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98B1 -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98B1
KR102079998B1 KR1020190082376A KR20190082376A KR102079998B1 KR 102079998 B1 KR102079998 B1 KR 102079998B1 KR 1020190082376 A KR1020190082376 A KR 1020190082376A KR 20190082376 A KR20190082376 A KR 20190082376A KR 102079998 B1 KR102079998 B1 KR 10207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light blocking
contact lens
weigh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수
유병주
유대윤
편승희
이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to KR102019008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98B1/ko
Priority to PCT/KR2019/009542 priority patent/WO2021006411A1/ko
Priority to TW108146345A priority patent/TW20210234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4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omposed of parts with dissimila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를 제조하는 제 1단계와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를 동공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 부분에 점착하여 인쇄하는 제 2단계와 하형몰드에 교반한 렌즈 원료를 넣는 제 3단계(S30)와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압착하여 60~140℃의 열에 60~90분 동안 중합하거나 또는 IR(InfraRed), UV(Ultra Violet) 파장을 이용하여 10~30분 중합하는 방법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 4단계와 상기의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를 취득한 후 염화나트륨 0.9% 생리식염수에 7~25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 보관하는 제 5단계로 구성되어, 380~500nm의 블루라이트 파장대를 차단하여 시력저하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감 및 두통, 황반변성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Contact Lens Blocking Blue Light and Contact Lens Blocking Blue Light}
본 발명은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라이트 차단 착색료를 렌즈 원료에 넣지 않고 렌즈 특정부위에 프린팅함으로써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380~500nm의 고에너지를 가진 블루라이트(청색광) 파장대를 차단하여 시력저하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감 및 두통, 황반변성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제거하여 망막의 노화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파장에 따라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나눌 수 있고 가시광선은 흔히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으로 가시광선의 파장은 380~780nm의 영역에 해당된다. 이 중 380~500nm 사이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을 블루라이트인 청색광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단파장의 블루라이트에서는 고에너지를 가지면서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 상피세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실외에서 끊임없는 빛의 변화에 따라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블루라이트에 대한 노출로 인해 눈의 피로는 점점 커지게 되고 이와 함께 황반변성, 시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근래에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 되면서 TV와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와 LED조명기기에서 방출되는 블루라이트에 무방비로 노출되면서 이에 따른 인체 유해성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부 연구를 통해서는 상기와 같이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눈 속의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유해성도 주장되고 있으며 또한 야간에 블루라이트가 발생되는 광원에 계속 노출되면 생체리듬주기 변화나 호르몬 분비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114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청색광 차단렌즈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원재료 물질인 모노머(monomer)에 380nm~500nm 영역의 청색광을 분산 및 확산시켜서 렌즈의 투과를 차단토록 티오펜(thiophene)과 벤젠(benzene)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청광-발산제(靑光-發散劑)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차단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청색광 차단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관련한 발명으로써 이는 일반 안경렌즈용으로의 활용을 위한 발명으로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으로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114호(2015.07.22)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안경렌즈용이 아닌 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를 콘택트렌즈 동공이 위치되는 부위에 프린팅하여 착용함으로써 착용 시 공막 부분이 황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감을 저해시키지 않고,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에 포함되는 황색 착색료 함량 변화와 프린팅 디자인 및 방식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를 제조하는 제 1단계와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를 동공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형몰드 부분에 점착하여 인쇄하는 제 2단계와 하형몰드에 교반한 렌즈 원료를 넣는 제 3단계(S30)와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압착하여 60~140℃의 열에 60~90분 동안 중합하거나 또는 IR(InfraRed), UV(Ultra Violet) 파장을 이용하여 10~30분 중합하는 방법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 4단계와 상기의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를 취득한 후 염화나트륨 0.9% 생리식염수에 7~25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 보관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단계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는 바인더로써 렌즈에 탄성을 부여하며 수분을 흡수하는 습윤성우레탄과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의 황색 착색료와 프린팅 작업을 위한 점도조절용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바인더와 바인더 또는 황색 착색료와 바인더에 공유결합을 부여하여 연결시키는 가교제가 첨가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 1단계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는 바인더로써의 습윤성우레탄 79.9중량%와 황색 착색료 10중량%와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10중량%와 가교제로써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0.1중량%의 조성비로 구성되고 상기 조성물의 함량 범위는 바인더인 습윤성우레탄은 20~90중량% 범위를 가지고 황색 착색료는 0.1~20 중량%, 용제는 5~75중량%, 가교제는 0.05~20중량%의 조성 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의 배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황색 착색료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가 프린팅 되는 렌즈 외측부의 범위는 사람의 동공 위치에 대응되고 직경은 2mm~8mm의 범위로 구성되되 프린팅 형태는 그물망 무늬로 나타날 수 있도록 패드 프린팅 또는 노즐분사식 프린팅 을 통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380~500nm의 블루라이트 파장대를 차단하여 시력저하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감 및 두통, 황반변성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간에 블루라이트가 발생되는 광원에 과다하게 노출되어 생체리듬주기나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가 콘택트렌즈 동공이 위치되는 부위에 프린팅 되어 착용 시 공막 부분이 착색되어 보이지 않도록 한정되어 눈동자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하며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이미지 및 컬러 프린팅 영역 무늬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인쇄 전 설계 이미지 비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0.1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1.0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3.0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5.0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10.0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의 함량이 20.0중량%인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360~400nm의 빛 파장의 투과율을 높인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사용한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이미지 및 컬러 프린팅 영역 무늬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인쇄 전 설계 이미지 비교도로써,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제조하는 제 1단계(S10);와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사람의 동공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 부분에 점착하여 인쇄하는 제 2단계(S20);와 하형몰드에 교반한 렌즈 원료를 넣는 제 3단계(S30);와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압착하여 60~140℃의 열에 60~90분 동안 중합하거나 또는 IR(InfraRed), UV(Ultra Violet) 파장을 이용하여 10~30분 중합하는 방법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 4단계(S40);와 상기의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를 취득한 후 염화나트륨 0.9% 생리식염수에 7~25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 보관하는 제 5단계(S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단계(S1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로써 렌즈에 탄성을 부여하며 수분을 흡수하는 습윤성우레탄과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의 황색 착색료(Y)와 프린팅 작업을 위한 점도조절용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바인더와 바인더 또는 착색료와 바인더에 공유결합을 부여하여 연결시키는 가교제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S1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로써의 습윤성우레탄 79.5중량%와 황색 착색료(Y) 10중량%와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10중량%와 가교제로써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0.5중량%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황색 착색료(Y)의 입도는 0.05~2cm의 세라믹 비드를 충진하는 볼밀을 사용하여 분쇄시켜 조절하며 상기 조성비를 통하여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2중 자켓타입으로 구성되는 SUS(Stainless Use Steel) 용기에 바인더, 황색 착색료(Y), 용제, 가교제를 첨가하여 믹싱하고 분산기의 회전속도를 200~4000rpm으로 조절하며 10~120분 교반시키며, 교반 진행시 발생되는 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냉각수 써큘레이터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상기 황색 착색료(Y)는 컬러 인덱스명에 있어서의 C.I. Pigment Yellow 3, 10, 13, 14, 17, 62, 81, 83, 93, 95, 109, 110, 138, 139, 150, 154, 168, 176, 180, 183, 191:1, 215의 착색료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상기 가교제는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2,6-and-2,4-Toluene diisocyanate(TDI),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H12MDI), trans-1,4-Cyclohexane diisocyanate(CHDI), Isophorone diisocyanate(IPDI), Tetramethyl-1,3-xylene diisocyanate (TMXDI), Dimeryl diisocyanate(DDI) 중에서 선택적으로 첨가되어 구성된다.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인 습윤성우레탄은 10~90중량% 범위의 조성비를 가지고 황색 착색료(Y)는 0.1~20 중량%, 용제는 5~80중량%, 가교제는 0.1~20중량%의 조성비 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의 배합을 통해 제조되되, 상기 황색 착색료(Y)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인 습윤성우레탄은 10~90중량% 범위의 조성비를 가지고 황색 착색료(Y)는 0.1~20 중량%, 용제는 5~80중량%, 가교제는 0.1~20중량%, 빛의 파장영역에서 360~400nm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2,3,4-trihydroxy benzophenone와 Disodium 2,2′-dihydroxy-4,4′-dimethoxy-5,5′-disulfobenzophenone, 4-Acryloyloxyethoxy-2-hydroxybenzo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의 4가지 재료에서 각각의 조성비의 조건 없이 임의적으로 혼합하거나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1.0~10중량%의 조성비 범위를 가지게 하여 각각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의 배합을 통해 제조되되, 상기 황색 착색료(Y)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2,3,4-trihydroxy benzophenone와 Disodium 2,2′-dihydroxy-4,4′-dimethoxy-5,5′-disulfobenzophenone, 4-Acryloyloxyethoxy-2-hydroxybenzo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재료는 380~500nm 사이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블루라이트인 청색광 중 380~400nm의 파장과 360~380nm의 파장의 빛의 투과율을 높여주는 성분으로 이용된다. 상기 360~400nm의 파장 대역은 세부적으로 바이올렛 빛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통해 85~89%의 투과율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올렛 빛 파장은 근시 억제 유전자에 자극을 주게 되고이를 통해 근시를 예방할 수 있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를 콘택트렌즈의 기능과 특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성우레탄은 POLYOL(-OH)과 ISOCYANATE(-NCO)가 결합하여 -CONH(우레탄으로 합성될 수 있고 세부적으로 polyether계의 EO(Ethylene Oxide)/PO(Propylene Oxide) random polyol과 상온에서 액상상태로 존재하여 가공성과 성형성이 좋은 toluene diisocyanate, cyclohexane diisocyanate의 isocyanate와 chain extender로 ethylene glycol, 1,4-butanediol를 배합하여 도입하여 조성이 각기 다른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합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합성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Polyol인 다우케미컬사의 Voranol CP 4703 70~95중량%와 isocyanate의 cyclohexane diisocynate 5~30중량%, chain extender로써 1,4-butanediol 0.5~10중량%, 촉매로서 Tetrabutyl ammonium hydroxide(TBAH) 0.05~5중량%의 조성비를 통해 Voranol CP 4703과 1,4-butanediol, Tetrabutyl ammonium hydroxide(TBAH)를 4-neck round bottom flask에 수용하고 플라스크를 히팅멘틀을 삽입한 후 교반기와 리플렉스 콘덴서(reflex condenser), 온도계를 장착하고 cyclohexane diisocynate를 dropping funnel에 넣고 플라스크에 꽂는다. 히팅멘틀의 온도를 80℃로 설정하고 리플렉스 콘덴서에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교반기의 rpm을 80~200 범주에서 가동하여 플라스크 내 측정되는 온도가 80℃에 이르게 되면 dropping funnel을 열고 상기 cyclohexane diisocynate를 1시간 동안 드롭핑한다. 이후 NCO%를 측정하여 측정값이 0이 되는 시점을 반응의 완결로 종결하고 상온에서 냉각시켜 습윤성우레탄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해당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단계(S20)는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가 프린팅 되는 렌즈 외측부의 범위는 사람의 동공 위치에 대응되고 직경은 2mm~8mm의 범위로 구성되되, 프린팅 형태는 그물망 무늬 또는 격자 형태와 같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가 인쇄되는 점과 인쇄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형태의 무늬로 이루어져 가시광선 투과율을 확보하고 다중산란을 통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착색료의 특성상 전면커버 형태로의 면 인쇄시에는 블루라이트 외 영역의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함께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망 형태의 메론 껍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면의 공간을 통해 공극 차이를 두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잉크로 인쇄된 면과 부딪히게 되어 사방으로 흩어지는 다중산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잉크가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커버하여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블루라이트 외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유지하여 투과율을 저해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그물망 형태는 점 형태로 찍히는 스팟 사이에 찍히지 않는 공극이 조밀하게 교호 배치되는 형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실제 그물망 형태로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의 인쇄 형상을 통해서도 블루라이트 차단율과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단계(S2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실리콘 패드에 점착하여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에 인쇄하는 패드 프린팅 방식과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노즐 분사하여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에 도포하는 노즐분사 방식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형몰드와 하형몰드의 프린팅 기재는 폴리프로필렌(PP)몰드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몰드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콘택트렌즈를 통해서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380~500nm의 블루라이트 파장대를 차단하여 시력저하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감 및 두통, 황반변성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위험을 방지하고 블루라이트가 발생되는 광원에 과다하게 노출되어 생체리듬주기나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가 콘택트렌즈 동공이 위치되는 부위에 프린팅되어 착용 시 공막 부분이 황색으로 보이지 않도록 한정되어 눈동자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하며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황색 착색료(Y)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블루라이트 차단율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황색 착색료함량(중량%)

0.1

1.0

3.0

5.0

10.0

20.0

블루라이트차단율(%)

4

7

11

13

18

37

※가시광선 투과율(%)

98

97

95

94

92

86
<황색 착색료(Y) 함량 중량%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율>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S10. 제 1단계 S20. 제 2단계
S30. 제 3단계 S40. 제 4단계
S50. 제 5단계 S60. 제 6단계
B: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 Y: 황색 착색료

Claims (8)

  1.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제조하는 제 1단계(S10);와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동공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 부분에 점착하여 인쇄하는 제 2단계(S20);와
    하형몰드에 교반한 렌즈 원료를 넣는 제 3단계(S30);와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압착하여 60~140℃의 열에 60~90분 동안 중합하거나 또는 IR(InfraRed), UV(Ultra Violet) 파장을 이용하여 10~30분 중합하는 방법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 4단계(S40);와
    상기의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를 취득한 후 염화나트륨 0.9% 생리식염수에 7~25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 보관하는 제 5단계(S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단계(S1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로써 렌즈에 탄성을 부여하며 수분을 흡수하는 습윤성우레탄과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의 황색 착색료(Y)와 프린팅 작업을 위한 점도조절용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바인더와 바인더 또는 착색료와 바인더에 공유결합을 부여하여 연결시키는 가교제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S1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로써의 습윤성우레탄 79.5중량%와 황색 착색료(Y) 10.0중량%와 용제인 Cyclohexanone 또는 Cyclopentanone, γ-Butyrolactone, α-terpineol,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에서 선택적으로 10.0중량%와 가교제로써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0.5중량%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황색 착색료(Y)의 입도는 0.05~2cm의 세라믹 비드를 충진하는 볼밀을 사용하여 분쇄시켜 조절하며 상기 조성비를 통하여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2중 자켓타입으로 구성되는 SUS(Stainless Use Steel) 용기에 바인더, 황색 착색료(Y), 용제, 가교제를 첨가하여 믹싱하고 분산기의 회전속도를 200~4000rpm으로 조절하며 10~120분 교반시키며, 교반 진행시에는 써큘레이터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색 착색료(Y)는 컬러 인덱스명에 있어서의 C.I. Pigment Yellow 3, 10, 13, 14, 17, 62, 81, 83, 93, 95, 109, 110, 138, 139, 150, 154, 168, 176, 180, 183, 191:1, 215의 착색료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상기 가교제는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2,6-and-2,4-Toluene diisocyanate(TDI),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H12MDI), trans-1,4-Cyclohexane diisocyanate(CHDI), Isophorone diisocyanate(IPDI), Tetramethyl-1,3-xylene diisocyanate (TMXDI), Dimeryl diisocyanate(DDI) 중에서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인 습윤성우레탄은 10~90중량% 범위의 조성비를 가지고 황색 착색료(Y)는 0.1~20 중량%, 용제는 5~80중량%, 가교제는 0.1~20중량%의 조성비 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의 배합을 통해 제조되되,
    상기 황색 착색료(Y)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S20)는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가 프린팅 되는 렌즈 외측부의 범위는 사람의 동공 위치에 대응되고 직경은 2mm~8mm의 범위로 구성되되,
    프린팅 형태는 그물망 무늬로 이루어져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가 인쇄되는 점과 인쇄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확보하고 다중산란을 통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S20)의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실리콘 패드에 점착하여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에 인쇄하는 패드 프린팅 방식과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를 노즐 분사하여 하형몰드 또는 상형몰드에 도포하는 노즐분사 방식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 잉크(B)는 바인더인 습윤성우레탄은 10~90중량% 범위의 조성비를 가지고 황색 착색료(Y)는 0.1~20 중량%, 용제는 5~80중량%, 가교제는 0.1~20중량%, 360~400nm 파장 영역 빛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2,3,4-trihydroxy benzophenone와 Disodium 2,2′-dihydroxy-4,4′-dimethoxy-5,5′-disulfobenzophenone, 4-Acryloyloxyethoxy-2-hydroxybenzo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의 4가지 재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1~10중량%의 조성비 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의 배합을 통해 제조되되,
    상기 황색 착색료(Y)의 함량 변화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KR1020190082376A 2019-07-09 2019-07-09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76A KR102079998B1 (ko) 2019-07-09 2019-07-09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9/009542 WO2021006411A1 (ko) 2019-07-09 2019-07-31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TW108146345A TW202102349A (zh) 2019-07-09 2019-12-18 製造阻擋藍光隱形眼鏡的方法及藉由該方法形成的阻擋藍光隱形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76A KR102079998B1 (ko) 2019-07-09 2019-07-09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998B1 true KR102079998B1 (ko) 2020-02-21

Family

ID=6967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76A KR102079998B1 (ko) 2019-07-09 2019-07-09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9998B1 (ko)
TW (1) TW202102349A (ko)
WO (1) WO202100641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38B1 (ko) * 2020-03-09 2020-08-31 김대곤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
CN112552741A (zh) * 2020-12-29 2021-03-26 甘肃康视达科技集团有限公司 彩色隐形眼镜用油墨及油墨干燥剂
KR102306300B1 (ko) * 2020-05-11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WO2022145684A1 (ko) * 2020-12-31 2022-07-07 (주)메디오스 색파장 콘텍트 렌즈 제조 방법
KR20220117992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윈스 청색광 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와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8309A (ko) * 2021-06-16 2022-12-23 (주)비젼사이언스 실리콘 하이드로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20230087650A (ko) * 2021-12-09 2023-06-19 문샷옵티컬주식회사 Mpc를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7653A1 (en) * 2020-08-21 2022-02-24 Pegavision Corporation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9235B2 (ja) * 2006-06-29 2015-03-2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遮断リング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540114B1 (ko) 2014-07-15 2015-07-29 (주)케미그라스 청색광 차단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922B1 (ko) * 2015-02-26 2015-10-14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광원 보호경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9305A (ko) * 2015-04-30 2016-11-09 재단법인김해시차세대의생명융합산업지원센터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
KR101786302B1 (ko) * 2016-03-03 2017-10-17 (주)메디오스 청광차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KR20190042646A (ko) * 2017-09-29 2019-04-2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9235B2 (ja) * 2006-06-29 2015-03-2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遮断リング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540114B1 (ko) 2014-07-15 2015-07-29 (주)케미그라스 청색광 차단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922B1 (ko) * 2015-02-26 2015-10-14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광원 보호경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9305A (ko) * 2015-04-30 2016-11-09 재단법인김해시차세대의생명융합산업지원센터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
KR101786302B1 (ko) * 2016-03-03 2017-10-17 (주)메디오스 청광차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KR20190042646A (ko) * 2017-09-29 2019-04-2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38B1 (ko) * 2020-03-09 2020-08-31 김대곤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
KR102306300B1 (ko) * 2020-05-11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CN112552741A (zh) * 2020-12-29 2021-03-26 甘肃康视达科技集团有限公司 彩色隐形眼镜用油墨及油墨干燥剂
WO2022145684A1 (ko) * 2020-12-31 2022-07-07 (주)메디오스 색파장 콘텍트 렌즈 제조 방법
KR20220117992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윈스 청색광 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와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8309A (ko) * 2021-06-16 2022-12-23 (주)비젼사이언스 실리콘 하이드로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510687B1 (ko) * 2021-06-16 2023-03-16 (주)비젼사이언스 실리콘 하이드로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20230087650A (ko) * 2021-12-09 2023-06-19 문샷옵티컬주식회사 Mpc를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545476B1 (ko) 2021-12-09 2023-06-21 문샷옵티컬주식회사 Mpc를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2349A (zh) 2021-01-16
WO2021006411A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998B1 (ko)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08245205B2 (en) Infrared ray-absorbable eyeglass len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06661183B (zh) 光学可聚合组合物、光学组合物、大面积窗、聚异氰酸酯组合物、眼镜镜片和其制造方法
CN101263413B (zh) 隐形眼镜
JP5382758B2 (ja) ゴルフボール
JP4779297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特性および/または偏光特性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形体
EP1745312B1 (en) Soft optical element for use in eye-protecting devices
US20100232003A1 (en) Vision enhancing optical articles
JP5075080B2 (ja) 赤外線吸収性眼鏡用レンズ基材
CN101910892A (zh) 塑料偏光透镜及其制造方法
CN107849207A (zh) 电磁波阻挡用光学组合物及利用所述光学组合物制造光学透镜的方法
US8474973B2 (en) Infrared absorbing polarized eyeglass lens
CN106526889B (zh) 形成有由亲水性甲基丙烯酸羟乙酯和湿润性磷酸胆碱构成的多涂层的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CN107573835B (zh) 一种镜片变色涂料及一种变色镜片
KR102008138B1 (ko)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
KR102154810B1 (ko) 광변색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37648A (ko) 변색렌즈용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액
KR101694209B1 (ko) 변색렌즈용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액을 이용한 변색렌즈의 제조방법
KR101949147B1 (ko) 오팔광택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5128B1 (ko) 패드 프린팅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탑코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0135A (ko) 나노포러스 코팅이 형성된 컬러 콘택트렌즈
KR102604639B1 (ko) 미용용 콘택트 렌즈
JP5739461B2 (ja) ゴルフボール
KR20170008677A (ko) 전자기파 차단용 광학 조성물 및 이로부터 광학 렌즈의 제조 방법
CN115373155A (zh) 装饰用隐形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