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883B1 - 끼움형 경량 칸막이 - Google Patents

끼움형 경량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883B1
KR102076883B1 KR1020160131263A KR20160131263A KR102076883B1 KR 102076883 B1 KR102076883 B1 KR 102076883B1 KR 1020160131263 A KR1020160131263 A KR 1020160131263A KR 20160131263 A KR20160131263 A KR 20160131263A KR 102076883 B1 KR102076883 B1 KR 10207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partition
partition
fixed
horizontal plate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016A (ko
Inventor
양태열
Original Assignee
양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열 filed Critical 양태열
Publication of KR2017012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는 수직의 판재 형상의 경량 칸막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에 있어서, 경량 칸막이는 경량 칸막이 본체와, 본체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폭방향 중앙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본체 및 연결부재의 외측에 접합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는, 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중앙 상부로 돌출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내주면에 너트홈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관과,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과 수평판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와 높이조절관을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경량 칸막이의 끼움홈에 수직판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경량 칸막이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끼움형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여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인한 경량 칸막이의 훼손 및 외부 습기나 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경량 칸막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끼움형 경량 칸막이{Partition}
본 발명은 끼움형 경량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칸막이 등의 경량 칸막이와 이를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끼움형 구조로 형성한 끼움형 경량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등에 사용되는 경량 칸막이는 이를 바닥이나 천정 등에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량 칸막이와 받침부재 간에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받침부재의 위치이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수단에 의한 경량칸막이의 훼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인하여 발생 되는 경량 칸막이의 결합공으로 외부의 습기나 물이 유입되어 경량 칸막이가 썩거나 결합부위가 손상되어 심하게는 경량칸막이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167011호 "화장실 칸막이 고정받침대"(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바닥(1)에 고정되는 받침판(2)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받침관(4)이 내면에 암나사(5)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5)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3)가 형성된 높낮이 조절봉(11)이 설치되는 위치에 의해 칸막이(P) 위치를 조절하고, 이를 커버케이싱(9)으로 내장하는 고정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봉(11)에 너트(12)를 결합하여 너트(12)의 위치에 의해 칸막이(P)설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봉(11)의 상단에 설치브라켓(13)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케이싱(9)의 상단 중앙을 칸막이 두께의 크기와 일정한 길이를 가진 절결요홈(14)을 형성하되 양측에는 안쪽으로 요입부(15)를 가진 체결공(16)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고정받침대.'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볼트 등의 체결구(8)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량 칸막이의 결합공으로 높이조절관과 덮개에 외부의 습기나 물이 유입되어 경량 칸막이가 썩거나 결합부위가 손상되어 심하게는 경량칸막이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167011호 "화장실 칸막이 고정받침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량 칸막이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끼움형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여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인한 경량 칸막이의 훼손 및 외부 습기나 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경량 칸막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의 판재 형상의 경량 칸막이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에 있어서, 경량 칸막이는 경량 칸막이 본체와, 본체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폭방향 중앙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본체 및 연결부재의 외측에 접합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는, 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중앙 상부로 돌출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내주면에 너트홈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관과,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과 수평판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와 높이조절관을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경량 칸막이의 끼움홈에 수직판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체 및 연결부재의 외면에 마감재의 부착은 수성본드에 경화제를 첨가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체와 마감제는 수성본드로 부착하고 연결부재와 마감제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경량 칸막이의 끼움홈은 경량 칸막이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거나, 일정 길이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판은 폭방향의 상부 두께가 얇고 하부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판은 폭방향 양측면에 톱니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부재는 폭방향 양측면의 하단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a) 받침부재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시공되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덮개를 고정부재의 상부에 끼우고, 높이조절관을 고정부재의 높이조절부에 나사결합하는 단계; (c) 높이조절관의 상단부 중공에 고정 회전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d) 고정 회전부재의 수직판을 경량 칸막이의 끼움홈에 끼워 경량 칸막이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 형상과 그 시공방법은 경량 칸막이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끼움형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여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인한 경량 칸막이의 수평관과 마감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높이 조절관과 덮개의 훼손 및 외부 습기나 물 등이 높이조절관과 덮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경량 칸막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다양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가 시공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의 판재 형상의 경량 칸막(10)과 경량 칸막이(10)를 지지하도록 경량 칸막이(10)의 하부에 받침부재(20)를 끼워서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경량 칸막이(10)의 상부에도 동일한 고정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경량 칸막이(10)는 경량 칸막이 본체(11)와, 본체(11)의 하부에 연결부재(12)가 결합되며,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에는 마감재(13)가 형성된다.
본체(11)는 수직의 판재 형상으로 목재 또는 방수PB(PARTICAL BOARD)등 경량의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의 하부에 접착제 등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체(11)의 상하측면 가장자리에는 연결부재(12)를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목분-고분자 복합체(Wood Flour-Polymer Composite, WPC)를 사용하는데 목분과 참가제가 용융된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목분-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목분(woodflour)은 가격이 저렴하고 재생 가능하고 고분자수지와 가공성이 우수하여 사용한다.
또 목분-고분자 복합체는 목섬유(wood fiber)보다는 목분(wood flour)을 이용하고 칩, 셰이빙 및 톱밥과 같은 재활용 물질을 미세한 가루의 형태로 파쇄시켜 만들어진다. WPC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목분의 파티클 크기는 20~120mesh의 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목분-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재료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한다.
미네랄 충전제(mineral fillers)는 윤활성을 개선하고 목섬유의 수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WPC의 가공성을 개선하는것으로 탄산칼슘, 활석, 운모와 같은 미네랄 충전제들이 충격강도와 굽힘강도, 열변형 온도 및 하중에 의한 장기적인 변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됐다.
상기 본체(11)와 연결부재의 접착은 친환경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즉 접착하는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콜(PVA)수용액에 에멀젼이나 라텍스 등을 혼합하고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첨가하여 가교시키는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의 친환경접착제를 사용한다.
연결부재(12)는 본체(11)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2)의 하부에는 폭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21)이 형성되도록 한다.
끼움홈(121)은 후술하는 받침부재(20)의 수직판(232)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에는 마감재(13)가 형성되는데, 마감재(13)는 시트지, 합성수지재 등 공지의 다양한 마감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2에서는 편의상 마감재(13)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마감재(13)가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면에 마감재의 접착하는 것은 수성본드에 경화제를 첨가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면에 마감재(13)를 접착사용 할 수 있다.
또는 마감제의 본체와 접촉되는 부분은 수성본드를 도포하고 연결부재에는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마감재(13)와 본체(11)는 수성본드를 접착하고 마감재(13)와 연결부재(12)의 접착은 양면테이프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감재(13)가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경량 칸막이(1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부재(20)는 도 2에서와 같이, 볼트(213)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의 중앙 상부로 돌출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12)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1)와, 중공(22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내주면에 너트홈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12)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관(22)과, 수평판(231)과 수평판(2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232)과 수평판(231)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기둥(233)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회전부재(23)와, 고정부재(21)와 높이조절관(22)을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24)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1)의 고정부(211)는 판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볼트공이 다수 천공되어 볼트공을 통하여 볼트(213)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12)는 고정부(211)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12)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관(22)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주면에 너트롬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12)에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관(22)이 높이조절부(212)를 따라 승강하도록 한다.
고정 회전부재(23)는 일정 크기의 수평판(231)과 수평판(2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232)과 수평판(231)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기둥(233)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판(231)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폭은 경량 칸막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수직판(232)은 수평판(2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수평판(231)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판(232)의 길이, 폭 및 높이는 끼움홈(1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회전기둥(233)은 원기둥 형상으로 수평판(231)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도록 하여 높이조절관(22)의 상단부 중공(221)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높이조절관(22)을 축으로 회전기둥(233)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관(22)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기둥(233)이 구성되어, 경량 칸막이(10)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여 회전하여 시공 오차 등 위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경량 칸막이가 화장실의 개폐문으로 사용될 시에도 힌지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24)는 고정부재(21)와 높이조절관(22)을 외부에서 덮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21)와 높이조절관(22)을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에 의한 손상 등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받침부재(20)는 경량 칸막이(10)의 끼움홈(121)에 수직판(232)이 끼워져 고정되며, 단순히 억지 끼움을 하는것으로만 결합이 가능하지만 끼움홈(121)에 별도의 접착제 등을 도포한 이후에 수직판(232)을 끼워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경량 칸막이(10)의 끼움홈(121)은 수직판(232)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작게 만들어 끼움홈(121)에 수직판(232)을 억지끼움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경량 칸막이(10)의 끼움홈(121)은 경량 칸막이(1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판(232)이 고정되면 경량칸막이(10)를 수직판(232)이 끼워진 끼움홈(12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시공오차를 수렴하도록 할 수도 있고,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끼움홈(121)을 일정 길이의 장공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공의 끼움홈(121)의 내부에서 경량 칸막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오차를 수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다양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수직판(232)은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동일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a에서 수평관(231)은 하부(600)에 오목부(610)(
Figure 112016098309314-pat00001
)의 형상을 형성하여 물이 마감재(13)에 뭍어 하부로 흘러내릴 때 물이 오목부(610)에 의해 높이조절관(22)과 덮개(24) 사이에 스며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232)은 폭방향의 상부 두께가 얇고 하부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끼움홈(121)에 삽입시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5b에서 수평관(231)은 하부(650)에 오목부(660)(
Figure 112016098309314-pat00002
)의 형상과 마감재(13)의 형상으로 경사지게 튀어 나옴부로 구성되어 마감재(13)에 물이 흐를 때 마감재 튀어나옴부(670)와 오목부(660)(
Figure 112016098309314-pat00003
)에 의해 높이조절관(22)과 덮개(24)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수직판(232)은 폭방향 양측면에 톱니형상의 걸림돌기(235)가 형성되도록 하여 끼움홈(121)에 삽입시에는 삽입이 용이하고 인발시에는 걸림돌기(235)에 의하여 인발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c에서 보면 도5a와 같은 기능의 물의 흘러내림에 의해 높이조절관(22)과 덮개(24)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걸림돌기(235)는 상부단면이 좁고 하부단면이 넓은 일측 사선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d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2)는 폭방향 양측면의 하단부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 지도록 절삭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물 등이 경량 칸막이의 외부면을 타고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 폭방향 하부 단부에서 바닥 등의 하부로 바로 낙하 되도록 할 수 있다.
5d에서 연결부제(12)가 하부에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고 오목부(790)(
Figure 112019097115153-pat00004
)의 형상과 수평판(231)의 갓부분을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마감재(13)에 흘러내리는 물이 높이조절관(22)과 덮개(24) 사이에 스며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도 6은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가 시공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시공방법은 주로 경량 칸막이(10)의 하부에 받침부재(20)를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칸막이(10)의 상부에도 하부와 동일한 연결부재(12)를 결합하고, 받침부재(20)를 끼워서 경량 칸막이(10)를 바닥과 천정에 동시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의 시공방법은 먼저, 받침부재(20)를 시공할 바닥면에 볼트(213)로 고정하고, 받침부재(20)의 상부에 경량 칸막이(10)를 끼우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재(21)의 고정부(211)를 시공되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a).
볼트(213)를 이용하여 시공될 바닥면에 경량 칸막이(10)를 지지할 부분에 각각 고정부재(21)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후, 덮개(24)를 고정부재(21)의 상부에 끼우고, 높이조절관(22)을 고정부재(21)의 높이조절부(212)에 나사결합하도록 한다(b).
높이조절관(22)의 하부가 보이지 않도록 덮개(24)의 내부로 삽입되며, 높이조절관(22)을 일정 높이에 이르도록 높이조절부(212)에 나사결합하도록 한다.
이후, 높이조절관(22)의 상단부 중공(221)에 고정 회전부재(23)를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c).
고정 회전부재(23)는 회전기둥(233)이 높이조절관(22)의 상단부 중공(221)에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고정 회전부재(23)의 수직판(232)을 경량 칸막이(10)의 끼움홈(121)에 끼워 경량 칸막이(10)를 고정한다(d).
경량 칸막이(10) 고정시에는 시공 오차를 수정하도록 하고,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끼움형 경량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은 경량 칸막이와 경량 칸막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끼움형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여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인한 경량 칸막이의 훼손 및 외부 습기나 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경량 칸막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경량 칸막이 11 : 본체
12 : 연결부재 121 : 끼움홈
13 : 마감재 20 : 받침부재
21 : 고정부재 211 : 고정부
212 : 높이조절부 22 : 높이조절관
23 : 고정 회전부재 231 : 수평판
232 : 수직판 233 : 회전기둥
24 : 덮개 610 : 오목부
780 : 둥글게 형성된부

Claims (4)

  1. 수직의 판재 형상의 경량 칸막이(10)와 경량 칸막이(1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경량 칸막이에서,
    경량 칸막이(10)는 경량 칸막이 본체(11)와, 본체(11)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1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폭방향 중앙부에 끼움홈(121)이 형성되는 연결부재(12)와, 본체(11) 및 연결부재(12)의 외측에 접합되는 마감재(13)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20)는, 볼트(213)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의 중앙 상부로 돌출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12)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1)와, 중공(22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내주면에 너트홈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12)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관(22)과, 수평판(231)과 수평판(2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232)과 수평판(231)의 중앙 하부에서 돌출하여 높이조절관(22)의 상단부 중공(221)에 끼워져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기둥(233)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회전부재(23)와, 고정부재(21)와 높이조절관(22)을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24)로 구성되어, 경량 칸막이(10)의 끼움홈(121)에 수직판(232)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수평판(231)은 하부에 오목부(610)로 형성되고 물이 마감재(13)에 붙어 하부로 흘러내릴 때 물이 오목부(610)에 젖어서 높이조절관(22)과 덮개(24) 사이에 스며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 내리는 끼움형 경량 칸막이에 있어서,
    본체 연결부재(12)의 폭방향 양측면의 하단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는 부재로 구성되고 수평관(231)의 갓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경량칸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31263A 2016-04-20 2016-10-11 끼움형 경량 칸막이 KR10207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33 2016-04-20
KR20160047933 2016-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016A KR20170120016A (ko) 2017-10-30
KR102076883B1 true KR102076883B1 (ko) 2020-05-18

Family

ID=6030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63A KR102076883B1 (ko) 2016-04-20 2016-10-11 끼움형 경량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274119Y (es) * 2021-06-22 2021-10-19 Spazia Glass S L Mampara modul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62Y1 (ko) * 2001-01-02 2001-06-15 주식회사동양산기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11B1 (ko) 1995-03-13 1999-01-15 우덕창 유출유 처리용 산화티탄 광촉매
KR200456489Y1 (ko) * 2009-06-19 2011-11-02 후지산업(주)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KR200476135Y1 (ko) * 2013-04-02 2015-02-02 김용범 화장실 칸막이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62Y1 (ko) * 2001-01-02 2001-06-15 주식회사동양산기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016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455B1 (en) Backed panel and system for connecting backed panels
KR102058459B1 (ko) 플로어 패널용 기계적 잠금 시스템
BR112019023716B1 (pt) Sistema de ladrilhos multiuso
WO2012100401A1 (zh) 一种地板连接结构
KR102076883B1 (ko) 끼움형 경량 칸막이
KR200418125Y1 (ko) 바닥재용 데크
KR10195417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부의 바닥면용 방음 및 단열시공재
KR20160142819A (ko) 패널 건재 및 그 설치 구조
KR20110102977A (ko) 데크 고정용 클립
CN101793078A (zh) 防水锁扣组合板
JP2009275373A (ja) 開口枠の取付け構造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JP2015105497A (ja) 隅部用見切部材
KR200431417Y1 (ko) 방수성 강화 마루 판재
EP2004925A1 (fr) Panneau sandwich
US20200392726A1 (en) Sandwich panel
KR20150143136A (ko) 조립식 등신대 장치
JP6563236B2 (ja) テーブル用天板を生産する方法
CN210216764U (zh) 一种用于安装保温板的锚固件
CN110259039B (zh) 调平保温板总成
JP5419185B2 (ja)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20170004414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형 마감판넬
KR101625500B1 (ko) 알루미늄복합재 조립구조
CN220864933U (zh) Pvc发泡板
CN210164742U (zh) 一种连接条粘接的铝合金连接结构及相关家具或建筑装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