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220B1 -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 Google Patents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220B1
KR102082220B1 KR1020190063217A KR20190063217A KR102082220B1 KR 102082220 B1 KR102082220 B1 KR 102082220B1 KR 1020190063217 A KR1020190063217 A KR 1020190063217A KR 20190063217 A KR20190063217 A KR 20190063217A KR 102082220 B1 KR102082220 B1 KR 10208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olate
water
ball
storage space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섭
Original Assignee
안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섭 filed Critical 안종섭
Priority to KR102019006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63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rigidly fixed on the housing and a movable support for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콜릿 중탕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는,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 벽면에 컨트롤장치(1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물저장공간(1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선(130),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고,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0) 및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측면에는 측벽부(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측벽부(160)에는 하부는 측벽부(16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상기 측벽부(160)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절곡되어 측벽부(160) 상단과의 사이로 끼움공간(171)을 형성하는 끼움부재(1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재(170)가 설치된 측벽부(160)와 마주하는 타측의 측벽부(160)에는 나비볼트(1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비볼트(180)의 볼트머리 하부에는 회전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돌출 가능한 판상의 가압부재(190)가 끼워져 있는 물가열본체(100)와; 내부에 초콜릿이 저장되는 초콜릿저장공간(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둘러싼 측벽(220)은 상기 물저장공간(110)에 삽입되되, 측벽(220) 외주면은 상기 측벽부(160)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상기 측벽(220)의 상단 둘레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230)의 하부는 상기 측벽부(160)의 상단에 안착되되, 일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끼움공간(171)에 끼워지고, 타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가압부재(190)의 하부에 끼워져 나비볼트(18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190)에 눌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초콜릿저장용기(200)와; 하부에 상기 측벽(220)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개폐시키는 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중탕 과정에서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초콜릿저장용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상화된 초콜릿이 수분에 의해 상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조작 스위치나 디스플레이창 상부에 투명 덮개를 설치하여 액체 초콜릿을 떨어뜨려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초콜릿 가공 환경이 제공되며, 물가열본체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가열된 공기가 초콜릿저장용기만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를 통해 열이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외기와 접촉하는 덮개 부분에서 온도가 저하되어 초콜릿저장용기에 저장된 초콜릿의 표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한 고르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덮개의 하부와 상부에 방열홈과 단열재를 설치하여 이러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초콜릿 중탕기가 버티컬 믹서 본체에 장착되도록 하고, 초콜릿 중탕기에서 버티컬 믹서에 설치되는 믹서볼로 액체 초콜릿이 바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 초콜릿이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반죽 공정에서 우수한 품질의 반죽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vertical mixer with chocolet bath apparatus}
본 발명은 초콜릿 중탕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으로, 중탕 과정에서 수분 접촉을 최소화하여 초콜릿의 상태 변화를 방지하고, 덮개 측에서의 열 손실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온도가 되도록 한, 초콜릿 중탕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관한 것이다.
템퍼링이란 초콜릿을 만들 때 들어있는 카카오버터를 안정적인 베타 결정으로 굳히는 작업을 말한다.
액체 상태인 초콜릿을 급속하게 냉각시키거나 판형 초콜릿을 대충 녹여서 틀에 붓거나 모양을 만들면 불안정한 결정들이 생겨 녹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초콜릿이 쉽게 녹아버려 보관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게다가 초콜릿에 윤기가 나지 않고 보기 싫은 얼룩이 생겨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이처럼 템퍼링의 전제 조건은 초콜릿이 액체 상태를 원할하게 유지하고, 불안정한 결정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의 제과 제빵 업계에서 초콜릿을 템퍼링할 때 액상화시켜 유지시킬 때 초콜릿이 담긴 용기에 직접 열을 가했었다.
그러나, 이 경우 용기의 바닥과 벽면의 온도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콜릿을 안정적으로 액상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초콜릿은 종류에 따라 템퍼링 온도도 가지각색인데, 다크 초콜릿은 45 ~50℃에서 액상화되고, 밀크 초콜릿은 43 ~45℃, 화이트 초콜릿은 40 ~ 42 ℃로 녹는 온도가 상이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콜릿을 중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중탕 방식을 적용할 경우 초콜릿이 굳어져 녹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초콜릿에 물이 들어가면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탕을 할 경우 매우 조심스럽게 수분 접촉을 방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식품 중탕기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전기 가열식 중탕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530호, 특허문헌 1)에는 밀폐식 뚜껑이 구비되어 있어 내용물 중탕 과정에서 수분 접촉을 억제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중탕을 하게 되면 물이 가열되면서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 바,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의 경우 압력을 받은 뚜껑이 쉽게 이탈하거나 수증기가 뚜껑을 미세하게 들어올리면서 내용물이 저장된 통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분에 의한 변질 우려가 적은 내용물의 경우 별 상관이 없으나, 액상 초콜릿의 경우 굳어버리게 되므로 심각하게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제과점이나 베어커리 같은 업소에서 초콜릿을 이용하여 빵이나 케이크 등을 만들 때, 액상화된 초콜릿이 굳어버리기 전에 여러 공정에 공급되어야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분주하고, 시간이 촉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초코 케이크와 같이 반죽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액상 초콜릿이 반죽 재료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 액상화된 초콜릿을 믹서볼로 운반해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초콜릿이 냉각되어 굳기 시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바, 우수한 품질의 초코 케이크를 만드는 것이 어렵게 된다.
KR 20-0464530 (2012.12.28)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탕 과정에서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초콜릿저장용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상화된 초콜릿이 수분에 의해 상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조작 스위치나 디스플레이창 상부에 투명 덮개를 설치하여 액체 초콜릿을 떨어뜨려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초콜릿 가공 환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물가열본체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가열된 공기가 초콜릿저장용기만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를 통해 열이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외기와 접촉하는 덮개 부분에서 온도가 저하되어 초콜릿저장용기에 저장된 초콜릿의 표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한 고르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때, 덮개의 하부와 상부에 방열홈과 단열재를 설치하여 이러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초콜릿 중탕기가 버티컬 믹서 본체에 장착되도록 하고, 초콜릿 중탕기에서 버티컬 믹서에 설치되는 믹서볼로 액체 초콜릿이 바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 초콜릿이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반죽 공정에서 우수한 품질의 반죽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 벽면에 컨트롤장치(1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물저장공간(1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선(130),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고,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0) 및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측면에는 측벽부(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측벽부(160)에는 하부는 측벽부(16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상기 측벽부(160)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절곡되어 측벽부(160) 상단과의 사이로 끼움공간(171)을 형성하는 끼움부재(1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재(170)가 설치된 측벽부(160)와 마주하는 타측의 측벽부(160)에는 나비볼트(1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비볼트(180)의 볼트머리 하부에는 회전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돌출 가능한 판상의 가압부재(190)가 끼워져 있는 물가열본체(100)와; 내부에 초콜릿이 저장되는 초콜릿저장공간(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둘러싼 측벽(220)은 상기 물저장공간(110)에 삽입되되, 측벽(220) 외주면은 상기 측벽부(160)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상기 측벽(220)의 상단 둘레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230)의 하부는 상기 측벽부(160)의 상단에 안착되되, 일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끼움공간(171)에 끼워지고, 타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가압부재(190)의 하부에 끼워져 나비볼트(18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190)에 눌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초콜릿저장용기(200)와; 하부에 상기 측벽(220)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개폐시키는 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장치(120)는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힌지(121)를 통해 상기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을 개폐시키는 투명 커버(1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초콜릿저장용기(200)의 마주보는 두 수평부(230)에는 상기 물저장공간(110)과 연통되는 연통공(231)이 각각 일직선상이 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300)는 양측 하부에 상기 연통공(231)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에 수직홀(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수직홀(320)을 연결하는 수평홀(330)이 형성되어 있어, 물저장공간(110)에서 가열된 공기 또는 수증기가 상기 수직홀(320) 및 수평홀(330) 내부로 유입되어 덮개(300)의 중앙측 온도를 높여주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300)의 저부에는 상기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을 초콜릿저장공간(210)의 상측으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방열홈(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300)의 상부에는 외부에는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재(3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빵용 버티컬 믹서는,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의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는 믹서볼(10)과; 하부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하부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어 있고, 전방 상측에 상부받침대(24)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20)와;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하부받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31)과,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하는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돌기(34)와,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된 견인장치(30)와;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본체(41)와,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42)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원형 판상의 볼안착부재(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44a)의 작동에 의해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열선(44)과,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와,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승강턱(46)으로 구성된 반죽중탕기(40)와; 상기 상부받침대(24) 위에 안착되어 있는 초콜릿 중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초콜릿 중탕기의 초콜릿저장용기(200) 일측에 초콜릿배출관(4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배출관(400)의 타측은 상기 물가열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채 개폐밸브(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믹서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측 단부는 상기 믹서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중탕 과정에서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초콜릿저장용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상화된 초콜릿이 수분에 의해 상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조작 스위치나 디스플레이창 상부에 투명 덮개를 설치하여 액체 초콜릿을 떨어뜨려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초콜릿 가공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물가열본체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가열된 공기가 초콜릿저장용기만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를 통해 열이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외기와 접촉하는 덮개 부분에서 온도가 저하되어 초콜릿저장용기에 저장된 초콜릿의 표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한 고르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덮개의 하부와 상부에 방열홈과 단열재를 설치하여 이러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초콜릿 중탕기가 버티컬 믹서 본체에 장착되도록 하고, 초콜릿 중탕기에서 버티컬 믹서에 설치되는 믹서볼로 액체 초콜릿이 바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 초콜릿이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반죽 공정에서 우수한 품질의 반죽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서 초콜릿저장용기가 물가열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물가열본체에서 발생한 열이 덮개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덮개에 유로가 형성된 상태에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절단 사시도.
도 7은 덮개에 방열홈이 형성되고, 단열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티컬 믹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믹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견인부재가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상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 내지 7에는 초콜릿 중탕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내지 11에는 중탕기가 구비된 버티컬 믹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초콜릿 중탕기는 크게 물가열본체(100), 초콜릿저장용기(200) 및 덮개(300)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초콜릿배출관(400) 및 밸브(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가열본체(100)는 도 1, 2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벽면에 컨트롤장치(1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110)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저장공간(1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선(130),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0) 및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장치(120)는 수위가 일정 레벨 이하로 낮아짐을 수위센서(150)의 신호로 제공받으면 작동을 중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열선(130)을 작동시키고,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열선(130)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더하여, 상기 컨트롤장치(120)는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온도를 설정하게 되며, 디스플레이창(123)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값이 표시되게 된다.
이때, 컨트롤장치(120) 상부에는 도시된 힌지(121)를 통해 상기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을 개폐시키는 투명 커버(122)가 설치되어 있다.
투명 커버(12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124)를 평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액상 초콜릿을 퍼 담을 때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물가열본체(100)는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측면에는 측벽부(1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의 측벽부(160)에는 끼움부재(17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의 측벽부(160)에는 나비볼트(180) 및 가압부재(190)가 설치되어 있다.
끼움부재(170)는 하부가 측벽부(16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상기 측벽부(160)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절곡되어 측벽부(160) 상단과의 사이로 끼움공간(171)을 형성한다.
또, 나비볼트(180)는 상기 끼움부재(170)가 설치된 측벽부(160)와 마주하는 타측의 측벽부(160)에는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부재(190)는 상기 나비볼트(180)의 볼트머리 하부에 끼워져, 나비볼트(180)를 풀었을 때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나비볼트(180)를 조일 경우 나비볼트(180)의 볼터머리와 측벽부(160) 상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때, 나비볼트(180)에 관통된 지점을 기준으로 가압부재(190)는 일측이 상기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돌출 가능한 판상의 형태를 취한다.
도면에는 가압부재(190)의 일측이 상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측벽부(160)에는 투명창(1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육안으로 내부 물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초콜릿저장용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초콜릿이 저장되는 초콜릿저장공간(210)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둘러싼 측벽(220)은 상기 물저장공간(1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측벽(220)의 외주면은 설치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16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측벽(220)의 상단 둘레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부(230)의 하부 즉, 저면은 상기 측벽부(160)의 상단에 안착되되, 일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끼움공간(171)에 끼워지고, 타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가압부재(190)의 하부에 끼워져 나비볼트(18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190)에 눌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초콜릿저장용기(20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양측 측벽(220) 상부에 손잡이(240)가 도면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30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측벽(220)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개폐시키게 된다.
도 3은 초콜릿저장용기(200)를 물가열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나비볼트(180)를 풀어 가압부재(19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압부재(190)를 180도 돌려 중앙 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외곽 측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태가 되면 도면에서 우측의 측벽(220) 상부를 구속하는 요소가 없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초콜릿저장용기(200)를 우측으로 밀어 끼움공간(171)의 단부까지 맞닿은 상태에 있던 좌측의 수평부(230)가 끼움부재(17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초콜릿저장용기를 들어올리면 간편하게 초콜릿저장용기를 분리할 수 있다.
조립은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 경우 초콜릿저장용기(200)의 좌측 수평부(230)는 끼움공간(171)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고, 반대쪽은 나비폴트(180) 조작을 통해 가압부재(190)가 우측 수평부(230)를 고정하게 된다.
이 방식의 경우 종래와 비교할 때 물가열본체(100)에 저장된 물이 가열됨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가압부재(190) 와 끼움부재(170)가 초콜릿저장용기(200)와 물가열본체(100)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해줘 초콜릿이 수분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초콜릿은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1℃ 이내 범위의 오차 내로 유지해야 한다.
도 1 내지 3에 제시된 구성의 경우 수분 접촉을 방지하면서 중탕 가열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부의 덮개(300)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바,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서 덮개(300)를 통해 초콜릿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초콜릿의 상측이 양 측면 및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도 4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콜릿저장용기(200)의 마주보는 두 수평부(230)에는 상기 물저장공간(110)과 연통되는 연통공(231)이 각각 일직선상이 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덮개(300)는 양측 하부에 상기 연통공(231)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에 수직홀(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수직홀(320)을 연결하는 수평홀(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물저장공간(110)에서 가열된 공기 또는 수증기가 상기 수직홀(320) 및 수평홀(330) 내부로 유입되어 덮개(300)의 중앙측 온도를 높여주게 된다.
이에 따라 외기와 접촉하는 덮개(300)의 온도를 최대한 다른 부분에 유사하게 높여줄 수 있게 되고, 외기로 인해 냉각되는 것을 억제해줄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이러한 구성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경우 수직홀(320) 및 연통공(231)이 각각 덮개(300) 및 초콜릿저장용기(200)의 홀 가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홀 가공을 통해 홀이 서로 맞닿게 하는 구성의 경우 두 부재가 접촉하는 부위의 경계를 따라 수분이 이동할 여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초콜릿저장용기에 수분이 유입되면 초콜릿 상태가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은 억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통공(231)을 형성함에 있어서 측벽(220)의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 또는 금속의 경우 연통공(231) 형성시 펀칭 가공을 통해 수평부(230)의 상측으로 연통공(231) 주변이 상향 돌출된 가이드관부(232)를 형성하고, 수직홀(320)이 이 가이드관부(23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경우에 비해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수분 침투를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열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0)의 저부에는 상기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을 초콜릿저장공간(210)의 상측으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방열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300)의 상부에는 외부에는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재(340)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로는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측으로는 방열홈(350)을 통해 수평홀(330) 상의 열을 아래 즉, 내부로 방출시켜 초콜릿저장공간(210)에 저장된 초콜릿의 상층 온도를 최대한 하층 온도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초콜릿 중탕기가 구비된 버티컬 믹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믹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버티컬 믹서는 크게 믹서볼(10), 본체(20), 견인장치(30), 반죽중탕기(40) 및 상기한 초콜릿 중탕기로 구성되어 있다.
믹서볼(10)은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장치(30)에 안착 가능하도록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공(12a)은 상하로 내부가 일정 직경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내경이 크고 상부는 내경이 작은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하부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어 있다.
더하여, 전방 상측에는 상술한 초콜릿 중탕기가 적재되기 위한 상부받침대(24)가 설치되어 있다.
견인장치(30)는 하부관(31), 상부관(32), 지지부재(33), 가이드돌기(34) 및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관(31)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반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관상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부관(31)의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엑츄에이터(36)의 실리더몸체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관(32)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경이 하부관(31)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관(32)의 상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2a)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32a)가 견인엑츄에이터(36)의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관(32)이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상,하향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재(33)는 도 8, 9 등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3)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한다.
가이드돌기(34)는 상기 지지부재(33)의 양 단부측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가이드공(12a)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가이드공(12a)이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할 경우 가이드돌기(34) 역시 동일한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 둘이 하광상협의 단면 형상을 취하게 되면 상부관(32)이 상향 이동하면서 가이드돌기(34)가 가이드공(12a)에 원할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믹서볼(10)과 접촉하게 되는 지지부재(33)의 상면과 측벽면 및 가이드돌기(34)의 상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방진고무(37)를 설치하여 교반공구(23)를 통한 믹싱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주변에 진동으로 인한 먼지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환경에서 반죽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중탕기견인부재(35)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된 채 하향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된 "L"자 형의 형상을 취하며, 받침부(35a)가 반죽중탕기(40)를 견인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중탕기견인부재(35)는 가이드돌기(34)가 설치된 지지부재(33)의 측벽면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반죽중탕기(4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탕기본체(41), 바퀴(42), 볼안착부재(43), 열선(44), 온도센서(45), 승강턱(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탕기본체(41)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다.
바퀴(42)는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수직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바퀴(42)를 굴려 가며 중탕기본체(4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볼안착부재(43)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볼안착부재(43)는 중앙에 개방부(43b)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볼(10) 하부가 평평하지 않고 라운드진 형태를 취할 때, 믹서볼(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선(44)은 히터봉이라고도 불리며,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장치(44a)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레버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레버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설정하고자 하는 온도를 세팅하게 되면, 컨트롤장치(44a)는 열선(44)의 작동을 제어하여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온도센서(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온도센서(45) 역시 컨트롤장치(4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내부의 물 온도를 컨트롤장치(44a)에 제공하게 되며, 컨트롤장치(44a)는 온도센서(45)로부터 수득된 물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열선(4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승강턱(46)은 상기 중탕기견인부재(35)와 함께 본 발명에서 주요한 구성 중 하나로,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턱(46)은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하부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상부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틈(c)이 형성될 경우 중탕기본체(4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열선(44)에 의해 가열될 때, 물의 부피 팽창에 의한 압력이 원할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틈(c)은 중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중탕기본체(41) 내부에 물을 보충하여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중탕기본체(41)에 믹서볼(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벽면에 틈(c)이 형성됨에 따라 중탕기본체(41)와 믹서볼(1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중탕 과정에서 믹서볼(1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어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선(44)의 가동과 중탕기본체(41) 내부의 물 온도는 시간별로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조절에 어려움이 있는데, 상기와 같이 틈(c)이 형성될 경우 틈(c)을 통해 가열된 수증기나 공기가 배출되어 일종의 냉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조절의 정확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 9의 우측 도면처럼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중탕이 이루어질 때 볼안착부재(43)가 믹서볼(10) 바닥면이 이격됨에 따라 전술한 측벽면의 틈(c)과 함께 하부에서도 믹서볼(10)과 볼안착부재(43)의 이격이 이루어져 중탕기본체(41)와 믹서볼(10)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 하게 된다.
즉, 부재간의 접촉을 통한 열전도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반죽 온도 조절시 품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믹서볼(10)이 중탕기본체(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장치(30)가 믹서볼(10)과 중탕기본체(41)를 함께 상승시킨 상태에서 중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교반공구(23)를 통한 믹싱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반죽중탕기(40)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에만 반죽중탕기(40)를 작동시키고, 교반공구(23)의 믹싱 상태에서는 중탕이 필요없는 경우, 믹싱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반죽중탕기(40)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본체(20)마다 개별 반죽중탕기(40)를 구비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탕기견인부재(35)가 유압 또는 공압으로 된 하강엑츄에이터(3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11의 좌측 도면처럼 반죽중탕기(40)의 바퀴(42)가 들어올려진 채로 교반공구(23)를 통한 원료 믹싱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하강엑츄에이터(35b)의 작동에 의해 로드에 연결된 받침부(35a)가 하향 이동하여 받침부(35a)에 지지되는 승강턱(46)이 하향 이동하고, 이를 통해 바퀴(42)가 지면에 닿게 하여 반죽중탕기(40)를 견인장치(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견인장치(30)로부터 분리된 반죽중탕기(40)는 별도의 다른 믹서볼과 장착하여 또다른 본체(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초콜릿 중탕기는 전술한 도 1 내지 7의 구성이 적용되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20)의 상부받침대(24)에 안착된다.
이때, 도 8 내지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초콜릿 중탕기의 초콜릿저장용기(200) 일측에 초콜릿배출관(4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배출관(400)의 타측은 상기 물가열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채 개폐밸브(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믹서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티컬 믹서의 작동은 본체(20)에 설치된 초콜릿 중탕기에서는 초콜릿을 액상화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믹서볼(10)을 중탕기본체(40)에 볼안착부재(43)에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바퀴(42)를 굴려 중탕기본체(40)와 볼안착부재(43)를 지지부재(43) 측으로 이동시켜놓는다.
이때, 견인장치(30)의 상부관(32) 높이는 미리 조절하여 가이드돌기(34)의 높이가 가이드부(12)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그런 다음 견인엑츄에이터(36)를 작동시켜 상부관(32) 및 지지부재(33)를 상향 이동시켜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지지부재(3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공(12a)에 가이드돌기(34)가 끼워진다.
이때, 승강턱(46)과 받침부(35a)는 아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견인엑츄에이터(36)를 계속 작동시켜 상부관(32) 및 지지부재(33)를 더 상승시키게 되면 도 10의 좌측 도면처럼 승강턱(46)과 받침부(35a)가 상호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받침부(35a)가 승강턱(46)을 견인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더불어, 지지부재(33) 및 가이드돌기(34)는 믹서볼(10)를 견인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도 10의 우측에는 계속 상승에 따라 믹서볼(10)과 반죽중탕기(40)가 측면 및 하부 접촉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승한 상태가 되시되어 있다.
이렇게 상승이 완료되어 교반공구(23)가 믹서볼(10) 내부의 적절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반죽중탕기(40)가 작동하여 믹서볼(10) 하부를 중탕 가열하면서, 모터 동작에 의해 교반공구(23)가 내용물을 믹싱하게 된다.
믹싱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액상 초콜릿을 반죽물에 공급할 시점이 되면, 밸브(500)를 작동시켜 초콜릿배출관(400)을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하여 믹서볼(10) 내부로 액상 초콜릿을 공급한다.
이러한 버티컬 믹서는 초콜릿의 온도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하고 유지한 채 적정 온도로 중탕 가열되면서 반죽되는 반죽물에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변화에 민감한 초콜릿 반죽물 등 다양한 초콜릿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물가열본체 110 : 물저장공간
120 : 컨트롤장치 121 : 힌지
122 : 커버 123 : 디스플레이창
124 : 조작스위치 130 : 열선
140 : 온도센서 150 : 수위센서
160 : 측벽부 161 : 투명창
170 : 끼움부재 171 : 끼움공간
180 : 나비볼트 190 : 가압부재
200 : 초콜릿저장용기 210 : 초콜릿저장공간
220 : 측벽 230 : 수평부
231 : 연통공 232 : 가이드관부
300 : 커버 310 : 밀착끼움부
320 : 수직홀 330 : 수평홀
340 : 단열재 350 : 방열홈
400 : 초콜릿배출관 500 : 밸브
10 : 믹서볼 11 : 안착부
12 : 가이드부 12a : 가이드공
20 : 본체 21 : 하부받침대
22 : 축 23 : 교반공구
24 : 상부받침대
30 : 견인장치 31 : 하부관
32 : 상부관 33 : 지지부재
34 : 가이드돌기 35 : 중탕기견인부재
35a : 받침부 35b : 하강엑츄에이터
36 : 견인엑츄에이터 37 : 방진고무
40 : 중탕기 41 : 중탕기본체
41a : 수용공간 42 : 바퀴
43 : 볼안착부재 43a : 수직부재
43b : 개방부 44 : 열선
44a : 컨트롤장치 45 : 온도센서
46 : 승강턱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빵용 버티컬 믹서에 있어서,
    측벽면 둘레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의 양측에 가이드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반죽 재료가 저장된 채 반죽이 이루어지는 믹서볼(10)과;
    하부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하부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평 회전하는 축(22)이 하향 연장되어 축(22) 끝단에 교반공구(23)가 장착되어 있고, 전방 상측에 상부받침대(24)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20)와;
    하부가 상기 본체(20)의 하부받침대(21)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31)과, 상기 하부관(31)과 끼움 결합된 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믹서볼(10)의 안착부(11)가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취하는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a)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돌기(34)와,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33)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받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견인부재(35)로 구성된 견인장치(30)와;
    내부에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어 있는 중탕기본체(41)와, 상기 중탕기본체(41)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42)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43a)를 통해 상기 중탕기본체(41)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믹서볼(10)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원형 판상의 볼안착부재(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중탕기본체(41) 외측으로 돌출된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44a)의 작동에 의해 중탕기본체(4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열선(44)과, 일측은 상기 컨트롤장치(44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볼안착부재(43)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와, 상기 중탕기본체(41)의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중탕기견인부재(35)의 받침부(35a)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승강턱(46)으로 구성된 반죽중탕기(40)와;

    상기 상부받침대(24) 위에 안착되어 있으며,
    일측 벽면에 컨트롤장치(1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물저장공간(1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선(130),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고,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0) 및 상기 컨트롤장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공간(110)의 측면에는 측벽부(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측벽부(160)에는 하부는 측벽부(16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상기 측벽부(160)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절곡되어 측벽부(160) 상단과의 사이로 끼움공간(171)을 형성하는 끼움부재(1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재(170)가 설치된 측벽부(160)와 마주하는 타측의 측벽부(160)에는 나비볼트(1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비볼트(180)의 볼트머리 하부에는 회전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저장공간(110) 측을 향해 돌출 가능한 판상의 가압부재(190)가 끼워져 있는 물가열본체(100)와;
    내부에 초콜릿이 저장되는 초콜릿저장공간(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둘러싼 측벽(220)은 상기 물저장공간(110)에 삽입되되, 측벽(220) 외주면은 상기 측벽부(160)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상기 측벽(220)의 상단 둘레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230)의 하부는 상기 측벽부(160)의 상단에 안착되되, 일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끼움공간(171)에 끼워지고, 타측의 수평부(230)는 상기 가압부재(190)의 하부에 끼워져 나비볼트(18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190)에 눌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초콜릿저장용기(200)와;
    하부에 상기 측벽(220)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초콜릿저장공간(210)을 개폐시키는 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장치(120)는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힌지(121)를 통해 상기 조작스위치(124) 및 디스플레이창(123)을 개폐시키는 투명 커버(1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초콜릿저장용기(200)의 마주보는 두 수평부(230)에는 상기 물저장공간(110)과 연통되는 연통공(231)이 각각 일직선상이 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300)는 양측 하부에 상기 연통공(231)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에 수직홀(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수직홀(320)을 연결하는 수평홀(330)이 형성되어 있어, 물저장공간(110)에서 가열된 공기 또는 수증기가 상기 수직홀(320) 및 수평홀(330) 내부로 유입되어 덮개(300)의 중앙측 온도를 높여주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덮개(300)의 저부에는 상기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을 초콜릿저장공간(210)의 상측으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방열홈(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300)의 상부에는 외부에는 수평홀(330)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증기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재(340)가 설치되어 있는 초콜렛 중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초콜렛 중탕기의 초콜릿저장용기(200) 일측에 초콜릿배출관(4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콜릿배출관(400)의 타측은 상기 물가열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채 개폐밸브(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믹서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상기 볼안착부재(43)에 안착된 상태에서 믹서볼(10)의 외주면과 중탕기본체(41)의 내주면은 상호 이격된 틈(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35a) 상단까지의 길이(b)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턱(46) 저부까지의 길이(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견인장치(30)의 가이드돌기(34)가 믹서볼(10)의 가이드공(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재(33)가 상승하여 받침부(35a)가 승강턱(46)과 맞닿아 승강턱(46)을 상향 이동시킬 때, 상기 믹서볼(10)의 바닥면이 중탕기본체(41)의 볼안착부재(43) 상측으로 이격된 이격공간(d)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34)와 가이드공(12a)은 동일한 하광상협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중탕기견인부재(35)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된 하강엑츄에이터(3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KR1020190063217A 2019-05-29 2019-05-29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KR10208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17A KR102082220B1 (ko) 2019-05-29 2019-05-29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17A KR102082220B1 (ko) 2019-05-29 2019-05-29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220B1 true KR102082220B1 (ko) 2020-05-04

Family

ID=7073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17A KR102082220B1 (ko) 2019-05-29 2019-05-29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2918A1 (en) * 2020-06-23 2021-12-23 Whirlpool Corporation Ice cream maker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3877A1 (en) * 2000-04-28 2002-07-18 Brunswick Brian A. Mixer with pivotable bowl
KR100447249B1 (ko) * 2003-08-08 2004-09-07 정용호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KR200464530Y1 (ko) 2010-04-27 2013-01-08 이동규 전기 가열식 중탕기
KR101541615B1 (ko) * 2013-12-18 2015-08-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탕기
KR101593035B1 (ko) * 2015-02-11 2016-02-11 주식회사 로이첸 스팀 중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3877A1 (en) * 2000-04-28 2002-07-18 Brunswick Brian A. Mixer with pivotable bowl
KR100447249B1 (ko) * 2003-08-08 2004-09-07 정용호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KR200464530Y1 (ko) 2010-04-27 2013-01-08 이동규 전기 가열식 중탕기
KR101541615B1 (ko) * 2013-12-18 2015-08-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탕기
KR101593035B1 (ko) * 2015-02-11 2016-02-11 주식회사 로이첸 스팀 중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2918A1 (en) * 2020-06-23 2021-12-23 Whirlpool Corporation Ice cream mak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9077B1 (en) Apparatus for making bread
EP1855572B1 (en) Improved waffle maker
KR102082220B1 (ko) 초콜릿 중탕기를 구비한 제빵용 버티컬 믹서
AU2013237514B2 (en) Full automatic turkish coffee cooking and serving machine
ITMO20090259A1 (it) Apparato per erogare un prodotto alimentare
JP3638896B2 (ja) 釜装置
US9756975B1 (en) Full automatic turkish coffee cooking and serving machine
KR102036179B1 (ko) 이동식 중탕기가 구비된 제빵용 버티컬 믹서
KR20190091078A (ko) 아이스크림 압출 장치
CN111789278A (zh) 一种面窝成型模具及面窝自动加工设备
KR20180045231A (ko) 발열 믹싱 볼이 구비된 제빵용 믹서
JP2009125516A (ja) 自動製パン器
US5860357A (en) Breadmaker
KR102107898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KR101755096B1 (ko) 초콜릿 액상 가공장치
US5826495A (en) Breadmaker
JPH08127021A (ja) セメントモルタル原料の計量供給装置
US2735925A (en) Water heater
CN215799422U (zh) 一种米酒蒸煮夹层锅自动控制装置
KR102184567B1 (ko) 물순환을 이용한 온도조절 믹싱볼시스템 및 상기 믹싱볼시스템을 포함하는 제과제빵 전용 혼합기
TWI824262B (zh) 黏稠性食品定量澆注機
JPH0120871Y2 (ko)
US20230296256A1 (en) Wax melting pot
IT202000008089A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liquidi e semiliquidi.
KR200345246Y1 (ko) 구이판 예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