것이며, 도 5에서도 스타일릿(10)의 표면과 고정외피(80)의 사이에 개재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의 광섬유는 모두 스타일릿(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스타일릿(10)의 후방에서 광을 조사하면, 광섬유를 통해 스타일릿(10)의 전방에 광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발광수단(40)은 카메라(20)가 입속의 영상을 확보할 때 선명한 화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과정에 사용되는데, 설명하면, 우선 카메라(20)와 발광수단(40)이 구비된 스타일릿(10)을 기관삽관튜브(200)에 삽입하고 스타일릿(10)이 내강에 들어있는 기관삽관튜브(200)를 환자의 입속에 어느 정도 삽입한 후, 기도(101)의 위치를 카메라로 확인하면서 기관삽관튜브(200)를 기도(101) 속으로 밀어 넣어주면 기관삽관튜브(200)를 빠르고 정확하게 기도(101)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기관삽관튜브(200)가 기도(101)에 위치되면, 스타일릿(10)은 소정의 목적을 마친 것이므로, 입속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으로, 기도(101)에 위치된 기관삽관튜브(200)의 둘레에 구비된 고무튜브(미도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관삽관튜브(200)를 기도(1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작업이 남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난 것이고,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기도 102: 식도
200: 기관삽관튜브 10: 스타일릿
20: 카메라 30: 브라켓
40: 발광수단 50,80: 고정외피
70: 전원선

Claims (3)

  1. 기관삽관튜브(200)를 기도(101)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 스타일릿(10)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릿(10)은 카메라(20)와, 광 조사를 위한 발광수단(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20)는 스타일릿(10)의 선단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발광수단(40)은 상기 스타일릿(10)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광섬유로서, 상기 스타일릿(10)의 표면을 덮는 고정외피(50,80)를 더 구비하여 스타일릿(10)의 표면과 상기 고정외피(8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2. 삭제
  3. 삭제
KR1020110130925A 2011-12-08 2011-12-08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KR10143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25A KR101436362B1 (ko) 2011-12-08 2011-12-08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25A KR101436362B1 (ko) 2011-12-08 2011-12-08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48A KR20130064348A (ko) 2013-06-18
KR101436362B1 true KR101436362B1 (ko) 2014-09-02

Family

ID=4886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925A KR101436362B1 (ko) 2011-12-08 2011-12-08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22A1 (ko) * 2020-08-24 2022-03-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타일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3307B2 (en) * 2018-10-10 2020-05-19 Wm & Dg, Inc. Medical devices for airway management and methods of placement
KR102314260B1 (ko) 2019-11-15 2021-10-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가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5061A1 (en) * 2003-04-28 2004-10-28 Zebadiah Kimmel Visualization stylet for endotracheal intubation
KR20080114235A (ko) * 2007-06-27 2008-12-31 김경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KR101100785B1 (ko) 2009-08-27 2012-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KR20120013930A (ko) * 2009-02-09 2012-02-15 마리오 조카 시각화 수단을 구비한 기관-기관지 흡인용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5061A1 (en) * 2003-04-28 2004-10-28 Zebadiah Kimmel Visualization stylet for endotracheal intubation
KR20080114235A (ko) * 2007-06-27 2008-12-31 김경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KR20120013930A (ko) * 2009-02-09 2012-02-15 마리오 조카 시각화 수단을 구비한 기관-기관지 흡인용 카테터
KR101100785B1 (ko) 2009-08-27 2012-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22A1 (ko) * 2020-08-24 2022-03-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타일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48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662B (zh) 喉頭鏡
US9272108B2 (en) Oxygen mask
US20150173598A1 (en) Intubating Airway
US7174889B2 (en) Device for insertion of endotracheal tube
EP2754384B1 (en) Endobronchial tube with integrated image sensor and cleaning nozzle arrangement
US20180169365A1 (en) Intubating Neonatal Laryngeal Mask Airway
US20060162730A1 (en) Video-assisted laryngeal mask airway devices
US20100298644A1 (en) Co-axial oral intubation device and system
KR101100785B1 (ko)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US2010022418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acilitating atraumatic intubation
EP3427783B1 (en) Disposable intubation apparatus
US20180099110A1 (en) Endotracheal tube
Fiadjoe et al. Pediatric difficult airway management: current devices and techniques
KR101436362B1 (ko)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WO2011018812A1 (en) System and method to execute tracheal intubation
US7909758B2 (en) Apparatus for orotracheal intubation
KR101789171B1 (ko) 기도유지 및 삽관 가이드장치
CN207412483U (zh) 一种用于纤维支气管镜插管的引导器
CN205729935U (zh) 用于施用肺表面活性物质的导管
US20230099657A1 (en) Intubating airway for bronchoscopic tracheal intubations
WO2016041331A1 (zh) 一种气管插管
KR101647972B1 (ko) 기도삽관 튜브
KR101635443B1 (ko) 기도삽관 튜브
JP7309199B2 (ja) 補助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ウス用気管内チューブの挿管方法
CN105361847A (zh) 可调节型光纤可视硬质经鼻插管引导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