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50B1 - 세숫대야 - Google Patents

세숫대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50B1
KR102075850B1 KR1020180163151A KR20180163151A KR102075850B1 KR 102075850 B1 KR102075850 B1 KR 102075850B1 KR 1020180163151 A KR1020180163151 A KR 1020180163151A KR 20180163151 A KR20180163151 A KR 20180163151A KR 102075850 B1 KR102075850 B1 KR 10207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washbasin
plate
horizontal plat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만
김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용 의자에 편안하게 앉아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는 세숫대야에 관한 것으로, 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와 상기 물 받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 받이부의 높이를 높여주는 받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숫대야{Washbowl}
본 발명은 세숫대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욕용 의자에 편안하게 앉아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는 세숫대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숫대야는 세면이나 머리를 감는 물을 담는 둥글넓적한 그릇을 말하는 것으로, 성형이 쉬운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는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세숫대야에 물을 채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세숫대야의 앞에 바닥에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는 것이다.
그런데, 건강한 사람이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세숫대야에 채워진 물로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는 큰 불편함이 없다. 그러나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쪼그려 앉아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리나 허리 등의 몸이 불편한 환자는 쪼그려 앉을 수가 없어 다리나 허리 등의 몸이 불편한 환자는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거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06477호 "지압돌기를 갖는 세수대야"(2016.02.01.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의 하부에 물 받이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 받침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세숫대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받이부에 승강이 가능한 전방 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옷을 입고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숫대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받이부의 후방에 거울수단을 구비하여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에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세숫대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받침수단을 조작하여 물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세숫대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숫대야"는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와; 상기 물 받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 받이부의 높이를 높여주는 받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숫대야"의 상기 물 받이부는 수평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 차단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단수단은 상기 물 받이부의 수평판의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장홀과, 상기 경사장홀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경사장홀에서 상부로 이탈된 상태에서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수평판의 전방에 세워지는 승강 차단판과, 상기 승강 차단판의 좌우 방향의 중간 상,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상,하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고 승강 차단판을 상부로 당기는 손잡이부와, 상기 하부 회전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숫대야"의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물 받이부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내주연에는 오른나사홈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의 상부에는 왼나사홈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받침관과, 상부에는 상기 오른나사홈에 체결되는 오른나사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왼나사홈에 체결되는 왼나사부가 외측에 형성되며 중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물 받이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회전 손잡이봉이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높이 조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의 하부에 물 받이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 받침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노인이나 몸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좀 더 편안하게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받이부에 승강이 가능한 전방 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옷을 입고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옷을 입고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옷이 물에 젖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받이부의 후방에 거울수단을 구비하여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에 얼굴을 볼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받침수단을 조작하여 물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신장과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전방 차단수단과 거울수단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부의 높이를 높여 노인이나 몸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욕실 등에 구비되는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100)에 앉은 자세에서 세숫대야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1)와, 물 받이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여주는 받침수단(2)을 포함한다.
상기 물 받이부(1)는 물을 안정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둘레의 하부에 수직의 둘레판(13)이 구비되는 수평판(11)과, 상기 수평판(11)의 중앙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그릇(1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수단(2)은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 둘레에 일체형으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다리(2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에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 받침수단(2)을 구비함에 따라,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좀 더 편안하게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다리(21)나 허리 등의 몸이 불편한 환자가 목욕용 의자에 앉아 좀 더 편안하게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 받이부(1)를 구성하는 수평판(11)의 둘레에는 함몰되게 형성되어 비누나 치약 등의 세면용품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세면용품 보관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릇(12)에 중앙에는 상부로 분리되는 뚜껑(D)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홀이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전방 차단수단과 거울수단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전방에는 옷을 입고 목욕용 의자(100)에 앉아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 차단수단(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은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장홀(31)과, 상기 경사장홀(3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경사장홀(31)에서 상부로 이탈된 상태에서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수평판(11)의 전방에 세워지는 승강 차단판(3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은 승강 차단판(32)의 좌우 방향의 중간 상,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경사장홀(31)에 관통되는 상,하부 회전축(33)(34)과, 상기 상부 회전축(34)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32)이 하부 이탈을 방지하고 승강 차단판(32)을 상부로 당기는 손잡이부(35)와, 상기 하부 회전축(34)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32)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36)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을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을 통해 물 받이부(1)의 상부 전방을 커버할 경우에는, 먼저 승강 차단판(32)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부(35)를 한 손으로 잡고 손잡이부(35)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승강 차단판(32)이 수평판(11)의 상부로 돌출된다.
다음 다른 한 손으로 승강 차단판(32)의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승강 차단판(32)의 하단과 경사장홀(31)을 서로 엇갈리게 한 다음, 손잡이를 놓으면 승가 차단판(37)이 수평판(11)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짐으로써, 세면이니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승강 차단판(32)을 경사장홀(31)에 다시 삽입할 경우에는, 먼저 승강 차단판(32)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부(35)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승강 차단판(32)의 일측을 전방으로 당기고 타측을 후방으로 밀어 승강 차단판(32)의 하단과 경사장홀(31)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손잡이부(35)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승강 차단판(32)을 경사장홀(31)에 다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후방에는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에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수단(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울수단(4)은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후방에 일측에서 타측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장홀(41)과, 상기 경사장홀(4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경사장홀(41)에서 상부로 이탈된 상태에서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수평판(11)에 세워지며 내부에는 거울(421)이 내장된 거울 프레임(4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거울수단(4)은 상기 거울 프레임(42)의 좌우 방향의 중간 상,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상,하부 회전축(43)(44)과, 상기 상부 회전축(43)의 상부에 구비되어 거울 프레임(42)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고 거울 프레임(42)을 상부로 당기는 손잡이부(45)와, 상기 하부 회전축(44)의 하부에 구비되어 거울 프레임(42)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4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기 거울수단(4)을 사용하여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 거울수단(4)을 통해 얼굴을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거울수단(4)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거울 프레임(42)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부(45)를 한 손으로 잡고 손잡이부(45)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거울 프레임(42)이 수평판(11)의 상부로 돌출된다.
다음 다른 한 손으로 거울 프레임(42)의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거울 프레임(42)의 하단과 경사장홀(41)을 서로 엇갈리게 한 다음, 손잡이부(45)를 놓으면 거울 프레임(42)이 수평판(11)의 상부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짐으로써,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 거울 프레임(42)의 거울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거울 프레임(42)을 경사장홀(41)에 다시 삽입할 경우에는, 먼저 거울 프레임(42)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부(45)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거울 프레임(42)의 일측을 전방으로 당기고 타측을 후방으로 밀어 거울 프레임(42)의 하단과 경사장홀(41)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손잡이부(45)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거울 프레임(42)을 경사장홀(41)에 다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부의 높이를 높여 노인이나 몸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100)에 앉은 자세에서 세숫대야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1)와, 물 받이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여주는 받침수단(2)을 포함한다.
상기 물 받이부(1)는 물을 안정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그릇(1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수단(2)은 물받이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 둘레에 일체형으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다리(2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에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 받침수단(2)을 구비함에 따라, 노인이나 몸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아이가 높이가 낮은 목욕용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좀 더 편안하게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다리(21)나 허리 등의 몸이 불편한 환자가 목욕용 의자에 앉아 좀 더 편안하게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구성하는 받침수단(2)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받이부(1)의 전방에는 옷을 입고 목욕용 의자(100)에 앉아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 차단수단(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은 상기 그릇(14)의 전방에 힌지부(371)로 절곡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차단판(37)과, 상기 그릇(14)의 외면 전방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에는 상기 차단판(37)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38)와, 상기 그릇(14)의 상단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에는 차단판(37)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상부 걸림부(39)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을 사용하여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에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을 통해 물 받이부(1)의 상부 전방을 커버할 경우에는, 먼저 힌지부(371)의 하부에 위치된 차단판(37)을 그릇(14)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운 다음, 차단판(37)의 하단 양측을 그릇(14) 상부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상부 걸림부(39)에 삽입함에 따라 차단판(37)을 그릇(14)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세면이니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의 차단판(37)을 하부로 위치시킬 경우에는 힌지부(371)를 중심으로 차단판(37)을 하부로 회전시킨 다음, 양측 단부를 양측의 상기 걸림 돌출부(38)에 삽입함으로써 차단판(37)을 하부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구성하는 받침수단(2)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세숫대야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를 구성하는 받침수단(2)을 제외하고 제3 실시예의 세숫대야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숫대야는 받침수단(2)이 물 받이부(1)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내주연에는 오른나사홈(221)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수직관(22)과, 상기 수직관(2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의 상부에는 왼나사홈(23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받침관(23)과, 상부에는 상기 오른나사홈(221)에 체결되는 오른나사부(241)가 외측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왼나사홈(231)에 체결되는 왼나사부(242)가 외측에 형성되며 중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물 받이부(1)의 높이를 조정하는 회전 손잡이봉(243)이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높이 조정관(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수단(2)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물 받이부(1)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봉을 회전시키게 되면 수직관(22)과 받침관(23)의 사이가 나사의 풀음이나 채움으로 인하여 벌어지거나 근접됨으로써, 물받이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받침수단(2)을 조작하여 물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신장과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물 받이부
11 : 수평판
12 : 그릇
13 : 둘레판
14 : 그릇
2 : 받침수단
21 : 다리
22 : 수직관
23 : 받침관
24 : 높이 조정관
3 : 전방 차단수단
31 : 경사장홀
32 : 승강 차단판
33 : 상부 회전축
34 : 하부 회전축
35 : 손잡이부
36 : 하부 걸림부
37 : 차단판
38 : 걸림 돌출부
39 : 상부 걸림부
4 : 거울수단
41 : 경사장홀
42 : 거울 프레임
43 : 상부 회전축
44 : 하부 회전축
45 : 손잡이부
46 : 하부 걸림부

Claims (9)

  1. 물이 채워지는 물 받이부(1)와;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 받이부(1)의 높이를 높여주는 받침수단(2);을 포함하며, 상기 물 받이부(1)는, 둘레의 하부에 수직의 둘레판(13)이 구비되는 수평판(11)과, 상기 수평판(11)의 중앙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그릇(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 받이부(1)는 수평판(11)의 전방에 구비되어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 차단수단(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은,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장홀(31)과, 상기 경사장홀(3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경사장홀(31)에서 상부로 이탈된 상태에서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수평판(11)의 전방에 세워지는 승강 차단판(32)과, 상기 승강 차단판(32)의 좌우 방향의 중간 상,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상,하부 회전축(33)(34)과, 상기 상부 회전축(33)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32)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고 승강 차단판(32)을 상부로 당기는 손잡이부(35)와, 상기 하부 회전축(34)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 차단판(32)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부(1)는
    상기 수평판(11)의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세면용품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세면용품 보관홈(G)과,
    상기 그릇(12)에 중앙에 형성되어 상부로 분리되는 뚜껑(D)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부(1)는 수평판(11)의 후방에 구비되어 세면 후나 머리를 감은 후에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수단(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울수단(4)은
    상기 물 받이부(1)의 수평판(11)의 후방에 일측에서 타측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장홀(41)과,
    상기 경사장홀(4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경사장홀(41)에서 상부로 이탈된 상태에서 일측을 후방으로 밀고 타측을 전방으로 당겨 수평판(11)에 세워지며 내부에는 거울(421)이 내장된 거울 프레임(42)과,
    상기 거울 프레임(42)의 좌우 방향의 중간 상,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상,하부 회전축(43)(44)과,
    상기 상부 회전축(43)의 상부에 구비되어 거울 프레임(42)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고 거울 프레임(42)을 상부로 당기는 손잡이부(45)와,
    상기 하부 회전축(44)의 하부에 구비되어 거울 프레임(42)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부(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물받이 그릇(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부(1)는 그릇(14)의 전방에 상부로 절곡 돌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방 차단수단(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단수단(3)은
    상기 그릇(14)의 전방에 힌지부(371)로 절곡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차단판(37)과,
    상기 그릇(14)의 외면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에는 상기 차단판(37)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38)와,
    상기 그릇(14)의 상단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에는 차단판(37)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상부 걸림부(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8.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2)은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 둘레에 일체형으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다리(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9.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2)은
    상기 물 받이부(1)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내주연에는 오른나사홈(221)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수직관(22)과,
    상기 수직관(2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의 상부에는 왼나사홈(23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받침관(23)과,
    상부에는 상기 오른나사홈(221)에 체결되는 오른나사부(241)가 외측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왼나사홈(231)에 체결되는 왼나사부(242)가 외측에 형성되며 중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물 받이부(1)의 높이를 조정하는 회전 손잡이봉(243)이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높이 조정관(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숫대야.

KR1020180163151A 2018-12-17 2018-12-17 세숫대야 KR10207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51A KR102075850B1 (ko) 2018-12-17 2018-12-17 세숫대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51A KR102075850B1 (ko) 2018-12-17 2018-12-17 세숫대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850B1 true KR102075850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151A KR102075850B1 (ko) 2018-12-17 2018-12-17 세숫대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77B1 (ko) 1995-01-31 2004-03-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신호검출회로
KR20070104816A (ko) * 2006-04-24 2007-10-29 이원태 벽부고정식 급수조를 구비한 이동식 이중세숫대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77B1 (ko) 1995-01-31 2004-03-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신호검출회로
KR20070104816A (ko) * 2006-04-24 2007-10-29 이원태 벽부고정식 급수조를 구비한 이동식 이중세숫대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2187A (en) Shower bath chair
US4672693A (en) Sitting bathtub
KR102075850B1 (ko) 세숫대야
KR102316711B1 (ko) 유아용 욕조
KR20130138164A (ko) 유아용 욕조
KR200485509Y1 (ko) 크로젯형 유니트 화장실
KR200173721Y1 (ko) 유아용 욕조
KR101709759B1 (ko) 환자용 두발 세척 장치
JPH1176102A (j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KR20190000321U (ko) 다용도 욕실의자
KR102307116B1 (ko) 의료침대용 착탈식 세면 장치
KR200345813Y1 (ko)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유아 욕조
KR101648372B1 (ko)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KR102650717B1 (ko)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JPH0753585Y2 (ja) 風呂用椅子
KR200273438Y1 (ko) 욕조용 보조좌판
KR200485508Y1 (ko) 초소형 유니트 욕실
JP3591311B2 (ja) 浴室用シャワー装置
JP2004008636A (ja) 浴室用椅子
KR930003404Y1 (ko) 좌식(座式)욕조
JP5576600B2 (ja) 洗面台
JP2000279336A (ja) 腰掛け取り付け式浴槽、並びに浴槽用腰掛け
JP2000308585A (ja) 洗面化粧台
JPH09149858A (ja) 洗面化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