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6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60B1
KR102079960B1 KR1020140184649A KR20140184649A KR102079960B1 KR 102079960 B1 KR102079960 B1 KR 102079960B1 KR 1020140184649 A KR1020140184649 A KR 1020140184649A KR 20140184649 A KR20140184649 A KR 20140184649A KR 102079960 B1 KR102079960 B1 KR 10207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defrost
face
doo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953A (ko
Inventor
정재오
석 김
김영인
김용식
원승식
이준민
조중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60B1/ko
Priority to CN201580054015.9A priority patent/CN106794741B/zh
Priority to BR112016028063-6A priority patent/BR112016028063B1/pt
Priority to US15/316,864 priority patent/US10675938B2/en
Priority to PCT/KR2015/013566 priority patent/WO2016099080A1/ko
Priority to DE112015002457.3T priority patent/DE112015002457B4/de
Publication of KR2016007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일직선상에 형성하고,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도 일직선상에 형성한 구조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가 형성된 출구의 내측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가 상이한 각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일직선상에 형성하고,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도 일직선상에 형성한 구조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가 형성된 출구의 내측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가 상이한 각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컴팩트(Compact)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는 송풍장치(20)가 설치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12a~12e)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냉풍통로 및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조절도어(미도시) 및 상기 각 공기토출구(12a~12e)의 개도를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20)는,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스크롤케이스(2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심팬(25)과, 상기 스크롤케이스(21)의 일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유입구(31,3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30)와 마주하는 스크롤케이스(21)의 일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외기유입구(31,3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원심팬(25)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인렛링(22)과, 상기 원심팬(25)을 구동하도록 상기 스크롤케이스(21)의 인렛링(22)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모터(2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테이크 덕트(30)의 내측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13)는 플랫 타입(flat type) 또는 센터 피봇 타입(center pivot type)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공기토출구(12a~12e)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드도어(13)는 복수개가 설치된다.(도면에서는 2개 설치됨)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상기 모드도어(13)를 작동시키기 위해 캠(15)과, 아암(16)과, 컨트롤 케이블(17) 등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캠(15)에는 작동시키려고 하는 모드도어(1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슬롯(15a)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캠(15)은 별도의 컨트롤 케이블(17)과 연결되어 컨트롤 케이블(17)의 전,후 동작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암(16)은 상기 각 모드도어(13)들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됨과 아울러 일단부에 형성된 핀(16a)을 통해 상기 캠(15)의 슬롯(15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차실내의 컨트롤러를 조작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 케이블(17)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상기 캠(1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1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캠(15)의 슬롯(15a)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핀(16a)에 의해 아암(16)이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모드도어(13)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테이크 덕트(30)측에도 상기 인테이크 도어(33)를 작동시키기 위해 캠과, 아암, 컨트롤 케이블이 설치된다.
상기한 공조장치(1)는, 상기 송풍장치(20)내의 원심팬(25)이 작동하게 되면, 이 원심팬(25)의 회전에 의해 원심팬(25)의 내부에는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인렛링(22)을 통해 원심팬(25)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원심팬(25)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며, 이 송풍공기는 스크롤케이스(21)의 출구를 통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토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이후 상기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여 냉풍 상태로 유동하거나 또는 히터코어(3)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열교환되며, 이후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3)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공기토출구(12)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 하게 된다.
상기한 공조장치에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플로어 벤트(12e)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페이스 벤트(12b)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페이스 벤트(12b)는 중앙의 센터 벤트(12c)와 양측의 사이드 벤트(12d)로 분할된다.
상기 센터 벤트(12c)와 사이드 벤트(12d)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내에 형성된 격벽(12f)에 의해 분할된다.
따라서, 상기 페이스 벤트(12b)를 개폐하는 모드도어(13) 역시 상기 센터 벤트(12c)를 개폐하는 센터 도어부(13a)와, 상기 사이드 벤트(12d)를 개폐하는 사이드 도어부(13b)가 동일축상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드도어(13)의 조립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좌측케이스(10a)와 우측케이스(10b)의 사이에 상기 모드도어(13)를 배치한 상태에서 조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조장치(1)는, 상기 모드도어(13)의 센터 도어부(13a)와 사이드 도어부(13b)가 동일 각도로 형성된 경우에는 조립에 문제가 없지만, 상기 센터 도어부(13a)와 사이드 도어부(13b)가 회전방향으로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기존 방법으로는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일직선상에 형성하고,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도 일직선상에 형성한 구조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가 형성된 출구의 내측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가 상이한 각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장치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포함하는 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는, 차량 폭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모드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일직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가 형성된 출구의 내측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도어부 중 하나의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일직선상에 형성하고,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도 일직선상에 형성한 구조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가 형성된 출구의 내측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와 페이스 도어부가 상이한 각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페이스 벤트에 설치된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덕트 세퍼레이터에 조립된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측에 구비되는 송풍장치(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는 상기 송풍장치(130)의 토출구(133)와 연결되고, 출구(112)는 차량 실내의 각 부위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출구(11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2b) 및 페이스 벤트(112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플로어 벤트(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출구(112)의 중앙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의 좌,우측에 각각 페이스 벤트(1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12c)는 도 3과 같이 공조케이스(11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이스 벤트(112a)는 차량 실내의 탑승자 얼굴쪽으로 바람을 송풍하게 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는 차량 실내의 유리창쪽으로 바람을 송풍하게 되며, 상기 플로어 벤트(112c)는 차량 실내의 탑승자 발쪽으로 바람을 송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2)에는 모드도어(125,126)가 설치되어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출구(11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8과 같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측 출구(112)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하나의 모드도어(125)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112c)측 출구(112)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하나의 모드도어(1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25)는, 도 7과 같이, 센터 피봇 타입 도어로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5a)과, 상기 모드도어(125)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상기 모드도어(125)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페이스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부(12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드도어(125)의 회전축(125a)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125)는,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를 각각 분리 제작한 후 각 도어부의 회전축(125a)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를 분리 제작할 경우에는, 총 3개로 나뉘어지는데, 즉, 1개의 페이스 도어부(125b)와 2개의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로 나뉘어진다.
한편,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는 일직선상에 설치된다. 즉,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회전축(125a)과 페이스 도어부(125b)의 회전축(125a)이 동심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상기 회전축(125a)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각도로 설치된다.
즉, 상기 모드도어(125)를 통해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를 동시에 개방하고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의 개폐를 반대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 간에 각도는,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가 디프로스트 벤트(112b)를 개방할 때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페이스 벤트(112a)를 폐쇄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가 디프로스트 벤트(112b)를 폐쇄할 때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페이스 벤트(112a)를 개방하도록 각도가 설정 된다.
이처럼, 하나의 모드도어(125)를 통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디프로스트 모드와 페이스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가 형성된 출구(112)의 내측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 중 하나의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18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는, 상기 출구(112)의 중앙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 외부의 좌,우측에 상기 페이스 벤트(112a)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출구(112)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에 의해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가 구획되며, 상기 출구(112)내에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 디프로스트 벤트(112b)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좌,우측에 상기 페이스 벤트(112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를 개폐하는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 벤트(112a)를 개폐하는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 외부의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회전축(125a)과 동심상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회전축(125a)은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하단면측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일측 플레이트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서 회동하게 되고, 타측 플레이트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하부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덕트 세퍼레이터(180)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상기 좌측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하도록 좌측 구획벽(181a)을 구비한 좌측 덕트부(180a)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상기 우측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하도록 우측 구획벽(181b)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결합되는 우측 덕트부(180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우측 덕트부(180b)를 조립하면 상기 단일의 덕트 세퍼레이터(18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우측 덕트부(180b)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돌출부(18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면에는 홈부(186)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우측 덕트부(180b)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185)와 홈부(186)를 서로 끼워 맞추면서 결합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측면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 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2a)가 폐쇄될 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 또는 페이스 도어부(125b)와 접촉하는 실링벽(182,183)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의 폐쇄시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접촉하면서 실링하는 실링벽(182)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좌,우측 구획벽(181a,181b)의 외측면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2a)의 폐쇄시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와 접촉하면서 실링하는 실링벽(18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외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면 사이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결합되는 결합리브(18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84)는 상기 좌,우측 덕트부(180a,180b)의 결합부위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면 사이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부위를 스크류로 결합할 때, 상기 결합리브(184)도 함께 스크류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가 형성된 출구(112)의 상측면에는 메인 하우징(190)이 안착 설치된다.
상기 메인 하우징(190)의 내측 통로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하우징(190)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상측면과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상측면을 덮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가 상기 결합리브(184)를 통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스크류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와 상기 메인 하우징(190)간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와 출구(112) 사이의 공기통로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통로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측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심팬(132)과, 상기 원심팬(132)의 축방향으로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내,외기를 유입하도록 내,외기유입구(141,14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14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증발기(101) 상부측 방향에 구성되며, 상기 스크롤케이스(13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케이스(131)를 기준으로 일측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40)가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원심팬(132)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32a)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30)의 원심팬(132)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통해 인테이크 덕트(14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원심팬(13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원심팬(132)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며, 이후 상기 송풍장치(130)의 토출구(133)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인테이크 도어는, 외기유입모드시 상기 내기유입구(141)를 폐쇄하고,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42)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벤트(112a)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상기 모드도어(125)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구동부재(160)를 통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부재(160)는, 상기 모드도어(125)의 회전축(125a)과 결합되며 일단부에 핀이 구비된 아암(161)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아암(161)의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캠(16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캠(162)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아암(161)이 상기 슬롯의 형상을 따라 캠 운동하면서 모드도어(125)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캠(162)에는 컨트롤 케이블(165)이 연결되는데, 즉, 탑승자가 차실내의 컨트롤러를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력이 상기 컨트롤 케이블(165)을 통해 상기 캠(162)으로 전달되어 캠(162)이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조장치를 조립하는데 있어 종래와 다른 부분인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좌,우측 덕트부(180a,180b)를 조립한 후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측에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를 배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를 먼저 배치한 후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좌,우측에서 상기 좌,우측 덕트부(180a,180b)를 서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좌,우측에서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의 회전축(125a)을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회전축(125a) 양단에 각각 결합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서로 조립된 덕트 세퍼레이터(180)와 모드도어(12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모터(132a)의 구동으로 원심팬(132)이 작동하게 되면, 이 원심팬(132)의 회전에 의해 원심팬(132)의 내부에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개방된 내기유입구(141) 또는 외기유입구(142)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가 인테이크 덕트(140)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의 내부를 지나 상기 원심팬(132)의 내측으로 유동한 후 원심팬(132)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된다.
계속해서, 상기 원심팬(132)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냉,난방모드에 따라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되고, 이후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여 냉풍 상태로 유동하거나 상기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온풍으로 바뀐후 유동하게 된다.
상기 온풍 또는 냉풍으로 바뀐 공기는 모드도어(125)를 통해 개방된 상기 출구(112)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된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입구 112: 출구
112a: 페이스 벤트 112b: 디프로스트 벤트
112c: 플로어 벤트 120: 온도조절도어
125,126: 모드도어 125a: 회전축
125b: 페이스 도어부 125c: 디프로스트 도어부
130: 송풍장치
131: 스크롤케이스 132: 원심팬
132a: 모터
140: 인테이크 덕트 141: 내기유입구
142: 외기유입구 160: 구동부재
180: 덕트 세퍼레이터
180a: 좌측 덕트부 180b: 우측 덕트부
181a: 좌측 구획벽 181b: 우측 구획벽
182,183: 실링벽 184: 결합리브

Claims (8)

  1. 송풍장치(1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를 포함하는 출구(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는, 차량 폭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모드도어(125)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일직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페이스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부(125b)로 구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가 형성된 출구(112)의 내측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페이스 도어부(125b) 중 하나의 도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세퍼레이터(1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는, 상기 출구(112)의 중앙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 외부의 좌,우측에 상기 페이스 벤트(112a)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 외부의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의 회전축(125a)과 동심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와 상기 페이스 도어부(125b)는, 회전 방향으로 상이한 각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상기 좌측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하도록 좌측 구획벽(181a)을 구비한 좌측 덕트부(180a)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와 상기 우측 페이스 벤트(112a)를 구획하도록 우측 구획벽(181b)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결합되는 우측 덕트부(18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측면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b) 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2a)가 폐쇄될 때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부(125c) 또는 페이스 도어부(125b)와 접촉하는 실링벽(182,183)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우측 덕트부(180b)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돌출부(18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면에는 홈부(186)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덕트부(180a)와 우측 덕트부(180b)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185)와 홈부(186)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덕트 세퍼레이터(180)의 외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면 사이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결합되는 결합리브(18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184649A 2014-12-17 2014-12-19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49A KR102079960B1 (ko) 2014-12-19 2014-12-19 차량용 공조장치
CN201580054015.9A CN106794741B (zh) 2014-12-17 2015-12-11 车用空调及其控制方法
BR112016028063-6A BR112016028063B1 (pt) 2014-12-17 2015-12-11 Condicionador de ar de veículo e respectivo método de controle
US15/316,864 US10675938B2 (en) 2014-12-17 2015-12-11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5/013566 WO2016099080A1 (ko) 2014-12-17 2015-12-11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12015002457.3T DE112015002457B4 (de) 2014-12-17 2015-12-11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49A KR102079960B1 (ko) 2014-12-19 2014-12-1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53A KR20160075953A (ko) 2016-06-30
KR102079960B1 true KR102079960B1 (ko) 2020-02-24

Family

ID=5635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49A KR102079960B1 (ko) 2014-12-17 2014-12-1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630A (ja) 2000-02-16 2001-08-21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KR200358431Y1 (ko) 2004-05-22 2004-08-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66B1 (ko) * 2010-01-25 2012-1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4806B1 (ko) * 2010-01-29 2015-1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630A (ja) 2000-02-16 2001-08-21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KR200358431Y1 (ko) 2004-05-22 2004-08-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53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93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225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136257A (ko) 차량용 송풍장치
CN107107703A (zh) 车用空调
KR20120138925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07996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184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02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585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0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5850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99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550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199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89022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유닛
KR20030046739A (ko) 차량용 공기조화 장치
KR1011568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2층 공기유동 템프도어 구조
KR102079955B1 (ko)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13644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