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79B1 -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 Google Patents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79B1
KR102036179B1 KR1020190063216A KR20190063216A KR102036179B1 KR 102036179 B1 KR102036179 B1 KR 102036179B1 KR 1020190063216 A KR1020190063216 A KR 1020190063216A KR 20190063216 A KR20190063216 A KR 20190063216A KR 102036179 B1 KR102036179 B1 KR 10203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ball
bath
main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섭
Original Assignee
안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섭 filed Critical 안종섭
Priority to KR102019006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09Mixing of cereals, grains or seeds materials
    • B01F2215/001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는,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의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는 믹서볼(10)과; 하부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는 본체(20)와;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반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31)과,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하는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돌기(34)와,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된 견인장치(30)와;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본체(41)와,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42)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원형 판상의 볼안착부재(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44a)의 작동에 의해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열선(44)과,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와,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승강턱(46)으로 구성된 중탕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부피가 큰 리프트와 같은 부재 없이도 중탕용기를 믹서볼의 하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불편함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하나의 중탕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에 교대로 사용 가능하며, 중탕기본체에 믹서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벽면에 틈이 형성되고, 중탕기본체의 볼안착부재 역시 믹서볼 바닥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중탕기와 믹서볼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열전도 현상을 통해 믹서볼의 특정 지점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견인부재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중탕기만을 분리하여 다른 믹싱기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vertical mixer with movable bath apparatus}
본 발명은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달린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되어 반죽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반죽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이다.
과자를 만드는 과정이나 빵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밀가루로 대표되는 곡물가루가 베이스로 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와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혼합 과정은 혼합비율도 중요하지만 고르게 혼합하는 것과 혼합 즉 반죽 시간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글루텐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죽하는 속도와 압력 그리고 시간이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양의 제과 제빵 재료를 반죽할 때 제과 제빵을 위한 전용 믹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과 제빵용 믹서는 반죽될 재료는 믹싱 볼이라는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담긴 후 몸체 정면의 요크에 믹싱 볼이 결합 고정된 후 교반공구에 의해 반죽 또는 휘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믹싱 볼의 교정은 믹싱 볼의 하부를 받치는 판과 요크 중 둘 중 하나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여 믹싱 볼의 측면부에 위치한 고정부재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요크에 삽입되고 저면은 판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이러한 믹싱 볼의 고정은 반죽에 따라 교반공구의 움직임에 의하여 믹싱 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믹싱 볼을 장착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제과 제빵용 믹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4328호, 특허문헌 1)에는 믹서볼을 보다 간편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버티컬 믹서를 이용하여 밀가루 반죽 외에도 각종 원료의 휘핑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계란과 설탕, 버터 등을 혼합할 때 일정한 온도 하에서 휘핑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양질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버티컬 믹서 사용시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버티컬 믹서에 장착된 믹서볼의 하부에 가스 버너를 설치하여 가스 버너의 열을 통해 믹서볼을 가열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경우 온도 조절을 일정하게 하기 어렵고, 자칫 화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916호, 특허문헌 2)이 공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리프트와 중탕용기로 구성되어 리프트 위에 중탕용기를 설치한 후 믹서볼의 하부에 리프트를 이동시켜 중탕용기가 믹서볼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중탕용기는 히터봉과 제어부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온도 조절의 정확도를 높여 반죽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리프트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비좁은 공간에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탕이 이루어지는 동안 리프트는 중탕용기를 지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자칫 리프트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중탕용기가 믹서볼 하부에서 이탈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KR 10-1304328 (2013.08.30) KR 10-1130916 (2012.03.20)
본 발명의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가 큰 리프트와 같은 부재 없이도 중탕용기를 믹서볼의 하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불편함 없이 사용이 가능한 버티컬 믹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중탕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에 교대로 사용 가능한 버티컬 믹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중탕기와 믹서볼 사이에 작은 틈이 형성되어 중탕시 중탕기의 내부의 압력이 원할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이 틈을 이용하여 중탕 과정에서 물을 보충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중탕기본체에 믹서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벽면에 틈이 형성되고, 중탕기본체의 볼안착부재 역시 믹서볼 바닥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중탕기와 믹서볼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열전도 현상을 통해 믹서볼의 특정 지점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중탕기와 믹서볼이 서로 결합될 때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공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중탕기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재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믹서볼이 본체에 결합되어 사용하는 도중에, 중탕기만을 분리하여 다른 믹싱기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의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는 믹서볼(10)과; 하부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는 본체(20)와;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반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31)과,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하는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돌기(34)와,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된 견인장치(30)와;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본체(41)와,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42)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원형 판상의 볼안착부재(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44a)의 작동에 의해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열선(44)과,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와,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승강턱(46)으로 구성된 중탕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돌기(34)와 가이드공(12a)은 동일한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견인부재(35)는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부피가 큰 리프트와 같은 부재 없이도 중탕용기를 믹서볼의 하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불편함 없이 사용이 가능한 버티컬 믹서가 제공된다.
또, 하나의 중탕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에 교대로 사용 가능한 버티컬 믹서가 제공된다.
또한, 중탕기와 믹서볼 사이에 작은 틈이 형성되어 중탕시 중탕기의 내부의 압력이 원할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이 틈을 이용하여 중탕 과정에서 물을 보충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중탕기본체에 믹서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벽면에 틈이 형성되고, 중탕기본체의 볼안착부재 역시 믹서볼 바닥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중탕기와 믹서볼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열전도 현상을 통해 믹서볼의 특정 지점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중탕기와 믹서볼이 서로 결합될 때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공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중탕기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재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믹서볼이 본체에 결합되어 사용하는 도중에, 중탕기만을 분리하여 다른 믹싱기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믹서볼이 중탕기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믹서볼과 중탕기가 결합된 채 견인장치 측에 위치한 상태 및 이 상태에서 견인장치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중탕기가 바닥에 이격되도록 견인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믹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견인부재가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상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버티컬 믹서는 크게 믹서볼(10), 본체(20), 견인장치(30) 및 중탕기(4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믹서볼(10)은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장치(30)에 안착 가능하도록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공(12a)은 상하로 내부가 일정 직경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내경이 크고 상부는 내경이 작은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본체(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견인장치(30)는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 중 하나로, 하부관(31), 상부관(32), 지지부재(33), 가이드돌기(34) 및 견인부재(35)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관(31)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반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관상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부관(3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엑츄에이터(36)의 실리더몸체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관(3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경이 하부관(31)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관(32)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2a)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32a)가 견인엑츄에이터(36)의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관(32)이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상,하향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재(33)는 도 1, 5 등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3)는 도 1, 4 등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한다.
가이드돌기(34)는 상기 지지부재(33)의 양 단부측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가이드공(12a)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가이드공(12a)이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할 경우 가이드돌기(34) 역시 동일한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 둘이 하광상협의 단면 형상을 취하게 되면 상부관(32)이 상향 이동하면서 가이드돌기(34)가 가이드공(12a)에 원할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믹서볼(10)과 접촉하게 되는 지지부재(33)의 상면과 측벽면 및 가이드돌기(34)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방진고무(37)를 설치하여 교반공구(23)를 통한 믹싱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주변에 진동으로 인한 먼지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환경에서 반죽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중탕기견인부재(3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된 채 하향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된 "L"자 형의 형상을 취하며, 받침부(35a)가 중탕기(40)를 견인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중탕기견인부재(35)는 가이드돌기(34)가 설치된 지지부재(33)의 측벽면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중탕기(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탕기본체(41), 바퀴(42), 볼안착부재(43), 열선(44), 온도센서(45), 승강턱(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탕기본체(4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다.
바퀴(42)는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수직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바퀴(42)를 굴려 가며 중탕기본체(4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볼안착부재(43)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볼안착부재(43)는 중앙에 개방부(43b)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볼(10) 하부가 평평하지 않고 라운드진 형태를 취할 때, 믹서볼(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선(44)은 히터봉이라고도 불리며,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장치(44a)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레버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레버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설정하고자 하는 온도를 세팅하게 되면, 컨트롤장치(44a)는 열선(44)의 작동을 제어하여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온도센서(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온도센서(45) 역시 컨트롤장치(4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내부의 물 온도를 컨트롤장치(44a)에 제공하게 되며, 컨트롤장치(44a)는 온도센서(45)로부터 수득된 물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열선(4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승강턱(46)은 상기 중탕기견인부재(35)와 함께 본 발명에서 주요한 구성 중 하나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턱(46)은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하부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상부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틈(c)이 형성될 경우 중탕기본체(4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열선(44)에 의해 가열될 때, 물의 부피 팽창에 의한 압력이 원할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틈(c)은 중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중탕기본체(41) 내부에 물을 보충하여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중탕기본체(41)에 믹서볼(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벽면에 틈(c)이 형성됨에 따라 중탕기본체(41)와 믹서볼(1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중탕 과정에서 믹서볼(1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어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선(44)의 가동과 중탕기본체(41) 내부의 물 온도는 시간별로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조절에 어려움이 있는데, 상기와 같이 틈(c)이 형성될 경우 틈(c)을 통해 가열된 수증기나 공기가 배출되어 일종의 냉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조절의 정확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 5의 우측 도면처럼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중탕이 이루어질 때 볼안착부재(43)가 믹서볼(10) 바닥면이 이격됨에 따라 전술한 측벽면의 틈(c)과 함께 하부에서도 믹서볼(10)과 볼안착부재(43)의 이격이 이루어져 중탕기본체(41)와 믹서볼(10)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 하게 된다.
즉, 부재간의 접촉을 통한 열전도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믹서볼(10)이 중탕기본체(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장치(30)가 믹서볼(10)과 중탕기본체(41)를 함께 상승시킨 상태에서 중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교반공구(23)를 통한 믹싱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중탕기(40)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에만 중탕기(40)를 작동시키고, 교반공구(23)의 믹싱 상태에서는 중탕이 필요없는 경우, 믹싱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중탕기(40)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본체(20)마다 개별 중탕기(40)를 구비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부재(35)가 유압 또는 공압으로 된 하강엑츄에이터(3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7의 좌측 도면처럼 중탕기(40)의 바퀴(42)가 들어올려진 채로 교반공구(23)를 통한 원료 믹싱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하강엑츄에이터(35b)의 작동에 의해 로드에 연결된 받침부(35a)가 하향 이동하여 받침부(35a)에 지지되는 승강턱(46)이 하향 이동하고, 이를 통해 바퀴(42)가 지면에 닿게 하여 중탕기(40)를 견인장치(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견인장치(30)로부터 분리된 중탕기(40)는 별도의 다른 믹서볼과 장착하여 또다른 본체(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티컬 믹서의 작동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믹서볼(10)을 중탕기본체(40)에 볼안착부재(43)에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바퀴(42)를 굴려 도 3의 좌측 도면처럼 중탕기본체(40)와 볼안착부재(43)를 지지부재(43) 측으로 이동시켜놓는다.
이때, 견인장치(30)의 상부관(32) 높이는 미리 조절하여 가이드돌기(34)의 높이가 가이드부(12)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그런 다음 견인엑츄에이터(36)를 작동시켜 상부관(32) 및 지지부재(33)를 상향 이동시켜 도 3의 우측 도면처럼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지지부재(3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공(12a)에 가이드돌기(34)가 끼워진다.
도 3의 상태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승강턱(46)과 받침부(35a)는 아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견인엑츄에이터(36)를 계속 작동시켜 상부관(32) 및 지지부재(33)를 더 상승시키게 되면 도 4 및 도 6의 좌측 도면처럼 승강턱(46)과 받침부(35a)가 상호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받침부(35a)가 승강턱(46)을 견인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더불어, 지지부재(33) 및 가이드돌기(34)는 믹서볼(10)를 견인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도 6의 우측에는 계속 상승에 따라 믹서볼(10)과 중탕기(40)가 측면 및 하부 접촉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승한 상태가 되시되어 있다.
이렇게 상승이 완료되어 교반공구(23)가 믹서볼(10) 내부의 적절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중탕기(40)가 작동하여 믹서볼(10) 하부를 중탕 가열하면서, 모터 동작에 의해 교반공구(23)가 내용물을 믹싱하게 된다.
10 : 믹서볼 11 : 안착부
12 : 가이드부 12a : 가이드공
20 : 본체 21 : 받침대
22 : 축 23 : 교반공구
30 : 견인장치 31 : 하부관
32 : 상부관 33 : 지지부재
34 : 가이드돌기 35 : 중탕기견인부재
35a : 받침부 35b : 하강엑츄에이터
36 : 견인엑츄에이터 37 : 방진고무
40 : 중탕기 41 : 중탕기본체
41a : 수용공간 42 : 바퀴
43 : 볼안착부재 43a : 수직부재
43b : 개방부 44 : 열선
44a : 컨트롤장치 45 : 온도센서
46 : 승강턱

Claims (5)

  1.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있어서,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의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는 믹서볼(10)과;
    하부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는 본체(20)와;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반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31)과,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하는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돌기(34)와,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된 견인장치(30)와;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본체(41)와,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42)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원형 판상의 볼안착부재(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44a)의 작동에 의해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열선(44)과,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와,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승강턱(46)으로 구성된 중탕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34)와 가이드공(12a)은 동일한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35)는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KR1020190063216A 2019-05-29 2019-05-29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KR10203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16A KR102036179B1 (ko) 2019-05-29 2019-05-29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16A KR102036179B1 (ko) 2019-05-29 2019-05-29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179B1 true KR102036179B1 (ko) 2019-10-24

Family

ID=6842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16A KR102036179B1 (ko) 2019-05-29 2019-05-29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28B1 (ko) * 2019-08-14 2020-02-13 황주연 반죽기
KR20210115378A (ko) * 2020-03-13 2021-09-27 (주)디에스이엔지 아이스당 자동분주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3877A1 (en) * 2000-04-28 2002-07-18 Brunswick Brian A. Mixer with pivotable bowl
KR20110080774A (ko) * 2010-01-07 2011-07-13 유겐 가이샤 나카이 전자 유도 가열식 케이크 믹서
KR101130916B1 (ko) 2012-02-09 2012-03-28 홍종흔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
KR101304328B1 (ko)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3877A1 (en) * 2000-04-28 2002-07-18 Brunswick Brian A. Mixer with pivotable bowl
KR20110080774A (ko) * 2010-01-07 2011-07-13 유겐 가이샤 나카이 전자 유도 가열식 케이크 믹서
KR101130916B1 (ko) 2012-02-09 2012-03-28 홍종흔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
KR101304328B1 (ko)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28B1 (ko) * 2019-08-14 2020-02-13 황주연 반죽기
KR20210115378A (ko) * 2020-03-13 2021-09-27 (주)디에스이엔지 아이스당 자동분주기
KR102424426B1 (ko) * 2020-03-13 2022-07-25 (주)디에스이엔지 아이스당 자동분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179B1 (ko)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JP4792070B2 (ja) 電磁誘導加熱式のケーキミキサー
EP3463015B1 (en) Cook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cooking surface
JP2005245375A (ja) 食材の攪拌装置
JP2006034285A (ja) 食品生地の発酵成形方法、発酵成形装置及び成形体
US20150208669A1 (en) Cooking Appliance With Baking Plate Having Embedded Heating Element
KR101461429B1 (ko) 교반공구 승하강장치를 구비한 제과 제빵용 믹서
KR102306921B1 (ko) 몰드의 교체가 가능한 제빵장치
KR20220012571A (ko) 효율적인 제과 제빵용 믹서 장치
KR101304328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461434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KR102077428B1 (ko) 반죽기
KR102391217B1 (ko) 조립식 3d 푸드 프린터
KR101130916B1 (ko) 버티컬 믹서 장착용 이동식 중탕기
KR20180045231A (ko) 발열 믹싱 볼이 구비된 제빵용 믹서
KR102082220B1 (ko)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CN204566692U (zh) 打印喷头和打印机
JP2009125516A (ja) 自動製パン器
CN112438617B (zh) 一种烤盘烤架复合运动机构及应用该机构的烤箱
CN219705059U (zh) 一种动力涡轮轴承组件水平拆装平台
CN106508156A (zh) 一种可调长度的微耕机扶手总成
KR101748350B1 (ko) 안마성능이 향상된 전동안마의자
KR102326591B1 (ko) 구이 장치
CN214345885U (zh) 一种便于使用的食品搅拌装置
CN220293477U (zh) 一种烹饪内胆结构及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