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68B1 - 침하지반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침하지반 인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8568B1 KR102078568B1 KR1020190037814A KR20190037814A KR102078568B1 KR 102078568 B1 KR102078568 B1 KR 102078568B1 KR 1020190037814 A KR1020190037814 A KR 1020190037814A KR 20190037814 A KR20190037814 A KR 20190037814A KR 102078568 B1 KR102078568 B1 KR 102078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ground
- passage
- injection
- perfo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함몰부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된 천공 통로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A1 단계); 상기 천공 통로에 충전재 주입기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A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충전재 주입부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220)에 기체 충전재 또는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A3 단계); 및 상기 기체 충전재 또는 액체 충전재가 주입되면 팽창부가 팽창되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A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는 상기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충전재 주입부(210); 및 상기 충전재 주입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연성재질의 팽창부(220)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팽창부(220)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는 주입관(211)과 배출관(212)이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이며, 상기 주입관이 내관(X)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외관(Y)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보다 상기 주입관이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하지반의 인양에 관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침하된 지반 아래에 충전재를 주입시키고, 충전재의 팽창에 의해 지반이 위로 인양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반 침하로 인한 사고가 문제되고 있다. 지반 침하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이 있다.
지반함몰(ground sink)은 지표면이 여러 요인에 의하여 일시에 붕괴되어 국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꺼져 내려앉는 현상으로서, '땅꺼짐'이라고도 한다. 공동(cavity)은 지질학적으로 지층 내에 생긴 빈 공간으로 다양한 형태와 분포가 불특정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포트홀(pot hole)은 도로포장체에 우수유입으로 인하여 도로 포장이 벗겨져 작은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다. 지반침하(ground settlement)는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지반이 넓은 면적이나 일정구간에서 자연적인 연약지반 또는 충분히 다짐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형성된 지반이 오랜 시간 동안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이다. 싱크홀(sinkhole)은 석회암, 석고, 암염 등의 지층이 지하수와 지표수의 화학적인 영향에 의하여 하부 지반이 유실되어 지표층까지 깔대기 모양 또는 원통 모양으로 붕괴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지반침하는 도로 지반 또는 철도 지반의 경우에도 매우 중요한 위험성으로 제기된다. 차량 또는 열차의 하중 혹은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철도의 지반 침하 혹은 도상 및 노반 등에 공동(空洞)이 생겨 추가 침하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철도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작업이 가능한 보강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침하된 지반을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을 통해 인양하고자 한다.
둘째, 침하된 지반 아래에 충전재로 기체 또는 액체를 사용하고자 한다.
셋째, 지반 아래에 주입된 기체를 필요시 액체로 교체하고자 한다.
넷째, 기체 충전재와 액체 충전재를 효과적으로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은 함몰부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된 천공 통로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A1 단계); 상기 천공 통로에 충전재 주입기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A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충전재 주입부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220)에 기체 충전재 또는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A3 단계); 및 상기 기체 충전재 또는 액체 충전재가 주입되면 팽창부가 팽창되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A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는 상기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충전재 주입부(210); 및 상기 충전재 주입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연성재질의 팽창부(220)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팽창부(220)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는 주입관(211)과 배출관(212)이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이며, 상기 주입관이 내관(X)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외관(Y)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보다 상기 주입관이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은 함몰부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된 천공 통로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B1 단계); 상기 천공 통로에 충전재 주입기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B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주입관(211)을 통해 충전재 주입부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에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3 단계); 및 상기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가 주입되면서 팽창부가 팽창되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B4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배출관(212)를 통해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배출하는 동시에, 주입관(211)를 통해 제2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5 단계); 상기 주입된 제2 액체 충전재가 응고되면서, 함몰부의 인양된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단계(B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는 상기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충전재 주입부(210); 및 상기 충전재 주입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연성재질의 팽창부(220)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팽창부(220)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는 주입관(211)과 배출관(212)이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이며, 상기 주입관이 내관(X)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외관(Y)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보다 상기 주입관이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함몰부가 돌출 지반의 지면인 때에는, 돌출 지반의 측면에 천공통로가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함몰부가 편평 지반의 지면인 때에는, 함몰부에 인접한 지반 아래에 작업홀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홀의 측면에 천공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1 단계 또는 B1 단계에서, 지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가 깊을수록 천공 통로의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천공 통로는 하나 이상의 직선 통로 및 하나 이상의 곡선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단계(A3 단계)의 액체 충전재는 시간이 경과되면 응고되는 물질 또는 시간이 경과되어도 응고되지 않는 물질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단계(B3 단계)의 제1 액체 충전재는 시간이 경과되어도 응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212)인 외관(Y)의 측면에는 배출공(21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침하된 지반 아래에 천공통로를 형성시키고, 천공통로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지반을 인양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침하된 지반이 돌출 지반 또는 편평 지반인 경우에도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최초 충전재를 기체로 하는 경우, 기체는 응고되지 않으므로 인양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한 후, 응고가능한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이중관 구조체로 된 충전재 주입부를 통해, 기체 충전재와 액체 충전체의 주입과 배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침하된 지반이 돌출 지반 상면인 경우의 공정 개념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로서, 천공터널의 길이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공정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방향으로 살펴본 공정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부로서,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침하된 지반이 편평 지반인 경우에, 작업홀을 형성하는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침하된 지반이 편평 지반인 경우에, 작업홀을 형성하지 않는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로서, 천공터널의 길이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공정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방향으로 살펴본 공정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부로서,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침하된 지반이 편평 지반인 경우에, 작업홀을 형성하는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침하된 지반이 편평 지반인 경우에, 작업홀을 형성하지 않는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특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은 크게 2가지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은 함몰부(20)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20)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110)된 천공 통로(100)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A1 단계); 상기 천공 통로(100)에 충전재 주입기(200)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A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의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충전재 주입부(210)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220)에 기체충전재 또는 액체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A3 단계); 및 상기 충전재(M)가 주입되면 팽창부(220)가 팽창되며, 팽창부(220)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A4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는 충전재가 기체 충전재 또는 액체 충전재인 실시예이다.
충전재가 기체 충전재인 경우, 기체는 응고되지 않으므로, 기체물질을 함몰부를 원하는 정도로 인양할 정도로 주입한 후, 기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충전재가 액체 충전재인 경우, 상기 액체 충전재는 시간이 경과되면 응고되는 물질 또는 시간이 경과되어도 응고되지 않는 물질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이 가능하다. 액체 충전재가 응고되지 않는 물질인 경우, 액체 충전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액체 충전재가 응고되는 물질인 경우, 응고된 후에는 배출되지 않을 것이므로, 별도의 밀폐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충전재가 응고되는 것이 인양상태 유지에 더욱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함몰부의 상태를 면밀히 고려하여 조치된 밀폐 충전재도 함몰부의 인양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은 함몰부(20)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20)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110)된 천공 통로(100)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B1 단계); 상기 천공 통로(100)에 충전재 주입기(200)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B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의 주입관(211)을 통해 충전재 주입부(210)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220)에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3 단계); 및 상기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가 주입되면서 팽창부(220)가 팽창되며, 팽창부(220)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20)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B4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의 배출관(212)을 통해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배출하는 동시에, 주입관(211)을 통해 제2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5 단계); 상기 주입된 제2 액체 충전재가 응고되면서, 함몰부의 인양된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단계(B6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는 최초 충전재가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이고, 나중에 최초 충전재가 제2 액체 충전재로 모두 교체되는 실시예이다. 최초 충전재는 함몰부의 정교한 인양을 위해 사용된다.
함몰부의 인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전재가 응고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다만, 함몰부의 인양 상태를 조정하는 과정에 충전재가 응고된다면 원하는 인양상태를 확보하기 곤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 제2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는 최초에는 응고되지 않는 충전재를 주입하여 함몰부의 인양 상태를 정확하게 확보하게 된다. 함몰 지형에 따라서, 최초 충전재를 주입하고 며칠을 지켜보면서 최초 충전재를 추가 주입 또는 일부 배출하면서 함몰부의 원하는 인양 상태를 확보한다.
원하는 인양상태가 확보되면, 최초 충전재를 배출시키면서, 동시에 응고가능한 제2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인양된 함몰부가 다시 함몰되지 않도록 동시에 교체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부에 응고가능한 제2 액체 충전제로 완전 교체된후 응고시키면 함몰부의 인양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재 주입기(200)는 상기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충전재 주입부(210); 및 상기 충전재 주입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연성재질의 팽창부(220)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팽창부(2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부(210)는 주입관(211)과 배출관(212)이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이며, 상기 주입관이 내관(X)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외관(Y)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보다 상기 주입관이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관(212)인 외관(Y)의 측면에는 배출공(21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체의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충전재가 주입 및 배출되는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에서 기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경우, 천공 통로 내부에는 일정한 기체가 이미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기존 기체 물질을 외관(Y)인 배출관(212)을 통해 배출시키고, 새로운 기체 충전재를 주입시킬 수도 있고, 기존 기체 물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입관(211)을 통해 새로운 기체 충전재를 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경우, 내관(X)인 주입관(211)에서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면서, 배출관(212)을 통해 천공 통로 내부에 있는 기체 물질(공기 등)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관(212)에 형성된 배출공(213)은 배출 효율을 증대시킬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주입관(211)을 통해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가 주입된다. 이 경우, 배출관(212)을 통해 천공 통로 내부의 기체 물질(공기 등)는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주입관(211)을 통해 제2 액체 충전재가 주입된다. 이 경우, 배출관(212)을 통해,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가 배출된다.
새로이 주입되는 제2 액체 충전재의 주입관(211)과 배출되는 제1 액체 충전재의 배출관(212)은 배치위치가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관(212)에 형성된 배출공(213)을 주입관(211)과 멀리 떨어지게 형성시키고, 또한, 제1 액체 충전재가 용이하게 배출될 정도의 크기로 배출공(213)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중관 구조체로 된 충전재 주입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하지반 인양방법이 용이하게 구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A1 단계 또는 B1 단계에서, 함몰부(20)가 돌출 지반(11)의 지면인 때에는, 돌출 지반(11)의 측면에 천공통로(10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돌출 지반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A1 단계 또는 B1 단계에서, 상기 함몰부(20)가 편평 지반(12)의 지면인 때에는, 상기 함몰부(20)에 인접한 지반 아래에 작업홀(30)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홀(30)의 측면에 천공 통로(10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작업홀(30)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A1 단계 또는 B1 단계에서, 지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가 깊을수록 천공 통로(100)의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천공 통로의 직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함몰된 깊이가 깊을수록, 지표면까지의 높이가 높으며, 따라서 인양할 높이도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천공 통로의 직경을 크게 하여, 주입되는 충전재가 많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통로 형성단계(A1 단계 또는 B1 단계)에서, 천공 통로(100)는 하나 이상의 직선 통로 및 하나 이상의 곡선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인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과 같이 1개의 직선 통로도 가능하고, 도 7과 같이 2개의 직선 통로도 가능하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함몰부의 인양에 적절하도록 통로가 직선통로과 곡선통로의 조합, 곡률이 다른 곡선통로의 조합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기(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충전재(M)가 충전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4b는 충전재(M)가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팽창부(220)에 충전되면서, 팽창부(220)가 팽창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c는 팽창부(220)가 주입되면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보다, 상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더 큰 것을 나타낸다. 팽창부의 하측은 큰 규모의 지반자체이고, 팽창부의 상측은 지표면과의 높이가 매우 높지는 않은,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지반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주입부로서,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반 11 : 돌출 지반
12 : 편평 지반
20 : 함몰부 30 : 작업홀
100 : 천공 통로 110 : 폐색 단부
200 : 충전재 주입기 210 : 충전재 주입부
211 : 주입관 212 : 배출관
213 : 배출공 220 : 팽창부
12 : 편평 지반
20 : 함몰부 30 : 작업홀
100 : 천공 통로 110 : 폐색 단부
200 : 충전재 주입기 210 : 충전재 주입부
211 : 주입관 212 : 배출관
213 : 배출공 220 : 팽창부
Claims (9)
- 삭제
- 함몰부에 인접한 지면에, 지면으로부터 함몰부 아래에 도달되는, 단부가 폐색된 천공 통로를 형성하는 천공통로 형성단계(B1 단계);
상기 천공 통로에 충전재 주입기를 삽입하는 주입기 삽입단계(B2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주입관(211)을 통해 충전재 주입부 단부에 결합된 팽창부에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3 단계); 및
상기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가 주입되면서 팽창부가 팽창되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함몰부가 상측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B4 단계);
상기 충전재 주입기의 배출관(212)을 통해 기체 충전재 또는 제1 액체 충전재를 배출하는 동시에, 주입관(211)을 통해 제2 액체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B5 단계);
상기 주입된 제2 액체 충전재가 응고되면서, 함몰부의 인양된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단계(B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주입기(200)는 상기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충전재 주입부(210); 및 상기 충전재 주입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천공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연성재질의 팽창부(220)를 가지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팽창부(220)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충전재 주입부(210)는 주입관(211)과 배출관(212)이 내관 및 외관으로 된 이중관 구조체이며, 상기 주입관이 내관(X)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외관(Y)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보다 상기 주입관이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상기 함몰부가 돌출 지반의 지면인 때에는, 돌출 지반의 측면에 천공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상기 함몰부가 편평 지반의 지면인 때에는, 상기 함몰부에 인접한 지반 아래에 작업홀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홀의 측면에 천공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지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가 깊을수록 천공 통로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공통로 형성단계에서, 천공 통로는 하나 이상의 직선 통로 및 하나 이상의 곡선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주입단계(B3 단계)의 제1 액체 충전재는 시간이 경과되어도 응고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12)인 외관(Y)의 측면에는 배출공(213)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지반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587 | 2018-05-25 | ||
KR20180059587 | 2018-05-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977A KR20190134977A (ko) | 2019-12-05 |
KR102078568B1 true KR102078568B1 (ko) | 2020-02-20 |
Family
ID=6900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7814A KR102078568B1 (ko) | 2018-05-25 | 2019-04-01 | 침하지반 인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856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4650A (ja) * | 2012-05-30 | 2012-09-27 | Ohbayashi Corp | 地盤補強構造、地盤補強構造の施工方法 |
KR101678950B1 (ko) * | 2016-06-23 | 2016-11-23 | 우경기술주식회사 | 말뚝을 활용한 구조물 보강복원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547B1 (ko) | 2010-10-07 | 2011-04-15 | 지산특수토건주식회사 | 동시 다단 지반강화제 주입장치 |
KR101178138B1 (ko) * | 2012-05-11 | 2012-08-29 | (주)협진건설 | 침하 된 노면 및 연약지반의 그라우팅 시공방법 |
-
2019
- 2019-04-01 KR KR1020190037814A patent/KR1020785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4650A (ja) * | 2012-05-30 | 2012-09-27 | Ohbayashi Corp | 地盤補強構造、地盤補強構造の施工方法 |
KR101678950B1 (ko) * | 2016-06-23 | 2016-11-23 | 우경기술주식회사 | 말뚝을 활용한 구조물 보강복원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977A (ko) | 2019-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70582B (zh) | 地下洞室内设置支撑柱的方法 | |
JP4097671B2 (ja) | 地盤注入工法 | |
KR101973697B1 (ko) |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631103B1 (ko) | 그라우트 백을 이용한 기둥구조체의 시공방법 | |
JP5289639B1 (ja) | 薬液注入工法及び薬液注入時の地盤中の薬液注入構造 | |
KR101859259B1 (ko) | 매입 중공파일의 주면 마찰력 증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78568B1 (ko) | 침하지반 인양 방법 | |
KR101461515B1 (ko) | 해안 양빈 시공용 친환경 구조체를 사용한 친환경 양빈 시공 방법 | |
CN106088591A (zh) | 带有凸起的混凝土工程变形缝垂直止水型腔模 | |
ES2331239T3 (es) | Mejora en el terreno. | |
JP6182804B1 (ja) | 地盤注入装置および地盤注入工法 | |
JP4067113B1 (ja) | 堤防の崩壊防止工法 | |
KR102028526B1 (ko) |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를 위한 충전재 주입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방법 | |
JP3889408B2 (ja) | 地盤注入工法および注入管装置 | |
JP5216477B2 (ja) | 地盤注入方法 | |
CN209010873U (zh) | 用于修复黄土路基的套管 | |
CN106087958A (zh) | 地基处理装置和地基处理的方法 | |
CN105908612A (zh) | 一种建筑道路维修装置及其补强方法 | |
KR101669108B1 (ko) | 연약지반 기초파일 시공방법 | |
CN102644266B (zh) | 一种采用劈裂锚杆桩加固桥台区域软土层路面的方法 | |
CN113622238B (zh) | 一种高速公路加宽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 |
JP5409302B2 (ja) | 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通水構造、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方法 | |
JP2000045260A (ja) | 耐震地山補強土工法 | |
CN104234039B (zh) | 一种钻孔灌注桩空孔部分填充物的置换装置及方法 | |
CN209482074U (zh) | 一种新旧拼接路基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