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428B1 - 반죽기 - Google Patents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28B1
KR102077428B1 KR1020190099202A KR20190099202A KR102077428B1 KR 102077428 B1 KR102077428 B1 KR 102077428B1 KR 1020190099202 A KR1020190099202 A KR 1020190099202A KR 20190099202 A KR20190099202 A KR 20190099202A KR 102077428 B1 KR102077428 B1 KR 10207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kneading
doug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연
황성수
Original Assignee
황주연
황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황성수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19009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4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inclined rotating mixing arms or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통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는 상기 대차(60)를 이용하여 반죽통(30)을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무거운 반죽통(3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죽기{kneader}
본 발명은 반죽통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빵공장에서 밀가루를 반죽할 때 사용되는 반죽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21)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죽통(3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통(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반죽통(30)에 투입된 밀가루를 반죽하는 반죽유닛(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12)의 하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본체(10)의 수직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승강블록(22)의 전면에서 전방 양측으로 연장된 U자 형태의 지지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간부는 상기 승강블록(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21a)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21a)에 연결된 핸들(21b)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핸들(21b)을 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1a)가 정역회전되어 상기 지지대(2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반죽통(3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측면이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올려지는 지지판(31)과,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의 양측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관통공(31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41)과,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1)이 상기 고정핀(41)에 결합되도록 반죽통(30)을 상기 지지대(20)에 올려놓은 후, 상기 고정바(42)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판(3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상기 지지판(31)이 고정핀(41)과 고정바(4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반죽유닛(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연장부(13)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형성된 회전축(51)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에 상기 회전축(5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링기어(53)와, 상기 회전축(51)의 연장부(51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링기어(5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4a)가 구비된 구동축(54)과,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교반후크(55)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후크(55)는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통(30)을 상기 지지대(20)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반죽통(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의 핸들(21b)을 회전시켜 상기 반죽통(30)의 내부 바닥면과 교반후크(55)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대(20)를 상승시켜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죽통(30)의 내부에 적정량의 밀가루와 물 등을 투입하고, 상기 구동모터(52)로 회전축(51)을 회전시키면, 상기 링기어(53)와 구동기어(54a)의 작용에 의해 구동축(54)과 교반후크(55)가 회전되면서, 교반후크(55)가 위성운동과 자전운동을 혼합한 형태로 회전되면서 밀가루와 물을 교반하여 밀가루반죽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밀가루반죽이 되면,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의 핸들(21b)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대(20)와 반죽통(30)이 하강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바(42)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수단(4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손잡이(32)를 손으로 잡고 반죽통(30)을 들어내어 이동시킨 후, 상기 반죽통(30) 내부의 반죽을 꺼내어 빵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빵공장에서 사용되는 반죽기는 상기 반죽통(30)의 크기가 매우 크고, 내부에 담겨진 밀가루반죽의 양이 많아서, 작업자가 반죽통(30)을 들어서 이동할 경우,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2669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죽통(3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반죽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21)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죽통(3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통(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반죽통(30)에 투입된 밀가루를 반죽하는 반죽유닛(50)을 포함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3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대차(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60)는 하측면에 복수개의 캐스터(62)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반죽통(3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63)가 구비된 받침대(61)와, 상기 받침대(6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손잡이(64)를 포함하여, 상기 대차(60)를 상기 반죽통(30)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수단(4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을 조작하여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키면, 상기 반죽통(30)이 상기 받침대(61)의 상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본체(10)의 수직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승강블록(22)의 전면에서 전방 양측으로 연장된 U자 형태의 지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통(30)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올려지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지지판(3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지지대(20)의 양측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관통공(31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43)과, 상기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회전축(44)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회전축(44)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바(4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회동축(46a)에 의해 상기 지지부(23)의 하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6)와, 상기 회전축(44)과 회동축(46a)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치합되는 제1 및 제2 베벨기어(47,48)와,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9)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60)는 중앙부에 상기 반죽통(30)이 삽입되는 관통공(65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63)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형상의 지지판(6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45)가 상기 지지판(3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키면,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판(65)의 상면에 걸려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44)과 고정바(45)가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판(31)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죽유닛(50)은 상기 본체(10)의 연장부(13)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형성된 회전축(51)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에 상기 회전축(5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링기어(53)와, 상기 회전축(51)의 연장부(51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링기어(5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4a)가 구비된 구동축(54)과,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교반후크(55)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54)의 내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공간부(54b)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후크(55)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되는 연결챔버(55a)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챔버(55a)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구(55b)가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의 공간부(54b)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챔버(55a)의 내부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교반후크(55)를 냉각시키는 냉기공급수단(70)과, 상기 교반후크(55)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0)와, 상기 온도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는 상기 대차(60)를 이용하여 반죽통(30)을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무거운 반죽통(3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죽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반죽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반죽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반죽기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대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의 대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의 고정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21)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죽통(3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통(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반죽통(30)에 투입된 밀가루를 반죽하는 반죽유닛(5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수직부(12)의 하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본체(10)의 수직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승강블록(22)의 전면에서 전방 양측으로 연장된 U자 형태의 지지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간부는 상기 승강블록(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21a)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21a)에 연결된 핸들(21b)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핸들(21b)을 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1a)가 정역회전되어 상기 지지대(2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반죽통(3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측면이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올려지는 지지판(31)과,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지지부(23)의 양측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관통공(31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41)과,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42)로 구성된다.
상기 반죽유닛(50)은 상기 본체(10)의 연장부(13)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형성된 회전축(51)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에 상기 회전축(5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링기어(53)와, 상기 회전축(51)의 연장부(51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링기어(5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4a)가 구비된 구동축(54)과,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교반후크(55)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후크(55)는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죽통(3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대차(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대차(60)는 하측면에 복수개의 캐스터(62)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반죽통(3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63)가 구비된 받침대(61)와, 상기 받침대(6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손잡이(64)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61)는 금속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6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61)의 상면에 상호 90ㅀ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반죽통(30)의 하측 둘레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반죽통(30)을 상기 지지리브(63)의 사이에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64)는 일측의 지지리브(63)의 외측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64)를 잡고 대차(6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60)를 상기 반죽통(30)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바(42)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수단(4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을 조작하여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키면, 상기 반죽통(30)이 상기 받침대(61)의 상면, 즉, 상기 지지리브(63)에 지지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더욱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핀(41)이 지지판(31)의 관통공(31a) 하측으로 이탈되며, 작업자가 상기 대차(60)의 손잡이(64)를 밀어 반죽통(30)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죽기는 상기 대차(60)를 이용하여 반죽통(30)을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무거운 반죽통(3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지지대(20)의 양측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관통공(31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43)과, 상기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회전축(44)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회전축(44)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바(4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회동축(46a)에 의해 상기 지지부(23)의 하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6)와, 상기 회전축(44)과 회동축(46a)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치합되는 제1 및 제2 베벨기어(47,48)와,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45)는 상기 회동바(46)가 상기 탄성부재(49)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지지대(20)에 올려진 반죽통(30)의 지지판(31)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방향조절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9)에 의해 상기 회동바(46)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바(45)는 상기 지지판(31)의 상면에 위치되어 지지판(31)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46)를 선단부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베벨기어(47,48)의 작용에 의해 회동바(46)가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바(45)가 상기 지지판(31)의 상면에서 측방향으로 이탈되어, 지지판(31)의 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상기 대차(60)는 중앙부에 상기 반죽통(30)이 삽입되는 관통공(65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63)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형상의 지지판(65)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죽통(30)의 지지판(31)이 고정핀(43)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2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를 상승시키면, 상기 탄성부재(49)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동바(46)가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45)가 지지판(31)의 상측으로 회동되어, 지지판(31)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반죽통(30)의 내부에 물과 밀가루를 투입하고, 상기 반죽유닛(50)을 이용하여 밀가루반죽을 만든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60)를 상기 반죽통(3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대(20)를 하강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상기 대차(60)의 지지판(65) 상면에 걸려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45)가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판(31)의 상측에서 이탈됨으로써, 지지판(31)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죽통(30)이 상기 지지리브(63)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를 더욱 하강시켜 지지판(31)이 고정핀(43)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상기 대차(60)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반죽통(30)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4)의 내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공간부(54b)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후크(55)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되는 연결챔버(55a)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챔버(55a)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구(55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의 공간부(54b)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챔버(55a)의 내부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교반후크(55)를 냉각시키는 냉기공급수단(70)과, 상기 교반후크(55)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0)와, 상기 온도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은 급기관(72)을 통해 상기 공간부(54b)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급기관(72)의 중간부에 구비된 냉각장치(73)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서(7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냉각장치(73)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냉각되고,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챔버(55a)로 공급되어 상기 교반후크(55)를 차갑게 냉각시킨 후, 상기 배기구(55b)를 통해 교반후크(55)의 둘레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통(30)의 내부에 밀가루와 물을 공급한 후 상기 반죽유닛(50)을 이용하여 밀가루 반죽을 만들 때, 상기 교반후크(55)가 차갑게 냉각될 뿐 아니라, 교반후크(55)의 둘레부로 차가운 공기가 배출되어, 밀가루반죽이 차갑게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80)는 상기 교반후크(55)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공급수단(70)에 의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교반후크(55)가 냉각되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8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교반후크(55)가 일정한 온도로 냉각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죽기는 상기 대차(60)를 반죽통(30)의 하측에 배치하고, 지지대(20)를 하강시켜 반죽통(30)이 대차(60)에 안착되도록 하면 자동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킬 때, 고정수단(40)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대(20)를 과도하게 하강시킴으로써, 고정수단(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죽유닛(50)을 이용하여 밀가루반죽을 만들 때,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을 이용하여 교반후크(55)를 냉각시키고, 교반후크(55)의 둘레부로 차가운 공기를 배출함으로, 밀가루반죽이 냉각되도록 한다.
따라서, 여름철에 밀가루반죽을 할 때, 밀가루반죽의 온도가 상승되어 밀가루반죽이 과발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챔버(55a)로 공급되어 교반후크(55)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배기구(55b)를 통해 교반후크(55)의 둘레부로 배출됨으로, 밀가루반죽의 온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밀가루반죽이 교반후크(55)의 둘레면에 달라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지지대
30. 반죽통 40. 고정수단
50. 반죽유닛 60. 대차
70. 냉기공급수단 80. 온도센서
90. 제어수단

Claims (3)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21)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죽통(3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통(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반죽통(30)에 투입된 밀가루를 반죽하는 반죽유닛(50)을 포함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3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대차(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60)는
    하측면에 복수개의 캐스터(62)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반죽통(3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63)가 구비된 받침대(61)와,
    상기 받침대(6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손잡이(64)를 포함하여,
    상기 대차(60)를 상기 반죽통(30)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수단(4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21)을 조작하여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키면, 상기 반죽통(30)이 상기 받침대(61)의 상면에 올려지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본체(10)의 수직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승강블록(22)의 전면에서 전방 양측으로 연장된 U자 형태의 지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통(30)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의 상면에 올려지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지지판(3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지지대(20)의 양측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관통공(31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43)과,
    상기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회전축(44)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회전축(44)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바(4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회동축(46a)에 의해 상기 지지부(23)의 하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6)와,
    상기 회전축(44)과 회동축(46a)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치합되는 제1 및 제2 베벨기어(47,48)와,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9)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60)는 중앙부에 상기 반죽통(30)이 삽입되는 관통공(65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63)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형상의 지지판(6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45)가 상기 지지판(3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와 반죽통(30)을 하강시키면, 상기 회동바(46)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판(65)의 상면에 걸려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44)과 고정바(45)가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판(31)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유닛(50)은 상기 본체(10)의 연장부(13)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형성된 회전축(51)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에 상기 회전축(5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링기어(53)와, 상기 회전축(51)의 연장부(51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링기어(5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4a)가 구비된 구동축(54)과, 종동축의 하단에 구비되며 교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교반후크(55)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54)의 내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공간부(54b)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후크(55)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되는 연결챔버(55a)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챔버(55a)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구(55b)가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의 공간부(54b)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54b)와 연결챔버(55a)의 내부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교반후크(55)를 냉각시키는 냉기공급수단(70)과,
    상기 교반후크(55)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후크(5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0)와,
    상기 온도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기공급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KR1020190099202A 2019-08-14 2019-08-14 반죽기 KR102077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02A KR102077428B1 (ko) 2019-08-14 2019-08-14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02A KR102077428B1 (ko) 2019-08-14 2019-08-14 반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428B1 true KR102077428B1 (ko) 2020-02-13

Family

ID=695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02A KR102077428B1 (ko) 2019-08-14 2019-08-14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30U (ko) 2020-06-22 2021-12-29 박창화 부침개용 밀가루 반죽기
KR102645336B1 (ko) * 2023-03-17 2024-03-07 배순재 반죽 공급통을 적용하는 조리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788A (ja) * 1997-07-17 2001-01-23 プリ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エル エル シー ミキサの回転式ミキサボウルクランプ
KR200226691Y1 (ko) 2001-01-16 2001-06-15 김주호 반죽기의 반죽통 잠금장치
KR20070038470A (ko) * 2004-05-28 2007-04-10 미쉘 루와즐레 효모의 반죽, 느린 발효, 및 생산용 장치
KR101130916B1 (ko) * 2012-02-09 2012-03-28 홍종흔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
KR20140004649U (ko) * 2013-01-31 2014-08-11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KR102036179B1 (ko) * 2019-05-29 2019-10-24 안종섭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788A (ja) * 1997-07-17 2001-01-23 プリ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エル エル シー ミキサの回転式ミキサボウルクランプ
KR200226691Y1 (ko) 2001-01-16 2001-06-15 김주호 반죽기의 반죽통 잠금장치
KR20070038470A (ko) * 2004-05-28 2007-04-10 미쉘 루와즐레 효모의 반죽, 느린 발효, 및 생산용 장치
KR101130916B1 (ko) * 2012-02-09 2012-03-28 홍종흔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
KR20140004649U (ko) * 2013-01-31 2014-08-11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KR102036179B1 (ko) * 2019-05-29 2019-10-24 안종섭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30U (ko) 2020-06-22 2021-12-29 박창화 부침개용 밀가루 반죽기
KR102645336B1 (ko) * 2023-03-17 2024-03-07 배순재 반죽 공급통을 적용하는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428B1 (ko) 반죽기
US4176971A (en) Multi-purpose kitchen appliance
JP3638896B2 (ja) 釜装置
CN208914891U (zh) 一种美术环保颜料搅拌混合装置
JP2018198557A (ja) 粉合わせ装置
JP2008500825A (ja) 練混、遅延発酵およびパン種の製造装置
KR200492000Y1 (ko) 반죽기
CN217549626U (zh) 一种药膏搅拌装置
CN217012515U (zh) 一种双轴卧式转筒和面机
CN211983485U (zh) 一种半自动煎饼机
CN211631551U (zh) 一种基于双动双速和面机处理的面包加工设备
US2849896A (en) Mixer attachment
CN111887267B (zh) 一种新型的面包生产线
CN213785074U (zh) 一种可发酵的自动高效和面机
CN211673881U (zh) 一种高效打蛋器
CN221044146U (zh) 一种面包桶带凸点防粘面包机
KR20120018482A (ko) 피자 도우 성형기
CN214229464U (zh) 一种水产养殖用投料装置
CN111135744A (zh) 一种植脂奶油生产加工用搅拌混合器
JP6758919B2 (ja) 撹拌装置
JP3139114U (ja) ケーキ生地用の撹拌羽根
CN213999998U (zh) 一种建筑混凝土搅拌装置
CN211932296U (zh) 一种蛋液混合机
CN215302664U (zh) 一种多工能面包生产线的和面机构
CN215799422U (zh) 一种米酒蒸煮夹层锅自动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