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235A -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235A
KR20080114235A KR1020070063597A KR20070063597A KR20080114235A KR 20080114235 A KR20080114235 A KR 20080114235A KR 1020070063597 A KR1020070063597 A KR 1020070063597A KR 20070063597 A KR20070063597 A KR 20070063597A KR 20080114235 A KR20080114235 A KR 2008011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mera
endotracheal
lam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07006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4235A/ko
Publication of KR2008011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자를 이용한 플렉시블(flexible)한 기관튜브 단부에 카메라와 램프를 형성함으로써 후두경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모니터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기관튜브를 성대(vocal cords)에 거치가능하도록 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유도자, 후두경, 기관튜브, 기도유지

Description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DEVICE FOR BEING INSERTED INTO TRACHEAL USING ENDOSCOPE STYLET}
도 1은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관튜브 20 : 케이블
30 : 고정부재 40 : 모니터
50 : 본체
본 발명은 모니터를 통해 기관튜브를 성대에 거치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기관튜브를 플렉시블하게 형성하되 기관튜브 단부에 카메라와 램프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후두경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관내삽관은 사람의 호흡기도를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의료행위로써, 마취중수술, 중환자관리 및 구급환자관리에 필요하므로 생명과 직접 연관된 만큼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는 분야이다.
상기 호흡기도관리에 필수적인 기관내삽관은 기도폐쇄, 흡인방지 및 호흡의 통로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써, 이러한 기관내삽관의 삽관방법은 후두경을 사용하여 기관 튜브(endotracheal tube)를 기관내에 거치시켜 놓는데, 이러한 기관튜브는 폴리비닐염화물(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아와 성인의 기관 크기에 따라 내경과 길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관튜브는 하드형(hard type)과 소프트형(soft type)이 있으며, 하드형의 경우는 그대로 사용하고 소프트형은 내부에 유도자(stylet)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관내삽관을 이용한 기관삽관방법은 후두경을 통해 기관내에 기관내삽관을 삽입함으로써, 후두경으로 인한 환자의 치아손상이 발생함은 물론 긴급을 요하는 응급환자의 경우 무리하게 후두경을 통한 기관내삽관 삽입은 기관삽관 합병증인 인후통을 동반할 수 있는 등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관내삽관은 기관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정확한 위치(성대)에 기관내삽관을 거치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관내삽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자를 이용한 플렉시블(flexible)한 기관튜브 단부에 카메라와 램프를 형성함으로써 후두경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모니터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기관튜브를 성대(vocal cords)에 거치가능하도록 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는, 기관내부에 삽입되어 호흡기도를 유지하도록 기관튜브의 몸체 역할을 하는 기관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홀이 형성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와, 기관 내부로부터 분비물 혹은 마취약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튜브 하부에 형성된 기낭과, 상기 튜브가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기관내삽입 후 기도유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과,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튜브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 기관튜브; 상기 기관튜브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기관내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기관내 성대를 찾아 기도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과정을 제어하도록 하는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내부에 튜브의 유연성으로 인한 기관내 삽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를 플렉시블하게 하도록 하는 유도자(stylet)와, 기관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유도자 단부에 형성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카메라와 연결 구성된 카메라라인과, 상기 카메라의 기관내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는 카메라와 인접하여 형성된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램프와 연결 구성된 램프라인과, 기관내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석션라인과, 상기 기관튜브의 기관내삽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기관내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마취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는 기관튜브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전원을 인가하도록 본체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카메라라인과 연결되는 카메라단자와, 상기 카메라단자로 전송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CPU와,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하면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원만한 촬영을 위해 조명역할을 하는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카메라단자와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의 램프라인과 연결되는 램프단자와, 상기 기관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기관내의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램프라인과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의 석션라인과 연결되는 석션단자와, 상기 기관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기관튜브의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기관내의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마취라인과 연결되는 마취기 및, 상기 기관튜브의 소독이 가능하도록 본체 상부 우측 단분에 형성된 소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는, 기관내부에 삽입되어 호흡기도를 유지하도록 기관튜브의 몸체 역할을 하는 기관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홀(11)이 형성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12)와, 기관 내부로부터 분비물 혹은 마취약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튜브(12) 하부에 형성된 기낭(13)과, 상기 튜브(12)가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기관내삽입 후 기도유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튜브(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20)과, 상기 튜브(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튜브(12)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기관튜브(100); 상기 기관튜브(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40); 및, 상기 모니터(40)를 통해 출력되는 기관내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기관내 성대를 찾아 기도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과정을 제어하도록 하는 본체(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기관튜브(10) 내에 삽입 고정되는 케이블(20)은 내부에 튜브(12)의 유연성으로 인한 기관내 삽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12)를 플렉시블하게 하도록 하는 유도자(stylet)(21)와, 기관 내부의 영상을 촬 영하도록 상기 유도자(21) 단부에 형성된 카메라(22)와, 상기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카메라(22)와 연결 구성된 카메라라인(23)과, 상기 카메라(22)의 기관내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는 카메라(22)와 인접하여 형성된 램프(24)와, 상기 램프(24)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램프(24)와 연결 구성된 램프라인(25)과, 기관내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석션라인(26)과, 상기 기관튜브(10)의 기관내삽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기관내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마취라인(27)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기관튜브(10)의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전원을 인가하도록 본체(50)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카메라라인(23)과 연결되는 카메라단자(51)와, 상기 카메라단자(51)로 전송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4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본체(50) 내부에 형성된 CPU(52)와, 상기 모니터(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하면서 카메라(22)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도록 본체(50)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53)와, 상기 카메라(22)의 원만한 촬영을 위해 조명역할을 하는 램프(24)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카메라단자(51)와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20)의 램프라인(25)과 연결되는 램프단자(54)와, 상기 기관튜브(10)의 단부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기관내의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램프라인(54)과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석션라인(26)과 연결되는 석션단자(55)와, 상기 기관튜브(10)의 단부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기관튜브(10)의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기관내의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본체(50) 상부에 형성되어 케이블(20)의 마취라인(27)과 연결되는 마취기(56) 및, 상기 기관튜브(10)의 소 독이 가능하도록 본체(50) 상부 우측 단분에 형성된 소독부(57)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0)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메라단자(51), 램프 단자(54), 석션단자(55) 및 마취기(56)는 기관튜브(10)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20) 내부에 형성된 카메라라인(23), 램프라인(25), 석션라인(26) 및 마취라인(27)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라인(23)과 램프라인(25)의 단부에는 각각 카메라(22)와 램프(24)가 형성된다.
상기 기관튜브(10)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블(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카메라(22)는 유선카메라 뿐만 아니라 사용 용도에 따라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무선 카메라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마취기(56)의 사용은 깨어있는 환자의 기관내부에 기관튜브(10)를 삽입시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하여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기관내 부분 마취를 위함이다.
상기 조작부(53)는 카메라(22)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이스틱 혹은 방향버튼 등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5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은 전원부(60)를 통해 인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의 사용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플렉시블한 기관튜브(10) 단부에 형성된 카 메라(2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모니터(40)를 통해 모니터링 하면서 기관내로 기관튜브(10)를 삽입시킨다.
기관튜브(10)를 기관내로 삽입 시, 환자가 깨어있는 상태이므로 환자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본체(50)의 마취기(56)를 통해 기관내의 부분마취를 하면서 삽입시킨다.
이 후, 본체(50)의 조작부(53)를 통해 카메라(22)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면서 기관내의 성대를 찾음과 동시에 기관내 발생되는 분비물을 석션단자(5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모니터링을 통해 기관내 성대를 찾은 후, 기관튜브를 성대에 거치시켜 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주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는 생명과 직결된 중요한 과정으로 해부학적으로 기관내삽이 어려운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후두경을 사용하지 않고 내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관내삽관 합병증인 인후통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 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기관내부에 삽입되어 호흡기도를 유지하도록 기관튜브의 몸체 역할을 하는 기관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홀(11)이 형성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12)와, 기관 내부로부터 분비물 혹은 마취약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튜브(12) 하부에 형성된 기낭(13)과, 상기 튜브(12)가 보다 용이하게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기관내삽입 후 기도유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튜브(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20)과, 상기 튜브(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케이블(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튜브(12)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기관튜브(10);
    상기 기관튜브(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40); 및
    상기 모니터(40)를 통해 출력되는 기관내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기관내 성대를 찾아 기도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과정을 제어하도록 하는 본체(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0)은
    내부에 튜브(12)의 유연성으로 인한 기관내 삽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12)를 플렉시블하게 하도록 하는 유도자(stylet)(21)와, 기관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유도자(21) 단부에 형성된 카메라(22)와, 상기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카메라(22)와 연결 구성된 카메라라인(23)과, 상기 카메라(22)의 기관내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는 카메라(22)와 인접하여 형성된 램프(24) 와, 상기 램프(24)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램프(24)와 연결 구성된 램프라인(25)과, 기관내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석션라인(26)과, 상기 기관튜브(10)의 기관내삽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기관내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마취라인(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는
    기관튜브(10)의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전원을 인가하도록 본체(50)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카메라라인(23)과 연결되는 카메라단자(51)와, 상기 카메라단자(51)로 전송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4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본체(50) 내부에 형성된 CPU(52)와, 상기 모니터(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하면서 카메라(22)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도록 본체(50)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53)와, 상기 카메라(22)의 원만한 촬영을 위해 조명역할을 하는 램프(24)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카메라단자(51)와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20)의 램프라인(25)과 연결되는 램프단자(54)와, 상기 기관튜브(10)의 단부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기관내의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램프라인(54)과 인접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석션라인(26)과 연결되는 석션단자(55)와, 상기 기관튜브(10)의 단부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기관튜브(10)의 기관내삽이 가능하도록 기관내의 부분 마취가 가능하도록 본체(50) 상부에 형성되어 케이블(20)의 마취라인(27)과 연결되는 마취기(56) 및, 상기 기관튜브(10)의 소독이 가능하도록 본체(50) 상부 우측 단분에 형성된 소독부(5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장치.
KR1020070063597A 2007-06-27 2007-06-27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KR20080114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597A KR20080114235A (ko) 2007-06-27 2007-06-27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597A KR20080114235A (ko) 2007-06-27 2007-06-27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235A true KR20080114235A (ko) 2008-12-31

Family

ID=4037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597A KR20080114235A (ko) 2007-06-27 2007-06-27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423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14B1 (ko) * 2012-11-07 2014-06-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기관삽관 장치
KR101436362B1 (ko) * 2011-12-08 2014-09-02 서원준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WO2016085112A1 (ko) * 2014-11-28 2016-06-02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일회용 내시경 커버 본체와 그 커버 본체를 사용하는 내시경
CN110215597A (zh) * 2019-05-08 2019-09-10 吉林大学 一种可视下咽喉气管表面麻醉和气管插管型纤维内窥镜
KR20210059251A (ko) * 2019-11-15 2021-05-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가이드 장치
KR20210096802A (ko) 2020-01-29 2021-08-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비물 수집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내시경 처치구 채널 마개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장치
KR20210136505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엑스선 형광분석기
KR20210136507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엑스선 집속광학계를 이용한 가변형 엑스선 발생장치
KR102642169B1 (ko) * 2023-01-09 2024-02-29 주형준 기관삽관 전용 내시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62B1 (ko) * 2011-12-08 2014-09-02 서원준 카메라 및 발광수단이 장착된 기관삽관튜브용 스타일릿
KR101413914B1 (ko) * 2012-11-07 2014-06-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기관삽관 장치
WO2016085112A1 (ko) * 2014-11-28 2016-06-02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일회용 내시경 커버 본체와 그 커버 본체를 사용하는 내시경
CN110215597A (zh) * 2019-05-08 2019-09-10 吉林大学 一种可视下咽喉气管表面麻醉和气管插管型纤维内窥镜
KR20210059251A (ko) * 2019-11-15 2021-05-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가이드 장치
KR20210096802A (ko) 2020-01-29 2021-08-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비물 수집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내시경 처치구 채널 마개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장치
KR20210136505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엑스선 형광분석기
KR20210136507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엑스선 집속광학계를 이용한 가변형 엑스선 발생장치
KR102642169B1 (ko) * 2023-01-09 2024-02-29 주형준 기관삽관 전용 내시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235A (ko) 내시경 유도자를 이용한 기관 내삽관장치
AU2009238352B8 (en) Tube for Inspecting Internal Organs of a Body
JP2008528131A (ja) ビデオに支援された喉頭マスク気道デバイス
JP6758328B2 (ja) 気管内チューブ挿入装置
CN202161653U (zh) 一种便携式可视气管插管导引器
US2015009992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intubation and management of airways
Hagberg Special devices and techniques
US20070213594A1 (en) Laryngoscope for intubation and method of use
US7909758B2 (en) Apparatus for orotracheal intubation
CN219307629U (zh) 一种可调式枪型可视化插管导芯
JP2015016177A (ja) 医療器具
AU2013239345A1 (en)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KR20200113843A (ko) 인체에 삽입되는 내시경을 위한 다중 튜브 구조의 일회용 시스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206007747U (zh) 一种无线可视的气管插管检查仪
CN210078532U (zh) 一种基于可视化的调节型鼻咽通气管
CN101596336A (zh) 一种可视气管插管引导装置
CN218853276U (zh) 一种用于困难气管插管的双镜显示装置
CN215275199U (zh) 一种胃肠检查通气喉罩
US20230088652A1 (en) Stylet and bougie device
Cracknell Airway management
Gupta et al. Newer intubation techniques: a journey
CN207591069U (zh) 一种icu用的气管插管装置
Airways ANESTHESIA FACE MASK
RU148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гортани при интубации
WO2021095062A1 (en) Endotracheal tube with sterility enhancement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