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00B1 -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300B1
KR102306300B1 KR1020200055698A KR20200055698A KR102306300B1 KR 102306300 B1 KR102306300 B1 KR 102306300B1 KR 1020200055698 A KR1020200055698 A KR 1020200055698A KR 20200055698 A KR20200055698 A KR 20200055698A KR 102306300 B1 KR102306300 B1 KR 10230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 lens
female mold
femal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Priority to KR102020005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13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made by moulding between two mould parts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one another, e.g. comprising a seal between or on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29C2033/725Cleaning cleaning by plasma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으로서, 암몰드와 수몰드에서 렌즈 성형액이 접촉되는 일부면에 접착면을 구비하고, 제1 외곽부와 제2 외곽부 사이의 간격이 적절하게 설정된다. 이를 통해, 콘택트렌즈 성형 후 암몰드와 수몰드를 분리할 때, 콘택트렌즈는 암몰드의 내부에 남아있고, 렌즈형성부에서 오버플로우된 잔존 성형액 부분은 상기 수몰드에 접착되어 콘택트렌즈와 분리된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콘택트렌즈와 잔존 성형액 부분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이 개선되고, 불량 발생률이 낮아지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Molds for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ion method by utilizing the molds }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콘택트렌즈 제작의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택트렌즈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몰드와 하부몰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하부몰드의 오목한 부분에 성형액을 주입한 뒤 상부몰드를 결합하고 열을 가하면, 몰드 모양에 따라 콘택트렌즈가 형성된다. 몰드를 분리하면, 콘택트렌즈는 상부몰드 또는 하부몰드에 붙어 있는 상태인데, 이것을 수작업으로 분리한 뒤 수화 과정과 검수를 거쳐 마무리 단계인 포장까지 이른다.
성형액은 몰드 내에서 콘택트렌즈로 형성되는 부분과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어 형성된 부분이 서로 잘 떨어져야 수작업에 의한 분리가 편리하다. 그러나, 수작업 과정은 그 자체로 콘택트렌즈의 제작 시간을 늘리는 공정이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콘택트렌즈의 불량률을 높이는 문제가 있다.
종래 콘택트렌즈의 몰드에 관한 기술로서, 오버플로우 되는 성형액을 별도의 홈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콘택트렌즈와 오버플로우 부분을 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분리작업이 필요하며 전술한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워 문제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8689호(2011.08.10. 공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으로서, 몰드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콘택트렌즈를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는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는 암몰드와 수몰드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암몰드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1 형성부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1 외곽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몰드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2 형성부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2 외곽부를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몰드이며, 상기 암몰드 또는 상기 수몰드는, 성형액과 접촉하는 면의 일부에 접착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면은 상기 수몰드의 제2 외곽부에 구비되고, 상기 암몰드의 제1 외곽부와 상기 수몰드의 제2 형성부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접착면은 표면처리된 몰드 금형에서 사출되어 형성되거나, 플라즈마 표면처리 방식으로 상기 암몰드 또는 상기 수몰드에 직접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외곽부와 상기 제2 외곽부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0.28mm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외곽부 또는 상기 제1 외곽부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결합할 때 상기 수몰드가 유격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를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암몰드에 성형액을 주입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암몰드에 수몰드를 결합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성형액이 고화된 뒤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분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의 암몰드에 렌즈 보존액을 주입하고 상기 암몰드의 입구를 밀폐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몰드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암몰드와 수몰드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몰드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몰드(100)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00)의 암몰드(110)와 수몰드(12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20)를 제작하는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콘택트렌즈 몰드(100)는 암몰드(110)와 수몰드(120)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다. 암몰드(110)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1 형성부(114)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1 외곽부(112)를 구비하며, 수몰드(120)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2 형성부(124)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2 외곽부(122)를 구비한다.
콘택트렌즈(20)는 암몰드(110)의 오목한 공간에 성형액(10)을 넣고 수몰드(120)를 결합한 뒤 열을 가하여 제작한다. 성형액(10)은 결합된 암몰드(110)와 수몰드(120) 사이의 공간에서 고화되어 콘택트렌즈(20)가 되는데, 이때 콘택트렌즈(20)와 접촉하는 암몰드(110)와 수몰드(120)의 면을 각각 제1 형성부(114)와 제2 형성부(124)로 정의한다.
그리고, 암몰드(110)에 성형액(10)을 넣고 수몰드(120)를 결합할 때 성형액(10)이 흘러넘쳐서(오버플로우되어) 고화되는 부분이 존재하며, 이 오버플로우된 부분(12)이 접촉하는 암몰드(110)와 수몰드(120)의 면을 각각 제1 외곽부(112)와 제2 외곽부(122)로 정의한다.
또한, 콘택트렌즈 몰드(100)는 암몰드(110)의 오목한 부분의 면 또는 수몰드(120)의 외면에 접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콘택트렌즈 몰드(100)에서 성형액과 접촉하는 면의 일부에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은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 표면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 몰드(100)에 직접 가공하거나,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사출하는 금형에 샌딩으로 표면처리 후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사출함으로써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면은 콘택트렌즈 몰드(100)의 면을 보다 거칠게하여 마찰력을 높인 부분이다. 전술한 방식 외에도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당업자”라고 함)이 공지의 표면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면은 고화된 성형액(10)이 콘택트렌즈 몰드(100) 면에 잘 붙도록 접착력을 높이는 수단이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면은 상기 수몰드(120)의 제2 외곽부(122)에 구비되고, 암몰드(110)의 제1 외곽부(112)와 수몰드(120)의 제2 형성부(124)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화된 성형액(10) 중 오버플로우된 부분(12)은 수몰드(120)의 제2 외곽부(122)에 붙어있으려고 하는 성질이 강하며, 수몰드(120)를 분리하면 수몰드(120)에 계속 접착되어, 암몰드(110)에서 형성된 콘택트렌즈(20)와 자동으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면은 암몰드(110)의 제1 형성부(11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몰드(100)를 분리할 때 콘택트렌즈(20)는 암몰드(110)에 남아있으려고 하는 성질이 강하므로, 콘택트렌즈(20)와 오버플로우 부분(12)의 분리가 더 용이하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암몰드(110)와 수몰드(120)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다. 이처럼 암몰드(110)와 수몰드(120)를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외곽부(112)와 상기 제2 외곽부(122) 사이의 간격(A)이 적어도 0.28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액(10)의 오버플로우 부분이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 경우 콘택트렌즈(20)와 깔끔하게 분리되기 어려우며, 적정한 두께를 가진 것이 유리하므로 전술한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콘택트렌즈 몰드(100)는 돌출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6)는 제2 외곽부(122) 또는 제1 외곽부(122)에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도2에서 도시하듯이, 돌출부(126)는 암몰드(110)와 수몰드(120)를 결합했을 때 수몰드(120)가 암몰드(110)의 오목한 공간에 맞물려 유격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도면에서 제2 외곽부(122)에 돌출된 돌기로 표현되었으나 당업자에 의해 그 위치, 형상, 모양 등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20)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상기 제작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다.
먼저, (a)는 암몰드(110)의 오목한 부위에 적당량의 성형액(10)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b)는 수몰드(120)를 상기 (a) 단계의 암몰드(11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성형액(10)이 수몰드(120)에 의해 눌려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
그 후, 적정한 열을 가하여 성형액을 고화시킨다. (c)는 상기 성형액이 고화되어 콘택트렌즈(20)가 형성된 후 몰드(10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수몰드(120)를 분리하면 오버플로우된 부분(12)의 성형액이 수몰드(120)에 붙어 콘택트렌즈(20)와 분리된다. 따라서, 별도의 수작업에 의해 오버플로우된 부분(12)을 분리할 필요가 없다.
(d)는 암몰드(110)의 오목한 부분에 렌즈보존액(30)을 주입하고 암몰드(110)의 입구부를 밀폐하여 포장하는 단계이다. 밀폐는 씰링지(40)를 융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몰드(100)를 이용하면 별도의 수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암몰드(110) 자체를 콘택트렌즈(20)의 포장용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성형액
12:오버플로우 되어 고화된 성형액
20:콘택트렌즈
30:렌즈보존액
40:씰링지
100: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몰드
110:암몰드
112:제1 외곽부
114:제1 형성부
120:수몰드
122:제2 외곽부
124:제2 형성부
126:돌출부

Claims (7)

  1. 암몰드와 수몰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암몰드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1 형성부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1 외곽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몰드는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는 면인 제2 형성부와 성형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면인 제2 외곽부를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몰드로서,
    상기 암몰드 또는 상기 수몰드는,
    성형액과 접촉하는 면의 일부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은,
    샌딩처리된 몰드 금형에서 사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몰드의 제2 외곽부에 구비되되, 상기 암몰드의 제1 외곽부와 상기 수몰드의 제2 형성부에는 구비되지 않고,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외곽부와 상기 제2 외곽부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0.28mm 이상이며,
    상기 제2 외곽부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결합했을 때 상기 수몰드가 유격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하고,
    상기 암몰드는 콘택트렌즈의 포장 용기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몰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의 콘택트렌즈 몰드를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암몰드에 성형액을 주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암몰드에 수몰드를 결합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성형액이 고화된 뒤 상기 암몰드와 상기 수몰드를 분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의 암몰드에 렌즈 보존액을 주입하고 상기 암몰드의 입구를 밀폐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0200055698A 2020-05-11 2020-05-11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10230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98A KR102306300B1 (ko) 2020-05-11 2020-05-11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98A KR102306300B1 (ko) 2020-05-11 2020-05-11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300B1 true KR102306300B1 (ko) 2021-09-29

Family

ID=7792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698A KR102306300B1 (ko) 2020-05-11 2020-05-11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3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347A (ja) * 1999-08-27 2001-05-22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物品の成形型及び眼用レンズ物品の製造方法
KR101138689B1 (ko) 2010-02-04 2012-04-19 (주)콘텍코리아 콘택트렌즈용 몰드
JP5621117B2 (ja) * 2012-06-19 2014-11-05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多層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3087B1 (ko) * 2014-07-07 2015-10-23 정성윤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KR102079998B1 (ko) * 2019-07-09 2020-02-21 주식회사 인터로조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347A (ja) * 1999-08-27 2001-05-22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物品の成形型及び眼用レンズ物品の製造方法
KR101138689B1 (ko) 2010-02-04 2012-04-19 (주)콘텍코리아 콘택트렌즈용 몰드
JP5621117B2 (ja) * 2012-06-19 2014-11-05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多層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3087B1 (ko) * 2014-07-07 2015-10-23 정성윤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KR102079998B1 (ko) * 2019-07-09 2020-02-21 주식회사 인터로조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45259A (ja) 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の製造装置及びレンズ
ATE396033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tlinsen
KR102306300B1 (ko) 콘택트렌즈 몰드와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TWM562987U (zh) 隱形眼鏡凹凸蓋模
US11565450B2 (en) Injection molded article
KR101563087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TW201814104A (zh) 紙塑模用之模具及使用該模具之紙塑模成形方法
EP3308934B1 (en) In-mold injection molding mold device
US9505154B2 (en) Molding tool for back-molding a plastic film with a plastic melt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KR20180047635A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WO2019148650A1 (zh) 一种模具及使用该模具制备模制产品的方法
JP2006069159A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JP5158077B2 (ja) 型内被覆成形用金型
KR20160038978A (ko) 분말사출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분말사출성형방법
JP2006256000A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TWI618625B (zh) 物件的製法及其製品
WO2015170640A1 (ja) 成形金型構造及びシール
TWM515953U (zh) 光學構件模具
KR101768157B1 (ko) 곡면 제품 성형용 금형 코어 제조 방법
US1978048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articles
KR20180113936A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JPS59162025A (ja) 接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4858Y1 (ko) 카메라의 홀더
KR790002221Y1 (ko) 에폭시 수지제 안경테 제조용 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