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27B1 -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27B1
KR102077227B1 KR1020180125350A KR20180125350A KR102077227B1 KR 102077227 B1 KR102077227 B1 KR 102077227B1 KR 1020180125350 A KR1020180125350 A KR 1020180125350A KR 20180125350 A KR20180125350 A KR 20180125350A KR 102077227 B1 KR102077227 B1 KR 10207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vision
unit
cut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호 filed Critical 전준호
Priority to KR102018012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8Graphical interactive displays; Mouses; Touch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1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on a movab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절단 위치에 도달하는 포장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절단부에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제1 비전부와 제2 비전부,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에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상기 절단부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각각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에서 각각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PACKAGING MATERIAL CUTTING SYSTEM WITH DUAL VISION MODULE}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듀얼 비전부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포장재의 정렬 상태를 판단하고, 절단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포장재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생산품의 파손,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재들은 생산품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은 포장재들은 생산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린팅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린팅은 포장재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포장재 내부에 생산품이 인입되고 포장재는 밀봉되게 되며, 이 때 프린팅은 포장재의 외면에 배치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린팅은 포장재의 중앙부에 배치되게 되지만, 간혹 다른 포장품과는 다르게 중앙에서 벗어나게 프린팅이 위치되는 경우도 있다.
포장재 가공 시스템에서 가공되는 포장품은 롤 형태의 포장재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절단되기 때문에, 포장재 상의 프린팅이 한 번 어긋나게 되면, 연속적으로 어긋나게 가공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포장재 프린팅 위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417589호 '단일 구조 비닐 포장지 제조 방식을 이용한 이중 비닐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전부를 통해 포장재의 배치를 판단하여 포장재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포장재의 정렬 상태에 따라 포장재를 재 정렬하여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포장재의 종류에 따라 비전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의 불량과 낭비를 저감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절단부의 미세 이동을 통해 미세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 절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예 따른 다른 목적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듀얼 비전부를 통해 두 지점 이상의 지점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보다 미세한 이미지 정렬 오차를 판단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절단 위치에 도달하는 포장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절단부에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제1 비전부와 제2 비전부,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에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상기 절단부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각각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에서 각각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상기 절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절단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횡방향 가이드레일,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가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각각 이동되도록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 상기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모터, 및 상기 동력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에 각각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부를 이동시키는 조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기 정렬 오차에 따라 상기 조정부재를 조정하여 상기 절단부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절단부의 미세 조정에 따라 상기 포장재의 정렬 오차가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상기 제1 비전부 또는 상기 제2 비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장재의 미세 위치를 판단하도록, 상기 제1 비전부 또는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를 확대시키기 위한 카메라 줌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 입력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비교 이미지; 또는 상기 포장재 절단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비전부를 통해 포장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포장재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포장재의 정렬 상태에 따라 포장재를 재 정렬하여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포장재의 종류에 따라 비전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의 불량과 낭비를 저감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절단부의 미세 이동을 통해 미세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 절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에 의하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듀얼 비전부를 통해 두 지점 이상의 지점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보다 미세한 이미지 정렬 오차를 판단할 수 있는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는 절단부(130), 듀얼 비전부(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 절단 장치(100)는 포장재를 공급받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포장재 롤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회전을 통해 분리되어 포장재 롤의 일 단이 포장재 절단 장치(100)의 절단부(130) 및 절단부(130) 상의 절단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절단부(130)는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단부재 또는 하부 절단부재는 칼날일 수 있으며,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가 맞물려서 포장재가 절단될 수 있다.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가 맞물리는 위치는 절단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포장재의 절단부위가 절단 위치에 도달하면, 포장재는 정지될 수 있고, 포장재가 정지되면 절단부(130)의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가 서로 맞물려서 포장재의 절단부위를 절단시킬 수 있다.
절단부(130) 상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전부들(제1 비전부(110), 제2 비전부(1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들은 각각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에 의해 수집된 포장재의 이미지들을 통해 절단부위가 절단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각각 이격된 상태로 절단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각각 포장재 상의 일 지점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와 제1 비전부(110) 및 제2 비전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포장재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포장재의 정렬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비전부(110) 또는 제2 비전부(120)는 상호 보완적으로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1 비전부(110) 또는 제2 비전부(120) 중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 제1 비전부(110) 또는 제2 비전부(120) 둘 중 하나만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포장재의 이미지는 예를 들어, 포장재의 외형정보(모서리 모양, 포장재 길이, 포장재의 위치 등)일 수 있고, 또는 포장재 상에 인쇄되는 프린팅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제어부의 판단 결과, 절단부위가 절단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했다면, 절단부(130)의 동작을 허용하여 포장재를 절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의 판단 결과, 절단부위와 절단 위치가 불일치할 경우, 제어부는 절단부(130)의 위치를 제어하여 포장재의 절단부위와 절단 위치를 일치시킨 후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부(130)는 조정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고, 조정부재(132)는 포장재의 절단부위와 절단 위치가 일치되도록 절단부(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판단된 포장재 정렬오차에 따라, 절단부(130) 또는 포장재를 공급하는 피딩부를 제어하여 포장재 절단의 정렬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부재(132)는 포장재에 대하여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의 위치를 미세조정하여서 결과적으로 절단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정부재(132)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각각 포장재의 외형정보, 구체적으로 포장재의 두 지점의 모서리의 위치를 수집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어부에 저장된 포장재 모서리 위치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포장재의 모서리 위치오차를 판단하여서, 포장재의 절단될 모서리가 정해진 절단 위치 상에 배치되도록 조정부재(132)를 통해 절단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포장재의 모서리 절단면을 수집할 수 있으며, 절단부(130)에 의해 잘려진 포장재의 모서리 절단면과 제어부에 저장된 포장재 모서리 절단면 정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제어부는 조정부재(132)를 동작시켜 다음에 절단되는 포장재가 미리 저장된 포장재 모서리 절단면 정보와 일치하게 절단부(130) 상의 절단위치 오차를 보정하도록 절단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와 제1 비전부(110) 및 제2 비전부(120)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포장재 상에 프린팅된 이미지가 이미지 데이터 상의 이미지 좌표와 일치할 경우 절단부(130)의 동작을 허용하여 포장재를 절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조정부재(132)를 통해 절단부(130)의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를 이동시켜서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수집된 이미지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와, 제1 비전부(110) 및 제2 비전부(120)에 의해 수집된 포장재의 길이를 비교하여, 이미지 데이터 상의 길이와 포장재의 길이가 일치할 경우 절단부(130)의 동작을 허용할 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 상의 길이와 수집되는 포장재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조정부재(132)를 통해 절단부(130)를 이동시켜서,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절단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조정부재(132)는 제어부에 입력된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 길이를 고려하여서 절단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절단부(130)는 절단부(130)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재(132)는 절단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절단부(130) 또는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 사이의 절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부재(13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단부(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전부(110) 및 제2 비전부(120)를 통해 제어부가 포장재의 정렬오차를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절단부(130)의 동작을 정지시켜 절단과정을 중단시킬 수 있고, 또한, 제어부는 조정부재(132)에 절단부(130)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조정부재(13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부 절단부재와 하부 절단부재가 포장재 상의 절단이 필요한 임의의 위치 상에 도달하도록 절단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포장재 상의 절단 위치는 제어부에 저장된 이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에 저장된 이미지가 프린팅 이미지일 경우 포장재 상의 절단 위치는 프린팅 이미지의 경계면이나 중심 등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일 수 있고, 또는 제어부에 저장된 이미지가 모서리 모양일 경우 포장재 상의 절단 위치는 절단되는 모서리의 길이와 형태가 일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절단부(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절단부(130)에 의해 절단될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포장재가 공급되는 방향 및 포장재의 이동방향으로 절단부(130)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바람직하게 카메라 센서일 수 있으며,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포장재 상부에 포장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포장재의 절단면을 포착하도록 포장재의 절단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전부(110)는 포장재의 상부에서 포장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비전부(120)는 포장재의 하부에서 포장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포장재의 절단면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저장된 포장재 이미지 데이터 중 절단면 부위의 정보와 비전부에 의해 수집되는 절단면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장재의 공급 각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정부재(132)를 통해 절단부(130)의 방향을 조정하여 포장재와 절단부(130)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는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카메라 줌 렌즈(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줌 렌즈는 렌즈를 통해 광학적으로 포장재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의 렌즈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의 렌즈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카메라 줌 렌즈를 통해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보다 미세한 포장재의 정렬오차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람직하게 제어부에 입력된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된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포장재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해 제1 비전부(110) 또는 제1 비전부(120)는 절단부(13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팅이 포장재의 일 부분에 위치되도록 인쇄된 포장재의 경우에,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가 포장재의 프린팅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제어부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부(130) 상에서 이동되어서 포장재 상에 인쇄된 프린팅을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는 절단부(130) 상에 배치되는 제1 비전부(110) 또는 제2 비전부(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정부(140)는 제1 비전부(110) 또는 제2 비전부(12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부(140)는 절단부(1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횡방향 가이드레일(142) 및 절단부(130) 하부의 포장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는 횡방향 가이드레일(142)과 종방향 가이드레일에 의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하로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140)는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횡방향 이동부재(144),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종방향 이동부재,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모터, 및 동력모터의 동력을 횡방향 이동부재에 각각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은 절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절단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횡방향 이동부재(144)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이동되도록 횡방향 가이드레일(142)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두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횡방향 이동부재(114)들은 제1 비전부(110) 및 제2 비전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제1 비전부(110)와 연결되어서 제1 비전부(110)를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다른 일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제2 비전부(120)와 연결되어서 제2 비전부(120)를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종방향 이동부재와 종방향 가이드레일은 각각의 횡방향 이동부재(14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를 종방향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는 종방향 이동부재(138)가 종방향 가이드레일(136)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력모터는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144)들을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을 따라서 횡방향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46)는 횡방향 이동부재(144)에 동력모터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동력전달부재(146)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동력전달부재(146)들은 서로 겹침없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횡방향 이동부재(144)가 두 개라면, 동력전달부재(146)는 두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재(146)는 횡방향 이동부재(144) 각각에 다른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146)는 바람직하게 체인, 벨트 등일 수 있다.
일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횡방향 가이드레일(142)의 절반의 영역을 이동할 수 있고, 다른 일 횡방향 이동부재(144)는 횡방향 가이드레일(144)의 다른 절반의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비전부(110, 120)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60)은 듀얼 비전부(110, 120)에서 수집되는 영상정보와 포장재 절단 장치의 상태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160)은 제1 비전부(110)와 제2 비전부(120)를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이미지 데이터, 제1 비전부와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와 미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 이미지, 포장재 절단 장치의 고장을 표시하는 이미지, 또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집하기 위한 제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전부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비전부는 포장재 절단 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절단부(130)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비전부들은 포장재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각각 인쇄된 프린팅이나 절단선을 서로 비교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포장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포장재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포장재의 정렬 상태에 따라 포장재를 재 정렬하여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포장재의 종류에 따라 비전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포장재의 절단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는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의 불량과 낭비를 저감할 수 있고, 절단부의 미세 이동을 통해 미세 정렬 오차를 보정하여 포장재 절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듀얼 비전부를 통해 두 지점 이상의 지점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보다 미세한 이미지 정렬 오차를 판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110 : 제1 비전부
120 : 제2 비전부
130 : 절단부
132 : 조정부재
140 : 위치조정부
142 : 횡방향 가이드레일
144 : 횡방향 이동부재
146 : 동력전달부재
150 : 카메라 줌 렌즈
160 : 터치스크린

Claims (5)

  1. 절단 위치에 도달하는 포장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절단부에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제1 비전부와 제2 비전부;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에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상기 절단부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는 각각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에서 각각 수집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포장재의 정렬 오차를 판단하며,
    상기 절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절단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횡방향 가이드레일;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가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각각 이동되도록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
    각각의 상기 횡방향 이동부재 상에 배치되는 종방향 가이드레일;
    상기 종방향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동부재;
    상기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 또는 상기 종방향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모터; 및
    상기 동력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복수 개의 횡방향 이동부재 또는 상기 종방향 이동부재에 각각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비전부 및 상기 제2 비전부는 3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포장재의 이미지를 수집함으로써 상기 포장재의 두 지점 이상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보다 미세한 이미지 정렬 오차를 판단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부를 이동시키는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기 정렬 오차에 따라 상기 조정부재를 조정하여 상기 절단부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상기 절단부의 미세 조정에 따라 상기 포장재의 정렬 오차가 보상되는, 포장재 절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부 또는 상기 제2 비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장재의 미세 위치를 판단하도록, 상기 제1 비전부 또는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를 확대시키기 위한 카메라 줌 렌즈를 포함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
    입력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제1 비전부와 상기 제2 비전부로 수집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비교 이미지; 또는
    상기 포장재 절단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포장재 절단 장치.
KR1020180125350A 2018-10-19 2018-10-19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KR10207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50A KR102077227B1 (ko) 2018-10-19 2018-10-19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50A KR102077227B1 (ko) 2018-10-19 2018-10-19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227B1 true KR102077227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350A KR102077227B1 (ko) 2018-10-19 2018-10-19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2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625A (ja) * 1996-05-02 1997-11-18 Totani Giken Kogyo Kk 製袋機
JP2000290861A (ja) * 1999-04-07 2000-10-17 Tokiwa Shoji Kk 織物検査装置
JP2006327691A (ja) * 2005-05-23 2006-12-07 Hauni Maschinenbau Ag 充填状況検査方法及び充填状況検査装置
US20120055297A1 (en) * 2009-03-09 2012-03-08 Sacmi Verona S.P.A.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11877A (ko) * 2015-07-24 2017-02-02 (주)제이브이엠 약제 검사 장치 및 그 약제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625A (ja) * 1996-05-02 1997-11-18 Totani Giken Kogyo Kk 製袋機
JP2000290861A (ja) * 1999-04-07 2000-10-17 Tokiwa Shoji Kk 織物検査装置
JP2006327691A (ja) * 2005-05-23 2006-12-07 Hauni Maschinenbau Ag 充填状況検査方法及び充填状況検査装置
US20120055297A1 (en) * 2009-03-09 2012-03-08 Sacmi Verona S.P.A.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11877A (ko) * 2015-07-24 2017-02-02 (주)제이브이엠 약제 검사 장치 및 그 약제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4666B1 (en) Dynamically directed workpiece positioning system
JP3855684B2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CN106102975B (zh) 一种用于运行板加工装置的方法
US5664026A (en) Product optical control method
KR102077227B1 (ko) 듀얼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JP5181456B2 (ja) 製袋装置及び袋の製造方法
KR102276719B1 (ko)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쏘우 라우터 시스템
KR101618792B1 (ko) 패널 얼라인 장치
KR20200032986A (ko) 비전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절단 장치
JPH04206745A (ja)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
KR101200708B1 (ko) 레이저 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6873B1 (ko) 필름 부착된 기판의 에지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레이저 절단 시스템
TW201737327A (zh) 雷射加工裝置
KR20220146323A (ko) 레이저 가공 장치의 조정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JP2008258539A (ja) 実装機および実装機におけるコンベア幅調整時の干渉防止方法
JP7126963B2 (ja) ステレオカメラの調整システム
KR20210015687A (ko) 레이저 가공 장치
KR20200068804A (ko) 필름 절단 장치 및 방법
KR20200123367A (ko) 레이져를 이용한 렌즈 게이트 절단장치
JP6589137B2 (ja) 部品実装用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KR100538970B1 (ko) 글라스 가공을 위한 이송 중 정위치 보정 장치
JP7098378B2 (ja) 部品実装機
KR102267731B1 (ko) 필름 절단 장치 및 필름 절단 방법
JP5603580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JPH03223012A (ja) 基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