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424B1 -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24B1
KR102079424B1 KR1020160157927A KR20160157927A KR102079424B1 KR 102079424 B1 KR102079424 B1 KR 102079424B1 KR 1020160157927 A KR1020160157927 A KR 1020160157927A KR 20160157927 A KR20160157927 A KR 20160157927A KR 102079424 B1 KR102079424 B1 KR 10207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molding
information
control device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377A (ko
Inventor
준지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827Arrangements for reading an image from an unusual original, e.g. 3-dimensional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the user being informed about print result after a job sub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제어 장치가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제어 장치에 의한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조형되는 오브젝트의 촬영 화상을 취득한다. 제어 장치는, 취득된 촬영 화상과, 작업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와,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CONTROL APPARATUS, MANAGEMENT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3D(3-dimensional) 프린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3D 프린터는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는 제어 장치를 가리키는 총칭이다. 3D 모델링에 관한 기술은 또한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이라고도 불린다. 반면에, 2D(2-dimensional) 프린터는, 종이(시트) 등에 평면적으로 대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기를 지칭한다.
3D 프린터에 의해 채택가능한 조형 방식의 예들로는, 압출적층 조형 방식(FDM: Fused Deposition Modeling)이나 광 조형 방식(STL: Stereo lithography), 선택적 레이저 소결 조형 방식(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잉크젯 방식 등이 있다. 이 조형 방식들에 따른 소재의 소모재가 오브젝트의 조형에 사용된다.
 종래에도 3D 프린터는 존재하고 있었지만, 업무용의 대형 기계가 주류였고 그 전문적 성질이 매우 강하고 또한 아주 고가였기 때문에 일반 시장에는 거의 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의 기술 혁신에 의해 케이싱의 소형화나 소프트웨어의 조작성 향상이 도모되고, 일반 소비자에게도 이용 가능한 저렴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업체 용도에 적합한 업무용 3D 프린터도 종래의 것과 비교해 고성능화와 저비용화가 도모되고 있어서, 최근에는 많은 기업들이 시제품이나 제품 부품의 제조 공정에 3D 프린터를 도입하고 있다.
여기서, 2D 프린터 분야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11-008398호 공보에서 논의되었고, 2D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는 복사나 FAX 송수신, 인쇄 등의 작업 이력 정보를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여 집중 관리하는 작업 이력 감사 시스템(job history audit system)이 있다. 작업의 이력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인쇄 작업의 실행 사용자나 인쇄 작업의 실행 일시, 인쇄 페이지 수,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인쇄 장치가 인쇄 대상으로서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등이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에 축적된 작업의 이력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작업의 이력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3D 프린터에 있어서도, 2D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3차원 오브젝트의 조형을 위한 작업 이력 정보가 축적되어 관리되는 시스템을 획득하는 것이 요망된다.
3D 프린터에 관한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작업의 실행 사용자나 작업의 실행 일시 등의 속성 정보 외에도, 2D 프린터에서는 취급되지 않는 독자적인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취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독자적인 정보의 예들로는, 3차원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모델 데이터나, 3차원 오브젝트의 조형을 위한 작업에 포함되는 조형 설정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 등의 조형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있다. 더욱이, 3차원 오브젝트의 조형 중의 촬영 화상도 이력 정보로서 취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조형 중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이력 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은 조형 중에 발생한 문제를 야기한 이벤트의 식별을 촉진할 수 있고, 또한 보안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에서는 조형에 몇 시간이나 걸리고, 그것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형 중에 기록된 촬영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형 완료 후에, 이 조형 과정의 모두를 기록한 촬영 화상을 한꺼번에 작업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에게 출력하면, 그 출력 완료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형의 종료 후 3D 프린터의 후처리 목적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3D 프린터의 전원이 꺼지면, 이력 정보의 출력을 완료할 수 없고, 최악의 경우에 전술한 촬영 화상이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에 이력 정보로서 축적되지 못하고 끝날 수 있다.
본 개시는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는데 있어서 조형을 위한 작업 이력 정보를 조형 후에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개시의 한 양태에 따라서, 제어 장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되고, 제어 장치에 의한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조형되는 오브젝트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수단과, 취득된 촬영 화상, 작업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 및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작업의 이력 정보로 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출력 수단은,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취득된 촬영 화상의 출력을 시작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어 장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되고, 제어 장치에 의한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조형되는 오브젝트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수단과, 취득된 촬영 화상, 작업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작업의 이력 정보로 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이력 정보는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중의 일부 시간에 관한 촬영 화상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을 읽어볼 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기능의 모듈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3D 프린터의 소프트웨어 구성 및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4b, 4c, 및 4d 각각은 작업 이력 생성부가 생성하는 작업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관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에이전트부의 설정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에이전트부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이력 기록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a, 8b, 및 8c 각각은 작업 이력 관리부(504)가 관리하는 작업 이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작업 이력의 검색 화면의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작업 이력 상세 사항의 표시 화면의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검색부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린트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구성과 일부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작업 이력 생성부가 생성하는 작업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에이전트부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이력 기록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조형 정지 조건의 설정 화면의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이력 저장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제1 예시적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네트워크(101)는 인트라넷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이다. 3D 프린터(102)는 입체물인 3차원 오브젝트를 제조하는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이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가능한 유형들로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있다. 관리 시스템(104)은 3D 프린터(102)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의 이력 정보를 그 안에 축적하는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 서버에 축적된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이다.
3D 프린터(102), 프린트 클라이언트(103), 및 관리 시스템(104)은 네트워크(101)를 경유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01)는 무선 LAN 등과 같은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101)는, 네트워크(101)를 경유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한, 인터넷 등의 공공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2는 3D 프린터(102)와,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와, 관리 시스템(104)의 각각의 정보 처리 기능들의 모듈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버튼 및/또는 등등의 것을 통해서 정보 및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컴퓨터가 이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원격 데스크톱, 원격 쉘, 또는 등등의 것에 의해, 다른 컴퓨터로부터 이 컴퓨터에 접속하고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는 LAN 등의 네트워크(101)에 접속되고, 다른 컴퓨터 및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이 모듈 구성은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03)는, ROM(read only memory)(204), RAM(random access memory)(205), 2차 저장 디바이스(206) 등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OM(204)에는 내장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기록된다. RAM(205)은 일시적 메모리 영역이다. 2차 저장 디바이스(206)는 HDD(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것이다. 전술한 각각의 수단들 (201) 내지 (206)은 내부 버스(207)를 경유해 접속되고 있다.
3D 프린터(102)에 관련하여, 이 모듈 구성은 조형 방식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도시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조형 방식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이란, 구체적으로는, 3D 프린터(102)의 엔진부이다. 엔진부는, CPU와 ROM, RAM 등의 저장 디바이스 외에, 당해 CPU에 의해 제어되는 조형 방식에 따른 하드웨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압출적층 조형 방식의 경우, 이 하드웨어는 프린트 헤드(head 또는 extruder), 스테이지나 프린트 헤드를 X, Y,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프린트 헤드의 노즐을 가열하는 히터, 냉각, 급기, 및 배기를 위한 팬 등이다. 다른 조형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STL, SLS, 잉크젯 방식 등이 있다. 또한, 3D 프린터(102)는 조형되는 오브젝트나 그 조형이 수행되는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후술함)를 포함한다.
도 3은, 3D 프린터(102)의 소프트웨어 구성 및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메라(301)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조형되는 오브젝트 및 그 조형의 모습을 촬영한다. 3D 프린터(102)는, 카메라(301)를 이용하여, 조형 개시부터 조형 완료까지의 사이의 기간 내에 오브젝트를 촬영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들)이나,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서 기록된 데이터는, 3D 프린터(102)의 2차 저장 디바이스(206) 또는 네트워크(101)상의 저장 서비스에 유지되는데, 이는 이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작업의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카메라(301)는, 3D 프린터(102)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3D 프린터(102)에 의해 조형되는 오브젝트 및 그 조형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이다.
하드웨어(311)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채택되는 조형 방식에 따른 하드웨어부이다. 3D 프린터를 형성하는 하드웨어는 조형 방식에 의존하여 변한다. 예를 들어, FDM의 경우, 하드웨어는 프린트 헤드, 스테이지 및 프린트 헤드의 각각을 X, Y,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프린트 헤드의 노즐을 가열하는 히터, 냉각을 위한 팬 등을 포함한다. 내장 컴퓨터(312)는 3D 프린터(102)에 내장되는 컴퓨터이다. 내장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에 비해, 필요한 기능에 특화되고 또한 불필요한 기능/성능/부품이 그로부터 제외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된다. 내장 컴퓨터(312)는 3D 프린터(102)에 필요한 기능 및 성능에 따라서는 범용의 컴퓨터일 수도 있다.
 3D 프린터 제어 애플리케이션(313)(이후, 제어 애플리케이션(313)으로 지칭됨)은 내장 컴퓨터(312)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제어 애플리케이션(3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후, UI로 지칭됨)(314),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315), 하드웨어 제어부(316)를 포함한다. UI(314)의 예들로는 문자만을 몇 줄에 표시하는 LCD와 하드웨어 조작 버튼의 조합으로 실현되는 저렴한 UI, 터치 패널이 딸린 LCD 등이 있다. 3D 프린터(102)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UI(314)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3D 프린터(102)의 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UI(314)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3D 프린터(102)에 명령할 수 있다. API(315)는 외부의 프린트 클라이언트(103) 및 에이전트부(317)로부터 명령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접수한다. 하드웨어 제어부(316)는, UI(314) 또는 API(315)를 경유해 수신된 명령이나, 제어 애플리케이션(313) 자체가 발행한 명령에 따라, 하드웨어(311)의 각각의 부가 동작하도록, 및 예를 들어 조형물을 출력하고 출력의 전 및/또는 후의 전처리 및/또는 후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야기한다.
 에이전트부(317)는, 작업 이력을 생성하고,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 에이전트부(317)는, 내장 컴퓨터(312)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API(315)나 데이터 송수신부(319)에 의해 수신된 명령 및 데이터, 또는 제어 애플리케이션(313)의 실행 상태에 기초하여, 작업 이력을 형성하는 각종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에이전트부(317)가 조형되는 오브젝트를 카메라(301)에 의해 촬영해서 기록하여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작업 이력 생성부(318)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이력에는 오브젝트의 촬영 화상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작업 이력 생성부(318)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이력을 소정의 타이밍에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하고, 또한 관리 시스템(104)으로부터 에이전트부(317)의 설정을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조형 요구를 접수하는 기능도 갖는다. 에이전트 설정(320)은, 에이전트부(31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설정이 기록된 설정 파일이다.
 또한, 에이전트부(317)는, 내장 컴퓨터(312)와는 별도로 3D 프린터(102)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로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가능한 구성은 에이전트부(317)에 상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상에서 동작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 경우에, 이 애플리케이션은, 프린트 클라이언트(103) 자체, 3D 프린터(102)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조형된 또는 조형되고 있는 오브젝트의 화상 데이터 및 작업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이력을 생성하고, 관리 시스템(104)에 이렇게 생성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프린트 서버상에서 에이전트부(317)에 상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에이전트부(317)의 작업 이력 생성부(318)의 기능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걸쳐서 분산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이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취득될 수 있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 상의 에이전트부가 3D 모델 데이터 및 작업의 속성 정보의 일부로부터 작업 이력을 생성하고, 3D 프린터상의 에이전트부는 작업 상태(status) 및 작업의 실행 일시 등의 속성 정보 및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 이력을 생성한다. 이후, 이런 작업 이력들은 동일한 작업 ID 또는 등등에 기초하여 서로 연관되고, 관리 시스템(104)에 저장된다.
 도 4a, 4b, 4c, 및 4d 각각은, 작업 이력 생성부(318)가 생성하는 작업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작업 이력은, 대략적으로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로 분류되는데, 즉, 작업의 실행과 연관되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와, 3D 모델 데이터 및 제어 명령과 같은 조형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카메라(301)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이다.
 도 4a는 작업 개시 시에 생성되는 속성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속성 정보는 작업이 실행되는 일시, 작업을 실행하는 사용자, 작업에서 조형 대상으로 특정되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3D 모델 데이터의 명칭 등을 포함한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입력되는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속성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작업의 개시란, 조형을 위한 준비가 3D 프린터(102)에 의해 개시되는 때를 가리킨다. 조형을 위한 준비란, 구체적으로는, 조형재를 압출하는 헤드의 온도 조절 등이다. 또한, 조형의 개시란, 조형재가 헤드로부터 압출되면서 오브젝트가 실제로 조형되는 것이 시작될 때를 가리킨다. 또한, 작업의 개시 시각과 조형의 개시 시각 양쪽 모두가 속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형을 위한 준비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작업의 개시 때는 조형의 개시 때와 같다.
도 4b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조형되는 오브젝트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콘텐츠 정보에는, 제어 명령, 미리보기 화상 등이 있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3D 프린터(102)에게 조형을 요구할 때에 송신되는,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은 작업에 포함되는 데이터이다. 제어 명령의 예들로는, 3D 모델 데이터 및 조형 설정에 기초하는 생성되는 G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4)은,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조형 대상인 오브젝트 형상을 특정할 수 있다. 미리보기 화상은, 3D 모델 데이터 및 조형 설정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조형되는 조형물의 완성 그림을 가상적으로 표현하는 화상이다. 이후, 제어 명령 및 미리보기 화상에서 표현되는 조형물에는, 3D 모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뿐만 아니라, 조형중의 지주로서 필요에 따라 조형되는 서포트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제어 명령 및 미리보기 화상에 포함되는 서포트에 관한 정보란, 서포트의 유무, 서포트의 구조, 및 서포트에 대해 요구되는 조형재 양과 같은 정보이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조형 대상인 오브젝트 형상 등을 표현하는 모델 데이터가 콘텐츠 정보에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모델 데이터의 포맷의 예들로는, STL 포맷 등이 있다.
 도 4c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조형되는 오브젝트의 촬영 화상을 예시하고 있다. 촬영 화상은,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 중의 오브젝트, 완성된 오브젝트 등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들), 또는 조형 과정을 촬영한 동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이다.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조형 중의 촬영 화상이 필요한 이유는,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 중에 발생한 지진 등과 같이 3차원 오브젝트의 최종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단서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형 중의 촬영 화상은, 예를 들어 조형된 또는 조형되고 있는 오브젝트가 이중 구조를 갖고 또한 기밀이 되는 조형물, 위험물, 또는 이것들의 부품이 그 안에서 조형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또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서포트의 부분에 기밀 오브젝트 등이 조형될 경우에, 촬영 화상이 이것을 식별하기 위한 단서로 또한 기능할 수 있다.
 도 4c에서 예시되는 촬영 화상에 관한 정보에는, 촬영 화상이 카메라(301)에 의해 촬영된 시각도 또한 포함된다. 에이전트부(317)의 데이터 송수신부(319)가 관리 시스템(104)에 송신하는 촬영 화상으로서,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를 기록한 동화상보다도,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를 기록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들)이 촬영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출력에 요하는 시간이 짧아진다고 여겨진다.
 또한, 작업 이력 생성부(318)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이력에는, 3D 모델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의 양쪽 또는 그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4)은, 작업 이력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에 대하여 변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오브젝트의 형상을 표현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3D 프린터(102)에게 조형을 위한 작업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외에 3D 모델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정보나 촬영 화상이 있지만, 어느 종류의 콘텐츠 정보와 어느 종류의 촬영 화상을 관리 시스템(104)에 저장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 모든 종류의 콘텐츠 정보나 촬영 화상이 관리 시스템(104)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관리 시스템(104)의 점유된 저장 용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정보와 촬영 화상 중 일부만이 관리 시스템(104)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d는 작업 실행 완료 후에 생성되는 속성 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의 실행 결과 등과 같이, 작업 실행이 완료된 후에 결정되는 정보가 이 속성 정보에 포함된다. 3D 프린터(102)가 조형물을 취득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3D 프린터인 경우, 작업 실행 완료 후에 생성되는 속성 정보에는, 조형물을 취득한 사용자의 ID 등의 사용자 정보, 및 조형물이 취득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완성된 조형물이 3D 프린터(102)로부터 제거될 때의 영상이 촬영 화상으로서 속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조형의 종료 후에 조형물이 취득될 때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3차원 오브젝트의 조형물이 제3자에 의해 반출되는 경우나, 또는 이 반출에 의해 정보 누설이 발생했을 때에 작업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동시에, 이 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이러한 조형물의 반출과 같은 것을 저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도 4a 내지 4d에서 예시된 상술한 각각의 속성 정보, 콘텐츠 정보, 및 촬영 화상은 상이한 타이밍에 생성되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하나의 작업 실행에 대하여 복수회로 나누어서 작업 이력을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한다. 따라서, 도 4a 내지 4d에 예시된 예들에서는, 각각의 정보 피스들에 동일한 작업 이력 번호(No.)가 포함된다. 이 번호에 의해, 관리 시스템(104)은 복수 회의 송신으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이력들을 서로 연관시키고 이들을 하나의 작업 이력으로서 저장한다. 작업 이력 번호는 작업 이력 생성부(318)가 생성하는 정보이고, 또한 이 번호가 에이전트부(317) 전체에 걸쳐서 유일한 번호인 한, 임의의 번호가 될 수 있다. 별도의 에이전트부가 동일한 작업 이력 번호를 사용해서 작업 이력을 관리 시스템(104)에 송신했다고 하더라도, 관리 시스템(104)은 에이전트부마다 작업 이력을 구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4a 내지 4d에서, 작업 이력 번호가 아니고 작업 실행 시각 및 작업명 등의 다른 속성값들의 조합을 포함시킴으로써, 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작업 이력 번호를 사용하여,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화된 콘텐츠 정보 및 촬영 화상을 추가로 분할해서 관리 시스템(104)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 이력 생성부(318)가 오브젝트 조형 중에 일부의 콘텐츠 정보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작업 이력을 생성하는 때마다, 데이터 송수신부(319)가 그 생성된 작업 이력을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관리 시스템(104)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송수신부(501)는 에이전트부(317)로부터 작업 이력을 수신하고,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나 관리 시스템(104)상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검색 요구를 접수해서 검색 결과를 리턴한다.
 시스템 관리부(502)는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설정들을 관리한다. 에이전트 관리부(503)는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각각의 에이전트들의 동작 상태 및 설정들을 관리한다.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각각의 에이전트들로부터 수신한 작업 이력을 저장하고, 불필요해진 작업 이력을 삭제한다. 검색부(505)는 데이터 송수신부(501)가 수신한 검색 요구를 해석하고, 작업 이력 관리부(504)를 통해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작업 이력을 취득하고, 검색 결과로서 데이터 송수신부(501)를 경유해 검색 요구의 송신원인 웹 브라우저에게 취득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
 도 6은 에이전트부(317)의 설정 화면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예시되는 설정 화면은 에이전트부(317)이 동작하고 있는 3D 프린터(102)의 UI(201)상에 표시된다. UI(201)를 경유해 설정된 내용은 에이전트 설정(320)에 저장됨과 함께, 이 설정된 내용은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 통지되어, 이 설정된 내용이 에이전트 관리부(503)에 의해 관리되도록 한다. 또한, 관리 시스템(104)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 화면 UI(도 6)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웹 브라우저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설정 내용은, 먼저 관리 시스템(104)의 에이전트 관리부(503)에 의해 관리되고, 그 후에 3D 프린터(102)의 에이전트부(317)에 송신되어서 에이전트 설정(320)에 저장된다.
 영역(601)은, 작업 이력 생성부(318)가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6에 예시된 예에서는, 영역(601)은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로서 「3D 모델 데이터」, 「미리보기 화상」, 「완성품의 사진」, 「조형 과정의 사진」, 「조형 과정의 영화(movie)」 「조형물 제거시의 사진」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는 작업 실행에 따라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에 의해 생성된다. 콘텐츠 데이터 피스들 중의 사진과 영화는, 3D 프린터(102)가 카메라(301)를 구비하고 있어서 촬영 화상을 기록 가능한 경우에 선택되도록 허용된다. 또한, 사진 또는 영화는, 조형되는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IP 어드레스 등을 미리 관리 시스템(104)에 등록해 두고, 관리 시스템(104)으로부터 제어 가능한 상태에 네트워크 카메라가 있을 경우에 선택되도록 허용된다.
 도 6에 예시되는 UI 화면의 예에서는, 조형 과정의 사진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조형 과정의 사진 촬영 시간 간격은 반드시 일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이 시간 간격은 조형 개시 후와 조형 종료 전 부근에서는, 사진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으로 취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조형 과정의 동화상은 반드시 조형 과정의 모두를 촬영한 동화상이어야할 필요는 없고,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동안 복수회로 화상을 촬영하여 기록된 동화상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형 중의 촬영 화상에 관한 설정이 적용되는 대상은 카메라(301)일 수 있거나 또는 작업 이력 생성부(318)일 수 있다. 설정이 카메라(301)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카메라(301)는 그 설정에 따라 촬영 화상을 기록한다. 반면에, 설정이 작업 이력 생성부(318)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력 정보로서의 촬영 화상이 카메라(301)에 의해 기록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동화상에 기초하여 그 설정에 따라 생성된다. 어느 경우든, 조형 중의 촬영 화상은, 도 6에서 예시되는 에이전트 설정이 반영되는 이력 정보로서 출력되게 된다.
 영역(602)은 작업 이력 생성부(318)가 생성한 작업 이력을 송신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조형과 병행하여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가 선택된 경우,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조형 요구를 수신한 후에 그리고 작업 개시 전에 생성될 수 있는 정보(구체적으로는, 속성 정보의 일부나 3D 모델 데이터)를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 완료 하기 전에 작업의 실행을 개시한다. 또한, 작업 실행 중에 제각기 생성되고 추가로 취득된 콘텐츠 정보 및 취득된 촬영 화상은, 이 생성과 취득이 일어날 때마다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된다. 보통은, 작업 이력의 송신에 걸리는 시간보다도, 3D 프린터(102)에서의 조형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따라서, 작업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생성되는 속성 정보 및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 작업 실행 완료 전에 관리 시스템(104)에의 송신이 완료된다.
 「미리 작업 이력을 송신한 후에 조형을 개시한다」를 선택한 경우,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조형 요구를 수신한 후, 작업 개시 전에 생성될 수 있는 정보를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하고, 이후 이 송신이 완료된 후에 작업 실행이 개시된다. 작업 개시 전에 생성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일부의 속성 정보 및 3D 모델 데이터이다. 이 설정은, 「조형과 병행하여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가 선택된 경우와 비교하여, 조형 요구를 수신하고 나서 작업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이 설정은, 예를 들어 작업 개시 직후에 3D 프린터(102)의 고장이나 사용자에 의한 작업 취소에 의해 작업이 정지되었다고 하더라도 작업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 이하다. 이 경우에도, 작업 이력의 송신에 걸리는 시간과 비교해 조형 시간이 더 길게 걸린다. 따라서, 작업 실행 완료 시까지 생성된 속성 정보 및 콘텐츠 정보는, 작업 실행 완료 전에 관리 시스템(104)에의 송신이 또한 완료된다.
 「스케줄을 따라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를 선택한 경우, 작업 이력은 3D 프린터(102)의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저장되고, 설정된 송신 시각이 되면, 그 시점에서 저장되는 작업 이력들이 집합적으로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된다.
 도 7은, 에이전트부(317)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이력 기록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것은, 영역(602)에 표시되는 작업 이력의 송신 설정이 「조형과 병행하여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가 선택된 예이다. 도 7의 흐름도에 예시되는 처리는, 3D 프린터(102)의 에이전트부(317)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CPU(203)이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7의 흐름도에 예시된 처리가 실현된다.
 단계 S701에서,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조형 요구를 수신한다. 단계 S702에서,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단계 S701에서 수신된 조형 요구에 기초하여, API(315)에게 조형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703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단계 S701에서 수신된 조형 요구로부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속성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속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704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된 경우에(단계 S7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5로 진행한다. 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단계 S7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5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단계 S701에서 수신된 조형 요구로부터 3D 모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3D 모델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한다.
단계 S706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된 경우에는(단계 S70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7로 진행한다.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8 로 진행한다. 단계 S707 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단계 S701 에서 수신된 조형 요구에 포함되는 3D 모델 데이터로부터 미리보기 화상을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미리보기 화상을 송신한다.
 S708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들(320)을 참조하여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된 경우에는(단계 S708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9로 진행한다.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17로 진행한다.
 S709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들(320)을 참조하여 조형 과정의 촬영 간격을 취득하고, 촬영 간격으로서 지정된 기간이 조영 과정이 전 회에 촬영된 시각으로부터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간격으로서 지정된 시간이 조영 과정이 전 회에 촬영된 시각으로부터 경과한 경우에는(단계 S7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10으로 진행한다. 촬영 간격으로서 지정된 시간이 조영 과정이 전 회에 촬영된 시각으로부터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11으로 진행한다.
 S710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사용할 카메라(301)를 특정하고, 해당 카메라(301)가 촬영하도록 지시하고, 생성된 촬영 화상을 해당 카메라(301)로부터 취득하고, 및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취득된 촬영 화성을 송신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19)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취득된 촬영 화상의 송신을 개시하는데, 이는 조형 후에 한꺼번에 촬영 화상을 출력할 경우와 비교하여, 촬영 화상의 출력 완료가 빨라진다. 결과로서, 이 방법은 작업의 이력 정보를 조형 후에 출력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 처리가 완료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형이 완료된 경우에는(단계 S7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12 로 진행한다. 조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9로 진행한다.
 단계 S717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 처리가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형이 완료된 경우에는(단계 S71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12로 진행한다. 조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1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17에 머무른다.
단계 S712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완성품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완성품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71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13으로 진행한다. 완성품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1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14로 진행한다. 단계 S713 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사용될 카메라(301)를 특정하고, 해당 카메라(301)에 대하여 촬영하도록 지시하고, 생성된 촬영 화상을 해당 카메라(301)로부터 취득하고, 및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한다.
단계 S714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완성품이 제거될 시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완성품 제거시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71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15로 진행한다. 완성품 제거시의 촬영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1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15 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에이전트 설정(320)을 참조하여 사용될 카메라(301)를 특정하고, 해당 카메라(301)에 대하여 촬영하도록 지시하고, 생성된 촬영 화상을 해당 카메라(301)로부터 취득하고,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한다.
 단계 S716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318)는, 3D 프린터(102)의 조형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속성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319)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속성 정보를 송신한다. 도 8a 내지 8c는 작업 이력 관리부(504)가 관리하는 작업 이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작업 이력 가운데 속성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이며, 도 4a및 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들로 데이터 송수신부(501)가 에이전트부(317)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그 안에 기록된다. 작업 이력 ID는, 도 4a 내지 도 4d에 예시된 작업 이력 번호와는 달리, 작업 이력 관리부(504)가 생성하는 ID이며,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의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 전체에 걸쳐서 유일한 값이다.
 도 8b는 작업 이력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와, 콘텐츠 정보 및 촬영 화상을 서로 연관시키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4b 및 도 4c에 예시된 대로, 1개의 작업에 대하여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촬영 화상이 생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도 8b에 예시된 예에서도 동일한 작업 이력 ID에 대하여 복수의 데이터 ID가 또한 연관되어 있다.
 도 8c는 작업 이력 가운데 콘텐츠 정보 및 촬영 화상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테이블이다. 데이터 유형은 영역(601)으로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들과 같은, 예를 들어 3D 모델 데이터, 미리보기 화상, 및 완성품의 사진을 판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촬영 시각은, 데이터 유형이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과 같은 촬영 화상일 때만 기록되는 값이다.
 도 9는 관리 시스템(104)에 의해 제공되는 작업 이력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예시되는 검색 화면은 관리 시스템(104)의 UI(201)상에 표시된다.
 영역(901)은 작업 이력에 대한 검색 조건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역(903)은 속성 정보에 관한 검색 조건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9에 예시된 예에서는, 영역(903)은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 실행 일시, 작업 실행 사용자 이름, 작업 실행 프린터명, 및 작업명을 속성 정보로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영역(904)는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의 검색 조건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9에 예시된 예에서는, 영역(904)은 사용자로 하여금 3D 모델 데이터, 미리보기 화상, 및 촬영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한 검색은 지정한 바이너리 데이터와의 비교나 또는 해시값을 이용한 비교를 이용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3D 모델 데이터나 화상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한 공지된 유사 데이터 검색 기술을 이용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영역(902)는 영역(901)에서 지정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9에 예시된 예에서는,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작업 이력들이 미리보기 화상의 섬네일과 함께 리스트로 표시된다. 섬네일을 클릭함으로써, 도 10에 예시되는 표시 화면상에서 해당 작업 이력의 상세 사항의 표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0은 작업 이력의 상세 사항의 표시되는 화면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표시되지 않았던 각종 속성 정보 외에도, 「미리보기 화상」, 「완성품의 촬영 화상」,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과 같은 콘텐츠 정보 및 촬영 화상이 표시된다. 도 10에 예시된 예에서, “조형 과정의 촬영 화상”에서의 개별 화상들이 시계열로 배열되면서 표시되고 있지만, 일정 간격으로 촬영한 화상을 연속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영화와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은 검색부(505)에 의해 실행되는 검색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흐름도에 예시되는 처리는 관리 시스템(104)의 검색부(505)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CPU(203)이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해 내어서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11의 흐름도에 예시된 처리가 실현된다.
단계 S1101에서, 검색부(505)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 또는 관리 시스템(104)으로부터 송신된 검색 요구를, 데이터 송수신부(501)를 경유해 수신한다. 단계 S1102에서, 검색부(505)는 작업 이력 관리부(504)가 관리하고 있는 작업 이력들 중에서 단계 S1101에서 수신된 검색 요구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에 관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작업 이력들을 취득하고, 검색 결과 리스트에 취득된 작업 이력들을 추가한다. 여기서, 검색 결과 리스트는 관리 시스템(104)의 RAM(205)에 일시적으로 기억될 수도 있고, 또는 일시적 파일로서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 S1103에서, 검색부(505)는 단계 S1101에서 수신된 검색 요구에서 검색 조건으로서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이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검색 조건으로서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1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4로 진행한다. 콘텐츠 정보도 촬영 화상도 검색 조건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1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8로 진행한다.
단계 S1104에서, 검색부(505)는 단계 S1102에서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작업 이력들에 대하여 단계 S1101에서 수신된 검색 요구에서의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되는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과 작업 이력의 비교 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검색 결과 리스트 중의 모든 작업 이력들에 대하여 비교 처리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에는(단계 S11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8로 진행한다. 비교 처리의 실행이 미완료된 경우에는(단게 S11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5로 진행한다.
단계 S1105에서, 검색부(505)는 단계 S1101에서 수신된 검색 요구에서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되는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과의 비교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작업 이력에 대하여 동일 유형의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이 작업 이력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작업 이력에 동일 유형의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이 포함되는 경우에는(단계 S11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7로 진행한다. 동일 유형의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이 작업 이력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11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6에서, 검색부(505)는 해당 작업 이력을 검색 결과 리스트로부터 삭제한다. 다시 말하면, 검색 요구와 동일 유형의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을 갖지 않는 작업 이력은 검색 결과로부터 제외된다. 단계 S1107에서, 검색부(505)는 해당 작업 이력과 연관되는 콘텐츠 정보 또는 촬영 화상들 중에서 검색 요구에 지정되는 데이터와 동일 유형의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검색 결과 리스트에 유사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한다.
단계 S1108에서, 검색부(505)는 검색 결과 리스트에 기초하여 도 10에 예시되는 검색 화면상에 결과를 표시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조형 중에 기록된 촬영 화상의 출력이,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는 제어 장치에서의 이력 정보로서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서 시작된다. 또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서, 조형 중의 촬영 화상의 일부가 출력된다. 이런 방식으로 작업의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3D 프린터(102)에서의 조형 후에 작업의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는, 제2 예시적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는, 3D 프린터(102)가 네트워크(101)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3D 프린터(102)에게 향하는 제어 명령을, USB메모리와 같은 통신 가능한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기입한다. 이후, 그와 동시에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작업 이력을 생성해서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102)가 네트워크(101)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도, 작업 이력이 관리 시스템(104)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8 내지 도 11에 예시되는 구성들이 제1 예시적 실시예의 구성들과 유사하고, 제1 예시적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들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식별될 것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제1 예시적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이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소프트웨어 구성과 일부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운영 체제(1201)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OS(operating system)이다.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1202)는 운영 체제(이후, OS로 지칭함)(1201)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1202)는 3D 프린터(102)를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며, UI(1203)를 포함한다. UI(1203)는 3D 프린터(102)에 의해 조형될 3D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고 및 충전율 및 충전 패턴 등의 출력 설정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1202)는 UI(1203)상에서 선택된 3D 모델 데이터 및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3D 프린터(102)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생성된 제어 명령은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USB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저장된 제어 명령은 사용자가 3D 프린터(102)에 외부 메모리를 삽입하여 제어 명령을 판독하게 함으로써 조형의 실행을 야기할 수 있다.
하드웨어(1205)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하드웨어부이다.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USB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UI(1203)상에서 선택되는 3D 모델 데이터 및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1202)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작업 이력을 생성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207)는 작업 이력 생성부(1206)가 생성한 작업 이력을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하고, 관리 시스템(104)으로부터 에이전트부(1208)의 설정을 수신한다. 에이전트부(1208)는 작업 이력을 생성하고,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작업 이력을 송신한다. 도 13a 및 13b는 각각이 작업 이력 생성부(1206)가 생성하는 작업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작업 이력은 기본적으로는 도 4a, 4b, 4c 및 4d에서 예시된 것과 유사한데, 다만 에이전트부(1208)가 3D 프린터(102)상에서 동작하지 않고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상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도 4a, 4b, 4c 및 4d와 비교해서 일부의 정보가 생성될 수 없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예시되는 속성 정보의 피스들 중에서, 프린터명과 같은 3D 프린터(102)에 관한 정보가 누락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 예시되는 촬영 화상과 같이, 조형 처리에 따라 생성되는 이력 정보도 누락되어 있다. 또한, 도 4d에 예시되는, 조형의 실행 결과에 기초한 속성 정보도 누락되어 있다.
도 14는 작업 이력 기록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흐름도에 예시되는 처리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의 에이전트부(1208)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CPU(203)가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14의 흐름도에 예시된 처리가 실현된다.
단계 S1401에서, 데이터 송수신부(1207)는 조형 제어 소프트웨어(1202)로부터 외부 메모리에 제어 명령을 기입하라는 요구를 수신한다.
단계 S1402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단계 S1401에서 수신된 외부 메모리로의 제어 명령의 기입 요구로부터 도 13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속성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207)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속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1403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에이전트 설정들(320)을 참조하여 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4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404로 진행한다. 3D 모델 데이터가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4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405로 진행한다.
단계 S1404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단계 S1401에서 수신된, 외부 메모리로의 제어 명령의 기입 요구로부터 3D 모델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207)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추출된 3D 모델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S1405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에이전트 설정들(320)을 참조하여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4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406으로 진행한다. 미리보기 화상이 기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4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407로 진행한다. 단계 S1406에서, 작업 이력 생성부(1206)는, 단계 S1401에서 수신된, 외부 메모리로의 제어 명령 기입 요구에 포함되는 3D 모델 데이터로부터 미리보기 화상을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207)를 경유해 관리 시스템(104)에게 생성된 미리보기 화상을 송신한다.
단계 S1407에서, 에이전트부(1208)는 운영 체제(1201)를 경유해 슬라이서(slicer)(1204)가 생성한 제어 명령을 외부 메모리에 기입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클라이언트(103)는 3D 프린터(102)를 향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 메모리에 기입할 때 작업 이력을 생성해서 생성된 작업 이력을 관리 시스템(104)에게 송신한다. 3D 프린터(102)가 네트워크(101)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리 시스템(104)에 작업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 제3 예시적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3D 프린터로부터 출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조형 중에 3D 프린터에 의해 실행되는 조형을 정지한다는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에 예시되는 구성들이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의 구성들과 유사하고, 제1 예시적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들 및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식별될 것이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하기 설명에서, 제1 예시적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도 15는 관리 시스템(104)에 의해 제공되는, 조형 정지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형 정지 설정이란, 조건에 합치하는 작업을 검출한 경우에, 그 작업 실행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기능을 지칭한다. 그 조형이 정지되게 될 대상으로 될 수 있는 오브젝트의 예들로는, 대외비 오브젝트, 병기 등의 위험물, 저작권의 침해가 될 수 있는 오브젝트, 또는 이들의 부품,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이다. 도 15에 예시되는 검색 화면은 관리 시스템(104)의 UI(1201)상에 표시되고, 그 상에 설정된 내용은 시스템 관리부(502)에 의해 시스템 설정으로서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저장된다. 조형 정지 설정으로서 복수의 조건이 설정될 수 있고, 도 15에 예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조건 No. 0001과 No. 0002가 예를 들어 설정되고 있다.
먼저, 작업의 속성 정보에 기초한 조형 정지의 조건의 예가 설명된다. 조건 No. 0001에는, 제각기, 3D 모델명이 유형으로서, 「사외비」가 조건으로서 설정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조건 No. 0001은, 3D 모델명에 「사외비」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작업 실행의 검출 시에, 그 작업을 실행 중인 3D 프린터(102)에 대하여 작업의 강제 정지 명령이 송신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조형의 대상을 표시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조형 정지의 조건 예를 설명한다. 조건 No. 0002에는, 제각기, 3D 모델 데이터, 및 나사 형상의 3D 모델 데이터가 유형 및 조건으로서 설정되고 있다. 이 경우, 조건 No. 0002는 조건으로 지정된 3D 모델 데이터와 동일한, 또는 미리 정해진 또는 그보다 높은 유사도를 갖는 3D 모델 데이터를 취급하는 작업 실행의 검출 시에, 그 작업이 강제 정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3D 프린터(102)에서의 조형을 위한 제어 명령 또는 미리보기 화상일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유형으로서는, 도 9에서 도시된 영역(901)에서 제시된 대로의 여러가지의 각종 검색 조건들과 유사한 속성 정보 및 콘텐츠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형이 속성 정보라면, 문자열이 조건으로서 설정 가능하다. 유형이 콘텐츠 데이터라면, 해당 유형과 유사한 데이터 파일이 조건으로서 설정 가능하다. 조건에는, 복수의 아이템이 논리연산자에 의해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조건에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고, 가중치에 따라서 산출된 수치가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만 조형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조건을 만족되는 경우의 처리는 전술한 조형의 정지 이외의 처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이력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는 전자 메일 등의 사용에 의해 조건 만족에 대해 통지받을 수 있거나, 또는 조건 만족이 작업 이력에 기록되어 도 9에 예시된 검색 화면상에서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를 검색 조건으로서 설정 가능하게 허용할 수 있다.
도 16은 관리 시스템(104)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처리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흐름도에 예시되는 처리는 관리 시스템(104)의 작업 이력 관리부(504)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CPU(203)이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16의 흐름도에 예시된 처리가 실현된다.
단계 S1601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데이터 송수신부(501)를 경유해 에이전트부(317)로부터 송신되는 작업 이력을 수신한다.
단계 S1602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시스템 관리부(502)를 경유해 시스템 설정들에 포함되는 조형 정지 설정을 취득한다.
단계 S1603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단계 S1601에서 수신된 작업 이력이 단계 S1602에서 취득된 조형 정지 설정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관해 검색부(505)에게 문의한다. 검색부(505)가 해당 작업 이력이 조형 정지 설정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16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04로 진행한다. 검색부(505)가 해당 작업 이력이 조형 정지 설정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6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한다.
단계 S1604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에이전트 관리부(503)를 경유해 3D 프린터(102)를 향하는 작업의 강제 정지 명령을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501)를 경유해 3D 프린터(102)에게 이 생성된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S1605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단계 S1601에서 수신된 작업 이력 중의 속성 정보에서의 작업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값에, 작업을 강제 정지한 사실을 추가한다.
단계 S1606에서, 작업 이력 관리부(504)는 단계 S1601에서 수신된 작업 이력을 2차 저장 디바이스(206)에 저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관리 시스템(104)이, 작업 이력을 저장할 때, 작업 이력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작업 이력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3D 프린터(102)에 의한 작업 실행을 강제 정지시킨다. 이 방법은,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 중에, 3D 프린터(102)에 의한 조형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때, 조형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이것은 또한 더 완전하게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라고 지칭될 수 있음)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며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예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및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며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제어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한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BDTM(Blue-ray Disc)와 같은 것),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및 등등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수정들 및 등가의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괄하기 위해서 가장 넓은 해석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하나 이상의 설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수단;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한 상기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조형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수단과 -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은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됨 -;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된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과, 상기 작업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에, 상기 이력 정보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은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동안의 일부 시각에 관한 정지 화상이고,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각각의 상기 정지 화상이 촬영된 때의 시각 정보는, 상기 이력 정보로서 출력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송신 설정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수신된 송신 설정에 따라,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취득된 이력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거나, 지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이력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는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이력 정보로서 더 출력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제어 명령,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을 표현하는 모델 데이터, 및 상기 오브젝트의 미리보기 화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이력 정보로서 더 출력하는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및 상기 미리보기 화상은 상기 오브젝트의 조형 시의 지주로서 조형되는 서포트(suppor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형의 개시 전에, 상기 작업이 실행되는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작업이 실행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작업을 실행하도록 명령어를 발행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형의 종료 후에,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조형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의 상기 촬영 화상, 및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조형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거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관리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형의 개시 전에, 상기 작업이 실행되는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작업이 실행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작업을 실행하도록 명령어를 발행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또한,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작업에 포함되고 또한 조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취득된 촬영 화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이력 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조형을 정지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조형을 정지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해당 조형이 정지되는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에 의한 상기 3차원 오브젝트의 조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2. 삭제
  13. 3차원 오브젝트를 조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작업의 이력 정보로서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하나 이상의 설정을 수신하는 수신 공정;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한 상기 작업의 실행에 따라서 조형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공정 -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은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됨 -;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된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과, 상기 작업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에, 상기 이력 정보로서 출력하는 출력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화상은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동안의 일부 시각에 관한 정지 화상이고,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각각의 상기 정지 화상이 촬영된 때의 시각 정보는, 상기 이력 정보로서 출력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공정에서는 송신 설정을 더 수신하고,
    상기 출력 공정에서는, 상기 수신된 송신 설정에 따라, 상기 작업의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조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취득된 이력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거나, 지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이력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57927A 2015-11-28 2016-11-25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79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2526 2015-11-28
JP2015232526A JP6723733B2 (ja) 2015-11-28 2015-11-28 制御装置、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377A KR20170063377A (ko) 2017-06-08
KR102079424B1 true KR102079424B1 (ko) 2020-02-19

Family

ID=5747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27A KR102079424B1 (ko) 2015-11-28 2016-11-25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62588B2 (ko)
EP (1) EP3173922A1 (ko)
JP (1) JP6723733B2 (ko)
KR (1) KR102079424B1 (ko)
CN (1) CN1070974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5407B2 (en) * 2016-11-23 2021-01-05 Simbionix Ltd.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print oriented image segmentation
CN108928334B (zh) 2017-05-23 2021-03-19 株式会社万都 电子制动系统
WO2019089003A1 (en) * 2017-10-31 2019-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capability protection via consumables
JP2020009108A (ja) * 2018-07-06 2020-0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JP2020124828A (ja) * 2019-02-04 2020-08-2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立体物製造システムおよび立体物製造管理プログラム
US20200264585A1 (en) * 2019-02-14 2020-08-20 John Oliver RYA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3D Printing
JP7491197B2 (ja) 2020-11-26 2024-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システム
JP2022162796A (ja) * 2021-04-13 2022-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三次元造形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554A1 (ja) * 2002-07-03 2004-01-15 Kabushiki Kaisha Shofu 歯面情報システム
US20120105903A1 (en) * 2010-08-18 2012-05-03 Pettis Nathaniel B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0813B2 (ja) * 2004-05-26 2008-08-06 松下電工株式会社 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装置及びその光ビーム照射位置及び加工位置の補正方法
JP2006107213A (ja) * 2004-10-06 2006-04-20 Canon Inc 立体画像印刷システム
JP4710664B2 (ja) * 2006-03-14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業務を監視するサーバ
JP5383344B2 (ja) 2009-06-24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20092724A1 (en) * 2010-08-18 2012-04-19 Pettis Nathaniel B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US9481134B2 (en) * 2012-06-08 2016-11-01 Makerbot Industries, Llc Build platform leveling with tactile feedback
US20160129636A1 (en) * 2014-11-11 2016-05-1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Modify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inted without exceeding a time or cost threshold
CN104647756B (zh) 2014-12-18 2017-12-26 精唯信诚(北京)科技有限公司 3d打印机的控制系统
US10459430B2 (en) * 2015-09-11 2019-10-2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data printing in a 3D pri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554A1 (ja) * 2002-07-03 2004-01-15 Kabushiki Kaisha Shofu 歯面情報システム
US20120105903A1 (en) * 2010-08-18 2012-05-03 Pettis Nathaniel B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62588B2 (en) 2018-12-25
KR20170063377A (ko) 2017-06-08
EP3173922A1 (en) 2017-05-31
CN107097427A (zh) 2017-08-29
JP6723733B2 (ja) 2020-07-15
US20170153858A1 (en) 2017-06-01
JP2017094692A (ja)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424B1 (ko)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11616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71667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73188B1 (ko)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150178030A1 (en)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for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0466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80474B1 (ko) 백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17470B2 (en) Cloud file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cloud server
JP698111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150109464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aging image files by using thumbnail images
TW201227268A (en) Data backup system and data backup and retrival method
CN102111520B (zh) 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289130A (ja) コピーされた文書の電子的記憶及び再呼び出しが可能なコピー機
JP2017103753A5 (ko)
US97231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ferring a duplicate of a document to another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group
JP2011087072A (ja) 画像提供サー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55217A (ja) コンテンツ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JP655231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84100A5 (ko)
JP693030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1049981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77215B1 (ja) 認証システム
WO20180664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6042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5225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