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58B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458B1
KR102076458B1 KR1020190115955A KR20190115955A KR102076458B1 KR 102076458 B1 KR102076458 B1 KR 102076458B1 KR 1020190115955 A KR1020190115955 A KR 1020190115955A KR 20190115955 A KR20190115955 A KR 20190115955A KR 102076458 B1 KR102076458 B1 KR 10207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jewel
ornament
support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44C17/0233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using screws or screw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1Faceting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7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in an oscillating way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대좌(台座)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며, 또한 보석의 전 표면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심플한 구성에 의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으며,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좌(2)의 표면 상측에 보석(1)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대좌(2)의 이면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또한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며, 또한 보석(1)의 꼭대기부에 맞닿는 헤드부(31)를 구비하고 있는 1개의 직선모양의 지주(3)가 보석(1)을 관통하고 있으며, 당해 지주(3)의 하단이 대좌(2)의 이면에서 볼트(4)와의 나사부착에 의해서 당해 이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보석(1)의 하단이 대좌(2)의 표면에 맞닿아 있거나, 또는 지주(3)의 하측에 있어서의 굵은 상태의 단차부 혹은 가로방향 돌출부(3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는 장신구.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IES}
본 발명은, 대좌(台座)의 표면 영역 내에서 보석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석을 대좌의 표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서, 소위 땜납재를 거쳐 대좌에 접착하는 구성, 및 대좌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대좌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로부터 분기하며, 또한 상단부에 고리부(爪部)를 내측으로 돌출설치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보석을 둘러싼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땜납재에 의해서 접합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보석의 하단측을 대좌의 내측에 매설하는 것을 필요 불가결로 한다.
실제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요업 제품 본체(30)에 유약층(32)을, 표면측 및 이면측에 도포함과 동시에, 양면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대좌와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11)을 유약층(32)의 개재 영역에 당해 보석(11)을 끼워부착(嵌着)하는 것에 의해서 결합하고 있다(1페이지의 요약 부분).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보석(11)의 하측 영역은 완전히 대좌 내에 감입(嵌入)하고 있어, 하측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가 없다.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보석을 둘러싼 상태에서 대좌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보석의 전 표면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로,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다이아몬드(24)의 최대폭을 보이고 있는 거들부(28)를, 지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고정고리(22)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는 압압부(押壓部)(22C)의 압접에 의해서, 다이아몬드(24)에 대한 지지를 실현하고 있다(「요약」의 항).
그러나 상기 고정고리(22)가 필연적으로 다이아몬드(24)를 둘러싼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24)의 전 표면의 장식 효과에 대한 지장으로 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하여,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대좌의 상측에서 보석의 전 표면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은 제창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70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36922호
본 발명은, 대좌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며, 또한 보석의 전 표면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심플한 구성에 의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1] 대좌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대좌의 이면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또한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며, 또한 보석의 꼭대기부(頂部)에 맞닿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1개의 직선모양의 지주가 보석을 관통하고 있으며, 당해 지주의 하단이 대좌의 이면에서 볼트와의 나사부착(螺着)에 의해서 당해 이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보석의 하단이 대좌의 표면에 맞닿아 있으며, 또한 지주의 헤드부를 보석의 꼭대기부에 매설하고 있는 장신구,
[2] 대좌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대좌의 이면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또한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며, 또한 보석의 꼭대기부에 맞닿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1개의 직선모양의 지주가 보석을 관통하고 있으며, 당해 지주의 하단이 대좌의 이면에서 볼트와의 나사부착에 의해서 당해 이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보석의 하단이 지주의 하측에 있어서의 굵은 상태의 단차부 또는 가로방향 돌출부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장신구,
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 구성 [1] 및 [2]에 있어서는, 땜납재에 의한 접합의 경우와 같이, 보석의 하측 영역을 대좌 내에 감입할 필요는 없고, 게다가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보석 주위를 둘러쌀 필요도 없다.
즉, 1개의 지주가 보석 내를 관통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성에 의해서, 대좌의 상측에 있어서의 보석의 배치를 실현하고 있으며, 그 결과, 보석의 전 표면에 있어서의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특히, 지주로서, 플라스틱 또는 수정을 소재로 하여 투명한 경우에는, 지주의 존재 자체를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기 장식 효과를 한층 더 조장할 수가 있다.
도 1은, 기본 구성 [1]에 입각하고 있는 실시예 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a는, 하단이 예각모양인 측면도이고, 도 1b는, 하단이 만곡모양인 측면도이다.
또한, 상측의 화살표는, 지주 및 보석의 요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기본 구성 [2]에 입각하고 있는 실시예 2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상측의 화살표는, 지주 및 보석의 요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a는, 기본 구성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지주의 하측에서 굵은 상태의 단차부를 채용한 기본 구성 [2]의 측단면도이고, 도 3c는, 기본 구성 [1] 및 [2]의 상측으로부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본 구성 [1] 및 [2]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a는, 지주의 헤드부가 보석 내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지주의 하단을 나사부착하고 있는 볼트가 대좌 내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기본 구성 [1]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4b는, 하측에서 돌출부를 채용하고 있는 기본 구성 [2]의 경우를 도시한다.
기본 구성 [1] 및 [2]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지주(3)가 보석(1) 내를 관통하며, 또한 지주(3)의 상단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있는 헤드부(31)가 보석(1)의 꼭대기부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보석(1)을 대좌(2)의 표면 상측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관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석(1) 내에 1개의 직선모양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 불가결로 한다.
이와 같은 직선모양의 구멍은, 정밀한 제어를 수반하는 기계적 공작에 의해서 형성할 수가 있다.
다만, 효율적인 작업에 의해서, 상기 직선모양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석(1)의 내측에, 보석(1)을 용융시키지 않을 정도의 열량을 수반하는 조사를 행하는 레이저 피셔링(fissuring) 가공에 의해, 지주(3)가 관통하는 직선모양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채용하면 좋다.
기본 구성 [1] 및 [2]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3)의 하단이 대좌(2)의 이면에 있어서의 볼트(4)와의 나사부착에 의해서 당해 이면에 결합하고 있다.
보석(1)의 하단은, 통상, 기본 구성 [1]과 같이, 대좌(2)의 표면에 맞닿아 있다.
그러나 기본 구성 [2]와 같이, 보석(1)의 하단이 지주(3)의 하측에 있어서의 굵은 상태의 단차부 또는 가로방향 돌출부(32)에서 지지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며, 게다가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보석(1)은 대좌(2)에 부상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한편, 소재로서 광택을 발휘하는 귀금속을 채용한 경우에는, 보석(1)과의 콘트라스트도 향수(享受)할 수가 있다.
기본 구성 [1]을 도시하는 도 3a 및 기본 구성 [2]를 도시하는 도 3b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볼트(4)에 의한 나사부착 영역이 대좌(2)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게다가 도 3b에 있어서는, 지주(3)의 헤드부는, 보석(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기본 구성 [1] 및 [2]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3)를 나사부착하고 있는 볼트(4)를 대좌(2)의 이면에 매설하고 있는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나사부착 영역을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하고, 기본 구성 [2]에 있어서도,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하는 기본 구성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주(3)의 헤드부(31)를 보석(1)의 내측에 매설하는 것에 의해서, 헤드부(31)를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대좌(2)의 표면에서 광택을 형성한 경우에는, 보석(1)으로부터의 반사광과 대좌(2)의 표면에 의해서 재반사하는 것에 의한 보석(1)의 영상의 모양이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단지 보석(1) 표면뿐만 아니라, 당해 영상에 의한 장식 효과도 향수할 수가 있다.
특히, 대좌(2)의 표면이 난반사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불투명한(曇) 상태의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실시형태를 채용한 경우에는, 보석(1) 자체의 명료한 형상에 의한 영상과 상기 불투명한 상태에 있는 광택에 근거하는 마일드한 영상에 의한 모양과의 콘트라스트에 의한 장식 효과를 향수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기본 구성 [1]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석(1)의 하단이 대좌(2)의 표면에 예각 상태로 맞닿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상태에서 맞닿는 한편, 지주(3)가 굽힘 탄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지주(3) 및 보석(1)이 일체를 이루며 요동 자유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석(1)의 요동에 의해서,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향수할 수가 있다.
특히, 대좌(2)의 표면으로서 광택 표면을 채용한 경우에는, 요동하는 영상에 의한 모양에 기초하는 장식 효과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보석(1)의 하단에 대해, 표면이 예각 상태 또는 만곡 상태를 채용하고 있는 것은, 이들 상태가 표면에 맞닿으면서 요동하기에 안성맞춤인 것에 유래하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기본 구성 [2]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석(1)의 하단이 대좌(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는 한편, 지주(3)가 굽힘 탄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지주(3) 및 보석(1)이 일체를 이루며 요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향수할 수가 있다.
또한, 보석(1)의 하단이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상, 지주(3)가 굽힘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요동 자유로운 상태를 보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보석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에 맞닿아 있는 1개의 지주에 의해서 보석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서, 대좌의 상측에 보석을 배치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성에 의해서, 보석의 전 표면에 있어서의 장식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획기적이며, 그 이용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1: 보석
2: 대좌
3: 지주
31: 지주의 헤드부
32: 지주의 하측에 있어서의 굵은 상태의 단차부 또는 가로방향의 돌출부
4: 볼트

Claims (9)

  1. 대좌(台座)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대좌의 이면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또한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며, 또한 보석의 꼭대기부(頂部)에 맞닿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1개의 직선모양의 지주가 보석을 관통하고 있으며, 당해 지주의 하단이 대좌의 이면에서 볼트와의 나사부착에 의해서 당해 이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보석의 하단이 대좌의 표면에 맞닿아 있고, 또한 지주의 헤드부를 보석의 꼭대기부에 매설하고 있는 장신구.
  2. 대좌의 표면 상측에 보석을 배치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대좌의 이면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또한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하며, 또한 보석의 꼭대기부에 맞닿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1개의 직선모양의 지주가 보석을 관통하고 있으며, 당해 지주의 하단이 대좌의 이면에서 볼트와의 나사부착에 의해서 당해 이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보석의 하단이 지주의 하측에 있어서의 굵은 상태의 단차부 또는 가로방향 돌출부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장신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의 헤드부를 보석의 꼭대기부에 매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주를 나사부착하고 있는 볼트를 대좌의 이면에 매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주가 플라스틱 또는 수정을 소재로 해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이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7. 제 6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이 난반사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불투명한(曇) 상태의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석의 하단이 예각모양 또는 만곡모양으로 대좌의 표면에 맞닿는 한편, 지주가 굽힘 탄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지주 및 보석이 일체를 이루며 요동 자유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석의 하단이 대좌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는 한편, 지주가 굽힘 탄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지주 및 보석이 일체를 이루며 요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90115955A 2019-03-26 2019-09-20 장신구 KR102076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9436 2019-03-26
JP2019059436A JP6576587B1 (ja) 2019-03-26 2019-03-26 装身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458B1 true KR102076458B1 (ko) 2020-02-11

Family

ID=6798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955A KR102076458B1 (ko) 2019-03-26 2019-09-20 장신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76587B1 (ko)
KR (1) KR1020764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22A (ja) 1999-02-23 2000-09-05 Pyua:Kk 宝玉の取付部及び取付方法
JP2003310316A (ja) * 2002-04-23 2003-11-05 Okubo Shokai:Kk 宝石を用いた装身具とその石留め方法
JP2007197089A (ja) 2006-01-24 2007-08-09 Kan In-Ku 宝石で装飾した窯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4367A (ko) * 2016-04-04 2017-10-16 서희주 난집을 구비한 장신구
JP2017205406A (ja) * 2016-05-20 2017-11-24 永嶋 良一 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2304B1 (en) * 1999-05-24 2002-07-02 Stuart J. Adelman Jewelry
US7340922B2 (en) * 2005-04-19 2008-03-11 La Belle Marisa G Orbit8 earring
JP2007061336A (ja) * 2005-08-31 2007-03-15 Tokyo Kiho Co Ltd 装飾具
JP4625895B2 (ja) * 2007-05-29 2011-02-02 有限会社 辰海工芸 アクセサリー
US20150027006A1 (en) * 2013-07-23 2015-01-29 Kuan San Lin Combined Structure of Shoe Accessories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22A (ja) 1999-02-23 2000-09-05 Pyua:Kk 宝玉の取付部及び取付方法
JP2003310316A (ja) * 2002-04-23 2003-11-05 Okubo Shokai:Kk 宝石を用いた装身具とその石留め方法
JP2007197089A (ja) 2006-01-24 2007-08-09 Kan In-Ku 宝石で装飾した窯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4367A (ko) * 2016-04-04 2017-10-16 서희주 난집을 구비한 장신구
JP2017205406A (ja) * 2016-05-20 2017-11-24 永嶋 良一 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6587B1 (ja) 2019-09-18
JP2020156753A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8012A1 (en) Modular gem appearance-enhancing jewelry setting and jewelry
JP2008237562A (ja) 装身具
WO2017061535A1 (ja) 装身具
KR102076458B1 (ko) 장신구
JP2007061336A (ja) 装飾具
US7140199B2 (en) Mounting system for cut stones
CN102578768B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KR960036980A (ko) 커트된 보석용 마운팅 브래킷 및 장신구
JP6548846B1 (ja) 装身具
US20020178750A1 (en) Jewelry assembly with central raised stone and side lower stones
KR200415097Y1 (ko) 투명 보호막을 구비한 보석 액세서리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FR2536969A1 (fr) Piece de bijouterie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WO2019163774A1 (ja) 装身具
CN215737302U (zh) 一种闪动灵活的镶口首饰
JP2007202721A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CN213992707U (zh) 一种重叠镶嵌连接的珠宝
CN205568079U (zh) 一种镶嵌饰品
JP2006223394A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2003159106A (ja) 宝石細工品における宝石の支持台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CN209931679U (zh) 一种首饰的连接结构及首饰
JP6557438B1 (ja) 装身具
CN216147385U (zh) 首饰
CN113425053A (zh) 一种闪动灵活的镶口首饰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