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024A -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 Google Patents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024A
KR20240008024A KR1020220084851A KR20220084851A KR20240008024A KR 20240008024 A KR20240008024 A KR 20240008024A KR 1020220084851 A KR1020220084851 A KR 1020220084851A KR 20220084851 A KR20220084851 A KR 20220084851A KR 20240008024 A KR20240008024 A KR 2024000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sk
oxygen mask
oxygen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8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024A/ko
Publication of KR2024000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75Connect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소 마스크에 따르면, 관통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밀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 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 방향과 반대로 반전(flip)시에 탄성력에 의해 튜브의 외주 면을 감싸며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에 설치된 밀착 부재를 통해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설치되어 있어 마스크 본체와 비위관 또는 L 튜브의 사이로 고농도 산소가 누출(leak)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THE FACIAL OXYGEN MASK CONNECTING WITH TUBE}
본 발명은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소 누출을 방지하는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산소 마스크는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호흡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장비이다. 산소 마스크는 응급 환자를 처치하는 시설(구급차, 응급실)뿐 아니라 일반 병실에서도 널리, 잦은 빈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산소 마스크는 고농도의 산소를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재호흡 방지형'과 고농도 산소 투여가 불가능한 '단순형'(즉, 재호흡 허용형)으로 구분된다. 저농도 산소 투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코대롱' (nasal prong cannula)이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 마스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환자에게 더 높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필요가 있다는 의학적 판단이 전제된다.
한편, 산소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 받는 환자는 위독하거나 중증인 경우가 다수이며,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비위관(코-위관, nasogastric tube) 또는 L 튜브(L tube)가 삽입될 수 있다. 비위관 또는 L 튜브는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되어 위까지 연결되는 관으로서, 위장의 가스 및 분비물을 제거하거나 위장으로 영양공급을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삽입된 환자에게 산소 마스크가 장착되는 경우, 환자에게 삽입된 관이 안면에 부착된 상태로 마스크가 장착된다. 따라서, 얼굴 산소 마스크가 환자의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얼굴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얼굴 산소 마스크가 환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벌어진 틈새 사이로 고농도 산소가 새어 나와 환자에게 고농도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7234호 (2019.07.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9690호 (2018.08.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885호 (2016.03.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 산소의 누출 없이도 비위관 또는 L 튜브를 설치할 수 있는 산소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진 비위관 또는 L 튜브를 설치할 수 있는 산소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소 마스크에 따르면, 관통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밀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 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 방향과 반대로 반전(flip)시에 탄성력에 의해 튜브의 외주 면을 감싸며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 부재는 밀착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단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유단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유단에는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어댑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밀착 부재의 고정단이 고정 설치되며 그 중앙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와 관통공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제1,2 어댑터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제1,2 어댑터의 사이로 상기 밀착부재의 고정단이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삽입공으로 지지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방사상으로 둘 이상 등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사이로 부채꼴인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밀착 부재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설치된 밀착 부재를 통해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설치되어 있어 마스크 본체와 비위관 또는 L 튜브의 사이로 고농도 산소가 누출(leak)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삽입된 환자에게도 고농도의 산소가 충분히 전달될 수 있어, 산소 마스크의 본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밀착 부재와 교체 가능한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비위관 또는 L 튜브를 설치한다.
또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비위관 또는 L 튜브와 접촉하는 밀착 부재의 자유단은 그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밀착 부재와 비위관 또는 L 튜브와 밀착도를 높여준다.
또한, 밀착 부재의 자유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비위관 또는 L 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비위관 또는 L 튜브 삽입 본래의 목적 또한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산소 마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에 튜브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마스크의 밀착 부재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마스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산소 마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산소 마스크는 환자의 안면을 덮어 환자에게 고농도 산소가 공급될 수 있게끔 구성되며, 환자의 안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했듯이 비위관 또는 L 튜브(이하, '튜브'라 함)가 삽입된 환자의 경우 튜브가 환자의 얼굴에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의 산소 마스크는 환자의 안면에 밀착되기가 어려워 환자에게 공급되는 고농도 산소의 손실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도입 배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이른바 양압환기용 마스크는 스스로 숨을 쉴수 있는 환자에게 추가적인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마스크와는 달리 전신마취, 뇌손상, 의식저하 등의 이유로 스스로 숨을 쉴 수 없는 환자에게서 인위적으로 숨을 쉬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크이다.
환자의 얼굴에 마스크를 씌우고 여기에 외부에서 양압(positive pressure)의 기체를 공급하여 기체가 환자의 입, 코, 비인두, 구강인두, 후두, 기관을 거쳐 폐포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언급한 기도(입, 코, 비인두, 구강인두, 후두, 기관을 거쳐 폐포내로 들어가)로 기체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기도의 저항을 극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양압을 걸어주며, 통상적으로는 10~20 cmH2O 정도의 양압이 필요하며, 기도 저항이 증가한 환자에서는 더욱 큰 양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양압 생성을 위하여 마스크와 접촉하는 환자의 얼굴면에 누출(leak)이 없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이른바 양압환기마스크는 사람의 얼굴에 잘 맞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얼굴과 접촉하는 부분은 매우 부드러운 재질 또는 공기를 채워넣게 되어 있다.
통상적인 환자에게서 이러한 디자인 만으로 충분한 양압을 마스크와 얼굴의 접촉면에서 공기의 누출없이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서는 코에서부터 얼굴 밖으로 나가는 비위관이 마스크와 얼굴표면의 사이에 존재하게 되어 작은 틈이 생기며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양압을 공급할때 대부분의 기체가 저항이 많은 기도로 가지 못하고 비위관에의해 생긴 틈 사이로 빠져버려 환자의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기존에 마스크의 얼굴과의 접촉면에 홈을 내는 아이디어가 있었으나, 실제 비위관은 다양한 굵기가 있고(6~24Fr 또는 2~8mm) 비위관이 없는 통상의 환자에서는 이러한 홈이 오히려 환기를 방해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이다.
튜브를 삽입한 환자에게도 손실 없이 고농도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마스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튜브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고농도 산소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산소 마스크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에 튜브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마스크의 밀착 부재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마스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마스크(M)는, 튜브(T)가 가로지르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100) 및 관통공(110)에 설치되는 밀착 부재(200)로 구성된다.
먼저, 마스크 본체(100)는 환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부(101) 및 환자에게 전달될 고농도 산소를 보관하는 수용부(102)로 구성된다. 즉, 마스크 본체(100)는 내부에 고농도 산소를 보관하도록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된 돔 형태로 구성된다.
밀착 부재(200)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100)와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 방향과 반대로 반전(flip)시에 탄성력에 의해 튜브(T)의 외주 면을 감싸며 밀착한다.
이때, 밀착 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라텍스 또는 고무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밀착 부재(200)는 튜브(T)의 외주면을 눌러줌과 동시에 양압환기에 의한 압력이 밀착 부재(200)에 작용하여 밀착 부재(200)와 튜브(T)의 사이에 air-tight seal이 형성된다.
여기서, 양압환기는 환자가 호흡하는 기체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기도를 지나 폐로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기계환기(機械換氣, mechanical ventilation) 중 하나이다. 즉, 마스크 본체(100)는 환자의 안면과 밀착되어 그 내부로 압력이 가해지며 대기보다 상대적으로 양압을 유지하며, 양압은 밀착 부재(200)에 작용한다.
더욱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밀착 부재(200)는 밀착 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단(210)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자유단(220)으로 구성되며, 자유단(220)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튜브(T)와 밀착되는 자유단(220)의 두께를 고정단(210)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양압 작용에 따른 빠른 응답성과 동시에 변형량을 늘려주어 air-tight seal을 안정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밀착 부재(200')의 자유단(220')에는 절개부(221')가 방사상으로 둘 이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자유단(220')은 꽃잎처럼 방사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튜브(T)와 밀착시 들뜸을 방지한다. 들뜸이 방지됨에 따라 산소의 누출도 방지된다.
그리고, 관통공(110)에 설치되는 어댑터(3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어댑터(300)는 밀착 부재(200)의 고정단(210)이 고정 설치되며 그 중앙으로 삽입공(301)이 형성된다.
한편, 어댑터(300)와 관통공(110)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튜브(T)의 사이즈에 맞춰 삽입공(301)과 밀착 부재(200)의 사이즈가 각기 다른 어댑터(300)를 교체사용할 수 있다. 즉, 튜브(T)의 직경이 달라저도 산소 누출을 방지하는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다.
또한, 어댑터(300)는 제1,2 어댑터(310,320)로 분할 형성되며, 제1,2 어댑터(310,320)의 사이로 밀착 부재(200)의 고정단(210)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제1,2 어댑터(310,320)는 억지 끼움, 본딩 및 나사결합 등에 의해 체결된다.
즉, 밀착 부재(200)를 어댑터(3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300)의 삽입공(301)으로 지지 부재(400)가 설치된다.
한편, 지지 부재(400)는 방사상으로 둘 이상 등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410)이 형성되며, 절개홈(410)의 사이로 부채꼴인 탄성편(420)이 형성된다.
이때, 탄성편(420)의 끝단은 밀착 부재(30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튜브(T)를 삽입공(301)으로 삽입하고, 튜브(T)는 탄성편(420)을 삽입공(301)의 내주면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탄성편(420)은 탄성 복원력이 발생한 상태로 튜브(T)의 외주면 지지한다.
이에 따라, 튜브(T)의 진입에 따라 탄성편(420)은 압축된다.
이와 반대로, 튜브(T)가 삽입공(301)의 진입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 탄성편(42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튜브(T)의 외주면을 지지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탄성편(420)은 튜브(T) 진입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며 튜브(T)와 삽입공(301)의 사이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튜브(T)가 진입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게 된다.
결국, 탄성편(420)에 의해 튜브(T)의 삽입만 가능하고 튜브(T)의 당겨짐을 방지하여 튜브(T)가 마스크(M)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튜브(T)는 삽입공(301)의 삽입 방향으로 당겨지면 제거된다.
이러한 탄성편(420)은 튜브용 원터치 피팅의 로크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탄성편(420)은 합성수지, 우레탄 및 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100)에 설치된 밀착 부재(200)를 통해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설치되어 있어 마스크 본체(100)와 비위관 또는 L 튜브의 사이로 고농도 산소가 누출(leak)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비위관 또는 L 튜브가 삽입된 환자에게도 고농도의 산소가 충분히 전달될 수 있어, 산소 마스크의 본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밀착 부재(200)와 교체 가능한 어댑터(300)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비위관 또는 L 튜브를 설치한다.
또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비위관 또는 L 튜브와 접촉하는 밀착 부재(200)의 자유단(220)은 그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밀착 부재(200)와 비위관 또는 L 튜브와 밀착도를 높여준다.
또한, 밀착 부재(200)의 자유단에는 절개부(221)가 형성되어 있어 튜브의 삽입에 따른 주름발생을 억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M - 산소 마스크
100 - 마스크 본체 200 - 밀착 부재
300 - 어댑터 400 - 지지 부재
T - 튜브

Claims (10)

  1. 관통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밀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 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 방향과 반대로 반전(flip)시에 탄성력에 의해 튜브의 외주 면을 감싸며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밀착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단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유단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에는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어댑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밀착 부재의 고정단이 고정 설치되며 그 중앙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와 관통공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2 어댑터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제1,2 어댑터의 사이로 상기 밀착부재의 고정단이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공으로 지지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방사상으로 둘 이상 등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사이로 부채꼴인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밀착 부재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마스크.
KR1020220084851A 2022-07-11 2022-07-11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KR20240008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51A KR20240008024A (ko) 2022-07-11 2022-07-11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51A KR20240008024A (ko) 2022-07-11 2022-07-11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24A true KR20240008024A (ko) 2024-01-18

Family

ID=8971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851A KR20240008024A (ko) 2022-07-11 2022-07-11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02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885A (ko) 2013-06-26 2016-03-03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조명 제어기
KR101889690B1 (ko) 2016-11-30 2018-08-21 전덕규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KR101997234B1 (ko) 2016-11-28 2019-07-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885A (ko) 2013-06-26 2016-03-03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조명 제어기
KR101997234B1 (ko) 2016-11-28 2019-07-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KR101889690B1 (ko) 2016-11-30 2018-08-21 전덕규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019B2 (en) Auto-inflation cuffs
JP3782123B2 (ja) 咽腔用エアウエイ
US5343857A (en) Respiratory accessory access port and adaptor therefore
US4449526A (en) Mask breathing system
US20120118286A1 (en) Nasal airway management device
US20180264220A1 (en) Seal Between Bag Valve Mask and Face, with Nasal Cannula
US20180099110A1 (en) Endotracheal tube
WO2020253273A1 (zh) 一种罩体左右可拆卸式的呼吸机面罩
US20100218769A1 (en) Respiratory assistance device
KR101357264B1 (ko)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
KR20240008024A (ko) 튜브와 결합되는 산소 마스크
JPH10179745A (ja) 救急蘇生用食道内エアウェイ
CN205434627U (zh) 一种气道装置
US20030213493A1 (en) Naso-gastric tube adapter
CN113412134A (zh) 用于维持患者中的气道的装置
WO2019183338A1 (en) Med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endotracheal tube
US20140261431A1 (en) Positive-pressure respiratory mask
US20210330907A1 (en) Gas evacuating patient interface
JP2000237314A (ja) 気管内チューブ
WO2019223465A1 (zh) 层叠膜密封面罩
US11517692B2 (en) Ventilator conduit for reversible airway device
CN213312713U (zh) 一种无痛胃镜用麻醉面罩的防漏气装置
US20210379311A1 (en) Sealing arrangement for forming a seal between a patient and a patient interface device
CN213964729U (zh) 吸氧连接装置
CN218853287U (zh) 一种胃镜吸氧面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