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267B1 -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67B1
KR102074267B1 KR1020190089468A KR20190089468A KR102074267B1 KR 102074267 B1 KR102074267 B1 KR 102074267B1 KR 1020190089468 A KR1020190089468 A KR 1020190089468A KR 20190089468 A KR20190089468 A KR 20190089468A KR 102074267 B1 KR102074267 B1 KR 10207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
close contact
back plate
us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주식회사 대하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to KR102019008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 시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의자는, 하측이 좌판에 지지되고 상측이 밀착 등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후방브라켓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와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에서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일측 밀착 지지부; 및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타측 밀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와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A chair with a back plate that closely contacts the user's back}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 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다리, 상기 시트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시트부, 다리, 등받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등판부가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잘 되도록 하여 착석감이 높일 수 있는데, 종래 의자는 착석자가 등판부를 뒤로 가압할 때, 등판부가 결합된 프레임이 프레임의 자체의 탄성에 의해 밀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등부에 등판부를 밀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신체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착석 시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가 다리를 꼬은 상태로 앉으면 등판의 한쪽에만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편심외력에 의자의 프레임의 자체의 탄성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791451호(등록일자 2007년12월27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 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밀착 등판의 양측의 밀착 작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다리를 꼬은 상태로 앉을 시 발생하는 편심외력에도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션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는, 하측이 좌판에 지지되고 상측이 밀착 등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후방브라켓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와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에서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일측 밀착 지지부; 및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타측 밀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와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에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전방 힌지 돌기;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상기 밀착 등판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후방 힌지 돌기;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를 연결하는 일측 연결 링크; 및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일측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에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전방 힌지 돌기;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에 상기 밀착 등판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후방 힌지 돌기;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를 연결하는 타측 연결 링크; 및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타측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에는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일측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 링크에는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일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에는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타측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연결 링크에는 상기 타측 스토퍼 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타측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 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밀착 등판의 양측의 밀착 작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다리를 꼬은 상태로 앉을 시 발생하는 편심외력에도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자의 등판 부분 전체가 뒤로 젖혀질 때 밀착 등판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로 등판부 전체가 젖혀짐으로서 사용자의 상의가 하의로부터 빠져버리는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지지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지지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텐션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1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2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3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4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밀착 등판(20), 상기 좌판(10)과 밀착 등판(20)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후방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착 등판(20)은 도면에 도시된 프레임 부분과, 상기 프레임 부분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부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메시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브라켓(30)은 일측이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밀착 등판(2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판(10)과 상기 밀착 등판(20)을 서로 연결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부품이 조립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밀착 등판(20)의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브라켓(30)의 대응 부분은 상기 밀착 등판(2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고,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양측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양측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 지지부(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4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상태가 유지하도록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을 밀착 등판(20)에 살짝 기대며 밀착한 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등판(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온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을 좀더 밀착 등판(20)에 힘을 주어 기대더라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사용자의 등에 밀착 등판(20)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착 등판(20)이 사용자의 등이 지속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40)는, 일측 밀착 지지부(41)와 타측 밀착 지지부(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일측과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일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20)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타측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타측과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타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20)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41)와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42)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밀착 등판(20)의 양측의 밀착 작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다리를 꼬은 상태로 앉을 시 발생하는 편심외력에도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원활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41)는,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후방브라켓(30)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밀착 등판(20)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후방 힌지 돌기(41b),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와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41b)를 연결하는 일측 연결 링크(41c), 및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41b)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41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20)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일측 코일 스프링(41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코일 스프링(41d)은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41c)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42)는, 상기 밀착 등판(20)의 상부 타측에 상기 후방브라켓(30)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상부 타측에 상기 밀착 등판(20)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후방 힌지 돌기(42b),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와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42b)를 연결하는 타측 연결 링크(42c), 및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42b)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42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20)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타측 코일 스프링(42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코일 스프링(42d)은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42c)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 일측 후방 힌지 돌기(41b), 일측 연결 링크(41c),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 타측 후방 힌지 돌기(42b), 타측 연결 링크(42c)에는 각각 힌지 연결을 위한 구멍(41a-h, 41b-h, 41c-h1, 41c-h2, 42a-h, 42b-h, 42c-h1, 42c-h2)과 힌지핀(P1, P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41a)에는 상기 일측 연결 링크(41c)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일측 스토퍼 돌기(41a`)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 링크(41c)에는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41a`)에 걸려 지지되는 일측 걸림부(41c`)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42a)에는 상기 타측 연결 링크(42c)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타측 스토퍼 돌기(42a`)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연결 링크(42c)에는 상기 타측 스토퍼 돌기(42a`)에 걸려 지지되는 타측 걸림부(42c`)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41a`)와 일측 걸림부(41c`)에 의해 상기 밀착 등판(20)의 일측이 후방브라켓(30) 측으로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타측 스토퍼 돌기(42a`)와 타측 걸림부(42c`)에 의해 상기 밀착 등판(20)의 타측이 후방브라켓(30) 측으로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20)을 지지하면서,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100)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부(100)는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을 링크 구조로 연결하도록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로 구성되는 회동브라켓(110), 탄성부로 구성되는 코일탄성스프링(120), 단계조절부로 구성되는 단계조절다이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브라켓(110)은 한 쌍의 회동링크(110a)와 작동돌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110a)는 일단이 상기 밀착 등판(20)에 구비된 제1 힌지브라켓(111a)에 제1 힌지축(11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브라켓(30)에 구비된 제2 힌지브라켓(112a)에 제2 힌지축(1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돌기(113)는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110a)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브라켓(3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브라켓(111a)의 높이보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112a)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동브라켓(110)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브라켓(110)의 구성에 따르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브라켓(30)에 대한 상기 밀착 등판(20)의 간격에 따라 제1 힌지축(111b) 및 제2 힌지축(112b)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브라켓(110)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돌기(113)가 상기 후방브라켓(3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작동된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힌지축(111b) 및 제2 힌지축(1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코일탄성스프링(12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힌지축(112b)에 코일탄성스프링(120)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탄성스프링(120)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110)이 탄성적인 회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의 상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 등판(2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고, 도 11의 하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밀착 등판(2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코일탄성스프링(120)이 압축되면서 밀착 등판(20)이 탄성적으로 후방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밀착 등판(20)이 사용자의 등부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은 상기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밀리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110)의 작동돌기(113)에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브라켓(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은 상기 후방브라켓(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다단 부품(131)과, 상기 후방브라켓(30)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과 일체로 체결되는 외측 손잡이 부품(133)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의 내측 단부에는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131a~131d)가 원형 배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다단턱부(131a~131d) 중 어느 하나의 턱부가 상기 작동돌기(113)와 택일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의 내측면에는 스프링 삽입홈(133h)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133h)에는 코일스프링(133s)이 삽입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33s)의 외측에는 단계결정볼(133-1)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상기 후방브라켓(30)에 대응면에는 등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단계결정홈(31)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단계결정홈(31)은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에 형성된 다단턱부(131a~131d)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단계결정홈(3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계조절다이얼(13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단계결정볼(133-1)이 상기 코일스프링(133s)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계결정홈(31)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계결정볼(133-1)과 코일스프링(133s)에 의해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이 90도 간격으로 단계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의 회전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턱부(131a)가 상기 작동돌기(113)에 마주하도록 1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밀착 등판(20)을 후방으로 밀더라도 상기 회동브라켓(11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의 단부가 상기 1단 턱부(131a)에 닿아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고정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삽입돌기(42a-2)의 가상 중심선과 타측 슬라이드 수용 브라켓(42b)의 대응면이 이루는 각도는 α1°를 이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턱부(131b)가 상기 작동돌기(113)에 마주하도록 2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밀착 등판(2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의 단부가 상기 2단 턱부(131b)에 닿기 전까지 상기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a)와 2단 턱부(131b)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삽입돌기(42a-2)의 가상 중심선과 타측 슬라이드 수용 브라켓(42b)의 대응면이 이루는 각도는 α2°를 이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턱부(131c)가 상기 작동돌기(113)에 마주하도록 3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밀착 등판(2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의 단부가 상기 3단 턱부(131c)에 닿기 전까지 상기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a)와 3단 턱부(131c)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삽입돌기(42a-2)의 가상 중심선과 타측 슬라이드 수용 브라켓(42b)의 대응면이 이루는 각도는 α3°를 이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 턱부(131d)가 상기 작동돌기(113)에 마주하도록 4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밀착 등판(2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의 단부가 상기 4단 턱부(131d)에 닿기 전까지 상기 밀착 등판(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a)와 4단 턱부(131d)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삽입돌기(42a-2)의 가상 중심선과 타측 슬라이드 수용 브라켓(42b)의 대응면이 이루는 각도는 α4°를 이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브라켓(110)의 회동링크(110a)의 타단부에는 상기 밀착 등판(2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114)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30)의 대응부에는 스토퍼 블록(34)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돌기(114)는,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이 1단으로 조절되어 상기 회동브라켓(11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의 단부가 상기 1단 턱부(131a)에 닿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블록(34)에 닿아 지지가 되면서 회동링크(110)의 회전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좌판 20:등판
30:후방브라켓 40:지지부
41:일측 지지 41a:일측 전방 힌지 돌기
41b:일측 후방 힌지 돌기 41c:일측 연결 링크
41d:일측 코일 스프링 41a`:일측 스토퍼 돌기
41c`:일측 걸림부 42:타측 지지부
42a:타측 전방 힌지 돌기 42b:타측 후방 힌지 돌기
42c:타측 연결 링크 42d:타측 코일 스프링
42a`:타측 스토퍼 돌기 42c`:타측 걸림부
100:텐션부 110:회동브라켓
111a:제1 힌지브라켓 111b:제1 힌지축
112a:제2 힌지브라켓 112b:제2 힌지축
113:작동돌기 114:스토퍼 돌기
120:코일탄성스프링 130:단계조절다이얼
131:내측 다단 부품 131a~131d:다단턱부
133:외측 손잡이 부품 133-1:단계결정볼
133h:스프링 삽입홈 133s:코일스프링

Claims (3)

  1. 하측이 좌판에 지지되고 상측이 밀착 등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후방브라켓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와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에서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일측 밀착 지지부; 및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에 의한 가압 시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과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밀착 등판에 구비된 메시망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타측 밀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와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측 밀착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일측에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전방 힌지 돌기;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상기 밀착 등판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일측 후방 힌지 돌기;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를 연결하는 일측 연결 링크; 및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일측 후방 힌지 돌기와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일측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 밀착 지지부는,
    상기 밀착 등판의 상부 타측에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전방 힌지 돌기;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 타측에 상기 밀착 등판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타측 후방 힌지 돌기;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를 연결하는 타측 연결 링크; 및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타측 후방 힌지 돌기와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 등판에 밀착 지지력을 제공하는 타측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전방 힌지 돌기에는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후방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일측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 링크에는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일측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결 링크의 후방측 회전 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타측 전방 힌지 돌기에는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후방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타측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연결 링크에는 상기 타측 스토퍼 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타측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측 연결 링크의 후방측 회전 범위가 제한되며,
    상기 텐션부는, 일단이 상기 밀착 등판의 하측에 구비된 제1 힌지브라켓에 제1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브라켓에 구비된 제2 힌지브라켓에 제2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회동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일측 연결 링크 및 타측 연결 링크의 전방측 회전 범위가 상기 제1 힌지축에 의해 연동하여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2. 삭제
  3. 삭제
KR1020190089468A 2019-07-24 2019-07-24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207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68A KR102074267B1 (ko) 2019-07-24 2019-07-24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68A KR102074267B1 (ko) 2019-07-24 2019-07-24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67B1 true KR102074267B1 (ko) 2020-02-06

Family

ID=6956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68A KR102074267B1 (ko) 2019-07-24 2019-07-24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69B1 (ko) * 2021-10-05 2022-02-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등판 탄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51U (ko) * 1991-01-23 1992-08-20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980566B1 (ko) * 2018-09-18 2019-05-21 주식회사 대하정공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51U (ko) * 1991-01-23 1992-08-20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980566B1 (ko) * 2018-09-18 2019-05-21 주식회사 대하정공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69B1 (ko) * 2021-10-05 2022-02-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등판 탄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141B2 (en) Angle-adjustable hinge
KR101980566B1 (ko)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US20070246988A1 (en) Adjustment structure of chair backrests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EP2767188B1 (en) Angle-adjustable hinge and sofa
AU2006279554A1 (en) Multiple position leg rest mechanism
US7156459B2 (en) Stackable chair
KR102074267B1 (ko)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밀착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20190079955A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917582B1 (ko) 텐션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2331113B1 (ko)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US9609953B2 (en) Spring back hinge with or without spring lock mechanism
US8469449B2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KR102364369B1 (ko) 등판 탄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US7052089B2 (en) Multi-position headrest and mechanism therefor
KR102468081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2084357B1 (ko) 의자의 요추받침대
KR101691858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1768436B1 (ko)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JP5601818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2011115570A (ja) ロッキング椅子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JP2011092475A (ja) ロッキング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