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44B1 -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44B1
KR102078644B1 KR1020180092151A KR20180092151A KR102078644B1 KR 102078644 B1 KR102078644 B1 KR 102078644B1 KR 1020180092151 A KR1020180092151 A KR 1020180092151A KR 20180092151 A KR20180092151 A KR 20180092151A KR 102078644 B1 KR102078644 B1 KR 10207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unit
azimuth
detected
accele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용
Original Assignee
(주)코닉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닉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코닉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9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방위각 센서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power of a car}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OBD(On-Board Diagnostics) 커넥터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장치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한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에는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장치 등 여러가지 전자 장치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퓨즈 박스 또는 시거잭 단자 등을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추가적인 전자 장치들의 장착에 따라 전원 배선이 복잡해지고 어려움이 발생하며, 잘못된 배선으로 인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고, 차량의 화재 발생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잘못된 배선은 차량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이를 찾아내기 위하여 차량의 많은 부분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와 관련하여 배출가스 자기 진단 장치(OBD: On-Board Diagnostics)의 표준이 제정되어 OBD 1, OBD 1.5, OBD 2로 발전되어 오면서 모든 승용차에 대하여 OBD 2 표준에 따른 배출가스 자기 진단 장치의 장착이 의무화되었고, OBD 2 표준에 따라 운전석의 계기판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통하여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에는 차량의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가 있다.
OBD 2 표준에 따라 설치되는 상기 커넥터의 배터리 양극(B+) 단자에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장치 등 여러가지 전자 장치들이 있지만, 이러한 전자 장치들이 상기 커넥터의 배터리 양극(B+) 단자에 연결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이후에도 배터리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7341호에서는 차량 내 OBD 2 커넥터의 배터리 양극(B+)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 개시 및 종료를 판단하고 있으나, 최근 차량의 배터리 전압은 주행 중에도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오작동하여 전자 장치들이 상기 커넥터의 배터리 양극(B+) 단자에 연결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이후에도 배터리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5096호에서는 배터리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 개시 및 종료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OBD 2 커넥터의 상시 전원 단자로부터 유사 액세서리 전원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 유무를 판단하여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유사 액세서리 전원을 생성하고,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유사 액세서리 전원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진 이후에는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부는 차량이 정지해 있는 경우 중력가속도의 x축, y축, z축 성분으로부터 차량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는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오작동할 수 있어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도 배터리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지 아니하여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0167호에서는 교통사고와 같은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충격 센서, 온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등의 구체적인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상기 특정 이벤트는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의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보다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있을 뿐이므로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529호에서는 차량의 일상적인 주정차 상황 및 주행 상황에서 차량 내외부의 충격과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여 실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촬영된 녹화 영상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인 G-센서를 포함하는 충격감지부에서 충격신호를 수치로 변환하고 변환된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충격감지부에서 감지된 충격신호가 기준 값보다 크다면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기준 값은 차량의 속도별로 충격신호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는 충격신호의 크기만으로 기준 값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오작동을 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는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보다는 차량의 주정차 또는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있을 뿐이고 상기 이벤트 발생은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구성과는 관련이 없고 촬영된 녹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7341호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공보 제10-1835096호 (특허문헌 00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0167호 (특허문헌 0004)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52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전원 배선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 없이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 공급에 오작동이 발생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방위각 센서부;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1도 이상인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위각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터리 양극(B+)은 OBD 커넥터로부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어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되고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속도 센서부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방위각 센서부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진동과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오작동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장치 등 여러가지 전자 장치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배터리 양극(B+) 단자를 포함하는 OBD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정차 중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로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를 구비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의 주행 중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방위각 센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으로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와 방위각 센서부를 구비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전원 제어 장치가 정차 중인지 또는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배터리 양극(B+) 단자를 포함하는 OBD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OBD 커넥터(100)는 배터리 양극(B+) 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시 전원은 차량의 주행 여부와 상관없이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므로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상시 전원에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알터네이터가 배터리를 충전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차량의 시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알터네이터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하는 상황에 배터리의 전력 공급도 차단하기 위하여 시거잭과 같은 ACC 전원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ACC 전원 회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별도의 배선 작업이 없이도,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OBD 커넥터의 배터리 양극(B+) 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차량의 정차 중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속도 센서부는 x축, y축, z축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감지하여 x축, y축, z축에 대한 차량의 기울기 각도를 추정할 수 있는데,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주위 영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의 경우 가속도 센서부에서 x축, y축, z축에 대한 차량의 기울기 각도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차량의 기울기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x축, y축에 대하여 회전 운동으로 관찰될 수는 있으나,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에 대한 회전 운동은 거의 발생하지 아니 하였다.
특히,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될 수 있고, 이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x축, 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관찰될 수는 있으나,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은 거의 발생하지 아니 하였다.
도 3은 종래기술로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를 구비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OBD 커넥터(100)의 배터리 양극(B+)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Ground)에 차량 전원 제어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차량 전원 제어 장치(200)에는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를 포함하고 있고,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에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제어부(201)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계속 공급하게 된다.
결국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에 의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것만으로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도록 한다.
도 4는 차량의 주행 중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방위각 센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주위 영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의 경우 가속도 센서부에서 x축, y축, z축에 대한 차량의 기울기 각도를 발생시킬 수 있고, 주위 영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의 경우 지면에 대하여 수평축인 x축, 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관찰될 수는 있으나,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은 거의 발생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 중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은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서는 감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방위각 센서부가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으로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와 방위각 센서부를 구비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BD 커넥터(100)의 배터리 양극(B+)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Ground)에 차량 전원 제어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차량 전원 제어 장치(200)는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와 방위각 센서부인 자이로 센서(20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G 센서(202)와 자이로 센서(203)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 또는 정차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201)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에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고, 방위각 센서부인 자이로 센서(203)에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에 대한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진동과 상기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제어부(201)는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1)는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데, 특히 기차가 지나는 철로 주변 등 미세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되고, 방위각 센서부인 자이로 센서(203)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전원 제어 장치가 정차 중인지 또는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이 정차 중이고 주위 영향으로 발생하는 충격 등이 없는 경우, 차량이 정차 중인데 주위 영향으로 충격 즉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가속도 센서부인 G 센서(202), 방위각 센서부인 자이로 센서(203), 제어부(201)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이 정차 중이고 주위 영향으로 발생하는 충격 등이 없는 경우,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진동이 감지되지 않고 방위각 센서부(203)에 방위각 변화도 감지되지 않고 있으므로, 제어부(201)에서는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차량이 정차 중인데 주위 영향으로 충격 즉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진동이 감지되고 있으나 방위각 센서부(203)에서는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고 있으므로, 제어부(201)에서는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진동이 감지되고 방위각 센서부(203)에서도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고 있으므로, 제어부(201)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1도 이상인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도 정도의 방위각 변화는 운전자가 느끼기 어려울 정도의 변화이지만,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항상 발생하게 되므로, 1도를 방위각 변화의 기준값으로 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위 경우들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 여부가 방위각 센서부(203)에서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면 결정된다는 점에서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감지되는 진동 여부가 차량의 주행 여부와 무관해 보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차량이 주차 빌딩 내에서 주차 기계에 의해서 움직이는 경우 또는 차량이 견인차, 트럭 등에 실려서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방위각 센서부(203)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될 수 있지만,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와 달리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감지되는 진동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일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여부가 가속도 센서부(202)에서 감지되는 차량의 진동 여부에 의하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양극(B+) 단자로부터 ACC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시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01)에서는 가속도 센서부(202)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진동 여부와 방위각 센서부(203)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모두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OBD 커넥터 200: 차량 전원 제어 장치
201: 제어부 202: G 센서
203: 자이로 센서

Claims (8)

  1. 차량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방위각 센서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진동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고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되고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1도 이상인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각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양극(B+)은 OBD 커넥터로부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어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6. 삭제
  7. 차량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방위각 센서부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진동과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차량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고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감지되고 상기 방위각 센서부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차량의 방위각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양극(B+)으로부터 전원이 외부 전자 장치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8. 제 7 항의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092151A 2018-08-08 2018-08-08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7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51A KR102078644B1 (ko) 2018-08-08 2018-08-08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51A KR102078644B1 (ko) 2018-08-08 2018-08-08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44B1 true KR102078644B1 (ko) 2020-02-19

Family

ID=6966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51A KR102078644B1 (ko) 2018-08-08 2018-08-08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1797A (ja) * 2006-10-31 2008-05-15 Alpine Electronics Inc 停車判定方法
JP2010003114A (ja) * 2008-06-20 2010-01-07 Panasonic Corp 車両管理ユニット
KR20110117341A (ko) 2010-04-21 2011-10-27 주식회사 오투스 Obd-ii를 이용한 시동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40140167A (ko) 2013-05-28 2014-12-09 주식회사 케이벨 이벤트 기반의 차량 정보 단말, 차량 리스트 확보 방법 및 차량 정보 수집 서버
JP2015118404A (ja) * 2013-12-16 2015-06-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運転支援装置
KR20150121529A (ko)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20605A (ko) * 2016-08-19 2018-02-28 김선채 차량진단커넥터의 배터리 상시전원과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유사 액세서리전원 발생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1797A (ja) * 2006-10-31 2008-05-15 Alpine Electronics Inc 停車判定方法
JP2010003114A (ja) * 2008-06-20 2010-01-07 Panasonic Corp 車両管理ユニット
KR20110117341A (ko) 2010-04-21 2011-10-27 주식회사 오투스 Obd-ii를 이용한 시동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40140167A (ko) 2013-05-28 2014-12-09 주식회사 케이벨 이벤트 기반의 차량 정보 단말, 차량 리스트 확보 방법 및 차량 정보 수집 서버
JP2015118404A (ja) * 2013-12-16 2015-06-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運転支援装置
KR20150121529A (ko)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20605A (ko) * 2016-08-19 2018-02-28 김선채 차량진단커넥터의 배터리 상시전원과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유사 액세서리전원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101835096B1 (ko) 2016-08-19 2018-03-06 김선채 차량진단커넥터의 배터리 상시전원과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유사 액세서리전원 발생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493B1 (ko)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JP5817745B2 (ja) 車両事故歴記録装置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4293454B2 (ja) 車両用盗難防止方法及び装置
JP2999016B2 (ja) 車両安全装置の制御システム
US20180030910A1 (en) Method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a wheel relative to the horizontal
US20080319606A1 (en) Vehicle rollover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KR102078644B1 (ko)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062185A (ja) 電源制御装置、車両用後付電子機器
KR102334775B1 (ko) 차량의 자율주행 모니터링 시스템
JPWO2008139743A1 (ja) 車両状態検出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乗員保護装置
JP4265995B2 (ja) 挙動監視装置および挙動監視方法
KR20130079793A (ko) 진동센서 및 충격센서 감지수단을 통한 차량용 배터리 상시전원 제어장치
KR20160009905A (ko) 복수개의 차량 신호들을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JP5014349B2 (ja) サーバ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07215B2 (ja) 移動体異常検知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80083769A (ko) 블랙박스 기능 자동차용 미디어 재생 장치
US9994174B2 (en) Smart power supply interface, vehicle-moun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10972B1 (ko) 에어백용 보조전원 공급 장치
KR101955836B1 (ko) 차량 탑재 기기 및 이상 판정 방법
US20060200288A1 (en) Rollover determining apparatus
JP2007069712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9990046696A (ko) 관성측정장치와비젼을이용한자동차용블랙박스
JP2013220671A (ja)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JP7266320B2 (ja) 運行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