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489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489Y1
KR200456489Y1 KR2020090007953U KR20090007953U KR200456489Y1 KR 200456489 Y1 KR200456489 Y1 KR 200456489Y1 KR 2020090007953 U KR2020090007953 U KR 2020090007953U KR 20090007953 U KR20090007953 U KR 20090007953U KR 200456489 Y1 KR200456489 Y1 KR 200456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lean room
wall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922U (ko
Inventor
유면수
Original Assignee
후지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산업(주) filed Critical 후지산업(주)
Priority to KR2020090007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4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베이스 내측에 배열되는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상부에 배열되는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 상부에 결합되는 패널이 구비되고, 또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승하강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켜 벽체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시공 시 건물 내부의 높이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클린룸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래에 기 설치된 벽체의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그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클린룸, 벽체, 받침부재, 승하강부재, 패널, 높이조절부재, 조절볼트, 조절너트, 보조받침부재, 공구투입공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WALL FOR CLEAN ROOM}
본 고안은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승하강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켜 벽체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시공 시 건물 내부의 높이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클린룸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래에 기 설치된 벽체의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그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벽체의 경우에는 건물 외부와 내부, 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 이외에 클린룸 내부의 청정도 유지를 위한 기밀성을 보장하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최근 들어 클린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위해 새롭게 클린룸 설비를 새롭게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된 클린룸을 사용 용도나 장소적인 특성에 맞추어 재배열 또는 리모델 링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시공성과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의 클린룸 설비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클린룸으로는 실용신안권자 (주)한국후지알앤씨에 의한 등록실용 제20-0432632호(2006.11.29. 등록.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벽패널의 조립구조”는 벽패널을 간편히 조립하고 해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경우에는 베이스프레임와 연결되는 벽패널의 높이가 확정되어 있어 클린룸에 벽패널을 설치한 후 용도에 따른 재배열 또는 리모델링을 위한 사용 시 건축물 자체의 변경으로 벽패널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또 클린룸 설비의 오랜 사용으로 벽패널 상단부와 지붕 사이에 틈새가 생겨 외부의 먼지나 이물이 침투하여 클린룸 내부의 청정도 유지가 어려운 경우 벽패널 자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보수를 위한 공사를 다시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만 클린룸 설비 이외에 칸막이나 파티션 또는 출원인 이종영에 의한 공개특허 제10-2008-0072776호(2008.08.07. 공개. 이하 ‘종래기술 2’라 함.) ‘거푸 집패널의 높이조절장치’ 등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칸막이나 파티션 또는 거푸집패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들의 경우에는 클린룸 설비의 주된 목적인 청정도 유지에 취약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전용 사용이 어렵고, 또 이러한 전용 사용이 예정되어 있지도 않아 이들을 적용하기 위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승하강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켜 벽체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시공 시 건물 내부의 높이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클린룸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래에 기 설치된 벽체의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그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는 조절볼트와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단순하고 심플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그 작동이 쉬고 편리하면서도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졸수단의 조절볼트 단부와 받침부재 사이에는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어 조절볼트 단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조절볼트의 회전 시 회전마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 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부재에서 가이드부는 베이스의 외측에 배열되어 가이드부 내측면과 베이스의 외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가 어렵게 함으로써 클린룸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승하강부재의 결합부에는 높이조절부재의 조절볼트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공구의 투입을 위한 공구투입공이 조절볼트 직상방에 형성되어 조절공구가 조절볼트에 보다 신속하고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높이조절을 위한 작업이 쉽고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는 내벽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걸림부에 얹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 상부에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면부와 이어지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고, 하방을 향해 절곡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 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패널; 및 상기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승 및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지지부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조절볼트를 타고 승하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다른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조절볼트 하단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하강부재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외측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위한 공구투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는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승하강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켜 벽체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시공 시 건물 내부의 높이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클린룸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래에 기 설치된 벽체의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그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는 조절볼트와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단순하고 심플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그 작동이 쉬고 편리하면서도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졸수단의 조절볼트 단부와 받침부재 사이에는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어 조절볼트 단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조절볼트의 회전 시 회전마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부재에서 가이드부는 베이스의 외측에 배열되어 가이드부 내측면과 베이스의 외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가 어렵게 함으로써 클린룸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승하강부재의 결합부에는 높이조절부재의 조절볼트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공구의 투입을 위한 공구투입공이 조절볼트 직상방에 형성되어 조절공구가 조절볼트에 보다 신속하고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높이조절을 위한 작업이 쉽고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의 높이조절을 위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벽체는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패널이나 파티션 또는 일반 건물에 설치되는 벽체 등에 구비되어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건물 설비에 전용 사용이 가능한 포괄적인 개념의 벽체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는
내벽 양측에 걸림부(11)가 형성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걸림 부(11)에 얹히는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 상부에 배열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 상면부와 이어지는 수직부(33)와, 상기 수직부(33)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35)와, 그리고 상기 결합부(35)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고, 하방을 향해 절곡된 가이드부(37)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30); 상기 승하강부재(30)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부(35)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를 갖는 패널(40); 및 상기 받침부재(20)와 승하강부재(30)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0)의 승강 및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서, 상기 베이스(10)는
클린룸 설비가 설치되는 건물 내부의 실내 공간에 따라 그 길이가 정하여지고, 그 내부는 빈 공간 형태로 수용부(13)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내벽 중간 부분에는 상호 동일한 높이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받침부재(20)가 얹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 바닥면은 건물의 지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해 체결공(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체결볼트(17)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건물의 바닥면의 시공 시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며,
또 상기 베이스(10) 외벽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갖는 보 강부(15)가 형성되어 베이스(10)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베이스(10)의 강도 및 지지력을 보강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수용부(13)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부(11) 상부에 얹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20)는 플렛(flat) 형태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부(11)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또 상기 받침부재(20) 양단은 상부로 절곡된 형태의 진입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의 수용부(13)에 상기 받침부재(20)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진입유도부(21)와 상기 베이스(10)의 내벽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받침부재(20)가 걸림부(11) 상부에 보다 쉽고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는 높이조절부재(50)의 조절볼트(51) 지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받침부재(20) 상면부에는 상기 조절볼트(51)의 하단부가 얹히는 형태로 배열되어 지지되고,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20)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30) 및 패 널(40)의 무게에 의한 하중이 상기 조절볼트(51)에 의하여 받침부재(2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20)는 이러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이루어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서, 상기 승하강부재(30)는
상기 받침부재(20) 상부에 배열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 상면부와 이어지는 수직부(33)와, 상기 수직부(33)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35)와, 그리고 상기 결합부(35)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고, 하방을 향해 절곡된 가이드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부재(3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높이조절부재(50)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클린룸에 설치되는 벽체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도체공장, 병원, 연구소, 제약공장 등에 설치되는 클린룸의 시공 시 건물 내부의 높이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클린룸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래에 기 설치된 벽체의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그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부재(30)에서 상기 지지부(31)는 플렛(flat) 형태로 상기 받침부재(20)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지지부(31) 양단에는 상방을 향해 절곡된 안내부(31b)가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재(5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31)가 상기 베이스(10) 내벽을 타고 상하강하는 경우 상기 안내부(31b)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10)의 내벽면과의 접촉면접을 확대함으로써 승하강부재(30)의 상승 및 하강 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부(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삽입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1a)에는 높이조절부재(50)의 조절볼트(51)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51)의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3)는 상기 지지부(31) 상면부와 이어지되, 상기 수직부(33)는 상기 지지부(31)의 삽입공(31a)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플렛 형상의 판상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열되어 승하강부재(3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수직부(33) 상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35)는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30) 상부에 얹히는 패널(40) 하면부에는 상기 결합부(35)에 대응하도록 철부(凸部) 또는 요부(凹部) 형태를 갖는 대응결합부(41)가 형성되어 승하강부재(30)와 패널(40)의 결합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결합부(35)와 대응결합부(41)는 상호 면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승하강부재(30) 상부에 위치하는 패널(4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35)와 대응결합부(41)는 더욱 밀착됨으로써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결합부(35)와 대응결합부(41)가 상호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외기의 투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그 기밀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35)에는 높이조절부재(50)를 위한 공구투입공(35a)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구투입공(35a)은 상기 결합부(35)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또 상기 공구투입공(35a)은 높이조절부재(50)의 조절볼트(51) 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조절볼트(51)를 조정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육각 렌치 등의 조절공구(미도시)의 투입 시 조절공구(미도시)가 조절볼트(51) 보다 신속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37)는 상기 결합부(35)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35)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재(50)에 의하여 승하강부재(30)가 상승 및 하강하는 경우 베이스(10)의 벽면을 타고 그 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7)는 상기 베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37)가 베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37)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10)의 내벽면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중력방향에 반대방향을 형성되어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 상기 가이드부(37)가 베이스(10)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37)의 내측면과 상기 베이스(10)의 외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는 중력방향으로 형성되어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완전한 기밀을 유지가 가능하여 청정한 클린룸을 유지하는데 보다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하강부재(30)의 가이드부(37)는 상기한 바와 같은 클린룸의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외측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승하강부재(30)의 가이드부(37)의 내측면과 상기 베이스의 외벽면이 형성하는 틈새에는 높이조절부재(50)에 의하여 벽체의 높이가 결정된 후 실리콘이나 또는 봉합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혹시라도 침투할 가능성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투입을 차단함으로써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서, 상기 패널(40)은
상기 결합부(35)에 대응하는 철부(凸部) 또는 요부(凹部) 형태를 갖는 대응결합부(4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5)와 상기 대응결합부(41)가 상호 끼워지거나 또는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0) 상부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응결합부(41)는 패널(40)의 하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0)의 결합부(35)와 연결되고, 또 상기 패널(40) 내측 및 외측면에는 외장재(43)가 부착되어 벽체의 미관과 기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50)는
상기 받침부재(20)와 승하강부재(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0)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벽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한 상기 높이조절부재(50)는 상기 지지부(31)에 형성된 삽입공(31a)에 관통 삽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절볼트(51)와,
상기 지지부(31)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조절볼트(51)를 타고 승하강하는 조절너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50)에서 상기 조절볼트(51)는 상기 삽입공(31a)을 관통하여 받침부재(20) 상면부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공회전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조절볼트(51)에는 상기 승하강부재(30)와 패널(40)의 무게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고,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51)의 회전 시 상기 받침부재(20)는 회전마찰에 의하여 그 접촉 부위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상기 조절볼트(51) 단부와 상기 받침부재(20) 사이에 보조받침부재(60)를 둠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조절볼트(51)의 회전 시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보조받침부재(60) 역시 일정한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너트(53)는 상기 승하강부재(30)의 지지부(31) 하면부와 연결된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조절너트(53)가 지지부(31) 하면부에 고정되지 않게 되면 상기 조절볼트(51)의 회전 시 같이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50)는 상기 조절볼트(5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절볼트(51)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승하강부재(30) 역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벽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부(31)와 결합부(35)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31a)과 공구투입공(35a)은 상기 높이조절부재(50)가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그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51)의 헤드 상면에는 십자 또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별개로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조절볼트(51)의 헤드가 육각 또는 다각형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헤드 상면부에 육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되 어 조절공구(미도시), 즉 드라이버나 또는 렌치 등을 상기 공구투입공(35a)에 삽입하여 조절볼트(51)의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의 높이조절을 위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베이스 11 : 걸림부
13 : 수용부 15 : 보강부
17 : 체결볼트
20 : 받침부재 21 : 진입유도부
30 : 승하강부재 31 : 지지부
31a : 삽입공 31b : 안내부
33 : 수직부 35 : 결합부
35a : 공구투입공 37 : 가이드부
40 : 패널 41 : 대응결합부
43 : 외장재
50 : 높이조절부재 51 : 조절볼트
53 : 조절너트
60 : 보조받침부재

Claims (4)

  1. 내벽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걸림부에 얹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 상부에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면부와 이어지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고, 하방을 향해 절곡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패널; 및
    상기 받침부재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강 및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지지부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조절볼트를 타고 승하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조절볼트 하단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외측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위한 공구투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KR2020090007953U 2009-06-19 2009-06-19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KR200456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53U KR200456489Y1 (ko) 2009-06-19 2009-06-19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53U KR200456489Y1 (ko) 2009-06-19 2009-06-19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22U KR20100012922U (ko) 2010-12-29
KR200456489Y1 true KR200456489Y1 (ko) 2011-11-02

Family

ID=4448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953U KR200456489Y1 (ko) 2009-06-19 2009-06-19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4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90B1 (ko) 2012-11-01 2014-03-14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풍력 발전기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52967B1 (ko) 2014-08-01 2014-10-22 광건티앤씨(주) 내입형 수평조절구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WO2020256449A1 (ko) 2019-06-20 2020-12-24 이청종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87B1 (ko) * 2014-05-27 2015-07-15 (주) 나라디자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KR200484794Y1 (ko) * 2016-03-18 2017-10-27 광건티앤씨(주) 틈새 방지구조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KR102076883B1 (ko) * 2016-04-20 2020-05-18 양태열 끼움형 경량 칸막이
KR102529621B1 (ko) * 2021-12-22 2023-05-08 한경아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696Y1 (ko) 2006-01-20 2006-04-10 광성티앤엠(주) 벽 패널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696Y1 (ko) 2006-01-20 2006-04-10 광성티앤엠(주) 벽 패널용 지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90B1 (ko) 2012-11-01 2014-03-14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풍력 발전기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52967B1 (ko) 2014-08-01 2014-10-22 광건티앤씨(주) 내입형 수평조절구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WO2020256449A1 (ko) 2019-06-20 2020-12-24 이청종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KR20200145158A (ko) 2019-06-20 2020-12-30 이청종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US11788283B2 (en) 2019-06-20 2023-10-17 Chung Jong Lee Wall system with height adjustmen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22U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489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린룸 벽체
KR100921423B1 (ko)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210403B1 (ko)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120003172A (ko) 모듈 적층방식의 건축물 코어부 시공방법
KR20048429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 프레임
WO2020143222A1 (zh) 一种装配式吊顶结构及其安装方法
KR101087607B1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US20100281790A1 (en) Adjustable Leveling Pedestal
JP6798833B2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KR101194263B1 (ko)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CN210713661U (zh) 一种用于底板的可升降地面支撑结构
KR100919666B1 (ko)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KR101320565B1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및 그 제작 방법
JP6991295B2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JP2010216143A (ja) 空調設備の設置構造
KR101113020B1 (ko)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
JP6154666B2 (ja) 既存構造物の階高嵩上工法及び改修構造物
KR102387045B1 (ko)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2664920B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전산볼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