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667B1 -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667B1
KR102075667B1 KR1020180044563A KR20180044563A KR102075667B1 KR 102075667 B1 KR102075667 B1 KR 102075667B1 KR 1020180044563 A KR1020180044563 A KR 1020180044563A KR 20180044563 A KR20180044563 A KR 20180044563A KR 102075667 B1 KR102075667 B1 KR 10207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kaolin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65A (ko
Inventor
김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Priority to KR10201800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6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함에 따른 실내외 인테리어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기 위한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인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수지, PS(Polystyrene)수지, K-resin(Styrene-Butadiene Copolymer) 수지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90 ∼ 91중량%에 활제 0.1 ~ 1.0 중량%, 산화방지제 0.1 ~ 1.0 중량%, 자외선 안정제 0.1 ~ 1.0 중량%, 안료 0.7 ~ 7 중량% 를 혼합 포함하되,
상기 안료는 티타늄옥사이드(TiO2)와 카오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은 상기 카오린의 전처리 과정은,
카오린에 상용화제인 톨유(tall oil),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부틸, 오레인산, 오레인산 칼슘, 오레인산 아연, 리놀산, 리놀산 알루미늄, 리놀산 메틸, 리놀산 에틸, 리놀레인산, 우지 베이스 계면활성제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혼합하고 산화방지제인 페닐-β-나프틸아민, 다른 방향족 아민류, 히드로퀴논, 알데히드아민 축합물, o-페닐렌티오요소의 아연염을 혼합하여 내경 700㎜, 길이 100㎜의 스테인레스강제 밀용기와 직경 6㎜의 스테인레스강제 볼을 이용하여 메카니칼그라인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필름, 시트, TV하우징, 핸드폰하우징 및 케이스, 건축자재, 각종 케이스 등등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에 있어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함에 따른 실내외 인테리어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의 선명성이나 색상의 변형이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A versatile resin composition with whitening properties}
본 발명은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미백성 부여를 위한 Tio2 를 전량 또는 일부 대체할 수 있는 후가공된 카오린을 이용하여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 특히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하여 플라스틱 제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실내외 인테리어 표현물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기 위한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역사를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구분한다면 현대는 플라스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플라스틱 없이는 현대 문명이 만들어낸 혁신적인 제품들을 제조할 수 없었다. 새로운 금속합금과 소재들이 나오고 있지만 플라스틱의 범용성을 따라가기엔 아직 요원해 보인다. 플라스틱이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 "모양을 바꾸거나(shaped) 녹여서 본뜰 수 있는(molded)"이라는 의미를 갖는 '플라스티코스(plasticos)'에서 유래 되었다.
최근에도 여러 합성물들이 나오고 있지만 '폴리'라는 단어가 앞에 붙거나 '합성'이라는 접두사가 붙는다면 대부분 플라스틱이라고 부를 수 있다. 플라스틱을 정의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넓다.
일반적으로는 고분자 소재인 폴리머(polymer)를 원료로 한 모든 소재를 일컫는다.
폴리에틸렌은 주로 합성수지의 기초원료로, 폴리프로필렌은 합성섬유, 그리고 폴리부타디엔은 합성고무의 원료가 된다.
이들 폴리머가 수천 수만 가지에 이르는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기초가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20세기 초 생활공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21세기 최근 들어 특히 다중생활공간에 사용되는 재료의 경우 항균성을 부여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항균성에 관련된 많은 개발에 비해 합성수지제 자체의 색상의 선명성이나 투명성 및 미백성에 관해서는 그 개발이 미흡하여 일반적으로 생활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를 보면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함에 따른 실내외 인테리어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이를 해소하는 방법은 제품의 교체 이외에는 없어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함께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있어,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미백성 부여를 위한 Tio2 의 사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바 채도가 높은 흑색계열, 채도가 높은 적색계열, 채도가 높은 청색계열을 제외한 대부분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재의 제품군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안료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상기 Tio2 의 대체제가 없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전량 사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22400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필름, 시트, TV하우징, 핸드폰하우징 및 케이스, 건축자재, 각종 케이스 등등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에 있어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 특히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하여 플라스틱 제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실내외 인테리어 표현물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기 위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되, 합성수지재에 통상 미백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비교적 고가 제품군에 해당되는 Tio2 의 사용을 전량 또는 일부로 대체 가능하도록 하는 후가공된 카오린을 이용하여, 향상된 내후성과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수지, PS(Polystyrene)수지, K-resin(Styrene-Butadiene Copolymer) 수지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90 ∼ 91중량%에 활제 0.1 ~ 1.0 중량%, 산화방지제 0.1 ~ 1.0 중량%, 자외선 안정제 0.1 ~ 1.0 중량%, 안료 0.7 ~ 7 중량% 를 혼합 포함하되,
상기 안료는 티타늄옥사이드(TiO2)와 카오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은 상기 카오린의 전처리 과정은,
카오린에 상용화제인 톨유(tall oil),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부틸, 오레인산, 오레인산 칼슘, 오레인산 아연, 리놀산, 리놀산 알루미늄, 리놀산 메틸, 리놀산 에틸, 리놀레인산, 우지 베이스 계면활성제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혼합하고 산화방지제인 페닐-β-나프틸아민, 다른 방향족 아민류, 히드로퀴논, 알데히드아민 축합물, o-페닐렌티오요소의 아연염을 혼합하여 내경 700㎜, 길이 100㎜의 스테인레스강제 밀용기와 직경 6㎜의 스테인레스강제 볼을 이용하여 메카니칼그라인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필름, 시트, TV하우징, 핸드폰하우징 및 케이스, 건축자재, 각종 케이스 등등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에 있어,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 특히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하여 플라스틱 제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실내외 인테리어 표현물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의 선명성이나 색상의 변형이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에 통상 미백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비교적 고가 제품군에 해당되는 Tio2 의 사용을 전량 또는 일부로 대체 가능하도록 하는 후가공된 카오린을 이용하여, 향상된 내후성과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수지, PS(Polystyrene)수지, K-resin(Styrene-Butadiene Copolymer) 수지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90 ∼ 91중량%에 활제 0.1 ~ 1.0 중량%, 산화방지제 0.1 ~ 1.0 중량%, 자외선 안정제 0.1 ~ 1.0 중량%, 안료 0.7 ~ 7 중량% 를 믹싱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의 경우, 카오린 또는 티타늄옥사이드(TiO2)와 카오린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상기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100중량부 대비 티타늄옥사이드(TiO2) 10중량부에 노랑, 청색, 적색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하거나, 상기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100중량부 대비 카오린 10중량부에 노랑, 청색, 적색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오린을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앞서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카오린을 얻기 위해서, 카오린에 상용화제인 톨유(tall oil), 면실유, 라우르산, 라우르산 에틸,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팔미트산 칼슘,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부틸, 오레인산, 오레인산 칼슘, 오레인산 아연, 리놀산, 리놀산 알루미늄, 리놀산 메틸, 리놀산 에틸, 리놀레인산, 우지 베이스 계면활성제, 디메틸실리콘오일, 메틸페닐실리콘오일, 아미노변성실리콘오일, 에폭시변성실리콘오일, 아크릴변성실리콘오일, 알코올변성실리콘오일, 메틸하이드로겐실리콘오일, 알킬변성실리콘오일, 고급지방산변성실리콘오일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혼합하고 산화방지제인 페닐-β-나프틸아민, 다른 방향족 아민류, 히드로퀴논, 알데히드아민 축합물, o-페닐렌티오요소의 아연염을 혼합하여 내경 700㎜, 길이 100㎜의 스테인레스강제 밀용기와 직경 6㎜의 스테인레스강제 볼을 이용하여 메카니칼그라인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성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한 형태인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서는, PVC(Polyvinyl chloride) 90 중량부 대비 활제 중 하나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IR1010 0.3 중량부, UV안정제 중의 하나인 TINUVIN327 0.3 중량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직경 60 mm의 싱글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 가공한다.
이와 같이 혼련 가공된 혼합물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얻고, 상기 시편을 ASTM256 방법으로 IZOD 충격 강도를 측정한 결과 25 kgf cm/cm 이었으며, 백색도는 93을 나타내어 사출 제품의 표면은 대단히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사출물을 Q-UV를 이용하여 10일(240 Hr) 경과 후 내후성에 따른 변색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변색정도(ΔE)는 1.7로 측정된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안료에 전처리된 카오린만을 적용한 예이다.
실시예 1-2
반면에 실시예 1-2에서는, 실시예 1-1과는 달리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안료에 전처리된 카오린과 티타늄옥사이드(TiO2)를 혼합하는 예에 관한 것으로,
PVC(Polyvinyl chloride) 90 중량부에 활제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 IR1010 0.3 중량부, UV 안정제 TINUVIN327 0.3 중량부에 상기와 같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 5 중량부와, DUPONT사 제품인 티타늄옥사이드(TiO2) ISIHARA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직경 60 mm 의 싱글압출기를 통하여 혼련 가공한 다음,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게 된 시편을 실시예 1-1과 같은 동일한 방법인 ASTM256 방법을 통하여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한 결과 그 충격강도는 24 kgf cm/cm 이었으며, 백색도는 93, 사출제품 표면은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사출물을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Q-UV를 이용하여 10일(240Hr) 경과 후 내후성에 따른 변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변색정도(ΔE)는 1.8로 측정되어, 실시예 1-1과 비교적 근접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1과 실시예 1-2에 비교되는 비교예들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1-1
본 비교예 1-1은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에 포함되는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을 배제한 상태에서 종전과 같이 티타늄옥사이드(TiO2)만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한 비교예이다.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90 중량부 대비 활제 중 하나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IR1010 0.3 중량부, UV안정제 중의 하나인 TINUVIN327 0.3 중량부로 되는 동일한 조건에 DUPONT사 제품인 티타늄옥사이드(TiO2) ISIHARA 1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직경 60 mm의 싱글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 가공한 후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게 된 시편은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서 진행한 동일한 방법인, ASTM256 방법으로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한 결과 그 충격강도는 23 kgf cm/cm 로 실시예 1-1에 비하여 2 kgf cm/cm, 실시예 1-2에 비하여 1 kgf cm/cm 정도 약한 충격강도가 나왔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비교예 1-1에 의해 얻게 되는 사출물을 이용하여 동일 조건의 변색시험을 위해 Q-UV를 이용하여 동일 기간인 10일(240 Hr) 경과 후 내후성에 따른 변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변색정도(ΔE)는 3.0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변색정도(ΔE)는 실시예 1-1에 비하여 1.3 정도 높은 수치이고, 실시예 1-2에 비하여 1.2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 의할 경우 고가의 티타늄옥사이드(TiO2)만 혼합된 안료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변색정도(ΔE)가 더 높게 측정되고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에 의할 경우 경제적 효과 및 제품의 신뢰성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2
한편 전술한 비교예 1-1에서와 달리, 본 비교예 1-2에서는 안료에 티타늄옥사이드(TiO2)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을 첨가하였을 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이 첨가된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동일한 전제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90 중량부 대비 활제 중 하나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IR1010 0.3 중량부, UV안정제 중의 하나인 TINUVIN327 0.3 중량부로 되는 동일한 조건에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직경 60 mm 의 싱글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 가공한 다음,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얻게 된 시편을 동일한 ASTM256 방법으로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한 결과 그 충격강도는 12 kgf cm/cm 로 측정되어, 실시예 1-1에 비하여 13 kgf cm/cm 더 낮게 측정되었고 실시예 1-2에 비하여 12 kgf cm/cm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1에 비하여도 11 kgf cm/cm 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는바, 가공되지 않은 즉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을 적용하였을 경우 충격강도는 기대치에 훨씬 못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비교예 1-2에 의해 얻은 시편의 백색도는 91을 나타내게 되었는데, 이는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 비교예 1-1에 의한 백색도 93에 비하여 근소하게 낮은 백색도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출제품의 표면은 입도크기 및 불균일성으로 추정되는 문제로 불량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1-2에 의해 얻게 되는 사출물의 변색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에 의한 동일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Q-UV를 이용하여 동일 기간인 10일(240 Hr) 경과 후 내후성에 따른 변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 변색정도(ΔE)는 3.7로 측정되어, 실시예 1-1에 비하여 변색정도가 2.0 이나 높게 나타났고 실시예 1-2에 비하여 변색정도가 1.9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1-1에 비하여 0.7 정도 높게 나타나, 전반적인 변색정도가 실시예 1-1,1-2는 물론 비교예 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전술한 각 실시예 1-1, 1-2 및 각 비교예 1-1, 1-2는 수지를 PVC를 그 기재로 하여 실시 및 비교하였으나, 본 실시예 2 및 비교되는 비교예 2에서는 수지를 ABS 수지를 그 기재로 하여 각각 실시 및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90 중량부 대비 활제 중 하나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IR1010 0.3 중량부, UV안정제 중의 하나인 TINUVIN327 0.3 중량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직경 60 mm의 싱글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 가공한다.
이와 같이 혼련 가공된 혼합물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얻고, 상기 시편을 ASTM256 방법으로 IZOD 충격 강도를 측정한 결과 35 kgf cm/cm 이었으며, 백색도는 94을 나타내어 사출 제품의 표면은 대단히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사출물을 Q-UV를 이용하여 10일(240 Hr) 경과 후 내후성에 따른 변색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변색정도(ΔE)는 1.8로 측정된 결과를 얻게 되었다.
실시예 1에 의한 조건과 동일하면서도, 기재가 ABS 수지일 경우에 충격강도는 PVC 수지를 기재로 하였을 경우보다 10 kgf cm/cm 의 충격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색도는 94를 나타내어 PVC 수지를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1 정도 높게 나타났고, 변색정도(ΔE)는 0.1 정도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충격강도에서는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를 기재로 하였을 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만, 변색정도(ΔE)에서는 PVC 수지를 기재로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변색정도가 심하지 않았으며, 백색도는 다소 낮은 수치이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 2는 실시예 2와 비교되기 위한 예시로서, 실시예 2에서는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을 적용한 예이나 이번 비교예 2에서는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을 적용하였을 때의 충격강도와 변색정도를 추적해 보았다.
먼저 그 전제 조건은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되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을 첨가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90 중량부 대비 활제 중 하나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IR1010 0.3 중량부, UV안정제 중의 하나인 TINUVIN327 0.3 중량부, 전처리 가공되지 않은 카오린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직경 60 mm의 싱글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 가공한 다음, 사출기를 통하여 시편을 제조하여 ASTM256 방법으로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보았다.
비교예 2에 의해 얻은 시편의 충격강도는 19 kgf cm/cm 로 실시예 2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충격강도를 보여 주었으며, 백색도는 91을 나타내어 실시예 2는 물론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 비하여 다소 낮은 백색도를 나타냈으며, 사출제품 표면의 경우 입도크기 및 불균일성으로 추정되는 문제점에 의하여 불량하였다.
삭제
한편 비교예 2에 의해 얻게 되는 사출물을 동일 조건에 의한 Q-UV를 이용하여 10일(240 Hr)의 시간이 경과한 후 변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 변색정도(ΔE)는 3.9로 측정되어, 실시예 2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각 실시예 및 그들 실시예에 대응되는 각 비교예 등을 비교,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수지의 기재 특정에 따라 물성 특성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 1은 전술한 내용에서 자세하게 설명, 기재한 실시예 1-1,1-2,2와, 실시예 2 및 비교예 2는 물론, 이외에도 수지의 기재를 PC수지(실시예 4) 및 PER 수지(실시예 5) 등에 의해 실시 가능한 형태의 각 예를 표현한 것이고, TiO2 DUPONTISIHARA)와 가공카오린, 순수카오린으로 구분되는 안료들의 적용과, 이에 따른 물성 특성 즉, 충격강도, 변색정도, 표면상태(육안검사) 등의 특성 및 결과치등을 각각 나타낸다.
수지의 종류에 따른 각 실시예 비교예 들에 의한 물성비교표
분류 내용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1-1 비교예1-2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실시예5



열가소서수지
PVC 수지 90 90 90 90
ABS 수지 90 90
HIPS 수지 90 90
PC수지 90
PER 수지 90
활제 cast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산화방지제 IP1010 0.3 0.3 0.3 0.3 0.3 0.3 0.3 0.2 0.3 0.3
UV안정제 TIN327 0.3 0.3 0.3 0.3 0.3 0.3 0.3 0.2 0.3 0.3


안료
TiO2 DUPONTISIHARA) 5 10
가공카오린 10 5 10 10 10 10
순수카오린 10 10 10
제품가성비 원가경쟁력(*1) 2 3 5 1 2 1 2 1 2 2
색상 L 93 93 93 91 94 91 95 91 95 95
UV안정성 Q-UV
(240시간/ΔE)
1.7 1.8 3 3.7 1.8 3.9 1.9 3 1.5 1.4
표면 육안검사 × × × ×
충격강도 kgf cm/cm 25 24 23 12 35 19 5 3 52 7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을 안료의 첨가재료로 선택하였을 때 물성 중 하나인 변색정도를 살펴보면 대체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순수카오린의 경우에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전처리 가공에 의한 카오린을 적용할 때의 그 효과와 제품의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안료에 TiO2 만을 첨가 구성하는 종전과 같은 합성수지 조성물의 경우(비교예 1-1), 변색정도(UV 안정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 변색정도가 본 발명에 비하여 훨씬 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을 적용하는 것과 동시에, 전처리 가공된 카오린과 TiO2 을 혼합 적용하는 경우(실시예 1-2)에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필름, 시트, TV하우징, 핸드폰하우징 및 케이스, 건축자재, 각종 케이스 등등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에 있어 오래 사용시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변색이나 탈색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색상 유지를 하지 못함에 따른 실내외 인테리어에 있어 심미감의 저하와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의 단축을 해소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의 선명성이나 색상의 변형이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5)

  1.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공중합폴리에스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resin) 수지,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수지, PS(Polystyrene)수지, K-resin(Styrene-Butadiene Copolymer) 수지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90 ∼ 91중량%에 활제 0.1 ~ 1.0 중량%, 산화방지제 0.1 ~ 1.0 중량%, 자외선 안정제 0.1 ~ 1.0 중량%, 안료 0.7 ~ 7 중량% 를 혼합 포함하되,
    상기 안료는 티타늄옥사이드(TiO2)와 카오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은 상기 카오린의 전처리 과정은,
    카오린에 상용화제인 톨유(tall oil),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부틸, 오레인산, 오레인산 칼슘, 오레인산 아연, 리놀산, 리놀산 알루미늄, 리놀산 메틸, 리놀산 에틸, 리놀레인산, 우지 베이스 계면활성제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혼합하고 산화방지제인 페닐-β-나프틸아민, 다른 방향족 아민류, 히드로퀴논, 알데히드아민 축합물, o-페닐렌티오요소의 아연염을 혼합하여 내경 700㎜, 길이 100㎜의 스테인레스강제 밀용기와 직경 6㎜의 스테인레스강제 볼을 이용하여 메카니칼그라인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4563A 2018-04-17 2018-04-17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KR10207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63A KR102075667B1 (ko) 2018-04-17 2018-04-17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63A KR102075667B1 (ko) 2018-04-17 2018-04-17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65A KR20190121065A (ko) 2019-10-25
KR102075667B1 true KR102075667B1 (ko) 2020-02-10

Family

ID=684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63A KR102075667B1 (ko) 2018-04-17 2018-04-17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6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77B1 (ko) 2005-12-30 2007-03-23 삼성토탈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246B1 (ko) * 1999-09-14 2002-09-12 홍치흠 착색 필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시이트용 컴파운드 조성물
KR101224006B1 (ko) 2012-04-09 2013-01-2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및 책상 부재용 다기능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063B1 (ko) * 2012-12-31 2015-11-04 제일모직주식회사 표면광택도, 반사성, 내황변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8711B1 (ko) * 2014-06-27 2017-11-16 롯데첨단소재(주) 반사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24894A (ko) * 2015-08-26 2017-03-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77B1 (ko) 2005-12-30 2007-03-23 삼성토탈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65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272B1 (ko) 펄 감을 갖는 수지조성물
KR101227398B1 (ko) 인쇄 가능한 무광 표면을 갖는 열가소성 제품
WO2006118815A3 (en)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optical surface quality,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664193B2 (de) Holz-kunststoff-compound
CN109705515A (zh) 一种免喷涂耐刮擦哑光abs树脂及其制备方法
EP3037276B1 (en) Deco sheet
EP2094466B1 (de) Formulierung, daraus hergestellter prefo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treckgeblasener opaker kunststoffbehälter
CN101635386A (zh) 一种基站天线用耐高温pvc异型材外罩及其制备方法
CN105504752A (zh) 一种高光泽、高性能、抗紫外pc/as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75667B1 (ko) 미백성을 갖는 다용도 합성수지 조성물
KR101795179B1 (ko) 플라스틱 글레이징 코팅용 수지 조성물, 이를 코팅한 플라스틱 글레이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7086A (ko) 금속안료를 첨가한 경량 합성수지 조성물
CN107603056B (zh) 硬质pvc材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KR101916710B1 (ko)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표면층의 제조방법
DE112016005897T5 (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und ein geformtes Produkt, welches dieselbe enthält
JPH08239527A (ja) 高光沢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EP1377631B1 (en) Solid polymethylmethacrylate surface material
CN1408768A (zh) 全环保型热塑性聚氨酯(tpu)薄膜之配方及其压延制造方法
CN108530821B (zh) 一种高硬度防水abs树脂及其制备方法
DE169466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nterkoerpern aus mit Titan gefuellten Polytetrafluoraethylenharzen
CN104725728A (zh) 抗应力发白pp塑料
KR102110131B1 (ko) 데코시트용 합성수지 조성물
JPS62197439A (ja) 塩素含有樹脂成型品
JP2006524724A (ja) 表面の光沢が減じられた、熱可塑性の部分的に結晶質の成形コンパウンド
CN110066480B (zh) 一种高耐候、耐应力发白的pvc电工套管用色母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