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526B1 -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 Google Patents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526B1
KR102079526B1 KR1020180095119A KR20180095119A KR102079526B1 KR 102079526 B1 KR102079526 B1 KR 102079526B1 KR 1020180095119 A KR1020180095119 A KR 1020180095119A KR 20180095119 A KR20180095119 A KR 20180095119A KR 102079526 B1 KR102079526 B1 KR 10207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all
housing
reducer
inpu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찬
박준영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 내부 압축공기 배출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중 격벽 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감속기 고속 회전시 오일 비산을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에어벤트를 통한 오일 누유발생 억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Reducer Having Oil Leak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감속기 내부 압축공기 배출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그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켜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감속기 내부에는 윤활을 위해 오일이 들어 있는데 내부에 있는 기어가 전진 방향 회전 시에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감속기 내부가 고압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감속기 내부 고압 상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벤트를 감속기 하우징에 설치하여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고압 공기 배출 시에 공기와 함께 오일이 에어벤트로 배출되는 오일 누유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감속기 NVH 불량 및 내구 성능 저하 문제로 이어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감속기 내부의 기어들은 차량 전진 시에 고속 회전하게 되며, 이때, 감속기 하우징 내부에서 기어들이 고속 회전하며 오일을 퍼 올려 비산시키게 된다. 감속기 내부의 에어벤트 통로의 경우 입구 측에서 에어벤트 홀로 향하는 그 형성 방향이 상기 오일 비산 방향과 순방향인 경우에는 그 비산된 오일이 통로로 유입되기 쉬우며, 그로 인해 공기와 함께 에어벤트 홀을 통해 외부로 누유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량 전진 시의 감속기 내 기어들 회전 방향이 정방향이라고 할 때, 감속기의 에어벤트를 위한 구조는 고속 정방향 회전 시에 기어들에 의해 퍼 올려져 비산되는 오일이 유입되기 어려운 입구 및 통로 구조일 필요가 있고, 일단 유입된 오일도 에어벤트 홀까지는 도달하기 어려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에어벤트 설치부에 감속기 내부 오일 윤활 및 오일 비산 방향을 고려한 공기 배출 통로 구조를 통해 감속기 오일 누유 발생을 최소환 하거나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실시예는 입력기어, 출력기어, 중간기어, 하우징을 포함한다.
입력기어는 고속으로 정회전 하며,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최대 10000rpm까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 방향은 차량의 전진 주행 시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후진 시보다는 전진 주행 시에 더 고속으로 회전하며, 오일 누유는 그와 같은 고속 회전 시에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출력기어는 차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등속조인트를 통해 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중간기어는 입력기어와 출력기어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입력기어, 출력기어 및 중간기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은 상기 기어들이 수용 공간 상부 측에 에어벤트를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한 에어벤트 구조는, 유입구와 공기통로와 벤트홀을 포함하며, 공기통로의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벤트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기어 수용 공간 내부의 기체는 고압 하에서 유입구를 통해 공기통로 내로 유입된 후 흘러 공기통로 끝단부에 형성된 벤트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입구는 입력기어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공기통로는 입력기어의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유입구로부터 출력기어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단부 측에는 외부로 연통하는 벤트홀이 형성된다.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맞닿아 조립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하우징은 출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출력기어 수용부와 제1 출력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중간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중간기어 수용부와 제1 중간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입력기어 수용부와 상기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제1 외벽으로부터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은 출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출력기어 수용부와 제2 출력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중간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중간기어 수용부와 제2 중간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입력기어 수용부와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제2 외벽에서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격벽과 맞닿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의 제1 격벽과 제2 하우징의 제2 격벽이 조립에 의해 서로 맞닿으면서, 기어들이 수용되는 공간의 상부 측에 에어벤트를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공기통로의 바닥(제1 격벽 및 제2 격벽)은 벤트홀 측에서 유입구 측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써 공기통로 내의 오일을 기어들 수용 공간으로 흘려 보내 되돌릴 수 있다.
한편, 유입구에는 하향 경사지며 연장된 텅이 형성될 수 있다. 입구에 형성된 텅에 의해 기체 내의 오일이 부딪히면서 기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 안쪽에는 충돌판이 형성된다. 유입구 내로 유입된 기체에 함유된 오일 방울이 충돌판에 부딪히면서 추가로 분리되게 된다.
또한, 공기통로 내에는 적어도 2 이상의 우회벽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 내를 흐르는 기체는 우회벽들로 인해 지그재그로 우회하면서 흘러 벤트홀까지 도달하게 되는데, 그와 같이 흐름이 우회되면서 그 경로가 길어져 자중에 의해 오일 방울이 떨어지거나, 또는 우회벽이나 격벽 등에 부딪혀 충돌되면서 기체에 함유된 오일 양을 줄일 수 있다.
우회벽은 제1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우회벽과 제2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우회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우회벽은 제1 외벽과 제1 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우회벽은 제2 외벽과 제2 격벽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우회벽은 벤트홀 가까이에 형성되고, 제2 우회벽은 유입구 가까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홀은 제1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 따르면, 특히, 감속기 고속 회전 시 감속기 내부의 기체와 함께 에어벤트 구조를 통해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서 제1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서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의 일부를 절단한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는 입력기어(도 4의 10), 출력기어(도 4의 20), 중간기어(도 4의 30), 하우징(100, 110)을 포함한다.
입력기어(10)는 고속으로 정회전하며,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최대 10,000rpm까지 회전될 수 있다.
출력기어(20)는 차동기어를 포함하며, 등속조인트를 통해 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중간기어(30)는 입력기어(10)와 출력기어(20)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기어(30)는 컴파운드 기어일 수 있다.
하우징(100, 110)에는 입력기어(10), 출력기어(20) 및 중간기어(30)가 수용된다.
하우징(100, 11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은 도 1과 도 1의 A를 참조하면 출력기어(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출력기어 수용부(120)와, 제1 출력기어 수용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중간기어(3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중간기어 수용부(140)와, 제1 중간기어 수용부(140)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와, 공기통로(230)가 형성되도록 제1 외벽(210)으로부터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격벽(180)을 포함한다.
제1 격벽(180)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1 외벽(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그 이격된 거리만큼 공기통로(230)의 절반이 형성된다.
제1 격벽(180)의 단부에는 제1 텅(2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텅(270)의 단부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이며,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의 원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은 제1 하우징(100)의 내면에서 대략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텅(270)의 단부는 그러한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와 만나 연결된다. 제1 텅(270)의 단부가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와 만나기 때문에 그 상부 측의 유입구(240)으로 향하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제2 하우징(110)은, 도 2의 C를 참조하면, 출력기어(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출력기어 수용부(130)와, 제2 출력기어 수용부(130)의 일측에 형성되되 중간기어(3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중간기어 수용부(150)와, 제2 중간기어 수용부(150)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입력기어 수용부(170)와, 공기통로(230)가 형성되도록 제2 외벽(220)에서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격벽(180)과 맞닿는 제2 격벽(190)을 포함한다.
제2 격벽(190)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2 외벽(22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공기통로(230)의 다른 절반이 형성된다.
제2 격벽(190)의 단부에는 제2 텅(271)이 형성된다. 제2 텅(271)의 단부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이며, 제2 입력기어 수용부(170)의 원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도 대략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입력기어 수용부(170)와 제2 텅(271)이 연결되므로 유입구(240)로 향하는 오일 중 일부가 차단되게 된다.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110)이 결합되면서 제1 격벽(180)과 제2 격벽(190)이 맞닿으며, 기어들(10, 20, 30)의 수용공간과는 분리된 공기통로(230)가 형성되게 된다.
공기통로(230)는 입력기어(10)과 중간기어(30)에 걸쳐 그 상부에 위치하며, 입력기어(10)의 상부 측에 그 유입구(240)가 형성되고, 공기통로(230)의 그 반대 측으로서 중간기어(30)의 상부 측에 에어벤트(260)가 설치된다.
공기통로(230) 내의 유체 흐름으로서 유입구(240)에서 에어벤트(260)로 향하는 유체 흐름 방향은 입력기어(10)의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방향이다.
유입구(240)는 입력기어(1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기어(10) 및 중간기어(30)의 고속 정회전에 의해 비산된 오일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이다.
여기서, 벤트홀(250)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외벽(210)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공기통로(230)에서의 공기 흐름을 더욱 우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110)은 제3 격벽(200)과 제4 격벽(201)을 각각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 격벽(200, 201)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벽(180)과 제2 격벽(190)의 반대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하우징(110)에는 제3 격벽(200) 및 제4 격벽(201)으로 유입된 오일이 하방으로 흐르도록 관통홀(280)이 형성된다.
도 1의 B 및 도 2의 D를 참조하면 제3 격벽(200)의 단부와 제4 격벽(20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3 텅(272) 및 제4 텅(273)이 형성된다.
제3 텅(272)의 단부는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의 원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4 텅(273)의 단부는 제2 입력기어 수용부(170)의 원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3 텅(272)의 단부와 제1 입력기어 수용부(160)가 만나 연결된 구조 및 제4 텅(273)의 단부가 제2 입력기어 수용부(170)와 만나 연결된 구조 또한 마찬가지로 유입구(240)로 향하는 오일 흐름을 차단하는 효과를 낸다.
유입구(240) 안쪽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충돌판(290, 300)이 형성된다. 충돌판(290, 300)은 오일이 비산되면 상기에 언급한 텅(270, 271)이 1차로 오일을 차단시키고 텅(270, 271)에 차단되지 않은 오일 방울이 유입구(240)로 유입될 때 충돌되도록 하여 다시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일이 상기에 언급한 충돌판(290, 300)에 부딪히지 않고 공기통로(230) 내로 유입되면 공기통로(230)에서 추가로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230) 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우회벽(310, 320)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우회벽(310, 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길(F)을 연장시켜 기체보다 무거운 오일이 자중에 의해 떨어져 분리됨으로써 외부로 함께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우회벽(310, 320)은 제1 하우징(100)에 제1 우회벽(310)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110)에 제2 우회벽(3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우회벽(310)은 제1 외벽(210)과 제1 격벽(18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우회벽(320)은 제2 외벽(220)과 제2 격벽(190)에 형성된다.
제1 우회벽(310)은 벤트홀(250) 가까이에 형성되고, 제2 우회벽(320)은 유입구(240) 가까이에 형성된다. 우회벽(310, 320)이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럴 경우 공기의 우회 흐름을 위해 벤트홀(250)은 제2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트홀(250)에는 에어벤트(260)가 설치되고 공기가 위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벤트(260)는 하나의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벤트홀(250)은 제1 하우징(10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우회벽(310)과 제2 우회벽(320) 사이로 우회된 기체 흐름(F)은 한번 더 절곡되어야 벤트홀(250)에 다다를 수 있으며, 이로써 기체 흐름을 더욱 우회 시키는 효과를 낸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벤트 구조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기어들(10, 20, 30)이 정회전 방향(도 4에서 회전 방향 화살표 참조)으로 고속회전을 할 때 하우징(100, 110) 내부에 절반 정도 차있던 오일은 기어들(10, 20, 30)의 그 기어치들에 의해 접선 방향으로 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통로 구조는 입력기어(10)와 중간기어(30)에 걸쳐 그 상부에 위치하므로, 입력기어(10) 및 중간기어(30)에 의한 오일 비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입력기어(10) 및 중간기어(30)에 의해 오일 비산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부분은 그 기어들(10, 30)이 맞물린 위치이며, 그 비산 방향은 접선 방향이 된다.
유입구(240)는 입력기어(10)의 상부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입력기어(10) 및 중간기어(30)가 함께 비산시키는 오일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입력기어(10) 및 중간기어(30)가 함께 비산시키는 오일은 격벽들(180, 190)에 의해 차단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며 유입구(240)로 가지는 못한다.
입력기어(10)의해 비산되는 오일 중 일부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구(240)를 향하게 되는데, 이때, 제1 격벽(180) 및 제2 격벽(190)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텅(270) 및 제2 텅(271)이 유입구(240)로 비산된 오일을 막는다.
제1 텅(270) 및 제2 텅(271)에 의해 차단되지 못한 오일은 기체와 함께 유입구(240)으로 유입되는데, 이 경우 유입구(240)의 안쪽에 형성된 제1 충돌판(290)과 제2 충돌판(300)에 오일이 충돌하면서 공기로부터 2차로 분리된다.
그 다음 충돌판(290, 300)에 의해서도 걸러지지 못한 오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회벽(310)과 제2 우회벽(320)에 의해 공기와 함께 그 흐름이 우회되도록 변경되면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거나 우회벽(310, 320) 또는 격벽(180, 190)에 충돌하며 3차로 분리된다.
오일이 거의 분리된 공기는 벤트홀(250)에 형성된 에어벤트(2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중간기어(30)의 하부에 의해 퍼 올려져 비산되는 오일은, 도 4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110)의 내벽 또는 외벽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류하면서 유입구(24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격벽(200) 및 제4 격벽(201)의 존재 및 제3 텅(272) 및 제4 텅(273)의 존재로 인해 유입구(240)의 하방으로 유도되어 낙하하게 된다. 특히, 제3 격벽(200) 및 제4 격벽(201)의 단부와 제3 텅(272) 및 제4 텅(273)은 하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되어 온 오일을 유입구(240)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욱이, 제3 격벽(200) 및 제4 격벽(201)의 단부와 제3 텅(272) 및 제4 텅(273)에 의해 유도된 오일 흐름은 입력기어(10)에 의해 반대측에서 비산되어 오는 오일에 대향하므로 그 흐름이 입력기어(1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효과를 내기도 한다.
즉, 유입구(240) 에서 제1 격벽(180) 및 제2 격벽(190)와 제1 텅(270) 및 제2 텅(271)이 하향 경사지고, 그와 대향하면서 제3 격벽(200) 및 제4 격벽(201)과 제3 텅(272) 및 제4 텅(273)이 하향 경사져 있기 때문에, 유입구(240) 측에서 중간기어(30)에 의해 비산되어 온 오일과 입력기어(10)에 의해 비산되어 온 오일이 충돌하여 서로 유입구(24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후진할 경우에는 입력기어(10)가 반대로 회전되기 때문에 도 4의 화살표 방향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비산된다. 후진의 경우에는 입력기어(10)의 회전수가 극히 낮고 이 때문에 오일이 비산되는 속도 및 양이 현저히 낮아 후진상태에서는 오일의 누유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100: 제1 하우징
110: 제2 하우징
120: 제1 출력기어 수용부
130: 제2 출력기어 수용부
140: 제1 중간기어 수용부
150: 제2 중간기어 수용부
160: 제1 입력기어 수용부
170: 제2 입력기어 수용부
180: 제1 격벽
190: 제2 격벽
200: 제3 격벽
201: 제4 격벽
210: 제1 외벽
220: 제2 외벽
230: 공기통로
240: 유입구
250: 벤트홀
260: 에어벤트
270: 제1 텅
271: 제2 텅
272: 제3 텅
273: 제4 텅
280: 관통홀
290: 제1 충돌판
300: 제2 충돌판
310: 제1 우회벽
320: 제2 우회벽

Claims (7)

  1. 고속으로 정회전 하는 입력기어;
    출력기어;
    상기 입력기어와 출력기어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기어;
    상기 입력기어, 출력기어 및 중간기어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용 공간 상부 측에 상기 수용 공간과 분리된 통로로서 상기 입력기어 상부 측에서 상기 출력기어 상부 측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입력기어의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입력기어의 상부 측에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중간기어 상부 측에 외부로 연통하는 벤트홀을 가지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들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텅과, 상기 한 쌍의 텅 사이에 위치되고 하향 돌출 형성된 충돌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과 이격되고 상기 입력기어 측에서 상기 중간기어 또는 출력기어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텅 중 적어도 하나는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입구 안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텅은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입구 안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 내에는 적어도 2 이상의 우회벽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출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출력기어 수용부와 상기 제1 출력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중간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중간기어 수용부와 상기 제1 중간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입력기어 수용부와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제1 외벽으로부터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출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출력기어 수용부와 상기 제2 출력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중간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중간기어 수용부와 상기 제2 중간기어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입력기어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입력기어 수용부와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제2 외벽에서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과 맞닿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벽은 제1 우회벽과 제2 우회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우회벽은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우회벽은 상기 제2 외벽과 상기 제2 격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KR1020180095119A 2018-08-14 2018-08-14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KR10207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19A KR102079526B1 (ko) 2018-08-14 2018-08-14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19A KR102079526B1 (ko) 2018-08-14 2018-08-14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26B1 true KR102079526B1 (ko) 2020-02-20

Family

ID=6964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119A KR102079526B1 (ko) 2018-08-14 2018-08-14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255B1 (ko) 2023-06-13 2024-02-15 (주)드림텍 감속기 오일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609A (ja) * 1997-01-24 1998-08-04 Aichi Mach Ind Co Ltd 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KR20080005093A (ko) * 2006-07-06 2008-01-10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변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609A (ja) * 1997-01-24 1998-08-04 Aichi Mach Ind Co Ltd 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KR20080005093A (ko) * 2006-07-06 2008-01-10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변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255B1 (ko) 2023-06-13 2024-02-15 (주)드림텍 감속기 오일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9553B (zh) 变速器油室
JP5863609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チラーユニット
KR101836691B1 (ko) 차량의 디퍼렌셜 윤활장치
KR102079526B1 (ko)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JP2008248923A (ja) 車両用駆動装置のオイル還元構造
JPWO2015011976A1 (ja) 駆動伝動装置
US10077691B2 (en) Fluid retention and filtration element for a hydraulic transfer case
CN105074212B (zh) 压缩机
US8104374B2 (en) Belt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JP4527086B2 (ja) 自動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JP6193306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チラーユニット
JP2014227984A (ja) ウォータポンプの構造
KR102458432B1 (ko) 트랜스액슬 일체형 냉각순환구조 시스템
TW201641850A (zh) 帶式無段變速機
JP7125231B2 (ja) 車両用変速機ケースのブリーザ装置
WO2003004909A1 (en) Breather device for speed-change devices
KR102613689B1 (ko)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JP6409615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101691886B1 (ko) 누유 방지 구조를 갖는 벤틸레이션 챔버가 구비된 차량용 감속기
JP6639291B2 (ja) 動力伝達装置
JP2020153438A (ja) キャッチタンク
JP2007278447A (ja) 車両用トランスアクスル
JP2016151285A (ja) 車両用変速機
KR20220046325A (ko)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JP2007023985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