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42B1 -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 Google Patents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42B1
KR102074842B1 KR1020180145753A KR20180145753A KR102074842B1 KR 102074842 B1 KR102074842 B1 KR 102074842B1 KR 1020180145753 A KR1020180145753 A KR 1020180145753A KR 20180145753 A KR20180145753 A KR 20180145753A KR 102074842 B1 KR102074842 B1 KR 10207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chine body
machine
wheeled vehicl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빈
Original Assignee
조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빈 filed Critical 조성빈
Priority to KR102018014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달릴 수 있도록 된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으로서, 상기 이륜차의 뒷바퀴 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 축에 연결되는 머신몸체와, 상기 머신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측부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날개부와, 상기 머신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후미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지지부와, 상기 머신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이륜차의 브레이크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어와이어로 이루어져, 윌리머신에 주행날개부와 주행지지부를 힌지회동되게 마련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륜차의 브레이크패달에 제어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륜차가 뒷바퀴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 제어와이어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이륜차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초보자도 안전하게 주행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 Wheelie machine for driving practice with driving control function }
본 발명은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윌리머신에 주행날개부와 주행지지부를 힌지회동되게 마련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륜차의 브레이크패달에 제어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륜차가 뒷바퀴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 제어와이어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이륜차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초보자도 안전하게 주행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으로 사용함은 물론 각종 레져, 취미 및 동호회 활동 등으로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오토바이는 전후 2개의 바퀴에 의한 구름 작동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주행 안전성이 취약하여 초보자의 경우에 자주 넘어지는 안전 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눈길이나 빗길 등과 같이 노면의 미끄럼이 심하거나 회전 운전시 쉽게 넘어질 수 있어 각종 안전 사고에 더욱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출원 제20-2003-20408호 등에서와 같이 오토바이의 뒷바퀴 양측에 보조 바퀴를 설치하여 오토바이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로 인해 초보자의 경우에도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최근에는 오토바이의 앞바퀴를 들고 주행하도록 된 주행기술을 연마하는 동호인이 늘어나고 있다. 오토바이의 앞바퀴를 들고 주행하는 것은 사전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주행연습과정에서 오토바이가 뒤로 넘어지거나 옆으로 쓰러져 오토바이가 파손되고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하는 오토바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주행보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신안 제03319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윌리머신에 주행날개부와 주행지지부를 힌지회동되게 마련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륜차의 브레이크패달에 제어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륜차가 뒷바퀴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 제어와이어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이륜차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초보자도 안전하게 주행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달릴 수 있도록 된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으로서, 상기 이륜차의 뒷바퀴 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 축에 연결되는 머신몸체와, 상기 머신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측부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날개부와, 상기 머신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후미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지지부와, 상기 머신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이륜차의 브레이크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어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신몸체에는 상기 이륜차와 연결되도록 보조와이어가 더 마련되고 상기 보조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어와이어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날개부는 상기 머신몸체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머신몸체와 측부연결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지지부는 상기 머신몸체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머신몸체와 한쌍의 후미연결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은 윌리머신에 주행날개부와 주행지지부를 힌지회동되게 마련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륜차의 브레이크패달에 제어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륜차가 뒷바퀴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 제어와이어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이륜차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초보자도 안전하게 주행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이륜차의 뒷바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이륜차의 뒷바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주행날개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주행지지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제어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이륜차의 뒷바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이륜차의 뒷바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주행날개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주행지지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에 있어, 제어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윌리머신이라 명명함)는 사용자가 오토바이(이하 이륜차라 명명함)와 같은 이륜차(100)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달릴 수 있도록 된 주행연습용 윌리머신(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윌리머신(10)은 머신몸체(20)와 주행날개부(30)와 주행지지부(40)와 제어와이어(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신몸체(20)는 이륜차(100)의 뒷바퀴(300) 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300) 축에 연결된다.
상기 머신몸체(20)는 상면 양측에 체결돌부(22)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돌부(22)의 상부에는 내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23)가 용접되며, 상기 연결관부(23)에는 상기 이륜차(100)의 뒷바퀴(300) 축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가압볼트(24)가 체결된다.
상기 머신몸체(20)는 상기 주행날개부(30)와 상기 주행지지부(4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높이 뜬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21)을 관통한 이륜차(100)의 뒷바퀴(300)의 일부가 지면에 닿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머신몸체(20)는 이륜차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주행날개부(30)는 상기 머신몸체(2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측부주행바퀴(31)가 마련된다.
상기 주행날개부(30) 및 상기 측부주행바퀴(31)가 상기 머신몸체(20)의 양옆을 지지하면서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륜차(30)의 앞바퀴를 들고 주행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양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기 주행날개부(30)는 상기 머신몸체(20)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머신몸체(20)와 측부연결샤프트(3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주행날개부(30)가 머신몸체(20)에 힌지연결되어, 이동이나 보관시 접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측부연결샤프트(32)에 의해 주행중 주행날개부(3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부연결샤프트(32)의 일단은 상기 주행날개부(30)에 볼트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머신몸체(20)의 측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상기 측부연결샤프트(32)를 주향날개부(3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주행날개부(30)를 접게 된다.
상기 주행날개부(30)는 상기 머신몸체(20)의 상부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주행지지부(40)는 상기 머신몸체(20)의 배면에 형성되고 후미주행바퀴(41)가 마련된다.
상기 주행지지부(40) 및 상기 후미주행바퀴(41)가 상기 머신몸체(20)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주행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이륜차(100)의 앞바퀴를 들고 주행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머신몸체(20)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기 주행지지부(40)는 상기 머신몸체(20)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후미연결샤프트(42)에 의해 상기 머신몸체(20)와 연결된다.
상기 주행지지부(40)가 머신몸체(20)의 배면부에 힌지연결되어, 이동이나 보관시 접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상기 후미연결샤프트(42)에 의해 주행중 주행지지부(4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미연결샤프트(42)의 일단은 상기 주행지지부(40)의 상부 볼트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머신몸체(2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상기 후미연결샤프트(42)를 분리한 후 상기 주행지지부(40)를 접게 된다.
상기 주행지지부(40)는 상기 머신몸체(20)의 배면과 맞닿도록 회동시켜 접게 된다.
상기 제어와이어(50)는 상기 머신몸체(2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이륜차(100)의 브레이크패달(200)에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어와이어(50)의 일단은 상기 머신몸체(20)에 고리를 형성한 후 상기 고리에 고정시키게 되며,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와이어(50)의 타단에는 클립(51)을 마련하여 이륜차(100)에 형성되는 브레이크패달(200)에 상기 클립(51)을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와이어(50)의 단부에 마련되는 클립(51)에는 탄성코일스프링(52)을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탄성코일스프링(52)의 타단을 상기 브레이크패달(200)에 연결하여, 상기 탄성코일스프링(5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와이어(50)가 받는 장력을 완화시켜, 상기 제어와이어(5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륜차(100)의 앞바퀴를 들고 주행하는 과정 중 뒤로 넘어가기 전 브레이크패달(200)을 밟아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와이어(50)가 그 브레이크패달(200)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별도로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주행하는데 집중할 수 있어 초보자가 거부감 없이 수월하게 연습할 수 있게 되고, 연습효과도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와이어(50)가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브레이크패달(200)을 당겨 제어하게 되므로, 이륜차(100)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재차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머신몸체(20)에는 상기 이륜차(100)와 연결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 보조와이어(60)가 더 마련되고 상기 보조와이어(60)의 길이는 상기 제어와이어(50)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어(60)는 일단이 상기 머신몸체(20)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머신몸체(20)에 고리를 형성한 후 상기 고리에 묶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와이어(60)의 타단에는 클립(51)을 형성하여 상기 이륜차(100)의 발판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어(60)의 길이는 상기 제어와이어(50)와 같거나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어와이어(50)가 먼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한 후 상기 보조와이어(60)가 긴장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패널(200)의 제어가 상기 보조와이어(60)에 의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와이어(60)는 상기 제어와이어(50)가 끊어지거나 기능을 상실한 경우 보조적으로 이륜차(100)가 주행중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안전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머신몸체(20)에 권취롤러(도시생략)를 갖는 구동모터(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롤러에 상기 제어와이어(50)의 일단을 고정하여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머신몸체(2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상기 권취롤러를 체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에 제어와이어(50)가 풀리거나 감겨 길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이륜차(100)의 뒷바퀴(300)를 기준으로 세워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브레이크패달(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머신몸체(20)에 신장실린더(도시생략)를 더 설치하고, 상기 신장실린더의 신장축(도시생략)에 상기 제어와이어(50)의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제어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머신몸체(20)에 상기 신장실린더를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고, 상기 신장실린더에 상기 제어와이어(50)를 용접하여 상기 신장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어와이어(50)를 당기거나 밀게 됨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륜차(100)가 세워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머신몸체(20)에는 경사지게 이동실린더(도시생략)를 더 설치하고, 상기 이동실린더의 이동축에 안전지지패널(도시생략)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실린더를 제어하도록 위치감지센서(도시생략)를 더 마련하게 된다.
상기 제어와이어(50)가 끊어지거나 브레이크패달(200)에서 분리된 경우 뒷바퀴(3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보다 오토바이가 뒤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실린더를 구동시켜 뒤로 넘어지는 오토바이의 안장을 상기 안전지지패널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는, 윌리머신에 주행날개부와 주행지지부를 힌지회동되게 마련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주행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륜차의 브레이크패널에 제어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륜차가 뒷바퀴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 제어와이어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이륜차가 주행중 뒤로 넘어가거나 옆으로 쓰러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윌리머신
20 : 머신몸체
21 : 관통공
22 : 체결돌부
23 : 연결관부
24 : 가압볼트
30 : 주행날개부
31 : 측부주행바퀴
32 : 측부연결샤프트
40 : 주행지지부
41 : 후미주행바퀴
42 : 후미연결샤프트
50 : 제어와이어
51 : 클립
52 : 탄성코일스프링
60 : 보조와이어
100 : 이륜차
200 : 브레이트패달
300 : 뒷바퀴

Claims (4)

  1. 이륜차의 앞바퀴를 든 상태로 달릴 수 있도록 된 주행연습용 윌리머신으로서,
    상기 이륜차의 뒷바퀴 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 축에 연결되는 머신몸체;
    상기 머신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측부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날개부;
    상기 머신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후미주행바퀴가 마련된 주행지지부; 및
    상기 머신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이륜차의 브레이크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어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머신몸체에는 상기 이륜차와 연결되도록 보조와이어가 더 마련되고 상기 보조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어와이어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날개부는 상기 머신몸체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머신몸체와 측부연결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지지부는 상기 머신몸체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머신몸체와 한쌍의 후미연결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KR1020180145753A 2018-11-22 2018-11-22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KR102074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53A KR102074842B1 (ko) 2018-11-22 2018-11-22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53A KR102074842B1 (ko) 2018-11-22 2018-11-22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42B1 true KR102074842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53A KR102074842B1 (ko) 2018-11-22 2018-11-22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980B1 (ko) 1999-04-20 2002-04-10 황현배 화장품/화장용구 케이스의 음성 저장/출력장치
JP3138872U (ja) * 2007-11-05 2008-01-24 林子堂 二輪車両の静態時に使用する転倒防止スタンドの構造
JP2009298325A (ja) * 2008-06-13 2009-12-24 O&M Co Ltd 自転車の転倒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980B1 (ko) 1999-04-20 2002-04-10 황현배 화장품/화장용구 케이스의 음성 저장/출력장치
JP3138872U (ja) * 2007-11-05 2008-01-24 林子堂 二輪車両の静態時に使用する転倒防止スタンドの構造
JP2009298325A (ja) * 2008-06-13 2009-12-24 O&M Co Ltd 自転車の転倒防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792A (en) Riding simulator for a cycle, especially a motorcycle
US8342546B2 (en) Two-wheeled in-line vehicle with torque generator
KR101921801B1 (ko) 굴절 버스를 위한 안티-잭나이프 스티어링 시스템
US8632084B2 (en) Drift scooter
US4595213A (en) Auxiliary wheel arrangement of bicycle
US9061729B2 (en)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CN101588959A (zh) 用于对两轮车辆提供陀螺式稳定的系统和方法
US4461365A (en) Bicycle power pack
US6095274A (en) Engine drive for scooter
KR102074842B1 (ko) 구동 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머신
EP1363831B1 (fr) Suspension arriere d'un vehicule avec une roue motrice portee par un bras oscillant
CN202923751U (zh) 电动自行车助推装置
US20110214587A1 (en) Elevated bicycle-based transportation system, connection apparatus for bicycle and modified bicycle
JP2018001785A (ja) キャノピー付き三輪車
CN206900582U (zh) 一种电动自行车用防滑雪靴
RU2098307C1 (ru) Стабилиз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вух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085186B1 (ko) 바이크 구동제어기능을 갖는 주행연습용 윌리바
CN113291401B (zh) 一种摇摆车后平叉组件及其摇摆车
CN205906155U (zh) 带有协调稳定装置的电动滑板车
US11603160B2 (en) Under-axle steering assembly
WO2017161532A1 (zh) 一种电动平衡车
KR100527721B1 (ko) 차량의 캠버 능동 제어 현가장치
CN213705689U (zh) 一种便于拆卸且具有缓冲性能的电动自行车架
CN211494288U (zh) 履带车用可调导向轮支架、履带车轮及履带车
US20050275189A1 (en) Two wheel drive bicycle with wheelie 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