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09B1 - 복합 발포 용기 - Google Patents

복합 발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09B1
KR102077509B1 KR1020157033717A KR20157033717A KR102077509B1 KR 102077509 B1 KR102077509 B1 KR 102077509B1 KR 1020157033717 A KR1020157033717 A KR 1020157033717A KR 20157033717 A KR20157033717 A KR 20157033717A KR 102077509 B1 KR102077509 B1 KR 10207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am
foaming
reg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352A (ko
Inventor
겐타로 이치가와
노리오 아쿠자와
노부히사 고이소
히로키 이이노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36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 B29C49/6454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3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of foam material
    • B29C2049/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with closed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29K22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발포 셀(1)이 내부에 분포한 발포영역이 몸통부(23)에 형성되어 있는 발포 용기로서, 해당 발포영역은, 해당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L)가, 몸통부(23)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1 경사발포영역(A)과, 해당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L)가, 몸통부(23)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2 경사발포영역(B)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용기는,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고, 또한 높은 액 제거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외관 특성이나 내열성도 뛰어나다.

Description

복합 발포 용기{COMPOSITE FOAM CONTAINER}
본 발명은 기포가 분포하고 있는 용기벽을 갖는 발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용기는, 투명성, 내열성, 가스 차단성 등의 특성이 뛰어나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자원의 재이용이 강하게 요구되어,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용기에 관해서도 다 쓴 용기를 회수하여 리사이클 수지로서 여러 가지 용도로의 재이용이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포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대해서는, 빛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것,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음료, 의약품, 화장품 등은 안료 등의 착색제를 수지에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불투명 용기에 수용되어 제공된다. 그런데 자원의 재이용의 점에서는 착색제의 배합은 바람직하지 않고(리사이클 수지에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이 때문에 투명 용기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며, 따라서, 빛 변질성 내용물의 수용에 적합한 불투명성 용기에 대해서도 리사이클 적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착색제를 배합하지 않고 차광성(불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용기벽에 기포를 존재시켜 발포 용기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발포 플라스틱 용기에 관해서도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연신에 의해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는 발포 셀이 분포한 용기벽을 갖고 있고, 편평형상의 발포 셀의 용기 축방향(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용기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해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플라스틱 용기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9-234627호
상기 특허문헌 1의 발포 플라스틱 용기는, 내면측에 분포하고 있는 발포 셀이 미세하기 때문에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고, 또, 용기 내면의 평활성이 높기 때문에 액(液) 제거성(liquid-dispelling property)이 좋다(세정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지만, 반면, 용기 외면의 평활성이 낮기 때문에 외관 특성은 높지 않다. 또한 내면의 가열 온도가 낮게 설정되어 발포나 연신 성형이 실시되기 때문에(내면의 가열 온도를 높게 하면, 발포 셀이 커져 버린다), 용기 내면측의 내열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고, 또한, 높은 액 제거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외관 특성이나 내열성이 높아진 발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 셀이 내부에 분포한 발포영역이 몸통부(胴部)에 형성되어 있는 발포 용기로서, 해당 발포영역은, 해당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해당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2 경사발포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포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상기 발포 용기의 몸통부는, 용기 마우스부로 이어지고, 해당 마우스부로부터 바닥부(底部)로 감에 따라 내직경이 커지는 테이퍼(taper)부를 포함하고, 해당 테이퍼부에 상기 제 1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
(2) 상기 테이퍼부가 직통부(直胴部)로 이어지고 있고, 해당 직통부에 상기 제 2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
혹은
(3) 상기 테이퍼부는, 만곡한 숄더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해당 테이퍼부의 하부에는, 좁혀진 최소 직경부를 갖는 만곡 오목부가 이어져 있고, 해당 만곡 오목부에 상기 제 2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
(4) 블로우 성형 용기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용기 두께방향의 발포 셀의 셀 지름 분포가 완전히 반대로 되어 있는 경사 기울기를 갖는 2개의 경사발포영역이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즉,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전술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포 셀의 분포 구조에서는,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다. 용기 몸통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지는 방법이나 용기형상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용기 몸통부의 내면측이 굽힘 변형의 내측이 되는 변형을 한다. 굽힘 변형에 강한 발포체로 하려면, 발포체 전체적으로는 발포에 의한 두께 증가를 확보하면서도, 굽힘의 내측, 특히 내표면 근방의 발포도를 낮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왜냐하면, 인장력이 작용하는 굽힘의 외측보다, 압축력이 작용하는 굽힘의 내측에 있어서 발포 셀의 좌굴(座屈)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기의 몸통부의 내면측에 분포하고 있는 발포 셀의 지름이 작은 제 1 경사발포영역은, 이러한 변형에 대한 내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고, 높은 굽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뛰어난 내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 이 영역은, 용기 내면의 평활성이 높고, 따라서, 액 제거성이 좋으며, 뛰어난 세정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내용물을 충전하기에 앞서, 용기 내에 물을 공급하여 세정하는 작업이 실시되는데, 이때, 용기는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홀딩되고,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물이 용기 내에 분사되어 수세(水洗)가 실시된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내를 수세하는 경우, 용기 내의 액 끊어짐이 좋으므로, 물이 용기 내에 잔존하는 일 없이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경사발포영역에서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는 반대로,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다. 즉, 몸통부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은 가장 작은 축방향 길이를 갖고 있고, 이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영역에서는 용기의 외면이 평활성이 풍부하고, 따라서 뛰어난 외관 특성을 나타낸다.
또, 이 영역에서는, 몸통부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이 가장 큰 길이를 갖고 있다. 즉, 몸통부 내면측이 외면측에 비해 강하게 가열되어 발포가 실시되고 있고, 이 결과, 몸통부 내면에서의 내열성이 높고, 내면측에서의 열수축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내에 내용물을 고온으로 충전한 경우에 있어서도 열수축에 의한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용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경사발포영역은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고, 또한 액 제거성(세정성)이 뛰어나다는 특성을 나타내지만, 반면, 외관 특성이 낮고, 또한 내열성의 점에서는 불만족스럽다. 이것에 대해, 제 2 경사발포영역은 외관 특성이 높고, 뛰어난 내열성을 나타내지만, 액 제거성이나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불만족스럽게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정반대의 성질을 갖는 2개의 경사발포영역이 용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의 결점을 보완하고, 이들 발포영역의 면적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그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에 있어서의 제 1 경사발포영역의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에 있어서의 제 2 경사발포영역의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의 적합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프리폼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발포 프리폼에 있어서의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포 셀의 분포 구조>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에 있어서의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용기 몸통부벽(10)에는 발포 셀(1)이 분포하고 있고, 이들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발포 셀은 모두 편평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용기 몸통부가 되는 부분은 연신되어 있고, 이 연신에 의해, 본래 구형 혹은 구형에 가까운 형상의 발포 셀이 길게 늘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편평형상의 발포 셀이 두께방향으로 다중으로 서로 겹쳐 분포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높은 차광성이 몸통부벽(10)에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에 있어서는,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의 두께방향 분포가 도 1에 나타내는 경사 분포로 되어 있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도 2에 나타내는 경사 분포로 되어 있는 제 2 경사발포영역이, 용기 몸통부벽(10)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어진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용기 몸통부의 외면측으로부터 내면측으로 감에 따라 발포 셀(1)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L)(이하, 단지 셀 지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는 점차 작아지고 있어, 용기의 최외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은 가장 크고, 최내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은 가장 작다. 
이와 같은 셀 지름의 경사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내면이 높은 평활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액 제거성이 양호하고, 뛰어난 세정성을 나타낸다. 즉, 용기 내부에 물 등의 세정액(혹은 살균액)이 도입된 경우, 용기를 거꾸로 세움으로써 내부에 도입된 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경사 기울기의 경우에는, 용기 몸통부의 외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고, 높은 굽힘 강성을 나타낸다. 즉, 용기 몸통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용기 몸통부의 내면측에 압축 응력이 집중되므로, 외면측에 비해 기포벽이 좌굴하기 쉬워지지만,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이 내면측의 발포 셀 지름(L)이 가장 작고, 이 결과, 높은 굽힘 강성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반면, 외면측의 셀 지름(L)이 크기 때문에 외면의 평활성이 부족하고, 외관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 내열성이 낮고,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수축하기 쉽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즉, 용기는, 통상, 용기용의 프리폼을 형성하고, 이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으로 대표되는 연신 성형을 실시하여 용기 형상으로 부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용기에서는, 몸통부의 내면의 변형량이 외면에 비해 크고, 일그러짐이 많이 남아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발포 분포에서는, 몸통부 내면측의 셀 지름(L)이 가장 작아져 있다. 즉, 몸통부 내면측의 가열 온도가 낮게 조정되어 있다(가열 온도가 높으면 셀 지름(L)이 커진다). 이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발포영역에서는, 몸통부 내면측의 일그러짐을 완화하는 가열이 충분하지 않고, 이 때문에 내열성이 낮고, 몸통부 내면이 고온에 노출되면, 내면에서 큰 변형(수축)이 생기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경사발포영역과 함께 용기 몸통부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발포영역은,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의 셀 지름의 경사 기울기가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정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제 2 경사발포영역에서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최대 연신방향 길이)이, 몸통부벽(10)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어, 외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작고, 내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크다. 따라서, 이 제 2 경사발포영역은 제 1 경사발포영역과는 정반대의 성질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 경사발포영역에서는, 몸통부벽(10)의 외면에서의 평활성이 높고, 따라서 외관 특성이 뛰어나다. 한편, 몸통부벽(10)의 내면에서의 평활성은 낮고, 따라서 액 제거성(세정성)은 제 1 경사발포영역보다 뒤떨어진다.
또, 내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크기 때문에, 내면에서의 내열성은 높다. 즉, 발포 셀(1)을 크게 성장시키기 위해, 내면은 외면에 비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고, 이 결과, 내면측에서의 일그러짐이 완화되어 있고,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의 열수축이 유효하게 억제되게 된다. 반면, 용기 몸통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굽힘 강성에 대해서는 제 1 경사발포영역보다 뒤떨어진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제 2 경사발포영역은 서로 정반대의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제 2 경사발포영역이 몸통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이들 영역이 서로의 결점을 보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제 2 경사발포영역의 면적비나 이들 영역을 갖는 몸통부 형상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발포에 의한 결점이 유효하게 억제되어 그 이점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경사영역에 있어서는, 발포에 의한 차광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각 영역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킨다는 관점에서, 어느 쪽의 영역에 있어서도, 편평형상의 발포 셀의 셀 지름(L)의 최대값(Lmax)을 20~400㎛ 정도로 하고, 셀 지름(L)의 최소값(Lmin)을 100㎛ 이하 정도로 하며, 또한 몸통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겹치는 셀 수를 10~70개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복합 발포 용기>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상술한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갖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제 2 경사발포영역이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그 형태 등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형태(블로우 보틀)를 나타냈다.
도 3에 있어서, 이 복합 발포 용기(전체로서 30으로 나타낸다)는, 나사나 서포트 링 등을 구비한 마우스부(21), 몸통부(23) 및 바닥부(25)를 갖고 있고, 마우스부(21)는 발포되어 있지 않지만, 몸통부(23) 및 바닥부(25)는 전술한 편평형상의 발포 셀이 분포한 발포영역으로 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몸통부(23)는, 바닥부(25)로 이어지고 있는 직통부(23a)와, 직통부(23a)로 이어지고 또한 직통부(23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3b)를 갖고 있고, 이 테이퍼부(23b)의 상단에는 마우스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30)에 있어서는, 상기의 테이퍼부(23b)에 전술한 제 1 경사발포영역(A)이 형성되고, 직통부(23a)에는 전술한 제 2 경사발포영역(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경사발포영역(A)과 제 2 경사발포영역(B)의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양자 사이에는 중간영역(C)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중간영역(C)은, 후술하는 발포를 위한 가열 시에 제 1 경사발포영역(A)에서 제 2 경사발포영역에 걸쳐서 온도가 점차 변화해 가기 때문에 생기는 영역이다. 즉, 중간영역(C)에서는, 내면측에 위치하는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의 셀 지름(L)은 제 1 경사발포영역(A)으로부터 제 2 경사발포영역(B)을 향해 점차 커져 가고, 외면측에 위치하는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의 셀 지름(L)은 제 1 경사발포영역(A)으로부터 제 2 경사발포영역(B)을 향해 점차 작아져 간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에서는 직통부(23a)의 위쪽 부분이 중간영역(C)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복합 발포 용기(30)는 상술한 제 1 경사발포영역(A) 및 제 2 경사발포영역(B)의 결점이 유효하게 억제되어 이들 영역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퍼부(23b)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경사발포영역(A)에서는, 뛰어난 액 제거성과 외압에 대한 굽힘 강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있지만, 테이퍼부(23b)의 형태에 의해 제 1 경사발포영역(A)의 내열성이나 외관 특성의 낮음은 유효하게 완화되어 있다. 즉, 이 영역(A)에서의 내면(테이퍼부(23b)의 내면)이 고온에 노출되어 열수축이 생겼다 해도, 내면은 면적이 작고(즉, 연신 성형 시에 생기는 일그러짐이 작다) 또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수축에 의한 변형이 작고, 또한 해당 변형이 용기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하게 완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외관 특성의 낮음(평활성이 낮다)에 관해서도, 외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면의 평활성의 낮음이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 경사발포영역(A)의 외관 특성의 낮음은 유효하게 완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직통부(23a)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경사발포영역(B)에서는, 뛰어난 외관 특성이나 내면에서의 내열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있고, 제 1 경사발포영역(A)에서의 외관 특성이나 내열성의 낮음은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복합 발포 용기(30)에서는 유효하게 완화되어 있다. 따라서, 복합 발포 용기(30) 전체적으로 내열성이나 외관 특성은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열간 충전되어 용기 내면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라도, 그 열수축에 의한 변형 등의 곤란함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이 제 2 경사발포영역(B)은 직통부(23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면이 액 제거에는 적합한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경사발포영역(B)에서 문제가 되는 액 제거성의 낮음은 유효하게 완화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이 용기(30)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홀딩하여 물 등의 세정액을 공급해 세정을 실시한 경우에도, 세정액이 제 2 경사발포영역(B)의 내면에 부착 잔존하는 곤란함이 유효하게 억제되어 세정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제 1 경사발포영역(A)에서의 뛰어난 액 제거성과 합쳐져 복합 발포 용기(30) 전체적으로도 뛰어난 액 제거성을 나타낸다.
또, 제 2 경사발포영역(B)은 내외압성이 낮지만, 이러한 복합 발포 용기(30)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제 2 경사발포영역(B)이 형성되어 있는 직통부(23a)의 외면에, 폭이 좁은 우묵부(recessed portion)(27)를 무단(無端)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우묵부(27)로 둘러싸인 영역을 외압 흡수 패널(28)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우묵부(27)의 형성에 의해, 용기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용기 외면에 가하는 압력을 완화하여 내외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제 1 경사발포영역(A)이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3b)는 내외압성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복합 발포 용기(30) 전체적으로도 외압에 대해 높은 내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형태의 복합 발포 용기(30)에서는, 제 1 경사발포영역(A) 및 제 2 경사발포영역(B)의 특성이, 테이퍼부(23b)나 직통부(23a)의 형태와 조합되어, 복합 발포 용기(30) 전체적으로 효과적으로 발휘되게 된다.
이러한 복합 발포 용기(30)에 있어서, 테이퍼부(23b)의 형태, 직통부(23a)나 테이퍼부(23b)의 비율, 혹은 테이퍼부(23b)로 이어지는 몸통부의 형태는, 목적으로 하는 용기의 내용량이나 디자인에 따라, 각 특성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에서는, 마우스부(21)로 이어지는 테이퍼부(23b)는, 바닥부(25)측으로 감에 따라 내직경이 직선적으로 증대하고 있지만, 직경의 증대의 정도가 점차 작아지도록 만곡한 숄더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테이퍼부(23b)로 이어지는 부분을 직통부(23a)로 하지 않고, 이 부분을 만곡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형태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의 예에서는, 마우스부(21)로 이어지는 테이퍼부(23b)는 만곡한 숄더형상을 갖고 있다. 또, 이 숄더형상의 테이퍼부(23b)의 하부는, 만곡 오목부(23c)로 이어지고 있고, 이 만곡 오목부(23c)에는, 좁혀진 오목부(최소 직경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숄더형상의 테이퍼부(23b)에 제 1 경사발포영역(A)이 형성되고, 만곡 오목부(23c)에 제 2 경사발포영역(B)이 형성되며, 만곡 오목부(23c)의 상부에 중간영역(C)이 형성되게 된다. 
이 형태의 용기는, 특이한 외관을 갖고 있는 것에 더하여 쥐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 양태에서는 만곡 오목부(23c)의 만곡의 정도가 너무 커서 오목부(최소 직경부)(26)의 지름이 너무 작아지면, 굽힘 강성이나 액 제거성 등의 제 1 경사발포영역(A)의 특성이 손상되게 되므로, 그 만곡 정도는 적절한 범위로 해야 한다.
<복합 발포 용기의 제조>
상술한 제 1 경사발포영역 및 제 2 경사발포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는, 용기용의 수지를 사용하고, 불활성 가스가 함침되어 있는 수지용융물을 조제하여(가스함침 공정) 발포용의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용기용 프리폼을 형성하고(프리폼 성형 공정), 이어서 가열하여 발포 셀이 형성된 발포 프리폼을 얻고(발포 공정), 이 발포 프리폼을 연신 성형함(연신 성형 공정)으로써 형성된다.
용기용의 수지로는, 용기의 형태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혹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끼리의 랜덤 혹은 블록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비닐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폴리 유산 등 생분해성 수지; 이들 수지의 블렌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리사이클 적성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착색제나 개질제 등이 블렌드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이들 중에서도 용기 분야에서 종래부터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는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적합하고, 그 중에서도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본 발명의 이점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키는 데 있어서 최적이다.
가스함침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프리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의 수지혼련부(혹은 가소화부)에 있어서, 가열 용융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소정 압력으로 불활성 가스가 공급되고, 이것에 의해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수지용융물을 얻을 수 있다.
불활성 가스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탄산가스나 질소가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수지용융물의 온도나 가스 압력은, 도 1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이 원하는 개수로 형성되기에 충분한 양의 가스가 용해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이 온도가 높을수록 가스의 용해량은 적지만 함침 속도는 빠르고, 온도가 낮을수록 가스의 용해량은 많지만 함침에는 시간이 걸리게 되고, 또, 가스압이 높을수록 가스 용해량은 많아지며, 따라서, 발포 셀(1)의 개수가 많아진다.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프리폼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 공간을 갖는 성형형(成形型) 내에 수지용융물이 충전되고, 성형형에서 냉각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형상의 프리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내어진 형태의 복합 발포 용기(30)를 성형하기 위한 프리폼을 예로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프리폼(50)은 전체적으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에 나사나 서포트 링을 구비한 마우스부(41)(도 3의 마우스부(21)와 동일하다)를 갖고 있으며, 이 마우스부(41)가 연신 성형부(43)(도 3의 몸통부(23) 및 바닥부(25)가 되는 부분)로 이어지고 있다.
성형형 내로의 사출 충전은, 이 시점에서 발포가 생기지 않도록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성형형 내를 가압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스함침 수지용융물을 충전하는 카운터프레셔(counter-pressure) 방식이 채용되고, 또한 보압(保壓)을 걸면서 성형형 내에 수지용융물이 충전된다. 이러한 카운터프레셔 방식이나 보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9-262550호나 일본국 특개 2008-944495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조하기 바란다.
즉, 카운터프레셔 방식은, 미리 형(型) 내에 공기 등을 충전하여 형 내를 가압 상태로 유지해 두고, 이러한 가압 상태로 유지된 가스함침 수지용융물을 충전함으로써, 프리폼 표면에서의 발포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즉, 프리폼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가스함침 수지용융물이 도입되는데, 형 내를 가압 상태로 유지해 두지 않으면 형 내 공간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해 수지 내에 충전된 가스가 팽창하면서 수지용융물이 흘러가게 된다. 즉, 수지용융물은 표면에서 파포(破泡)하면서 성형형 내를 흘러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성형형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표면의 파포가 스월마크(swirl mark)가 되어 프리폼의 표면에 발현해 버리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용기에도 나타나 버려, 용기의 외관을 손상시켜 버린다. 그런데, 성형형 내를 가압 상태로 유지해 두면, 성형형 내 공간과의 압력차에 의한 수지에 용해하고 있는 가스의 팽창(즉, 파포)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스월마크 등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운터프레셔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형 내를 가압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가스를 수지용융물의 충전에 따라 형 밖으로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마우스부(41)에 대응하는 성형형의 표면에 블라스트 처리 등의 조면(粗面) 가공을 실시하거나, 성형되는 마우스부(41)의 나사부에 얕은 홈이 형성되도록 성형형의 표면 형상을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 내에 가스가 잔존하고 있으면, 이 가스에 의해 프리폼의 마우스부(41)의 형상이 무너져 버려, 마우스부(41)에 형성되는 나사 등의 기능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 보압은, 성형형 내에 과잉의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수지압에 의해 발포(수지용융물에 용해하고 있는 가스의 팽창)를 방지한다는 수법이다. 즉, 소정량의 수지용융물을 성형형 내에 사출한 후, 더욱 사출을 계속하여, 형 내의 수지용융물을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압 및 상기의 카운터프레셔법에 의해 성형형 내에 가스함침 수지용융물을 사출 충전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어져 있는 형상의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압의 정도나 보압 시간 등은, 예를 들면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프리폼의 경량화율이 5% 이내, 특히 0%가 되도록 설정된다.
경량화율 = [(M0-M1)/M0]×100
식 중,
M0는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지 않고 휨, 싱크마크, 뒤틀림 등의 성형 불량이 없도록 사출함으로써 얻어진 프리폼의 중량을 나타내고,
M1은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켜 얻어진 가스함침 프리폼의 중량을 나타낸다.
즉, 보압 압력을 크게 할수록 경량화율은 저하하고, 또, 보압 시간을 길게 할수록 경량화율은 낮아지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수지용융물속으로의 가스함침량에 따라 보압 압력이나 보압 시간을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포를 위한 가스가 함침하고 있는 용기용의 프리폼(50)을 얻음으로써, 후단의 발포 공정에 의해 생성하는 발포 셀의 분포 구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사발포영역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이나 도 4와 같은 보틀 형태의 복합 발포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프리폼의 형태는 도 5(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은 시험관 형상이지만, 복합 발포 용기(30)의 형태가 컵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프리폼(50)의 형태는 원반 형상 혹은 그릇 형상의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성형된 용기용 프리폼(50)은, 이 단계에서는 실질상 비발포 상태에 있고, 다음 공정에서 발포가 실시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이 발포 공정에서는, 프리폼(50)의 마우스부(41)를 제외한 부분, 즉 연신 성형부(43)를 유리 전이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실시되고, 이러한 가열에 의해, 수지중에 용해하고 있는 불활성 가스의 내부 에너지(자유에너지)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어 상(相)분리가 일어나, 기포로서 수지와 분리하기 위해 발포가 생기게 된다. 또한, 이 가열 온도는, 당연히, 발포 프리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융점 이하(예를 들면 수지가 PET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하)로 한다. 이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가열 후 급격하게 발포하기 때문에 셀 지름의 제어가 어려워지고, 외관도 악화되며, 또한 연신 성형 부분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블로우 성형 등의 연신 성형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30)에서는, 테이퍼부(23b)에 제 1 경사발포영역(A)이 형성되고, 직통부(23a)(혹은 만곡 오목부(23c))에는 제 2 경사발포영역(B)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발포 공정에서는, 프리폼(50)의 연신 성형부(43)를 상기의 경사발포영역(A, B)에 대응하는 발포 셀이 형성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제 1 경사발포영역(A)에서는, 외면측의 발포 셀이 큰 셀 지름(L)을 갖고, 내면측의 발포 셀의 셀 지름(L)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 테이퍼부(23b)에 대응하는 부분(프리폼(50)의 마우스부(41)측)을 외면측에서부터 선택적으로 가열한다. 한편, 제 2 경사발포영역(B)에서는, 내면측의 발포 셀이 큰 셀 지름(L)을 갖고, 외면측의 발포 셀의 셀 지름(L)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직통부(23a)(혹은 만곡 오목부(23c))에 대응하는 부분(프리폼(50)의 바닥부측)을 내면측에서부터 선택적으로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거꾸로 세운 상태의 미발포 프리폼(50)의 마우스부(41)를 냉각 홀더(45)에 의해 홀딩하면서, 이 냉각 홀더(45)를 통해 가열용 로드(47)를 삽입한다. 이 가열용 로드(47)는, 선단에 철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47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분을 직통부(23a)가 되는 연신 성형부(43)의 상부(바닥부 근방) 내면에 위치시킨다. 한편, 거꾸로 세운 상태로 홀딩되어 있는 미발포 프리폼(50)의 연신 성형부(43)의 테이퍼부(23b)가 되는 부분(마우스부(41)의 근방)의 외면측에는 적외선 히터(49) 등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50)을 회전하면서, 가열용 로드(47)의 고주파 가열부(47a)에 의해 프리폼(50)의 내면측에서 가열하는 동시에, 적외선 히터(49)에 의해 프리폼(50)의 외면측에서 가열함으로써, 마우스부(41)에서의 발포를 회피하면서, 연신 성형부(43)의 테이퍼부(23b)가 되는 부분에는 연신에 의해 도 1에서 나타내는 발포 분포가 되는 분포 상태의 발포 셀이 형성되고, 연신 성형부(43)의 직통부(23a)(혹은 만곡 오목부(23c))가 되는 부분에는 연신에 의해 도 2에서 나타내는 발포 분포가 되는 분포 상태의 발포 셀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가열에 의해, 프리폼(50)의 연신 성형부(43)의 내부에는 발포 셀(60)이 형성되지만, 이러한 발포 셀(60)은 연신 전으로, 길게 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구형 혹은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갖고 있다. 이하, 이 발포 셀(60)을 구상(球狀) 발포 셀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연신 성형부(43)의 테이퍼부(23b)가 되는 부분에서는, 상술한 외면측에서의 가열에 의해, 도 6(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구상 발포 셀(60)의 지름(원 상당 지름)은 외면측이 가장 크고, 외면측으로부터 내면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또, 연신 성형부(43)의 직통부(23a)(혹은 만곡 오목부(23c))가 되는 부분에서는, 도 6(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내면측에서의 가열에 의해 구상 발포 셀(60)의 지름은 내면측이 가장 크고,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즉, 발포 셀의 생성은 적외선의 산란이나 전열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외면측에서 가열한 경우에는 내면측의 온도가 외면측에 비해 낮아지고, 내면측에서 가열한 경우에는 외면측의 온도가 내면측에 비해 낮아진다는 온도의 경사 분포가 현저해지고, 이러한 온도의 경사 분포에 의해 상기와 같은 구상 발포 셀(60)의 셀 지름의 경사 분포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47a)에 의해 내면측에서 가열되는 부분과, 적외선 히터(49)에 의해 외면측에서 가열되는 부분의 사이는, 전술한 중간영역(C)에 대응하는 부분(중간부분)이 된다. 즉, 이 중간부분에서는, 연신 성형부(43)의 내면측에 있어서, 구상 발포 셀(60)의 셀 지름이 내면측에서 가열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면측에서 가열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작아져 가고, 연신 성형부(43)의 외면측에 있어서, 구상 발포 셀(60)의 셀 지름이 내면측에서 가열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면측에서 가열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커져 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우스부(41)를 제외한 영역에서, 구상 발포 셀(60)의 셀 밀도는, 통상, 105 내지 1010cells/cm3 정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좋고, 또한 외면측에서 가열되는 부분(제 1 경사발포영역(A)에 대응하는 영역) 및 내면측에서 가열되는 부분(제 2 경사발포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구상 발포 셀(60)의 셀 지름(원 상당 지름)의 최대값은 30~80㎛ 정도로 하고, 셀 지름의 최소값은 30㎛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연신 성형된 용기에서의 차광성이나 제 1 및 제 2 경사발포영역(A, B)에서의 각종 특성을 밸런스 좋게 발현시키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방법에 의해 발포된 프리폼(50)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 시의 발포가 유효하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셀 밀도, 셀 지름의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정밀도 좋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를 위한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하면, 불활성 가스의 용해량이 많을수록 셀 밀도를 높게 하고, 또 구상 발포 셀(60)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용해량이 적은수록 셀 밀도는 작고, 구상 발포 셀(60)의 지름은 커진다. 또, 구상 발포 셀(60)의 지름은, 당연히, 발포를 위한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크고, 가열 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지며, 가열 시간이 길수록 크고, 가열 시간이 짧을수록 작다. 이들을 이용하여 각종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셀 밀도, 셀 지름의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열에 의해 발포한 프리폼(50)을 얻은 후에는, 이것을 연신 성형함으로써, 프리폼(50)의 연신 성형 부분이 용기의 몸통부 및 바닥부의 형태로 부형 되어,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한 프리폼(50)을, 소정의 블로우 금형 내에 배치하고, 연신 로드를 신장시켜 해당 프리폼을 연신시키면서, 해당 프리폼 내에 에어나 질소 등의 가압 가스를 불어넣어 팽창 연신시킴으로써, 도 3 혹은 도 4에 나타내는 보틀 형태로 부형된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30)를 얻을 수 있다.
이 블로우 성형의 가공 온도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점 미만의 온도이다. 따라서, 상기 발포 공정에 연속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할 수 있다. 발포 공정에서 얻어진 발포한 프리폼(50)은 가공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블로우 성형에서는, 용기벽과 함께 구상 발포 셀(60)도 길게 늘어지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연신방향으로 셀 지름이 긴 편평형상의 발포 셀(1)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포를 위한 가열이 외면측에서 실시된 부분(예를 들면 도 3의 테이퍼부(23b))에서는,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제 1 경사발포영역(A)이 되고, 용기 몸통부의 외면측으로부터 내면측으로 감에 따라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점차 작아지고 있어, 용기의 최외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크고, 최내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작아진다.
또, 발포를 위한 가열이 내면측에서 실시된 부분(예를 들면 도 3의 직통부(23a) 혹은 도 4의 만곡 오목부(23c))에서는,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제 2 경사발포영역(B)이 되고, 용기 몸통부의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감에 따라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점차 작아지고 있어, 용기의 최내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크고, 최외면측에 위치하는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가장 작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로우 성형 시에는, 용기벽 외면에서는 블로우 금형과 접촉하여 냉각 고화되어, 면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셀은 그대로의 형상으로 고정되지만, 용기벽의 내면측에서는, 온도가 높은 수지중에 분포하고 있는 셀에 블로우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 블로우압에 의해 편평형상으로 길게 늘어진 발포 셀(1)이 찌부러져 버린다. 이 결과, 용기의 최내면측의 발포 셀(1)의 셀 지름(L)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술한 구상 발포 셀(60)의 셀 지름을 컨트롤할 때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면측의 셀 지름(L)이 작아지는 경향을 고려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도 2에 나타내는 제 2 경사발포영역이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복합 발포 용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보틀 형태의 복합 발포 용기(3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신 성형 공정에 대해서는, 대표적인 블로우 성형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컵 형상의 용기를 얻기 위한 진공 성형,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에 있어서도, 발포를 위한 프리폼의 연신 성형부의 가열을 내면측에서 실시하는 영역과 외면측에서 실시하는 영역으로 분배해 둠으로써,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성형된 몸통부에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제 2 경사발포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1: 편평형상 발포 셀 10: 몸통부벽
21: 마우스부 23: 몸통부
23a: 직통부 23b: 테이퍼부
23c: 만곡 오목부 25: 바닥부
26: 오목부(최소 직경부) 28: 외압 흡수 패널
30: 복합 발포 용기 43: 연신 성형부
47a: 고주파 유도 가열부 49: 적외선 히터
50: 프리폼 60:구상 발포 셀

Claims (5)

  1. 발포 셀이 내부에 분포한 발포영역이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발포 용기로서, 상기 발포영역은, 상기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최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최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1 경사발포영역과, 상기 발포 셀의 최대 연신방향 길이가, 몸통부의 최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최외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경사 분포를 갖는 제 2 경사발포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용기의 몸통부는 용기 마우스부로 이어지고, 상기 마우스부로부터 바닥부로 감에 따라 내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부에 상기 제 1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발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가 직통부로 이어지고 있고, 상기 직통부에 상기 제 2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발포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만곡한 숄더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에는, 좁혀진 최소 직경부를 갖는 만곡 오목부가 이어져 있으며, 상기 만곡 오목부에 상기 제 2 경사발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발포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우 성형 용기인, 복합 발포 용기.
KR1020157033717A 2013-05-02 2014-04-25 복합 발포 용기 KR10207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6759 2013-05-02
JP2013096759A JP6212932B2 (ja) 2013-05-02 2013-05-02 複合発泡容器
PCT/JP2014/061712 WO2014178346A1 (ja) 2013-05-02 2014-04-25 複合発泡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998A Division KR20180021245A (ko) 2013-05-02 2014-04-25 복합 발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52A KR20160004352A (ko) 2016-01-12
KR102077509B1 true KR102077509B1 (ko) 2020-02-14

Family

ID=518434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717A KR102077509B1 (ko) 2013-05-02 2014-04-25 복합 발포 용기
KR1020187004998A KR20180021245A (ko) 2013-05-02 2014-04-25 복합 발포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998A KR20180021245A (ko) 2013-05-02 2014-04-25 복합 발포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84851B2 (ko)
EP (1) EP2993144B1 (ko)
JP (1) JP6212932B2 (ko)
KR (2) KR102077509B1 (ko)
CN (1) CN105164024B (ko)
CA (1) CA2909794C (ko)
MX (1) MX2015015106A (ko)
WO (1) WO20141783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504A (ko) * 2017-02-23 2023-02-0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용기에 맥주를 충전한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5918S1 (en) * 2014-12-31 2020-06-02 Ingo Schröder Insulating bott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6994A1 (en) * 2008-03-27 2010-12-30 Toyo Seikan Kaisha, Ltd. Stretched and foa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3047262A1 (ja) * 2011-09-30 2013-04-04 東洋製罐株式会社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385B2 (ja) * 2004-11-01 2012-02-15 三菱化学株式会社 樹脂製中空成形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07867A1 (ja) 2005-07-13 2007-01-18 Toyo Seikan Kaisha, Ltd. パール調外観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3109B2 (ja) * 2006-05-30 2012-01-11 東洋製罐株式会社 樹脂一体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414162B2 (ja) * 2006-09-12 2014-02-12 東洋製罐株式会社 遮光性プラスチック容器
JP5018593B2 (ja) 2008-03-27 2012-09-05 東洋製罐株式会社 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JP5584987B2 (ja) 2008-03-31 2014-09-10 東洋製罐株式会社 非発泡ガス含浸成形体及び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JP5929082B2 (ja) * 2011-09-30 2016-06-01 東洋製罐株式会社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8927B1 (ko) 2012-04-23 2016-09-22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연신 플라스틱 보틀
JP6167638B2 (ja) * 2012-04-23 2017-07-26 東洋製罐株式会社 遮光性と鏡面光沢性とに優れた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ボト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6994A1 (en) * 2008-03-27 2010-12-30 Toyo Seikan Kaisha, Ltd. Stretched and foa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3047262A1 (ja) * 2011-09-30 2013-04-04 東洋製罐株式会社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504A (ko) * 2017-02-23 2023-02-0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용기에 맥주를 충전한 제품
KR102657860B1 (ko) 2017-02-23 2024-04-1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용기에 맥주를 충전한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3144A4 (en) 2017-01-18
MX2015015106A (es) 2016-02-11
KR20160004352A (ko) 2016-01-12
WO2014178346A1 (ja) 2014-11-06
CA2909794C (en) 2016-11-22
US10384851B2 (en) 2019-08-20
US20160083167A1 (en) 2016-03-24
EP2993144B1 (en) 2018-04-04
CA2909794A1 (en) 2014-11-06
CN105164024B (zh) 2017-04-12
JP2014218259A (ja) 2014-11-20
KR20180021245A (ko) 2018-02-28
CN105164024A (zh) 2015-12-16
EP2993144A1 (en) 2016-03-09
JP6212932B2 (ja)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8593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KR101233002B1 (ko)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9283697B2 (en) Stretched and foa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584987B2 (ja) 非発泡ガス含浸成形体及び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US9290287B2 (en) Foamed and stretched plastic contain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3161813A1 (ja)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929082B2 (ja)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7509B1 (ko) 복합 발포 용기
JP2007320082A (ja) 樹脂一体成形体の製造方法
JP5239479B2 (ja) 部分発泡共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部分発泡共射出成形体
JP5929101B2 (ja) 発泡樹脂成形品
JP5929085B2 (ja) 発泡延伸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7638B2 (ja) 遮光性と鏡面光沢性とに優れた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6163850B2 (ja)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13075531A (ja) 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7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20

Effective date: 20191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