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690B1 -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690B1
KR101889690B1 KR1020160162514A KR20160162514A KR101889690B1 KR 101889690 B1 KR101889690 B1 KR 101889690B1 KR 1020160162514 A KR1020160162514 A KR 1020160162514A KR 20160162514 A KR20160162514 A KR 20160162514A KR 101889690 B1 KR101889690 B1 KR 10188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al mask
slider
intubation
patie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304A (ko
Inventor
전덕규
Original Assignee
전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규 filed Critical 전덕규
Priority to KR102016016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6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16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27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sealing means on a part of the body other than the face, e.g. helmets, hoods or d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의료용 안면 마스크로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 환자의 안면을 보호하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MEDICAL FACIAL MASK AND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의 기관내 삽관에 관련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삽관을 위한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삽관 시스템에 관련한다.
환자가 갑자기 호흡이 멈춰서 응급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을 시행하는 경우, 기타 환자 스스로 호흡이 곤란한 경우, 전신마취를 유도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즉 기관 삽관; 이하 "삽관"으로도 기재함)을 요하게 될 수 있다. 삽관과정에서 환자는 일반적으로 호흡이 실질적으로 중지된 상태인 경우가 많으며, 만일 삽관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신속히 삽관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되어 치명적인 손상 또는 사망으로 이르게 될 소지가 있다.
한편, 후두경(laryngoscope)을 사용하지 않고 기관내 튜브(endotratracheal tube;ETT)를 삽입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예컨대 Medicine(Baltimore). 2015 May; 94(21): e850 에는 그 우수한 효용성을 보이는 연구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삽관과정도 일반적으로 환자가 무호흡상태인 경우가 많아서, 만일 삽관과정에서 문제가 발생시에는 상기와 같은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기관내 삽관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의료용 안면 마스크로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 환자의 안면을 보호하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가 제공된다.
상기 가장자리부는, 지퍼 방식, 또는 짚록 방식으로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 튜브는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결합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가장자리부가 밀착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단일출입구를 당해 슬라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가장자리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를 구비하되, 당해 통로부는 두 개의 단일출입구를 연결하는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밀착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가장자리가 임의의 물체 삽입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 가능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 및 후면 돌출부를 구비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격막부 및 당해 격막부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를 포함하는 삽관 영역을 구비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부 및 환자의 안면에 유연하게 결합되는 유연결합부로 구분 가능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전단 및 후단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각 가장자리의 상하단은, 슬라이더부의 내면과 짚록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기관내 삽관 시스템으로서, 의료용 안면 마스크; 기관내 튜브: 및 상기 기관내 튜브와 결합 가능하며, 환자의 기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 및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결합된 기관내 튜브의 삽관을 위한 삽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삽관 영역은, 환자의 안면을 보호하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장자리부는, 지퍼 방식, 또는 짚록 방식으로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가장자리부가 밀착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일출입구를 당해 슬라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가장자리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를 구비하되, 당해 통로부는 두 개의 단일출입구를 연결하는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밀착결합되어 있는 가장자리부가 임의의 물체 삽입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 가능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 및 후면 돌출부를 구비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부 및 환자의 안면에 유연하게 결합되는 유연결합부로 구분 가능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전단 및 후단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기관내 튜브의 삽관 과정중에도 인공호흡을 수행하며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기관내 삽관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짚록 방식의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더부를 갖는 비닐백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평면 도면.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삽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슬라이더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삽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도면.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환자에게 적용하는 마우스 오프너(mouth open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기관내 튜브의 삽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기관내 튜브의 삽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삽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면.
도 12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삽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짚록(ziplock 또는 zip-lock)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되는 가장자리부(체결부) 및 슬라이더부를 갖는 비닐백의 모식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는 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edges)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19)와, 상기 가장자리부의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를 조절하는 슬라이더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더부(14)는 단일출입구(16)와 이중출입구(26)를 구비한다. 상기 짚록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되는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더부를 갖는 구조물은, 예컨대 유럽특허공개공보 EP 0978458 A1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예컨대 지퍼락(등록상표)(Ziplock®)이라는 상품명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비닐백 등에 탑재되어 있다. 슬라이더부(14)를 밀착결합(또는 체결) 방향으로, 즉 단일출입구(16)에서 이중출입구(26) 방향으로(좌측 화살표) 이동시키면 단일출입구(16)가 통과한 가장자리부는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슬라이더부(14)를 분리방향으로, 즉 이중출입구(26)에서 단일출입구(16)방향으로(우측 화살표) 이동시키면 이중출입구(26)가 통과한 가장자리부는 분리된 상태가 된다. 또한 종래의 의복, 가방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지퍼(zipper) 방식의 밀착결합(또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물건에 있어서도, 지퍼(zipper)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되는 두 개의 가장자리로 구성되는 가장자리부와, 그 분리와 밀착결합(또는 체결)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퍼 및 짚록 방식의 밀착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용어 "밀착결합" 은 용어 "체결"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인공호흡이 가능한 의료용 안면 마스크로서, 기관내 튜브의 기관내 삽관(이하 "삽관"으로도 기술함)을 위한 삽관 영역 및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삽관 영역은,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격막부,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며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또는 체결)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부(50) 및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안면의 모양에 따라서 결합하기 위한 유연 결합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는,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30)를 통해서 앰부백(ambu bag) 등을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하고 있는 상태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에는, 기관 내 튜브를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 착용 상태로 삽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삽관 영역(10)이 본체부(50)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입 근처에 구비된다. 상기 삽관 영역(10)은, 환자의 안면을 덮고 공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격막부(12)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장자리부(19)(밀착결합부 또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장자리부의 재질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격막부(12)로서는 단단한 재질이 아니고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였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막부는 주름이 진 상태로 제작되어 변형이 가능한 상태이다. 그 외에도 공기가 새지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가능하면서 다양한 실시예에 적합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격막부(12)는 좌우의 격막으로 구분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격막이 마주보는 측단에는 상하로 돌출되며 슬라이더부(14)와 결합되는 가장자리부(19)가 구비된다. 당해 가장자리부(19)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다. 즉, 한 쌍의 가장자리가 서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19)는 짚록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되며, 따라서 분리 가능하고, 밀착 결합(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공기가 세어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한다(도 5참조).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19)의 전후단은(anterior and posterior ends)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의 본체부(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장자리부에 결합된 슬라이더부(14)는 인공호흡을 하더라도 비교적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삽관 영역(10)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짚록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되는 가장자리부에 결합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또는 체결)을 조절 가능한 슬라이더부(14)를 구비한다. 본원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도 2에서와 같이,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환자의 안면을 위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코(700)와 입(800)을 기준으로, 코(700)에서 입(800) 방향이 전방(anterior direction)이고, 입(800)에서 코(700) 방향이 후방(posterior direction)이다. 도 2에서는 마우스 오프너(500)(mouth opener)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15) 즉 입구를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부(14)의 중앙에는 기관내 튜브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관 포트(15)가 구비되며, 당해 삽관 포트(15)에는 실리콘 막(13)이 구비되어, 삽관 포트(15)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를 에워싸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한다. 실리콘 막(13)은 탄력성, 신축성이 있는 얇은 막(membrane 혹은 diaphragm)의 일 예이며, 기관 내 튜브를 밀봉상태로 감싸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슬라이더부(14)는 가장자리부(19)를 따라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장치이므로, 여기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 또한 함께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도 3의 (A) 및 (B) 참조). 또한 격막부 및 가장자리부의 재질(경도 및 유연성 등 고려) 및 가장자리부의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기관내 튜브의 좌우이동도 일정 범위내에서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 일 수 있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14)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슬라이더부(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장자리부가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단일출입구(16)를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하며, 또한 가장자리부(19)를 구성하는 각 가장자리(edge)를 통과시키는 통로부(17)를 구비하되, 당해 통로부는 두 개의 단일출입구(16)를 연결하는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된다. 일측의 단일출입구(16)를 통하여 슬라이더부(14)에 진입된 가장자리부는 통로부의 설계 형태를 따라서 분리된 상태가 되고, 반대측에서는 다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가 되어서 단일출입구(16)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통로부가 설계된다.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더부를 구비한 구조물에 있어, 한 쌍의 가장자리가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단일출입구, 그리고 가장자리부가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통로부를 설계하는 기술 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퍼(zipper) 또는 지퍼락(등록상표) 비닐백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짚록 방식의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더부를 갖는 구조물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이, 단일출입구(16)에 진입한 가장자리부는 이중출입구(26)를 통해서 슬라이더부(14)의 외부로 나와서 노출이 되도록 통로부가 설계된다. (실제로는 가장자리부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더부(14)가 이동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알기 쉽게 가장자리부(19)가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기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슬라이더부에서는, 단일출입구(16)로 진입한 가장자리부는 반대측의 단일출입구(16)로 나오기 전에는 슬라이더부(14)의 외부로 개방된 통로(예컨대 이중 출입구)가 없는, 즉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가장자리부는 분리된 상태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슬라이더부(14)가 전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가장자리부는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의 단일출입구와 후면의 단일출입구가 하나의 구조물의 구성요소이고, 상기 두 개의 단일출입구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부(14)가 전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가장자리부(19)는 항상 단일 출입구를 통과해서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부의 내부로 진입된 가장자리부는, 각 가장자리의 상하에 돌출된 밀착돌출부(29)가 슬라이더부(14)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밀봉상태에서 슬라이더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한다(도 5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슬라이더부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결합(또는 체결)되어 있는 두 개의 가장자리가 임의의 물체 삽입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 가능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22) 및 후면 돌출부(24)를 구비한다.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의 가장자리부에 특정 물체를 삽입할 경우, 분리되는 과정에서 특정 모양의 공극이 발생할 수 가 있는데, 이러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22)와 후면 돌출부(24)가 슬라이더부에 구비된다. 상기 전면 돌출부(22)와 후면 돌출부(24)는 상기 분리공극보다 좀더 크게 제작하여 분리공극을 압박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형의 기관내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는,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한 쌍의 가장자리가 서로 분리되면서 도 4의 (A)에 도시된 전면 돌출부(22) 및 후면 돌출부(24)와 같은 형태의 분리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 단일출입구(16)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기 직전의 가장자리부는 슬라이더부(14)의 압박에 의하여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이다(도면의 (A)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의 내부로 진입된 가장자리부는, 각 가장자리의 상하에 돌출된 밀착돌출부(29)가 슬라이더부(14)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단일출입구(16)를 통해서 슬라이더부(14)의 더욱 내부로 진입한 가장자리부(19)는 통로부의 설계 형태에 따라서 분리된 상태가 된다(도면의 (B) 참조). 또한 슬라이더부(14)의 중앙에는 기관내 튜브(200)가 삽입되는 입구인 삽관 포트가 구비되며, 이는 분리된 각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삽관 포트에는 실리콘 막(13)이 구비되어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200)를 감싸며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도면의 (C)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에 구비된 삽관 영역(10)을 사용하여, 공기 밀봉상태를 유지한 채 기관내 튜브를 위치 이동하면서 환자의 기도 및 기관내로 진입시킬 수 있어서,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계속하면서, 기관내 튜브의 삽관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짚록 방식의 체결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어 "밀착결합" 은 용어 "체결"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마우스 오프너(500)(mouth opener)를 착용한 상태로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할 수 있고, 상기 마우스 오프너(500)를 착용한 상태에 맞게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제작할 수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보다 종축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입을 벌렸을 때의 안면의 모양과 각도에 맞게 (예: 아래턱이 평시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 오프너는 상하 치아들 사이에 위치하여 강제로 입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치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더 이상 상술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기술한다.
예컨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응급 환자가 발생시, 또는 전신마취 유도시, 우선 통상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미도시)를 환자의 안면에 착용하여 앰부백(ambu bag) 등을 통해 인공호흡(bag-mask ventilation)을 시작한다. 물론 가용하다면, 앰부백 대신, 인공호흡기계(circuit) 등 다른 인공호흡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기관내 삽관이 결정되면, 상기 통상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제거하고,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에 마우스 오프너를 삽입하여 입을 벌린다. 그 후, 삽관이 가능한 본 실시예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로 교체하여 착용시키며, 앰부백 등을 통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환자의 기도내로 삽관할 기관내 튜브를 준비하는데, 본 예에서 기관내 튜브(200)는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350)와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7 를 참조하면, 이미지 획득부(350)를 구비하고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를 준비하고, 이를 기관내 튜브(200)에 삽입하고 밀봉 캡(340)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기관내 튜브(2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구비된 이미지 획득부(350)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표시장치(400)인 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350)에서 전송되는 환자 기도(airway)의 비디오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구비한 이미지 획득장치는 예를 들어, 종래 광섬유 내시경 또는 비디오 내시경일 수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디오스코프(video scope), 기관경(tracheoscope), 또는 기관지경(bronchoscope) 등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 장치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맞게 변형한 것을 수 있는데, 예컨데, 삽입 코드부 (또는 삽입 튜브)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고 기관내 튜브와 밀봉결합을 위한 밀봉 캡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본체부(310), 밀봉 캡(340), 삽입 코드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310)에는 전원부, 제어부, 광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캡(sealing cap)(340)은 상기 기관내 튜브(200)와 이미지 획득 장치와의 사이 공간을 밀봉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삽입 코드부(320)의 원위부(distal portion)에는, 환자 기도 이미지를 실시간으로(비디오 영상의 형태로) 캡쳐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부(350)(빗금으로 표시) 및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 등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부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카메라부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부는 종래 광섬유 내시경에서 사용하는 광섬유 케이블(fiber-optic cable) 등 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로서는, 예컨대 LED(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광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코드부(320)에는 이미지 획득부(35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광섬유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cable)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코드부(320)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그 원위부에 구비된 이미지 획득부(350)와 함께 기관내 튜브(200)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부(350)를 기관내 튜브(200)에 영구설치하여(embed), 이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환자의 기도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삽입 코드부(320)대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이 구비되어 기관내 튜브(200)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획득부(350)로서 구비된 카메라부에서 캡쳐한 이미지 정보(신호)는 표시장치(400)에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삽관 시술자가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부(350)에서 캡쳐한 이미지 정보는 본체부 또는 표시장치의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표시장치(400)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가 구비되며, 이는, 종래 모니터기술에 따라서, 전원부, 수신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400)는 환자의 근처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소형 모니터가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 후에는,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삽관 영역 덮개(20)를 열어, 삽관 영역(10)을 노출시키며, 이미지 획득 장치가 고정결합된 기관내 튜브(200)를 손으로 잡고, 삽관 영역(10)에 구비된 삽관포트(15)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며, 이미지 획득 장치에서 캡쳐되어 전송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를 보면서, 기관내 튜브(200)를 환자의 후두 및 기관 입구(성대) 근처로 더욱 진입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관 포트(15)가 구비된 슬라이더부(14)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므로(좌우 이동도 일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200)도 같이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삽관 과정 동안 환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있어서, 앰부백(Ambu bag)과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사용한 인공호흡에 의하여 호흡을 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의 영상을 통해 기관 입구(성대)가 확인되면, 시술자는 기관내 튜브(200)를 더욱 진입시켜 기관내로 삽관을 수행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커프(cuff)(미도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확장시켜 기관내 튜브를 기관에 고정시킨다. 도 8은,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하여, 측면단면도와 일부 의료기구의 측면도를 함께 표시하였으며, 의료기구는 가능한 투명하게 표시하였고, 삽관 영역은 구별되게 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그 후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제외한 의료기구를 제거하면 되는데, 우선 이미지 획득 장치를 기관내 튜브(200)로부터 제거하고,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조심스럽게 기관내 튜브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예컨대 인공호흡 기계에 연결하여 인공호흡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삽입 과정의 초기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환자의 측면에서부터 접근하여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환자의 자세는 삽관하기 편리한 다양한 자세로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며, 예컨대 환자의 목을 더 신전시킨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관내 튜브(200)와 결합되는 이미지 획득 장치로서, 원격 방향조절 기능을 갖는 유연한 광섬유 내시경(flexible fiber-optic endoscope)을 준비한다. 이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상의 내시경과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갖는데, 다만 삽입 코드부(320)("삽입 튜브"로도 불림)의 길이가 기관내 튜브(200)와 고정결합된 상태에 적합하도록 짧게 제작되며, 밀봉 캡(340)이 구비되어 공기가 새지 않는 밀봉상태로 기관내 튜브(2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섬유 내시경은, 본체부(310), 삽입 코드부(320) 및 밀봉 캡(340)을 구비한다. 또한 삽입 코드부(320)에는, 통상의 광섬유 내시경과 같이, 이미지 획득부로서 예컨대 광섬유 케이블(322)이 구비되며(도 9의 원내 참조), 조명장치(미도시)로서 예컨대 광섬유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굽힘(bending 또는 deflection)이 가능한 굽힘가능부(324) 및 상기 굽힘가능부(324)의 굽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굽힘케이블(angulation cable 또는 wire)(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굽힘케이블은 본체부(310)에 구비된 조정 노브(control knob)(370)를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구동된다. 그외에도 삽입 코드부(320)에는 산소를 방출하는 방출통로, 흡입구(suction) 등이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획득부로서 광섬유 케이블 대신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유연한 내시경에 있어서, 굽힘가능부, 조정 노브, 조명장치, 이미지 획득부 등에 관한 기술은 종래의 내시경 장치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공지기술에 해당되므로 더 이상 상술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유연한 내시경을 기관내 튜브(200)에 삽입하여 고정결합하면 도 9 및 10에 도시된 결합체가 된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서 전달되는 이미지는 본체부(310)에 구비된 카메라부에서 전기신호로 전환되어 표시장치(400)에 전달되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에 있어 표시장치(400)인 모니터는 정면도를 도시했지만, 이는 모니터를 알기쉽게 도시한 것일 뿐, 모니터의 위치나 각도는 시술자가 보기 편한 위치 및 각도로 설정하면 된다. 기관내 튜브(200)는 통상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어서, 삽입 코드부(320)의 굽힘가능부(324)가 임의의 방향으로 굽어지면, 이와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되어 있는 기관내 튜브(200)도 함께 굽어지게 된다. 또한 더욱 원활한 굽힘 동작을 위하여 기관내 튜브(200)의 원위부를 다른 부위보다 더 유연한 재질로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원격 방향조절 기능을 갖는 유연한 내시경이 고정결합된 기관내 튜브(200)를 손으로 잡고, 환자의 안면에 착용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의 삽관포트를 통해서, 환자의 구강 및 기도로 삽관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삽관포트는 슬라이더부(14)에 구비되어 있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도 10은,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하여, 측면단면도와 일부 의료기구의 측면도를 함께 표시하였으며, 의료기구는 가능한 투명하게 표시하였고, 삽관 영역은 구별되게 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삽입 초기에는 기관내 튜브(200)의 모양이 고각도로 굴곡된(hyperangulated) 상태로 진입시키며(도 10의 (A) 참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정 노브(370)를 손가락으로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굽힘가능부(324) 및 이와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된 기관내 튜브(200)의 굽힘상태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기관내로 진입시키는 것 일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에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기관입구 즉 성문(vocal cord)이 보이기 시작하면, 기관내 튜브(200)의 원위부를 적절히 신전(굴곡과 반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기관내로 진입시키는 것일 수 있다(도 10의 (B) 참조). 그 외에도 좌우로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방향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기관내 튜브(200)가 기관내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시술자는 커프(cuff)(미도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확장시켜 기관내 튜브를 기관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삽관과정 동안, 환자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통하여 인공호흡을 계속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그 후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제외한 의료기구를 제거하면 되는데, 우선 이미지 획득 장치를 기관내 튜브(200)로부터 제거하고,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조심스럽게 기관내 튜브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예컨대 인공호흡 기계에 연결하여 인공호흡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삽관 과정의 초기에는 기관내 튜브(200)를 환자의 측면에서부터 접근하여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환자의 자세는 삽관하기 편리한 다양한 자세로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며, 예컨대 환자의 목을 더 신전시킨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유연한 내시경(예컨대 기관 지경)을 사용한 통상적인 삽관방식에도 활용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관내 튜브(200)를 종래 내시경의 유연한 삽입 코드부("삽입 튜브"라고도 불림)에 결합시킨 후, 우선 상기 삽입 코드부를 단독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의 삽관 포트(15)를 통해서 기관내로 삽입한 후, 후발적으로 상기 기관내 튜브(200)를 상기 삽입 코드부를 따라서 (유도되어) 삽관 포트(15)를 통하여 삽입하는 것 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를 통하여 삽관되는 기관내 튜브(200)는 환자의 신체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고정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관내 튜브(200)는 다른 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타일렛의 선단에 조명장치가 구비된 조명 스타일렛(lighted stylet)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내 튜브(200)는 다양한 각도로 제작되거나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의료용 안면 마스크(100)에 구비되는 슬라이더부(14)와 가장자리부(19)간에는, 공기가 새지 않는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더부 간에 짚록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로 슬라이더부가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각 가장자리가 그 상하단에서 슬라이더부와 짚록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된 상태로 슬라이더부가 이동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12에는 일측 상단의 결합구조만을 도시하였지만 양측 상하단에 동일한 방식의 밀착결합(또는 체결)구조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짚록 방식의 밀착결합(또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의료용 안면 마스크의 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 가능하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를 조절 가능한 다른 어떠한 방식의 밀착결합(또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1과 같이 지퍼 방식으로 밀착결합(또는 체결)되는 가장자리부(체결부)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예컨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격막부의 물리적 압박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것 일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격막부에 내장된 스프링의 물리적 압박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것 일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자석의 상호인력으로 밀착결합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캡쳐된 이미지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수단은 유선 방식일 수 있고, 무선 방식 일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 등을 참조하여 자세히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5)

  1. 의료용 안면 마스크로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
    환자의 안면을 보호하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또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지퍼 방식, 또는 짚록 방식으로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내 튜브는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가장자리부가 밀착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단일출입구를 당해 슬라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가장자리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를 구비하되, 당해 통로부는 두 개의 단일출입구를 연결하는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밀착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가장자리가 임의의 물체 삽입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 가능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 및 후면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격막부 및 당해 격막부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를 포함하는 삽관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부 및 환자의 안면에 유연하게 결합되는 유연결합부로 구분 가능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전단 및 후단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각 가장자리의 상하단은,
    슬라이더부의 내면과 짚록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안면 마스크.
  10. 기관내 삽관 시스템으로서,
    의료용 안면 마스크;
    기관내 튜브: 및
    상기 기관내 튜브와 결합 가능하며, 환자의 기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환기 포트; 및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결합된 기관내 튜브의 삽관을 위한 삽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삽관 영역은,
    환자의 안면을 보호하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구비되며 서로 밀착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당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당해 가장자리부의 분리 또는 밀착결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부는, 분리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삽관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지퍼 방식, 또는 짚록 방식으로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가장자리부가 밀착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일출입구를 당해 슬라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상기 가장자리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를 구비하되, 당해 통로부는 두 개의 단일출입구를 연결하는 폐쇄회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밀착결합되어 있는 가장자리부가 임의의 물체 삽입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 가능한 분리공극을 채우는 전면 돌출부 및 후면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부 및 환자의 안면에 유연하게 결합되는 유연결합부로 구분 가능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전단 및 후단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삽관 시스템.
KR1020160162514A 2016-11-30 2016-11-30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KR10188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14A KR101889690B1 (ko) 2016-11-30 2016-11-30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14A KR101889690B1 (ko) 2016-11-30 2016-11-30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304A KR20180062304A (ko) 2018-06-08
KR101889690B1 true KR101889690B1 (ko) 2018-08-21

Family

ID=6260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14A KR101889690B1 (ko) 2016-11-30 2016-11-30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024A (ko) 2022-07-11 2024-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3652B (zh) * 2022-07-28 2024-05-24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术中经食管超声心动图检查面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558A (ja) * 2002-12-11 2006-03-23 パラ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気管内チューブホルダ
CN104225767A (zh) * 2014-10-22 2014-12-24 林新颖 拉链式胃肠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489A (en) * 1982-06-21 1984-12-04 Calspan Corporation Entrance and egress system for protective shelters and garments
KR101341353B1 (ko) * 2012-01-30 2013-12-18 전덕규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558A (ja) * 2002-12-11 2006-03-23 パラ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気管内チューブホルダ
CN104225767A (zh) * 2014-10-22 2014-12-24 林新颖 拉链式胃肠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024A (ko) 2022-07-11 2024-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304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2363B2 (ja) 不撓性の引込み式舌状物と換気及び挿管のための手段とを有するラリンジアルビデオマスク
CN106793918B (zh) 医疗装置及放置方法
US10279136B2 (en) Method of opening an airway of a patient by a medical professional in a medical procedure using an airway device
JP2008528131A (ja) ビデオに支援された喉頭マスク気道デバイス
CN104955381A (zh) 在内窥镜检查手术中的通风牙垫
CN111065310A (zh) 带有摄像头的医疗装置和放置方法
JP6531090B2 (ja) 気管内挿管装置
US9662068B2 (en) Medical device for conducting a medical examination and/or intervention
KR101889690B1 (ko)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CN203989368U (zh) 一种视频气管导管及视频气管导管装置
KR101789171B1 (ko) 기도유지 및 삽관 가이드장치
KR102327349B1 (ko) 내시경 장치
CN110292689A (zh) 喉罩
WO2017058039A2 (en) Ventilation with a view mask
AU2013239345A1 (en)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Cook Airway management equipment
KR20180109638A (ko) 기관 삽관 시스템 및 후두경
CN111514421B (zh) 喉罩及其视像装置
Gupta et al. Newer intubation techniques: a journey
CN115429987A (zh) 一种可视可控三腔咽喉罩
CN116328130A (zh) 一种高位可视喉罩
Airways ANESTHESIA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